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934A -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 Google Patents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934A
KR20160052934A KR1020140148413A KR20140148413A KR20160052934A KR 20160052934 A KR20160052934 A KR 20160052934A KR 1020140148413 A KR1020140148413 A KR 1020140148413A KR 20140148413 A KR20140148413 A KR 20140148413A KR 20160052934 A KR20160052934 A KR 2016005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eeling
hill
thin plate
branch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4319B1 (en
Inventor
권도훈
김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1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T-type branch duct and a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The T-type branch duct includes: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coupled to the first pipe to form the T-type branch duct. The separation hil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to protrude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ipe.

Description

T형 브랜치 덕트 및 박리언덕 형성 유닛{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 RTI ID = 0.0 >

본 발명은 T형 브랜치 덕트 및 박리언덕 형성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shaped branch duct and a peeling hill forming unit.

일반적으로 메인관에 흐르는 유체를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위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지관인 분기관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73828호(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방법),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324호(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등이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a branch pipe which is connected to a main pipe and used for transferring the fluid flowing in the main pipe to another is used.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373828 (connection method between main pipe and branch pipe)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2324 (pipe pipe connector assembly).

분기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배관분기용 연결구를 이용하거나, 메인관의 일측에 구멍을 뚫고 분기관을 연결하여 밀봉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As a method of connecting the branch pipes, for example, there is used a pipe connecting branch or a method of piercing a hole on one side of the main pipe and sealing the branch pipes by connecting them.

그러나 메인관과 분기관이 연결된 구조(이하 'T형 브랜치 덕트(branch duct)'라 칭함)에서는 배관의 분기 영역, 즉 복수의 배관이 만나는 접점 부위에서 통상적으로 익형 또는 실린더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 입자가 표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운동에너지를 잃고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현상인 박리(separation)가 발생되어 유체는 와류(vortex,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된다(도 1의 'A' 참조). 참고로, 도 1의 'A'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메인관의 하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두 방향의 분기관으로 유체가 이송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However, in a structure in which a main pipe and a branch pipe are connec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 branch pipe duct"), fluid particles flowing along the airfoil or the cylinder surface at the branching region of the pipe, Separation occurs, which is a phenomenon that the kinetic energy is lost due to friction with the surface and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so that the fluid forms a vortex (see A in FIG. 1). For reference, 'A' in FIG. 1 shows a case where a fluid is transferred from a lower portion of a main pip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two-direction branch pipe installed horizontally.

전술한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와류 발생은 분기관 내에서의 유체 이송 공간의 면적을 감소시키므로, 분기관을 통해 정상적으로 유체가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The generation of the vortex in the T-shaped branch duct reduces the area of the fluid transfer space in the branch pipe, thus causing a problem that the fluid can not be normally transferred through the branch pipe.

한국등록특허 제10-0373828호(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방법)Korean Patent No. 10-0373828 (connection method of main tube and branch tub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324호(분기관 연결구 조립체)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2324 (Blower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박리점(separation point)을 앞쪽으로 이동시켜 분기관을 통한 유체의 이송시 분기관에서의 와류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분기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유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T형 브랜치 덕트 및 박리언덕 형성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separation point forwar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in a branch pipe during fluid transportation through the branch pipe, thereby improving fluid flow through the branch pipe and increasing the flow rate, A branch duct and a peeling hill forming unit.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T형 브랜치 덕트로서,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T형 브랜치 덕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박리언덕(separation hill)이 형성되는, T형 브랜치 덕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shaped branch duct comprising: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coupled to form the T-shaped branch duct and the first pipe,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has a separation hill protruding toward an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A T-shaped branch duct is provided.

