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961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961A
KR20160051961A KR1020140149370A KR20140149370A KR20160051961A KR 20160051961 A KR20160051961 A KR 20160051961A KR 1020140149370 A KR1020140149370 A KR 1020140149370A KR 20140149370 A KR20140149370 A KR 20140149370A KR 20160051961 A KR20160051961 A KR 2016005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leakage amount
air leakage
mode
startu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126B1 (en
Inventor
최금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26B1/en
Publication of KR2016005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85Engine crank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7/00Other fuel-injection control
    • F02D7/02Controlling fuel injection where fuel is injected by compressed air
    • F02D2007/025Controlling compressed air quantity or press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up control device of a vehicle, and a start-up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up control device comprises: an engine state checking unit checking an engine state when an engine is started or stopped; a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n amount of air leakage while the engine is stopped using a difference in angular acceleration of a crank shaft before the engine is stopped and when the engine is starte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start-up of the engine by determining a start-up mode of the engine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comparison by comparing the amount of air leakage while the engine is stopped with a predef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EV output enabl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start-up mode.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the start-up mode to enable the engine to be started by a motor when the engine is impossible to be started.

Description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 누설량에 따라 시동 모드를 가변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variably controlling a start mode according to an air leakage amount.

HEV는 운전자요구파워에 따라 EV에서 HEV(엔진시동)로 모드전환 되는 것을 판단.The HEV judges that the mode is switched from EV to HEV (engine start)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ed power.

모터에서 출력가능한 파워가 20kW라면 EV로 20kW까지 주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엔진 시동을 위해 일정량 만큼 뺀 만큼 EV로 주행가능(시동에 필요한 파워가 2kW라면 20 - 2 = 18kW까지 EV 주행 가능)If the power that can be output from the motor is 20kW, it can not travel up to 20kW in EV, but it can travel in EV by subtracting a certain amount in order to start the engine. (If the power required for starting is 2kW, it can drive EV up to 20 - 2 = 18kW)

기존에 엔진 자체가 시동기 역할을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음(공개번호 2002-0005589)A technique in which the engine itself serves as a starter is known (Publication No. 2002-0005589)

위의 자체시동 기술은 공기를 연료와 압축한 상태로 엔진을 정지하고, 시동이 필요할 경우에 스파크 플러그를 작동(이그니션)시켜 엔진을 시동 하는 기술.The above self-starting technology stops the engine with compressed air and fuel, and starts the engine by activating the spark plug (ignition) when starting is required.

하지만 HEV는 장시간 EV로 주행할 수 있고, 그 동안 시동을 위해 압축되어 있던 공기가 누설되면 시동에 필요한 폭발력을 얻을 수 없음.However, the HEV can run for a long time in the EV, and if the compressed air is leaked for the start, the explosive power required for starting can not be obtained.

한국공개특허 제2002-000558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5589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압축공기 상태에 따라 엔진 자체시동이 가능한지를 파악하여 엔진 자체시동 시 EV 주행가능파워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of a vehicle, which can determine whether the engine can start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ed air state of the engine and use the power capable of running the EV when the engine is star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의 압축공기 상태에 따라 엔진 자체시동이 가능한지를 파악하여 엔진 자체시동이 불가한 경우 시동 모드를 가변하여 모터에 의해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r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determine whether the engine can be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ed air state of the engine and change the start mode when the engine itself can not be started, And a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시의 엔진 상태를 확인하는 엔진상태 확인부, 상기 엔진의 정지 전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누설량 판단부, 및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과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stat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n engine state at the time of starting and stopping an engine, an angular accele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at the start of the engine, A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air leakage during a stoppage time of the engine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air leaking during a stoppage time of the engine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tart-up of the engin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adjusts the EV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rtup mode.

