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607A -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607A
KR20160053607A KR1020140152890A KR20140152890A KR20160053607A KR 20160053607 A KR20160053607 A KR 20160053607A KR 1020140152890 A KR1020140152890 A KR 1020140152890A KR 20140152890 A KR20140152890 A KR 20140152890A KR 20160053607 A KR20160053607 A KR 2016005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arbonate
water
tank
reaction tank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수
주지선
길준우
김규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5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607A/ko
Publication of KR2016005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2053/221Devices
    • B01D2053/223Devices with hollow tubes
    • B01D2053/224Devices with hollow tubes with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수와 반응시키기 전에 해수와 CO2를 용해시켜 이온 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CaCO3와 반응시켜 순환시킨 후 반응기 안의 pH가 7.4에 달하면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물을 미세입자로 만들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유로; CO2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유로에 연결되어 중공사기체투과막에 CO2를 분사하여 물과 CO2를 이온화하며, pH가 기준 pH이하인 경우 배출하는 CO2 용해조; 및 CaCO3가 수용되어 있고, CO2 용해조로부터 주입된 CO2가 용해된 물과 CaCO3가 반응하여 Ca2 +와 HCO3 2 -로 변환하는 CO2 변환조;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PRETREATMENT APPARATUS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사 기체 투과막을 이용한 급기 현상과 버블 현상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의 지중 저장 공간의 한계 및 지중 저장시의 안정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산화탄소의 해양저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장기적인 해양저장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통해 생성된 중탄산이온을 해양에 주입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중탄산이온은 수용액 상태에서 해수 중에 존재하는 이온으로 산성화가 되고 있는 해양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중탄산 이온을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해양 산성화를 완화시켜 주어야 한다. 기존의 생석회(CaO)를 가지고 중탄산이온을 생성하는 과정은 경제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CaCO3를 이용하여 중탄산이온을 생성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CaCO3와 CO2의 반응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이를 빠르게 반응시킬 수 이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803호 '이산화탄소 해양저장을 위한 관형 흐름 변환 농축 반응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935호 '이산화탄소 변환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수와 반응시키기 전에 해수와 CO2를 용해시켜 이온 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CaCO3와 반응시켜 순환시킨 후 반응기 안의 pH가 7.4에 달하면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해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물을 미세입자로 만들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유로; CO2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유로에 연결되어 중공사기체투과막에 CO2를 분사하여 물과 CO2를 이온화하며, pH가 기준 pH이하인 경우 배출하는 CO2 용해조; 및 CaCO3가 수용되어 있고, CO2 용해조로부터 주입된 CO2가 용해된 물과 CaCO3가 반응하여 Ca2 +와 HCO3 2 -로 변환하는 CO2 변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pH는 6.5일 수 있다.
상기 냉각조는 상기 해수를 냉각시켜 CO2 의 기체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냉각된 해수를 미세 기포로 만들 수 있다.
상기 CO2 변환조는 목표 수위에 도달하면 CO2가 용해된 물을 차단하는 차단밸브; 상기 CO2 변환조 내의 탄산칼슘과의 반응을 일정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CO2 변환조의 배출수의 pH가 제2 기준 pH에 도달하면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CO2 변환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및 상기 CO2 변환조의 목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pH는 7.4일 수 있다.