상기 박리언덕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결합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The peeling hill may be formed adjacent to a region wher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may be formed over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상기 박리언덕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에 이송되는 유체의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eeling hil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fluid to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의해 형성된 T형 브랜치 덕트 내의 박리언덕 형성 유닛으로서, 양 단부에 스토핑 돌기가 각각 형성된 박판; 대응되는 스토핑 돌기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에 걸쳐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수용홈; 및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길이에 상응하여 상기 박판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박리언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박판의 후면(後面)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배관의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n a T-shaped branch duct formed by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comprising: a thin plate having stopp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Each of which is spaced longitudin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to accommodate a corresponding stopping projection in the inner space or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so as to form a peeling hill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ngth inser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pipe, There is provided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ncluding a penetrating member provided through a body of the first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의해 형성된 T형 브랜치 덕트 내의 박리언덕 형성 유닛으로서, 일 단부가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1 지점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 스토핑 돌기가 각각 형성된 박판; 상기 스토핑 돌기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2 지점 또는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3 지점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길이에 상응하여 상기 박판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박리언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박판의 후면(後面)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배관의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제1 배관을 통한 유체의 진행 방향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단으로 지정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n a T-shaped branch duct formed by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wherein one end is fixed to a first point of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A thin plate on which a stopping projection is formed;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second poi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or at a third poi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to receive the stopping projection in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so as to form a peeling hill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ngth inser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pipe, Wherein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point are designated as rear ends relative to the first point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luid through the first pipe, ,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s provided.

상기 관통 부재가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에 이송되는 유체의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length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fluid convey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용홈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 또는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단부는 상기 스토핑 돌기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Wherein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U shape 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or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and a second end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as compared with the length of the one end, And can function as a stopper preventing the topping projec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박판은 0.2 내지 0.8mm 중 임의의 두께를 가지는 아연판(galvanized steel)일 수 있다.The thin plate may be a galvanized steel having an arbitrary thickness of 0.2 to 0.8 mm.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리점(separation point)을 앞쪽으로 이동시켜 분기관을 통한 유체의 이송시 와류 발생이 최소화됨으로써 분기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유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oint is moved forward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vortex when the fluid is transported through the branch pipe,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branch pipe is smooth and the flow rate is increased.

도 1은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유체 등속선(velocity contour)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와류 형성 특성을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리언덕 형성 유닛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fluid contour in a T-branch duc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vortex formation characteristics in a T-shaped branch duct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state of a peeling-downhill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나 기구식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 Software combination or mechanical structure.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multipl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gain in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와류 형성 특성을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리언덕 형성 유닛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vortex formation characteristics in a T-shaped branch duct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a peeling hill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유체 이송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박리언덕(separation hill)이 형성된 T형 브랜치 덕트에서의 유체 이송 상태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a)와 (b)에서 수직 방향으로 도시된 배관은 메인관(210)이고, 수평 방향으로 도시된 배관은 분기관(22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Fig. 2 (a) shows the fluid delivery state in the T-type branch duc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b) shows the fluid in the T- Indicates the feed statu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ipe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2A and 2B is the main pipe 210 and the pipe sh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branch pipe 220.

도 2의 (a)의 경우, 메인관(210)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 중 일부는 분기관(220)을 통해 분기되어 이송되며, 이때 메인관(210)에서 분기관(220)으로 분기되는 유체의 박리점(separation point)는 유체 이송 방향에서 메인관(210)과 분기관(220)의 먼 접점 부위에 형성된다. 2 (a), a portion of the fluid delivered through the main pipe 210 is diverted and delivered through the branch pipe 220. At this time, the fluid that is branched from the main pipe 210 to the branch pipe 220 The separation point of the main pipe 210 and the branch pipe 220 is formed at a far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main pipe 210 and the branch pipe 220 in the fluid transport direction.

따라서 유체 이송 방향에서 메인관(210)과 분기관(220)의 가까운 접점 부위에는 메인관(210)으로부터 분기된 유체에 의해 와류(vortex, 소용돌이)가 형성되고, 와류 형성 영역(△H1)에 해당되는 분기관(220) 내부의 면적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용되지 못하여 분기관(220)으로 분기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A vortex is formed by the fluid branched from the main pipe 210 at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main pipe 210 and the branch pipe 220 in the fluid transfer direction and the vortex is generated in the vortex forming area H1 The area inside the branch pipe 220 can not be used as a region for transferring the fluid, which results in a problem that the flow rate of the fluid branched to the branch pipes 220 must be reduced.

이에 비해, 도 2의 (b)의 경우에는, 메인관(210)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메인관(2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박리언덕(230)이 형성되어 있어, 박리언덕을 따라 이송되던 유체가 박리언덕(23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지점인 박리점이 박리언덕(230) 상부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된다. 즉, 도 2의 (a)에 비해 박리점의 위치가 유체 이송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즉, 앞쪽으로 이동)된다.2 (b), a peeling hill 23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210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main pipe 210 is formed. In the case of FIG. 2 (b) A peeling point is formed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peeling hill 230 as a point at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peeling hill 230. [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eeling point is shifted (that is, moved for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luid transport direction as compared with FIG. 2 (a).

