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759A -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759A
KR20160054759A KR1020140154148A KR20140154148A KR20160054759A KR 20160054759 A KR20160054759 A KR 20160054759A KR 1020140154148 A KR1020140154148 A KR 1020140154148A KR 20140154148 A KR20140154148 A KR 20140154148A KR 20160054759 A KR20160054759 A KR 2016005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tting
alarm
information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조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102014015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759A/ko
Publication of KR2016005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H04B5/7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스마트폰이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의 약제 케이스에 장착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 정보 서버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약제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 상기 스마트폰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Method of setting and Alarming Medication Time Using RFID or NFC}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복용을 해야 하는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의약품 또는 약제는 정해진 시간에 복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B형 간염 치료제와 같은 약제는 하루에 한번 복용해야 하며, 특히 엔테카비르(Entecavir) 성분은 공복시에 복용해야 치료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 B형 간염 치료제는 공복이 아닌 때에 복용하면 복용 효과가 저하되며, 특히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을 경우 바이러스가 내성을 가지게 되며 변종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상기 B형 간염 치료제를 복용하는 복용 환자는 일상 생활이 가능하므로, 일상 생활을 하다 보면 복용 시간을 놓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용 환자에게 복용 시기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상기 복용 주기를 알려주는 방법으로는 시계에 알람을 설정하는 방법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계에 알람을 설정하는 방법은 일회성으로 복용 시간을 알려주게 되므로 복용 환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알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시계에 알람을 설정하는 방법은 알람이 다른 목적으로 설정되는 알람과 중복되어 복용 환자가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용 환자는 복용하는 약제의 복용 특성에 대하여 일일이 확인한 후에 복용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상 의약품의 복용은 1일 1회 또는 1일 2~3회 등으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비전문가인 환자가 하루 중의 정확한 복약시점을 알기 어렵다. 그러나, 의약품은 규칙적이고 정해진 복약을 하지 않을 경우 일정한 효력을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내성 발현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 및 암과 같은 2차적인 치명적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신약과 같이 약제에 대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경우에 임상 시험에 참가하는 임상시험 피험자들의 실제 복용 여부와 복용 시간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임상 시험의 정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복용 약제에 따른 복용 시간의 설정이 용이하고, 복용 시간의 알람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스마트폰이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의 약제 케이스에 장착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 정보 서버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약제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약제 케이스에 장착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 정보를 직접 스마트폰으로 상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정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스마트폰으로 B형 간염 치료제인 약제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앱을 다운받아 복용 시간을 설정하게 되므로, 약제의 복용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용이하게 복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복용 환자가 복용 시간에 대한 알람을 인지할 때까지 알람을 제공하여 복용 시간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용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복용 시간의 알람에 대하여 스마트폰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알람과 구별되는 신호로 설정하여 복용 환자가 용이하게 복용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임상 시험에 참가한 임상 시험 피험자들로부터 약제의 복용 여부 또는 복용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임상 시험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을 위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단계(S10)와 접속 단계(S20)와 설치 단계(S30)와 설정 단계(S40)와 알람 단계(S50) 및 정지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전송 단계(S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복용 시간 알람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용 시간 알람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 및 약제 정보 서버(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복용 알람시스템은 RFID 또는 NFC가 약제 정보 서버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약제 정보 서버(30)에 접속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휴대가 가능하며, 유무선 네트워크(20)에 접속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 외에도 태블릿,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약제를 복용하는 복용 환자 또는 그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은 신약과 같은 약제의 임상 시험에 참가하는 임상 시험 피험자의 스마트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를 포함하며, 약제 케이스에 장착되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 형성되는 정보 태그(45)에 저장된 약제 정보 서버(30)에 대한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스마트폰(10)에 내장된 RFID 리더기 또는 NFC 리더기는 RFID 기술 또는 NFC 기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리더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은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약제 정보 서버(30)에 접속하여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상기 정보 태그(45)는 약제가 포장되는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내장되며, 약제에 대한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약제 정보 서버(30)에 대한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와 같은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 