상기 누설량 판단부는, 엔진 시동 시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 시 감소된 각 가속도에 대응하는 연소 폭발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연소 폭발력으로부터 공기 누설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kage amount determining unit estimates the combustion explos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acceleration reduc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by using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and calculates the air leakage amount from the estimated combustion explosion force.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상기 누설량 판단부에 의해 계산된 공기 누설량으로부터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학습하는 누설량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that learns an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stop time of the engine from the air leakage amount calculated by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상기 누설량 판단부는, 상기 학습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 amount of air leakage corresponding to a stop time of the engine based on the learned amount of air leakage amount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시동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엔진 자체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engine is in an engine starting mode if the amount of air leaking does not exceed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engine to start the engine itself.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시동모드를 모터시동모드로 결정하여 모터에 의해 상기 엔진을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startup mode is a motor startup mode when the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and start the engine by the mo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시동 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 시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모터시동모드로 결정 시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으로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EV output enable power at a first value when the engine start mode is set to the engine start mode and to lower the EV output enable power to a second value when the engine start mode is selected .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은,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시의 엔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정지 전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과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상기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tarting o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n engine state at the time of starting and stopping the engine; comparing the angular acceleration difference of the crankshaft Determining an air leakage amount of the engine during a stoppage time, comparing an air leakage amount during a stoppage time of the engin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 startup mode of the engin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djusting the EV outputable power according to the startup mode, and controlling start-up of the engin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startup mode.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압축공기 상태에 따라 엔진 자체시동이 가능한지를 파악하여 엔진 자체시동 시 EV 주행가능파워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the engine can be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ed air state of the engine, and to maximize the use of the EV driveable power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itsel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압축공기 상태에 따라 엔진 자체시동이 불가한 경우에는 시동 모드를 가변하여 모터에 의해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gine can not be star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compressed air state of the engine, the starting mode is changed and the engine is started by the motor, thereby improving the starting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공기 누설량 판단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시동 모드 가변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leakage amount determining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starting mode variable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al flow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start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aning or overly reduced.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scrib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엔진 및 모터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엔진이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side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nal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by separate connecting means. Here,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engine and the motor of the vehicle,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gine or the motor.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 입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엔진상태 확인부(160), 누설량 판단부(170) 및 누설량 학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의 각 부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1,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 engine condition check unit 160, A determination unit 170, and a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180. Here, the control unit 110 may process the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respective units of the start-up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의 외부 또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구비된 키 버튼이 해당 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 또는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가 해당 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 셔틀,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형태의 입력 수단일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20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may be a key butt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or on an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 soft key implemented on the control device 100 or a display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applicable. The input unit 120 may be an input unit such as a mouse, a joystick, a jog shuttle, or a stylus pen.

출력부(130)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수행 결과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엔진 상태 정보, 시동 모드 정보, 공기 누설량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an operation result, and the like. As one example, the display may display the engin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startup mode information,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도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부(120)와 출력부(130)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when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is provided. That is, when a touch sensor such as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is provided on the display, the display operates as a touch screen, and the input unit 120 and the output unit 130 may be integrated.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3D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에 별도로 구현된 장치일 수 있으나,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장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ay be an apparatus separately implemented in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but may be an apparatus connected to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provided in the vehicle.

통신부(14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에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디스플레이 등과 통신 연결되어 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엔진, 모터 등과 연결되어 엔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시동 모드에 따른 시동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interfaces with electrical components and / or control units provid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instrument panel, a displa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y transmi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artup control device 100 to the display.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an engine, a motor, or the like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f the engine, and may transmit a star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startup mode.

여기서, 통신부(14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Flex-Ray communication.

또한,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r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Fi,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Etc.,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have.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and the like.

저장부(150)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50)는 시동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기준치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시동 모드의 동작 조건, 예를 들어, 엔진 시동 모드 및/또는 모터 시동 모드의 동작 조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시동 모드의 가변 제어에 따라 EV 주행가능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 및/또는 공기 누설량에 따라 시동 모드를 가변 제어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set value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100. [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predefined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startup mode, and may store operating conditions of each startup mode, for example, an engine startup mode and /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EV travelable power according to the variable control of the start mode. Also,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and learning the amount of air leakage, and / or an algorithm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startup mode according to the air leakage amount.

여기서,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엔진상태 확인부(160)는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시의 엔진 상태를 확인한다.The engine condition check unit 160 confirms the engine condition at the time of starting and stopping the engine.

