KR20160054804A -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804A
KR20160054804A KR1020140154277A KR20140154277A KR20160054804A KR 20160054804 A KR20160054804 A KR 20160054804A KR 1020140154277 A KR1020140154277 A KR 1020140154277A KR 20140154277 A KR20140154277 A KR 20140154277A KR 20160054804 A KR20160054804 A KR 2016005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ation
gas
screw
microbial ag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근 filed Critical 김재근
Priority to KR102014015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804A/ko
Publication of KR2016005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받는 가스연소통의 내부에서 미생물제제를 연소하는 것으로 가스를 발생시켜 축사의 내부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연소가스발생장치를 구비하여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축사의 내부 대기 중으로 용이하게 희석시킬 수 있어 기존 액상타입 또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 및 이동통로의 제작이 불가피하고 축사 악취제거용 연소가스발생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 Environmental microbial agent combustion gas generator for bad smell removal the house }
본 발명은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축사의 내부 대기 중으로 용이하게 희석시킬 수 있도록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받는 가스연소통의 내부에서 미생물제제를 연소하는 것으로 가스를 발생시켜 축사의 내부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집단으로 사육하는 축사는 유기물 농도가 매우 높은 오탁물로 인한 악취의 발생으로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에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나 축사를 단순히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소독을 해주는 사후적 축사 환경개선만이 실현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가축의 피부병과 호흡기 등의 질병을 유발시키는 미생물 등 복합 원인균, 악취의 근본 원인이 되는 부패물질이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대한 근본적인 처리 없이 거의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어 병균과 해충의 서식처가 됨으로써 가축이 각종 질병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돼지 만성소모성질병으로 전신소모성증후군(PMWS), 돼지생식기 호흡기증후군(PRRS), 돼지 유행성설사(PED), 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PRDC) 등 혼합 감염에 따른 자돈 폐사율 증가로 양돈농가의 피해가 늘고 있어 돼지의 각종 만성소모성 질병으로 인한 폐사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나 이유후 자돈 전신소모성증후군(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등은 바이러스와 세균들이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어 특정 병원체에 대한 치료 및 예방 대책은 효과가 없음으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면역력 향상 등 좀 더 근본적이면서 특별한 대책 없이 사육 시설내 온도와 습도, 환기 조절 등의 사육환경개선에만 힘을 쓰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88729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살펴보면 축사에서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종류의 악취 발생 원인 물질이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복합적으로 반응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일정 농도의 액상 복합 미생물제재를 축사 내에 골고루 살수할 수 있게 하는 단순화 자동화된 악취제거장치로 복합 미생물제재를 축사 내에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1차적으로 복합 미생물 제재의 살균 및 소취 작용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와 질병 원인균, 먼지 등이 제거된 괘적한 사육환경에 의하여 질병 감염원인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전염성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게 하고, 2차적으로 복합 미생물 제재 급여에 따른 성장속도의 향상, 장내 정균작용으로 질병에 대한 내성강화, 육질의 개선, 분뇨 악취 저감에 따른 부가적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는 액상형 복합 미생물제재 또는 분진형 복합 미생물제재를 축사의 상부에서 분사하는 방법으로 악취를 제거하였으나 고농도의 악취가스에 대하여는 효과적이지 못하고 특히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필터가 막히거나 겨울철에는 얼어 붙어서 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단열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는 가축이 배출한 노폐물등과 상기 액상형 또는 분진형 복합 미생물제재가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대기오염과 더불어 수질 및 토양오염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받는 가스연소통의 내부에서 미생물제제를 연소하는 것으로 가스를 발생시켜 축사의 내부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연소가스발생장치를 구비하여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축사의 내부 대기 중으로 용이하게 희석시킬 수 있어 기존 액상타입 또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 및 이동통로의 제작이 불가피하고 축사 악취제거용 연소가스발생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이용하여 축사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연소가스발생장치로서 상기 축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가스배출통과 일측면에 연소재배출공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본체와; 상기 연소재배출공을 관통하며 구비된 곡면판형상의 연소재배출호퍼와, 상기 연소재배출호퍼가 일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서 유입되는 미생물제제를 가열하여 연소되도록 내측에 히팅봉이 삽입된 원통형상의 가스연소통과; 상기 가스연소통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내측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의 제제공급본체와, 상기 제제공급본체의 타단부에 상기 이송스크류가 회전되도록 안착되는 스크류하우징와, 상기 제제공급본체의 상면에 상기 미생물제제가 공급되도록 상부는 그 면적이 넓고 하부는 그 면적이 협소해지는 형상의 제제공급호퍼부로 이루어진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제공급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크류기어와, 