태그(45)가 RFID 태그로 형성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수동형(Passive)으로 형성되어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전파 신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한편, 상기 RFID 태그는 능동형(acti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는 해당 약제에 대한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는 해당 약제의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저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는 약제에 대한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약제 정보 서버(30)에 대한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해당 약제를 제조하는 제약사의 서버 또는 약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유무선 네트워크(20)에 연동되며, 해당 약제에 대한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해당 약제의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저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접속하는 스마트폰(10)이 요청하는 약제의 복용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복용 환자의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환자의 약제 복용 사실 또는 복용 시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약제 정보 서버(30)로 전송되는 미리 약정된 신호, 문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환자의 스마트폰 정보 또는 복용 환자의 성명 또는 주민번호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약제의 종류, 복용 약제의 복용횟수, 또는 복용 약제의 복용 기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바람직하게는 신약과 같이 약제의 임상 시험을 진행하는 임상 시험 실시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제약 회사의 서버 또는 임상 시험 수탁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임상 시험에 참가하는 임상 시험 피험자들에게 약제의 복용 시기와 복용 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제공하고, 임상 시험 피험자들의 스마트폰(10)으로부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전송받아 임상 시험 피험자들의 실제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임상 시험 피험자들의 실제 복용 현황을 반영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임상 시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제공하는 경우에, 약제 정보 서버(30)는 생략되거나, 필요한 경우에 복용 환자 또는 임상 시험 피험자들의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케이스(40)는 전체 약제가 포장되는 전체 케이스 또는 하나의 약제가 포장되는 단일 케이스일 수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에 RFID 태그(45)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정기적으로 복용하여야 하는 약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B형 간염 치료제와 같이 정기적으로 복용하여 혈중에 일정 이상의 농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약제의 복용에 적용된다. 상기 B형 간염 치료제는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충분한 약효를 기대할 수 없고 내성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복용하여야 한다.
상기 수신 단계(S10)는 스마트폰(10)이 약제 케이스(40)에 장착되는 정보 태그(45)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장착된 RFID 리더기 또는 NFC 리더기를 이용하여 약제 케이스(40)에 장착되어 있는 정보 태그(45)를 인식하고, 정보 태그(45)로부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주소 정보는 해당 약제의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제공하는 약제 정보 서버(30)에 대한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해당 약제를 제조하는 제약사의 서버 또는 약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단계(S20)는 스마트폰(10)이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약제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약제 정보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설치 단계(S30)는 스마트폰(10)이 약제 정보 서버(30)로부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약제 정보 서버(30)에 접속하여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요청하며, 약제 정보 서버(30)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전송된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내부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설치 단계(S30)는 스마트폰(10)에 이미 필요한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단계(S40)는 스마트폰(10)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설정 단계(S40)는 복용 시간을 위한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설치된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실행하여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한다. 상기 설정 입력 창은 약제의 복용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 적어도 한 개의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 또는 복용 환자가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칸을 포함한다.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약제의 복용 특성에 따라 복용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B형 간염 치료제의 하나인 엔테카비르 제제는 약의 복용시 음식물의 영향(food effect)을 받아서 약물 흡수가 방해되므로 반드시 공복에 복용해야 한다. 상기 엔테카비르 제제의 품목 허가에서의 복약지도는 복용 시간에 대하여 공복시(식사후 2시간 이후 또는 식사전 최소 2시간 이전)에 경구 투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엔테카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에 대한 복용 시간은 오전 9시 ~ 11시, 오후 2시 30분~ 4시 또는 오후 8시 30분 ~ 10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용 환자는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를 오전 6시 30분 ~ 8시 30분에 하므로, 소화시간을 고려하면 오전 9시 ~ 11시에 공복 상태가 되므로 오전 9시 ~ 11시가 복용시간으로 적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용 환자는 점심 식사를 오전 12시 ~ 오후 1시 30분에 하므로, 오후 2시 30분 ~ 4시가 복용시간으로 적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용 환자는 저녁 식사를 오후 6시 ~ 7시 30분에 하므로, 오후 8시 30분 ~ 10시가 복용시간으로 적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각 복용 시간을 아이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복용 시간에 대한 아이콘을 30분 간격으로 표시하여, 복용 시간이 가장 적절한 시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용 환자는 아이콘의 하나를 선택하여 개인의 식사 시간에 따라 복용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형 간염 치료제의 또 다른 하나인 테노포비르(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또는 체내 흡수후 Tenofovir 가 활성형인 화합물) 제제는 음식물이 약의 흡수성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식사와 함께 먹거나 식후에 바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노포비르 제제의 품목 허가에서의 복약 지도는 식사와 함께 먹거나 식후 바로 복용하며, 음식이 이 약의 흡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약 지도는 이 