일 예로서, 엔진상태 확인부(160)는 엔진의 정지 시작시간, 시동시간 등을 확인한다. 이때, 엔진상태 확인부(160)는 엔진의 정지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엔진상태 확인부(160)는 엔진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예를 들어, 엔진의 정지 전 상태에서의 각 가속도와 엔진 시동 후의 각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ngine condition check unit 160 checks the start time of the engine, the start tim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engine condition check unit 160 can check the stop time of the engine. Further, the engine condition check unit 160 can check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of the engine, for example, the angular acceleration in the pre-stop state of the engine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after starting the engine.

누설량 판단부(170)는 엔진의 정지 전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누설량 판단부(170)는 엔진 시동 시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 시 감소된 각 가속도에 대응하는 연소 폭발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연소 폭발력으로부터 공기 누설량을 계산하도록 한다.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e amount of air leakage during the stop time of the engine by using the angular accele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crankshaft and the engine before the engine is stopped. At this time,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estimates the combustion explos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acceleration reduc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by using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and calculates the air leakage amount from the estimated combustion explosion force.

여기서, 압축 공기의 누설량은 최초 시동의 폭발에 따른 엔진의 각 가속도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엔진의 정지 전 공기 흡입단계에서 대기압, 온도, 스로틀밸브 열림각 등을 알면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량에 해당하는 공연비만큼 연료를 분사하고, 이를 폭발시키면 흡입 공기량에 따른 폭발력을 구할 수 있다. 이때, 폭발력의 크기와 크랭크축의 각가속도는 일정한 관계를 가지므로(폭발력이 커지면 크랭크축의 각 가속도가 커진다.) 각가속도를 측정하면 폭발력을 역산할 수 있다. Here, the leakage amount of the compressed air can be calculated by the acceleration amount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explosion of the initial start. If the atmospheric pressure, temperature, throttle valve opening angle, etc. are known in the air intake step before stopping the engine,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cylinder can be known. Accordingly, when the fuel is injected by the air-fuel ratio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air to be inhaled and the fuel is exploded, the explosion for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take air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since the magnitude of the explosive force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have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when the explosive force is large,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becomes large.) Measurement of the angular acceleration can invert the explosive force.

따라서, 공기가 누설되면, 크랭크축의 각 가속도가 줄어드는 점을 이용하여 줄어든 각 가속도만큼의 폭발력을 역산하고, 이에 대한 공기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공기량과 처음 흡입되었던 공기량을 비교하면 공기 누설량을 계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air leaks, the explos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angular acceleration can be inversely calculated by using the point where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is reduced, and the air quantity for that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air leakage amount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amount of air with the amount of air that was first sucked.

누설량 학습부(180)는 누설량 판단부(170)에 의해 계산된 공기 누설량으로부터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누설량 학습부(180)에 의해 학습된 차량의 정지시간에 다른 공기 누설량은 이후 누설량 판단부(170)에서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180 learns the air leakage amount according to the engine stop time from the air leakage amount calculated by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and stores the learning result in the storage unit 150. [ Here, the amount of air leaka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stop time of the vehicle learned by the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180 can be used lat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air leakage during the engine stop time in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

다시 말해, 누설량 판단부(170)는 엔진의 시동 개시 요청이 있는 때, 미리 학습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 중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re is a request to start the engine,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acquires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that has been learned in advance from the storage unit 150, The amount of air leakage correspon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among the leakage amount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만일, 엔진의 정지시간에 해당하는 공기 누설량 정보가 학습되지 않았다면, 누설량 판단부(170)는 미리 학습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로부터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예측하도록 한다.If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gine stop time is not learned,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170 predicts the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engine stop time from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ed stop time of the engine .

제어부(110)는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과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air leakage amount during the engine stop tim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e engine start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이때, 제어부(110)는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시동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한다. 여기서, 엔진시동모드는 엔진 자체적으로 시동하는 모드를 말한다. At this time, if the air leakage amount does not exceed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startup mode as the engine startup mode. Here, the engine startup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engine itself starts up.