상기 제제공급본체의 일면에 정해진 형상의 연결편으로 연결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구동기어로 이루어진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는 내부에서 공기가 흐를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요입된 유로와, 그 외측면에 스크류형상의 이송산으로 이루어진 스크류본체와 상기 스크류본체의 일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입공의 회전반경을 따라 요입된 회전유입홈과 상기 회전유입홈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하우징의 외측으로 관통된 하우징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로를 밀폐하는 밀폐판이 부착되고, 상기 밀폐판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스연소통의 내벽을 긁어주며 유입된 미생물제제를 회전 혼합하는 판형상의 제제혼합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판의 중심면에는 상기 가스연소통의 말단부 내벽에 부착된 재를 긁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일단부에 방사형상의 브러쉬가 구비된 제제분진청소브러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봉은 상기 공급부에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스연소통의 절반의 길이만큼 삽입 형성되고; 상기 가스연소통과 공급부의 사이에는 비전열성재질로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연결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제공급호퍼부의 일면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상기 미생물제제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회전추형태의 용량확인센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량확인센서부는 상기 제제공급호퍼부의 일면에서 관통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제공급호퍼부에 힌지로 연결된 센서회전편과, 상기 센서회전편의 내측단부에 구비된 구형상의 용량감지추와, 상기 용량감지추가 최하단부로 내려간 경우를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회전편의 외측부에 접촉된 리미트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가스연소통에서 발생된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통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유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받는 가스연소통의 내부에서 미생물제제를 연소하는 것으로 가스를 발생시켜 축사의 내부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연소가스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축사의 내부 대기 중으로 용이하게 희석시킬 수 있어 기존 액상타입 또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 및 이동통로의 제작이 불가피하여 축사 악취제거용 연소가스발생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둘째, 연소가스발생장치의 내부에서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내부에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미생물제제와 이송산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 미생물제제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연소가스발생장치의 내부에서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내부에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가스연소통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불어주어 용이하게 가스를 분산시키는 것과 더불어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가 연소될 경우 공기를 부과하여 연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연소가스발생장치의 작용을 배가시킬 수 있고,
넷째, 가스연소통의 내벽을 긁어주는 제제혼합봉과 제제분진청소브러쉬가 구비된 이송스크류를 형성함으로써, 정적인 가스연소통의 내벽에 부착되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 및 연소된 후 남는 재를 용이하게 털어내거나 혼합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차후관리할 수 있으며,
다섯째, 공급호퍼부에 미생물제제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회전추형태의 용량확인센서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생물제제의 남은 양을 측정하지 않아도 용랑확인센서부의 센싱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발생장치가 설치된 축사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발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발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스크류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용량확인센서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유도면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를 이용하여 축사(H)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연소가스발생장치(1)로서 상기 축사(H)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가스배출통(11)과 일측면에 연소재배출공(12)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본체(10)와; 상기 연소재배출공(12)을 관통하며 구비된 곡면판형상의 연소재배출호퍼(21)와, 상기 연소재배출호퍼(21)가 일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서 유입되는 미생물제제(M)를 가열하여 연소되도록 내측에 히팅봉(22)이 삽입된 원통형상의 가스연소통(20)과; 상기 가스연소통(2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내측에 이송스크류(31)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의 제제공급본체(32)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타단부에 상기 이송스크류(31)가 회전되도록 안착되는 스크류하우징(33)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상면에 상기 미생물제제(M)가 공급되도록 상부는 그 면적이 넓고 하부는 그 면적이 협소해지는 형상의 제제공급호퍼부(34)로 이루어진 공급부(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골조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그 내면과 동일한 형상의 판재가 부착되어 내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1)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크류기어(41)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일면에 정해진 형상의 연결편(42a)으로 연결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축에 연결된 구동기어(43)로 이루어진 