박리점을 지난 유체는 완만한 기울기로 분기관(220) 측으로 유입되며, 따라서 분기관(220) 내에는 적은 면적의 와류 형성 영역(△H2)이 발생된다. 와류 형성 영역(△H2)의 크기가 작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유체 이송을 위한 영역의 면적이 커져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이 분기관(220)을 통해 이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point flows into the branch pipe 220 side at a gentle inclination, and therefore, a vortex forming area H2 is generated in the branch pipe 220 with a small area. The small size of the vortex forming area? H2 means that the area of the area for fluid transport is relatively large,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low can be transported through the branch pipe 220.

도 3에는 배관의 내측 공간에 박리언덕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언덕 형성 유닛의 구성 및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peeling-down forming unit for forming the peeling hill in the inner space of the pipe.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박리언덕 형성 유닛은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박판(310), 박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핑 돌기(320a, 320b), 대응되는 스토핑 돌기(320a, 320b)를 각각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홈(330a, 330b) 및 T형 브랜치 덕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3 (a), the peeling hill forming unit includes a thin plate 31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n plate,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for accommodating the 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in the inner space, and a penetrating member 350 provided through the T-shaped branch duct.

양 단부에 형성된 스토핑 돌기(320a, 320b)가 수용홈(330a, 330b)에 구속되어 이동 거리가 한정되도록 T형 브랜치 덕트 내에 설치되는 박판(31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부재(350)가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의 박리언덕을 형성한다. The thin plate 310 installed in the T-shaped branch duct such that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formed at both ends are constrained to the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and the moving distance is limited is as shown in FIG. And forms a peeling hill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35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shaped branch duct.

박리언덕의 형성을 위해 관통 부재(350)가 박판(310)의 일 영역을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관통 부재(350)의 일 단부가 박판(310)의 일 영역(예를 들어 중심 영역)에 접촉 또는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ne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350 is inserted into one area of the thin plate 310 (e.g., a portion of the thin plate 310) so that the penetrating member 350 can push one area of the thin plate 310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 To the center region). ≪ RTI ID = 0.0 >

또한 박판(310)은 관통 부재(350)의 삽입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높이 및/또는 형상의 박리 언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0.2 내지 0.8 mm 두께의 아연판(galvanized steel) 등과 같이 미리 지정된 얇은 두께의 금속 판일 수 있다.The thin plate 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galvanized steel having a thickness of 0.2 to 0.8 mm or the like in order to form a peeling hill having various heights and / or shape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enetrating member 350 It may be a predetermined thin metal plate.

박판(31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스토핑 돌기(320a, 320b)는 대응되는 수용홈(330a, 330b) 내에 각각 수용되어 수용홈(330a, 330b)의 길이로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됨으로써 박판(310)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용홈(330a, 330b)의 일 단부에는 스토핑 돌기(320a, 320b)를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34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n plate 310 are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to be limited in the length of the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310 are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stopper protrusions 320a and 320b and stoppers 340 for effectively restraining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수용홈(330a, 330b)에서 스토핑 돌기(320a, 320b)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340)의 단부로부터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표면까지의 수직 거리는 스토핑 돌기(320a, 320b)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용홈(330a, 330b)의 타 단부는 수용홈(330a, 330b)의 고정을 위해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stopper 34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to prevent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is larger than the vertical size of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It can be formed relatively small. The other ends of the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for fixing the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이때,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수용홈(330a, 330b)은 형성된 박리언덕(230)이 메인관(210)과 분기관(220)의 접점 영역을 덮도록 메인관(210)의 내측 표면과 분기관(220)의 내측 표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2개의 수용홈(330a, 330b)이 분기관(220)에 인접된 메인관(210)의 내측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two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formed in a U shape are formed in the main pipe 210 so as to cov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in pipe 210 and the branch pipe 220,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nifold 220, respectively. Of course, two receiving grooves 330a and 330b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210 adjacent to the branch pipe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3에는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으로 진입하는 관통 부재(350)의 일 예로서 나비 볼트가 도시되었으나, 박리언덕의 형성을 위해 압력이 가해진 박판(310)의 일측이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3, a butterfly bolt is shown as an example of a penetrating member 350 that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peeling hill, one side of the pressurized thin plate 310 is located inside the T- It is natural that the means for protruding into the space can be applied equally without any limitation.