상기 CO2 변환조는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의 상부에 연결된 제2 탄산칼슘 반응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는 탄산수 보관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산부 보관조와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 및 제2 탄산칼슘 반응조를 연결하여 탄산수를 공급하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에는 각각 탄산 칼슘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탄산칼슘을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1 순환로 및 제2 순환로와, 상기 제1 순환로 및 제2 순환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 내부에 상기 탄산칼슘을 뿌려주는 제1 디퓨져 및 제2 디퓨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의 상측 영역에는 각각 제1 수위계 및 제2 수위계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의 배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배출수의 pH를 측정하는 제1 pH 센서 및 제2 pH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CO2가 탄산칼슘에 용해되는 반응을 가속화시키고 CO2를 HCO3 -로 인위적으로 빠르게 변환시켜 해양에 저장함으로써, 해양 산성화를 막고 CO2를 제거하여 지구 온난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CO2와 물에 적셔진 탄산칼슘이 반응한 것과 CO2가 용해된 물을 탄산칼슘과 반응한 것을 비교한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의 CO2 용해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의 CO2 변환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CO2가 용해된 물의 pH에 따라서 CaCO3와 반응을 2시간 시킨 후의 Ca2 +와 총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해수의 유속과 CO2의 유입비에 따른 pH 및 총 탄소량 변화를 비교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탄산칼슘 보관조내 석회석 양이 총 탄소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탄산칼슘을 해수와 반응시키기 전에 해수와 CO2를 용해시켜 이온상태로 만든 후 CaCO3와 반응을 시켜 순환시킨 후 반응기 안의 pH가 7.4에 달하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pH가 7.4에 달하면 배출하는 이유는 자연상태의 해수 pH와 비슷해야 하며, 물의 pH가 7.4일 경우 중탄산이온(HCO3 -)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기존의 CaCO3에 CO2를 그대로 주입하면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물과 CO2를 먼저 반응을 시킨 후 이온 상태로 만든 다음, 즉 pH 6.5 이하로 떨어뜨린 다음, CaCO3와 반응을 시킨다. 이때, 상온상압에서 CO2와 물은 반응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체전달효율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유속에 의한 이류확산 촉진, 분자 및 난류에 의한 확산을 촉진한 교란 혼합 증대, 접촉시간의 증대, 기포의 미립화로 인한 유효접촉면적 증대, 수온 저하로 인한 기체의 포화용해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에 들어가는 중공사기체투과막을 통과한 CO2가 효율적으로 들어가기 위함과 막을 보호하기 위해 차압을 측정하여 차압이 증가하면 CO2의 주입을 정지한다.
이를 위해 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해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와, 물을 미세입자로 만들기 위한 유로에 노즐이 설치된 유로; 유로에 연결되어 중공사기체투과막에 CO2를 분사하는 반응조와, CO2가 용해된 물이 유입하는 탄산칼슘이 들어 있는 반응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응조에는 물에 용해되지 않은 CO2가 주입되는 공간을 설치한다. 이는 배출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함과 반응조의 순환 효과를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체 분리막은 2상 사이에서 물질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고분자 재질의 계면이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막을 이용한 기체분리는 막에 대한 선택적인 가스투과원리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기체 혼합물이 막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기체 성분은 막속으로 용해후 확산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기체성분의 용해도와 투과도는 막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을 기체 분리막을 통해 혼합하게 된다. 이때, 기체분리막은 용해효율을 고려하여 중공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탄산가스가 물에 쉽게 용해된다.
한편, 기체분리막의 재질은 이산화탄소 투과량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기체분리막의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대표적으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로 한다. 이때, 막 표면 및 내부에는 친수성고분자가 코팅되어 있다.
또한, CO2가 용해된 물을 용해조에 주입하여 다시 CO2와 물을 용해시킨다. 이는 탄산칼슘이 들어있는 반응조에 일정한 상태의 물을 보내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물과 CO2가 들어가는 유로에 문제(예를 들면, 막의 막힘, 역압 등)가 생기면, 탄산칼슘이 들어있는 반응조에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반응조의 목표 수위에 도달하면 CO2가 용해된 물을 차단하는 체크밸브와, 반응조 내 탄산칼슘과 반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순환펌프와, 반응조의 배출수 pH가 7.4에 도달하면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반응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센서와, 반응조 목표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CO2와 물에 적셔진 탄산칼슘이 반응한 것과 CO2가 용해된 물을 탄산칼슘과 반응한 것을 비교한 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의 CO2 용해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의 CO2 변환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CO2가 용해된 물의 pH에 따라서 CaCO3와 반응을 2시간 시킨 후의 Ca2 +와 총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해수의 유속과 CO2의 유입비에 따른 pH 및 총 탄소량 변화를 비교한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서 탄산칼슘 보관조내 석회석 양이 총 탄소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O2가 물과 CaCO3와 직접 반응을 하면 CO2가 탄산칼슘과 반응을 하지 않고 물만 반응을 한 후, CO2의 주입을 멈추면 CaCO3와 천천히 반응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CO2가 물과 먼저 반응을 하여 이온상태로 된 후 CaCO3와 반응을 하면 빠르게 반응한 것을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CO2가 해수에 잘 용해될 수 있게 구조된 용해조(100)는, 해수를 냉각조(111)에 유입시켜 냉각시켜 CO2의 기체 포화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냉각된 해수를 노즐(114)를 통해 미세기포로 만들어 CO2와의 기액 경계막의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비표면적을 넓혀준다. 이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유속을 높여 이류확산촉진을 한다. 또한, CO2는 기체투과막(123)을 이용하여 순수한 CO2로 만들어 지고, 이러한 CO2를 물과 여러 곳에 반응을 할 수 있게 중공사막을 사용한다. 또한, CO2와 해수가 반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용해조(100)에 믹서(131; mixer)를 설치한다. 또한, pH 센서(143)를 설치하여 pH 6.5이하가 되면 CO2 변환조로 물을 배출시킨다.