구동부(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기어(41)와 구동기어(43)는 웜기어 또는 헬리컬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31)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공기가 흐를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요입된 유로(31a)와, 그 외측면에 스크류형상의 이송산(31b)으로 이루어진 스크류본체(31c)와 상기 스크류본체(31a)의 일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d)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입공(31d)의 회전반경을 따라 요입된 회전유입홈(33a)과 상기 회전유입홈(33a)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외측으로 관통된 하우징유입공(3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본체(31c)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로(31a)를 밀폐하는 밀폐판(31e)이 부착되고, 상기 밀폐판(31e)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벽을 긁어주며 유입된 미생물제제(M)를 회전 혼합하는 판형상의 제제혼합봉(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폐판(31e)의 일면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유동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판(31e)의 중심면에는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말단부 내벽에 부착된 재(Ash : A)를 긁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일단부에 방사형상의 브러쉬(36a)가 구비된 제제분진청소브러쉬(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봉(22)은 상기 공급부(30)에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스연소통(20)의 절반의 길이만큼 삽입 형성되고; 상기 가스연소통(20)과 공급부(30)의 사이에는 비전열성재질로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연결하우징(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의 일면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상기 미생물제제(M)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회전추형태의 용량확인센서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용량확인센서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의 일면에서 관통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에 힌지(H)로 연결된 센서회전편(61)과, 상기 센서회전편(61)의 내측단부에 구비된 구형상의 용량감지추(62)와, 상기 용량감지추(62)가 최하단부로 내려간 경우를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회전편(61)의 외측부에 접촉된 리미트센서(6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연소통(20)에서 발생된 가스(G)가 상기 가스배출통(11)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유도면(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가스(G)를 사용하여 축사(H)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연소가스발생장치(1)이다.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생물제제(M)를 공급받는 가스연소통(20)의 내부에서 상기 미생물제제(M)를 연소하는 것으로 가스(G)를 발생시켜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연소가스발생장치(1)를 상기 축사(H)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를 축사(H)의 내부 대기 중으로 용이하게 희석시킬 수 있어 기존 액상타입 또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 및 이동통로의 제작이 불가피하여 축사 악취제거용 연소가스발생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가 이동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공급부(30)의 상부에 구비된 제제공급호퍼부(34)를 통하여 최초 유입되며 이후 상기 이송스크류(31)를 통하여 상기 가스연소통(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31)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42) 및 각종 기어(41, 43)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31)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요입된 유로(31a)와, 일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d)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1)의 이송산(31b)과 접촉되어 마찰열의 발생시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1)에 유입공(31d)에 공기를 공급하는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내측면에 상기 유입공(31d)의 회전반경을 따라 요입된 회전유입홈(33a)과 상기 회전유입홈(33a)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외측으로 관통된 하우징유입공(33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31)의 회전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31a)를 통하여 이동된 공기는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스연소통(20)에서 발생된 가스(G)를 외부로 불어주어 용이하게 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가 연소될 경우 공기를 부과하여 연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31a)의 일단면에 부착된 밀폐판(31e)의 일면에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벽을 긁어주는 제제혼합봉(35)과 제제분진청소브러쉬(36)를 형성함으로써, 정적인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벽에 부착되는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 및 연소된 후 남는 재(A)를 용이하게 털어내거나 혼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의 일면에 내부에 충만되는 상기 미생물제제(M)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회전추형태의 용량확인센서부(60)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미생물제제(M)의 남은 양을 측정하지 않아도 상기 용랑확인센서부(60)의 센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연소가스발생장치 H : 축사
M : 미생물제제 G : 가스
h : 힌지 A : 재
10 : 본체
11 : 가스배출통 12 : 연소재배출공
13 : 경사유도면 20 : 가스연소통
21 : 연소재배출호퍼 22 : 히팅봉
30 : 공급부 31 : 이송스크류
31a : 유로 31b : 이송산
31c : 스크류본체 31d : 유입공
31e : 밀폐판 32 : 제제공급본체
33 : 스크류하우징 33a : 회전유입홈
33b : 하우징유입공 34 : 제제공급호퍼부
35 : 제제혼합봉 36 : 제제분진청소브러쉬
36a : 브러쉬 40 : 구동부
41 : 스크류기어 42 : 구동모터
43 : 구동기어 50 : 연결하우징
60 : 용량확인센서부 61 : 센서회전편