약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약효가 발생하며, 실수로 혹은 일부러 몇 번 약을 안먹게 되면 충분한 약효를 기대할 수 없어 반드시 빼먹지 말고 약을 꾸준히 복용할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테노포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에 대한 복용 시간은 오전 6시 30분 ~ 8시 30분, 오전 12시 ~ 오후 1시 30분, 또는 오후 6시 ~ 7시 30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테노포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의 경우에 오전 6시 30분 ~ 8시 30분, 오전 12시 ~ 오후 1시 30분, 또는 오후 6시 ~ 7시 30분에 대한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복용 시간에 대한 아이콘을 30분 간격으로 표시하여, 복용 시간이 가장 적절한 시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용 환자는 아이콘의 하나를 선택하여 개인의 식사 시간에 따라 복용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복용 환자가 복용하는 B형 간염치료제의 특성과 자신의 생활 습관을 고려하여 직접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칸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엔테카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를 복용하는 복용 환자가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에 10시 이전을 복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복용 환자는 10시 이전의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테노포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아침 식사를 하지 않고 점심 식사를 하는 경우에 점심 시간인 오전 12시 ~ 오후 1시 30분에서 적정한 복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은 복용 시간의 각각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30분 간격에 대응되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은 각 시간 구간에 대하여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지며,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은 각각의 복용 시간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은 15분 간격 또는 45분 간격으로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복용 시간은 약제의 종류에 따라 하루에 두 번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제와 같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오전 시간과 오후 시간을 함께 설정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설정 입력 창으로 입력되는 시간을 약제에 대한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실행하여 화면에 알람 방법을 설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알람 방법은 복용 시간 설정 앱이 화면에 제시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음악, 벨 소리, 새소리, 바람소리와 같은 음향, 진동 또는 화면 색상 변화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은 복용 약제의 이름 또는 제약사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람 멘트는 "주인님, 건강을 위해 동아 제약의 박카스를 복용할 시간입니다"와 같은 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은 약제의 제조사의 상호와 약제의 이름을 포함하는 음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알람은 제조사 또는 해당 약제에 대한 광고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스마트폰(10)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알람들 예를 들면, 모닝 콜의 알람 방법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용 시간 설정 앱은 기존에 스마트폰(10)에 설정되어 있는 알람 방법을 확인하여 다른 알람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용 환자는 복용 시간에 대한 알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람 단계(S50)는 스마트폰(10)이 설정된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설정된 복용 시간이 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복용 환자에게 복용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알람은 복용 환자가 인지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람은 환자의 의지로 입력할 때까지 1분 동안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3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반복하여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단계(S50)는 스마트폰(10)이 복용 환자가 알람을 인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클릭창을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이콘 또는 클릭창은 복용 환자가 알람을 인지한 경우 또는 추가적으로 복용 환자가 약제를 복용한 후에 아이콘 또는 클릭창을 터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지 단계(S60)는 스마트폰(10)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알람을 정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복용 환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정보에 의하여 알람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인지 정보는 스마트폰(10)이 화면에 제공하는 아이콘 또는 클릭창을 복용 환자가 터치하여 생성되는 터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정보는 복용 환자가 스마트폰(10)의 임의의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은 알람을 정지한 후에 복용 환자가 약제를 복용한 시간을 포함하여 복용 완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은 화면에 복용 완료 정보를 표시하여 복용 환자가 약제를 복용하였음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단계(S70)는 스마트폰(10)이 약제의 복용 완료 정보를 약제 정보 서버(1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인지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약제의 복용 사실 또는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약제 정보 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약제의 복용 사실은 스마트폰(10)으로부터 약제 정보 서버(30)로 전송되는 미리 약정된 신호, 문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환자의 스마트폰 정보 또는 복용 환자의 성명 또는 주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약제의 종류, 복용 약제의 복용횟수, 또는 복용 약제의 복용 기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 단계(S70)는 신약과 같이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약제의 복용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약제 정보 서버(30)는 임상시험에 참가하는 임상시험 피험자들의 스마트폰(10)으로부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전송받아 임상시험 피험자들의 실제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은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해당 약제에 대한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정보 또는 해당 약제의 복용 시간 설정 앱이 저장되는 경우에, 스마트폰은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 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 단계(S10)와 접속 단계(S20)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설치 단계(S30)는 스마트폰이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전송받아 설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복용 완료 정보를 저장만 하고 전송하지 않으며, 전송 단계(S70)가 생략될 수 있다.