여기서, 관통 부재(350)가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 높이는 메인관(210) 및 분기관(220)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속도, 박리언덕의 형성에 의해 좁아진 영역이 압력 및 속도 변화 등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height at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3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depends on the velocity of the fluid conveyed through the main pipe 210 and the branch pipe 220, the area narrowed by the formation of the peeling hill, Change, and so on.

도 3에는 박판(3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스토핑 돌기(320a, 320b)가 형성되고 각 스토핑 돌기(320a, 320b)는 대응되는 수용홈(330a, 330b)에 수용되어 이탈이 구속되는 구조의 박리언덕 형성 유닛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박판(310)의 일측 단부는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표면에 고정 부착되고, 타측 단부에만 스토핑 돌기가 형성되어 수용홈(330a, 330b) 내에 수용되도록 박리언덕 형성 유닛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3 shows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hin plate 310 and the stopping protrusions 320a and 320b are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The peeling hill forming unit of Fig. Unlike this, however, the one end of the thin plate 310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stopping protrusion so that the peeling hill for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recesses 330a and 330b It is natural that it is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리언덕 형성 유닛은 T형 브랜치 덕트의 내측 공간에 박리언덕(230)을 형성함으로써 메인관(210)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박리점을 앞쪽으로 이동(즉, 유체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기관(220)에 형성되는 와류 형성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분기관(220)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eling hill 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the peeling hill 230 in the inner space of the T-shaped branch duct to move the peeling point of the fluid conveyed through the main pipe 210 forward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uid transport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area of the vortex forming region formed in the branch pipe 220, thereby allowing a greater amount of fluid to be transported through the branch pipe 220 There are advantag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210 : 메인관 220 : 분기관
230 : 박리언덕 310 : 박판
320a, 320b : 스토핑 돌기 330a, 330b : 수용홈
340 : 스토퍼 350 : 관통 부재
210: main pipe 220: branch pipe
230: peeling hill 310: thin plate
320a, 320b: stopping protrusion 330a, 330b:
340: stopper 350: penetrating member

Claims (8)

T형 브랜치 덕트로서,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T형 브랜치 덕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박리언덕(separation hill)이 형성되는, T형 브랜치 덕트.
As a T-type branch duct,
A first pipe; And
And a second conduit coupled to form the T-shaped branch duct with the first conduit,
And a separation hill protruding toward an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언덕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결합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에 걸쳐 형성되는, T형 브랜치 덕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eling hill is formed adjacent to a region wher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coupled or is formed across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언덕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에 이송되는 유체의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T형 브랜치 덕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peeling hi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fluid to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의해 형성된 T형 브랜치 덕트 내의 박리언덕 형성 유닛으로서,
양 단부에 스토핑 돌기가 각각 형성된 박판;
대응되는 스토핑 돌기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에 걸쳐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박판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박리언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박판의 후면(後面)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배관의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
As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n a T-shaped branch duct formed by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 thin plate having stopping projections at both ends thereof;
Each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topping protrusion in the inner space 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 And
And a penetrating member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body of the first pipe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hin plate so that the thin plate forms a peeling hill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Peeling hill forming unit.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의해 형성된 T형 브랜치 덕트 내의 박리언덕 형성 유닛으로서,
일 단부가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1 지점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 스토핑 돌기가 각각 형성된 박판;
상기 스토핑 돌기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2 지점 또는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의 제3 지점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박판이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박리언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박판의 후면(後面)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배관의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제1 배관을 통한 유체의 진행 방향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단으로 지정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
As a peeling hill forming unit in a T-shaped branch duct formed by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 thin plate having one end fixed to a first po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and the stopp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end, respectively;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second poi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or at a third poi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to receive the stopping projection in the inner space; And
And a penetrating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body of the first pipe so that one end of the thin plate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thin plate so that the thin plate forms a peeling hill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
Wherein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point are designated as a rear end relative to the first point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fluid through the first pip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부재가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공간에 이송되는 유체의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a length of the penetrating member inser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speed of the fluid to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p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용홈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배관의 내측 표면 또는 상기 제2 배관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단부는 상기 스토핑 돌기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기능하는, 박리언덕 형성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U-shape 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or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And the second end having a length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one end serves a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stopping projec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0.2 내지 0.8mm 중 임의의 두께를 가지는 아연판(galvanized steel)인, 박리언덕 형성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thin plate is a galvanized steel having an arbitrary thickness of 0.2 to 0.8 mm.
KR1020140148413A 2014-10-29 2014-10-29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KR101644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413A KR101644319B1 (en) 2014-10-29 2014-10-29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413A KR101644319B1 (en) 2014-10-29 2014-10-29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34A true KR20160052934A (en) 2016-05-13
KR101644319B1 KR101644319B1 (en) 2016-08-02