62 : 용량감지추 63 : 리미트센서

Claims (8)

  1. 분진타입의 미생물제제(M)를 이용하여 축사(H)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연소가스발생장치(1)에 있어서,
    상기 축사(H)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가스배출통(11)과 일측면에 연소재배출공(12)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본체(10)와;
    상기 연소재배출공(12)을 관통하며 곡면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소재배출호퍼(21)와, 상기 연소재배출호퍼(21)가 일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서 유입되는 미생물제제(M)를 가열하여 연소되도록 내측에 히팅봉(22)이 삽입된 원통형상의 가스연소통(20)과;
    상기 가스연소통(2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내측에 이송스크류(31)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의 제제공급본체(32)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타단부에 상기 이송스크류(31)가 회전되도록 안착되는 스크류하우징(33)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상면에 상기 미생물제제(M)가 공급되도록 상부는 그 면적이 넓고 하부는 그 면적이 협소해지는 형상의 제제공급호퍼부(34)로 이루어진 공급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1)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크류기어(41)와, 상기 제제공급본체(32)의 일면에 정해진 형상의 연결편(42a)으로 연결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축에 연결된 구동기어(43)로 이루어진 구동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31)는 내부에서 공기가 흐를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요입된 유로(31a)와, 그 외측면에 스크류형상의 이송산(31b)으로 이루어진 스크류본체(31c)와 상기 스크류본체(31a)의 일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입공(31d)의 회전반경을 따라 요입된 회전유입홈(33a)과 상기 회전유입홈(33a)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하우징(33)의 외측으로 관통된 하우징유입공(3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본체(31c)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로(31a)를 밀폐하는 밀폐판(31e)이 부착되고, 상기 밀폐판(31e)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내벽을 긁어주며 유입된 미생물제제(M)를 회전 혼합하는 판형상의 제제혼합봉(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31e)의 중심면에는 상기 가스연소통(20)의 말단부 내벽에 부착된 재(Ash : A)를 긁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일단부에 방사형상의 브러쉬(36a)가 구비된 제제분진청소브러쉬(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봉(22)은 상기 공급부(30)에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스연소통(20)의 절반의 길이만큼 삽입 형성되고;
    상기 가스연소통(20)과 공급부(30)의 사이에는 비전열성재질로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연결하우징(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의 일면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상기 미생물제제(M)의 높이가 감지되도록 회전추형태의 용량확인센서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용량확인센서부(60)는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의 일면에서 관통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제공급호퍼부(34)에 힌지(H)로 연결된 센서회전편(61)과, 상기 센서회전편(61)의 내측단부에 구비된 구형상의 용량감지추(62)와, 상기 용량감지추(62)가 최하단부로 내려간 경우를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회전편(61)의 외측부에 접촉된 리미트센서(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가스연소통(20)에서 발생된 가스(G)가 상기 가스배출통(11)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유도면(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KR1020140154277A 2014-11-07 2014-11-07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KR20160054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77A KR20160054804A (ko) 2014-11-07 2014-11-07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77A KR20160054804A (ko) 2014-11-07 2014-11-07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04A true KR20160054804A (ko) 2016-05-17

Family

ID=5610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77A KR20160054804A (ko) 2014-11-07 2014-11-07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66A (ko) *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66A (ko) *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373B1 (ko) 오존을 이용한 축사살균장치
CN105770961B (zh) 医疗废物及生物废物的臭氧消毒处理装置
CN209802930U (zh) 粉尘暴露下的动物饲养试验装置
TWI495520B (zh) Organic waste treatment equipment
KR1018733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18108571A (ja) 有機物類の低温熱分解処理装置
CN108530115B (zh) 一种减少异味的畜禽粪便搅拌发酵装置
CN101472618B (zh) 清洁空气供给装置中的灭菌方法以及清洁空气供给装置
KR20160054804A (ko) 축사 악취제거용 친환경 미생물제제 연소가스발생장치
JPH0851891A (ja) 蚕の無菌飼育方法
WO2018123565A1 (ja) 有機物類の低温熱分解処理装置
KR100391380B1 (ko) 이동식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CN113230674B (zh) 一种药物临床试验用余血处理装置
CN213344247U (zh) 一种无菌化食品生产车间用杀菌装置
CN204523746U (zh) 分布式医疗废弃物处理装置
KR20020096117A (ko) 음식물 쓰레기와 축분뇨 처리장치의 공기공급 및 배출장치
KR20040064333A (ko) 탈취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288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CN205832233U (zh) 医疗废物及生物废物的臭氧消毒处理装置
CN105242008A (zh) 一种用于调控挥发性有机物气态污染浓度的染毒试验装置
KR100458454B1 (ko) 유기물의 멸균 및 건조시스템
CN206399164U (zh) 烘干装置
CN218545143U (zh) 一种生物有机肥杀菌烘干装置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841600U (zh) 一种呼吸内科护理用废弃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