10: 스마트폰
20: 유무선 네트워크
30: 약제 정보 서버
40: 약제 포장지

Claims (13)

  1. 스마트폰이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의 약제 케이스에 장착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 정보 서버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약제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설치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약제 정보 서버에 대한 인터넷 주소 정보 또는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입력 창은 상기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의 복용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 적어도 한 개의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 또는 복용 환자가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은 엔테카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이며,
    상기 복용 시간은 오전 9시 ~ 11시, 오후 2시 30분 ~ 4시 또는 오후 8시 30분 ~ 10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또는 임상 시험약은 테노포비르 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제이며,
    상기 복용 시간은 오전 6시 30분 ~ 8시 30분, 오전 12시 ~ 오후 1시 30분, 또는 오후 6시 ~ 7시 30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시간은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되며, 상기 복용 시간 선택 아이콘은 상기 복용 시간의 각각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30분 간격에 대응되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설정 입력 창에서 제공되는 알람 방법을 선택하여 알람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음악, 음향, 진동, 화면 색상 변화 또는 알람 멘트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 발생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알람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상기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클릭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아이콘 또는 클릭창의 터치 신호를 상기 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단계 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약제의 복용 사실 또는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약제 복용 완료 정보를 약제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상기 스마트폰 정보, 상기 복용 환자의 성명 또는 주민번호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복용 완료 정보는 복용 약제의 종류, 복용 약제의 복용횟수, 또는 복용 약제의 복용 기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13. 약제 케이스에 장착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부터 약제 정보를 직접 스마트폰으로 상기 약제의 복용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용 시간 설정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설치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화면에 복용 시간의 설정에 필요한 설정 입력 창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시간을 복용 시간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복용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에 대한 인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정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KR1020140154148A 2014-11-07 2014-11-07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KR20160054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8A KR20160054759A (ko) 2014-11-07 2014-11-07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8A KR20160054759A (ko) 2014-11-07 2014-11-07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59A true KR20160054759A (ko) 2016-05-17

Family

ID=5610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148A KR20160054759A (ko) 2014-11-07 2014-11-07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7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1176A1 (en) Medication Adherence Device And Coordinated Care Platform
JP3214893U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US20180280245A1 (en) Medication Compliance Alert Device
US200600895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distributing medication information
US1024521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JP2011200677A (ja) 薬物治療プログラムへの患者のコンプライアンスをモニター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50072111A (ko)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CN107111677A (zh) 连接护理提供者的可佩戴物
US20170224588A1 (en) Medication reminder system and method, a control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bbey et al. A remotely programmable smart pillbox for enhancing medication adherence
Maglogiannis et al. Mobile reminder system for furthering patient adherence utilizing commodity smartwatch and Android devices
Omotosho et al. Medication adherence: a review and lessons for developing countries
WO20182226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afe medication dispensing
US20170024542A1 (en) Logging system and a method of registering data for enabling monitoring of intake of a product by a user according to an intake plan
US2021029597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Orcioni et al. Medication adherence supported by mHealth and NFC
KR20160051534A (ko) 복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4759A (ko)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KR102254325B1 (ko) 복용 시간 설정 및 알림 방법
WO2020195597A1 (ja) 服薬状況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S2831803T3 (es) Sistema de notificación de atención médica sensible al contexto
TW201629896A (zh) 用於可攝入事件感測與分析之系統、裝置及方法
Adhikari et al. Design of An IoT Based Smart Medicine Box
Poongodi et al. SMB: An smart featured medicine box for patient monitoring
Atienza et al. Towards Personalized Medication Management: A Novel Approach to Medication Reminder Using Wearable Sensors and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