Family

ID=5602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413A KR101644319B1 (en) 2014-10-29 2014-10-29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897B2 (en) 2019-07-23 2022-01-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ehicle exhaust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594A (en) * 1990-10-01 1992-05-14 Toho Gas Co Ltd Fluid flow control device
KR100373828B1 (en) 1999-12-07 2003-03-03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Connection method of divergence pipe and main pipe
KR200362324Y1 (en) 2004-06-15 2004-09-16 주식회사 대경산업 branch pipe assembly
JP2008256130A (en) * 2007-04-06 2008-10-23 Toshiba Corp Fluid pipe and modifying method of fluid pipe
KR20140036683A (en) * 2012-09-18 2014-03-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eduction device of flow resistance
JP2014088754A (en) * 2012-03-29 2014-05-15 Sekisui Chem Co Ltd Piping unit, piping structure and drainage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594A (en) * 1990-10-01 1992-05-14 Toho Gas Co Ltd Fluid flow control device
KR100373828B1 (en) 1999-12-07 2003-03-03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Connection method of divergence pipe and main pipe
KR200362324Y1 (en) 2004-06-15 2004-09-16 주식회사 대경산업 branch pipe assembly
JP2008256130A (en) * 2007-04-06 2008-10-23 Toshiba Corp Fluid pipe and modifying method of fluid pipe
JP2014088754A (en) * 2012-03-29 2014-05-15 Sekisui Chem Co Ltd Piping unit, piping structure and drainage system
KR20140036683A (en) * 2012-09-18 2014-03-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eduction device of flow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319B1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4955A1 (en) Coupling Assembly with Retaining Clip Member
US10514003B2 (en) Exhaust duct
US10634383B2 (en) Exhaust air channel arrangement for a kitchen exhaust air channel system
US6241074B1 (en) Guide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conveyors
JP5921323B2 (en) Transport holding tool and transport holding device
CN102951293A (en) System for draining water condensation in an aircraft
KR101644319B1 (en) T-type branch duct and separation hill forming unit
AR061020A1 (en) NOVEDOUS GAS-LIQUID SEPARATOR USING ROTATING PALLETS TO CAPTURE LIQUID GOITAS AS WELL ALSO REDIRECT THE GAS FLOW AROUND A CURVE
WO2019065101A1 (en) Airflow conveying apparatus
US20150136261A1 (en) Apparatus for creating a swirling flow of fluid
WO2009016918A1 (en) Direction change device and levitation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direction change device
CN103851271A (en) Zero-moment fitting
US20170122478A1 (en) Fluid line
US10077705B2 (en) Flange structure
CN106369985A (en) Air knife assembly and drying device
RU2020113383A (en) BATTERY REGULATING COLLECTOR SEGMENT AND ITS ASSEMBLY
EP2730830B1 (en) Pipe pre-fixing sound-insulating clamp
WO2014117823A1 (en) Fluid distribution circuits
US20080272588A1 (en) Retaining Member of Small Size for Anchoring a Tube in a Circuit Element, and a Corresponding Circuit Element
JP2006029416A (en) Twin-pipe type steam piping device
KR101702554B1 (en) Spraying apparatus for road snow removal using two phase flow and road snow removal system using this
FR3036335B1 (en) MAGNETICALLY SUSTAINED TRANSPORT SYSTEM
CA2706248C (en) Joint through a vehicle frame
FI59659B (en) ANORDING WITH ROERKOPPLING FOR TVAERRIKTADE ROERANSLUTNINGAR VID TRANSPORTROER FOER VAETSKA GAS ELLER DYLIKT
KR20150104790A (en) Mani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