도 3을 참조하여, CO2가 물에 녹아 (H2CO3, HCO3 -, CO3 2 -) 대부분이 이온상태로 되어진 해수가 CaCO3와 반응을 하여 Ca2 +와 HCO3 -로 변환하는 CO2 변환조(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이온상태로 되어진 해수를 탄산수로 칭한다. 우선, 이러한 탄산수는 탄산수 보관조(211)로 보내어진다. 이때, 탄산수를 보관조로 보내지는 이유는 CaCO3 보관조(241, 251)에 일정한 pH의 탄산수를 보내기 위함과 CO2 용해조(100)에 미처 용해되지 못한 CO2를 용해시키고 인위적으로 CO2를 넣어주기 위함이다. 또한, 탄산수를 제1 탄산칼슘 반응조(241)로 보내어 반응을 시킨다. 이때, 탄산칼슘과 산성화된 탄산수가 반응하여 나온 다량의 HCO3 -이온이 함유된 물을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제1 탄산칼슘 반응조(241) 상부로 순환시켜 디퓨저(281)를 이용하여 뿌려준다. 이를 통하여, 순환효과를 높혀주며 탄산수를 미세하게 만들어 탄산칼슘와의 반응을 높혀준다. 이때, 탄산칼슘과 반응한 탄산수는 pH가 올라가며 7.4에 도달하면 배출을 해준다. 그러나, 탄산칼슘과 탄산수의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제2 탄산칼슘 반응조(251)를 설치하여 탄산수 보관조(211)에 있는 탄산수를 보내준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의 개수에 대하여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여기서도 역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효과와 반응속도를 높여두고, 각 탄산칼슘 반응조의 물의 pH가 7.4에 도달하면 배출해준다.
도 4를 참조하면, CO2가 용해된 물의 pH에 따라서 CaCO3와 반응을 2시간 시킨 후의 Ca2 +와 총탄소 변화량의 경우, 물의 pH가 CaCO3의 용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총탄소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볼 수 있다. 즉, 물의 pH가 낮을수록 CaCO3의 용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탄소량은 pH가 6.3~6.5 부근에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총탄소량이 많다는 것은 CO2가 많이 변환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변환속도 및 변환률이 높은 pH는 6.3~6.5인 것이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해수의 유속과 CO2의 유입 비에 따른 pH 및 총탄소량 변화를 비교하면, CO2와 해수의 유입비율이 CO2의 용해량과 탄산칼슘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Water/gas의 비가 낮으면 pH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총탄소는 Water/gas의 비가 2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인ㄴ pH가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CaCO3의 용해도를 높이는 것이 적절한 H+소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산칼슘 보관조내 석회석 양이 총탄소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석회석 양이 많으면 총탄소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석회석량이 많으면 들어가는 탄산수의 량이 적어지고 순환펌프의 동력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반응조를 여러 개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에 따르면, 자연상태에서 이루어지는 CO2가 탄산칼슘에 용해되는 반응을 가속화 시켜 CO2를 HCO3 -로 인위적으로 빠르게 변환시켜 해양에 저장하여 해양 산성화를 막고 CO2를 제거하여 지구온난화를 막고자 한다.
또한, 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CO2(g)에서 CO2(aq)로 변환하는 게 RDS(Rate determining state)속도 결정 단계로 이를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줄여서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온상압에서 CO2와 물은 반응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체 전달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는 유속에 의한 이류확산 촉진, 분자 및 난류에 의한 확산을 촉진한 교란 혼합 증대, 접촉 시간의 증대, 기포의 미립화로 인한 기액의 유효 접촉 면적 증대, 수온 저하로 인한 기체의 포화용해도를 증대시켜 CO2 변환을 빠르게 이룰 수 있고, 탄산칼슘과 CO2와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변환조 내에 두 개의 반응조(탄산칼슘 저장조)를 설치하고 반응조 내에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CO2 주입조와 탄산칼슘 저장조에 순환펌프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CO2 용해조 111: 해수 냉각조
113: 해수 유입구 114: 노즐
121, 221: CO2 봄베 122: 가스 유입구
123: 가스 투과막 124: 차압 센서
131: 믹서 141, 213, 222, 231: 탄산수 유입구
142, 262, 272: 체크 밸브 143, 212, 263, 273: pH 센서
200: CO2 변환조 211: 탄산수 보관조
223, 224: CO2 유입구 232, 233: 순환로
241: 제1 탄산칼슘 반응조 242, 252: 수위계
243: 탄산칼슘 251: 제2 탄산칼슘 반응조
261, 271: 배출수 배출구 281, 282: 디퓨져

Claims (14)

  1. 해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물을 미세입자로 만들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유로;
    CO2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유로에 연결되어 중공사기체투과막에 CO2를 분사하여 물과 CO2를 이온화하며, pH가 기준 pH이하인 경우 배출하는 CO2 용해조; 및
    CaCO3가 수용되어 있고, CO2 용해조로부터 주입된 CO2가 용해된 물과 CaCO3가 반응하여 Ca2 +와 HCO3 2 -로 변환하는 CO2 변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pH는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조는 상기 해수를 냉각시켜 CO2 의 기체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냉각된 해수를 미세 기포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2 변환조는
    목표 수위에 도달하면 CO2가 용해된 물을 차단하는 차단밸브;
    상기 CO2 변환조 내의 탄산칼슘과의 반응을 일정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CO2 변환조의 배출수의 pH가 제2 기준 pH에 도달하면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CO2 변환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및
    상기 CO2 변환조의 목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pH는 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2 변환조는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의 상부에 연결된 제2 탄산칼슘 반응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는 탄산수 보관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부 보관조와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 및 제2 탄산칼슘 반응조를 연결하여 탄산수를 공급하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에는 각각 탄산 칼슘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을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1 순환로 및 제2 순환로와, 상기 제1 순환로 및 제2 순환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 내부에 상기 탄산칼슘을 뿌려주는 제1 디퓨져 및 제2 디퓨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의 상측 영역에는 각각 제1 수위계 및 제2 수위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산칼슘 반응조와 제2 탄산칼슘 반응조의 내부의 배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배출수의 pH를 측정하는 제1 pH 센서 및 제2 pH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KR1020140152890A 2014-11-05 2014-11-05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KR20160053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90A KR20160053607A (ko) 2014-11-05 2014-11-05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90A KR20160053607A (ko) 2014-11-05 2014-11-05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07A true KR20160053607A (ko) 2016-05-13

Family

ID=5602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90A KR20160053607A (ko) 2014-11-05 2014-11-05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36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477B1 (ko) * 2019-09-10 2021-02-22 국방과학연구소 연료전지를 탑재한 잠수함의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477B1 (ko) * 2019-09-10 2021-02-22 국방과학연구소 연료전지를 탑재한 잠수함의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8296B (zh) 液体处理装置
KR101004850B1 (ko) 산소함유형 환원성 수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Bratby et al. Saturator performance in dissolved-air (pressure) flotation
AU202143529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oxygenation of water bodies
JP2009507618A5 (ko)
KR20160053607A (ko)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처리 장치
JP2018176094A (ja) 気体溶解装置
CN113772800B (zh) 一种采用小型碳酸溶液投加系统投加碳酸的方法
CN216191328U (zh) 小型碳酸溶液投加系统
JP2009226328A (ja) 気体溶解器
CN216711695U (zh) 碳酸溶液投加系统
CN110217903A (zh) 一种自吸气式微纳米气泡发生装置
CN216703982U (zh) 一种富氧溶液投加系统
KR100672055B1 (ko) 정수처리용 이산화탄소의 용해 방법과 그 장치
KR20150074622A (ko) 탄산수 제조장치
KR101024323B1 (ko) 가스 용해반응장치
CN113800617B (zh) 一种小型碳酸溶液投加系统
CN113683175B (zh) 一种采用大型碳酸溶液投加系统投加碳酸的方法
CN113856505A (zh) 一种采用富氧溶液投加系统投加高浓度富氧溶液的方法
CN113683176B (zh) 一种大型碳酸溶液投加系统
KR102288440B1 (ko) 기체 용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CN113830874B (zh) 一种采用碳酸溶液投加系统投加碳酸的方法
CN216005318U (zh) 用于投加碳酸溶液的扩散器
CN216005319U (zh) 用于投加碳酸溶液的气水混合及扩散装置
CN216799410U (zh) 一种溶解臭氧投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