한편, 제어부(110)는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시동모드를 모터시동모드로 결정한다. 여기서, 모터시동모드는 엔진 자체 시동이 불가하여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을 수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공기 누설량이 크면 폭발력이 줄어든다. 만일, 줄어든 폭발력이 엔진을 회전시킬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면 엔진의 자체 시동은 불가능해 진다. 따라서 공기 누설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엔진의 자체 시동이 불가하므로 모터를 이용하여 시동을 해야만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e startup mode as the motor startup mode. Here, the motor startup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engine can not be started and the engine is started using the motor. Large air leakage reduces explosive power. If the reduced explosive power is not sufficient to rotate the engine, the engine can not be started. Therefore, if the air leaka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engine can not be started. Therefore, the engine must be started.

여기서, 제어부(110)는 시동모드에 따라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시동모드가 엔진시동모드로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 누설량이 작아 엔진의 자체 시동이 가능하다면, EV로 20kW의 운전자 요구 파워까지 주행 가능하게 되므로, EV 주행 가능 범위가 늘어나게 된다. 이 경우, 20kW까지 EV 주행이 가능하므로, 연비 향상이나 PE부품의 감소가 가능해 진다.Here, the controller 110 may adjust the EV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startup mode. As an example, if the startup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engine startup mode, the controller 110 may cause the EV output enable power to be maintained at the first value. That is, if the amount of air leakage is small and the engine can be started by itself, the vehicle can travel up to the driver's required power of 20 kW in the EV, so that the EV travelable range is increas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rive the EV up to 20 kW,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and reduce the number of PE parts.

다른 예로서, 시동모드가 모터시동모드로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으로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즉, 모터에서 출력 가능한 파워가 최대 20kW이고, 엔진의 시동에 필요한 파워가 2kW라면, 20kW에서 2kW를 뺀 18kW까지 EV로 주행하도록 설정한다. 즉, 운전자 요구 파워가 18kW를 넘어서면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한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startup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motor startup mode, the control unit 110 may adjust the EV output enable power to a second value. That is, if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motor is 20 kW, and the power required for starting the engine is 2 kW, then it is set to run from 20 kW to 18 kW minus 2 kW. That is, when the driver's requested power exceeds 18 kW, the engine is started using the motor.

제어부(110)는 시동모드가 결정되고, EV 출력 가능 파워 조절이 완료되면, 설정된 조건에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시동모드가 엔진시동모드로 결정되면 엔진 또는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시동모드가 모터시동모드로 결정되면 모터 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a startup mode, and when the EV output power adjustment is complete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engine under the set conditions. When the startup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engine startup mode, the controller 110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ngine or the engine. Meanwhile, when the startup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motor startup mode, the controller 110 outputs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otor or motor.

따라서, 엔진시동모드 시, 엔진은 제1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시동을 개시하고, 모터 시동모드 시 모터는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시동을 개시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engine starting mode, the engine starts the starting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in the motor starting mode, the motor starts the starting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processor o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can be operated in a form included in another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or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공기 누설량 판단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leakage amount determining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학습한 학습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도면부호 '210'은 엔진의 정지시간(분)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30'은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cc)을 나타낸다.FIG. 2 shows a learning table in which the amount of air leakage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is learned. In FIG. 2, reference numeral 210 designates the engine stop time (minute), and reference numeral 230 designates the air leakage amount cc corresponding to the engine stop tim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엔진은 10분 동안 정지 시 100cc의 압축 공기가 누설되며, 30분 동안 정지 시 340cc의 압축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엔진은 45분 동안 정지 시 510cc의 압축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engine is stopped for 10 minutes, 100 cc of compressed air leaks, and 340 cc of compressed air leaks when the engine is stopped for 30 minute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510cc compressed air leaks when the engine is stopped for 45 minutes.

이와 같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의 시동 요청 시에 계산된 공기 누설량 정보를 차량의 정지시간을 기준으로 학습하여 테이블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기 위해 별도의 계산 및/또는 역계산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이후 학습 테이블 상에서 엔진의 정지시간을 확인하여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빠르고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can learn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calculated at the start request of the engine on the basis of the stop time of the vehicle to form a table. In this case, the start-up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an check the stop time of the engine on the subsequent learning table to quickly and easily determine the corresponding air leakage amount without performing another calculation and / or inverse calculation procedure to determine the air leakage amount .

일 예로서, 엔진의 정지시간부터 시동 개시 요청이 있기까지의 시간이 30분인 경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학습 테이블의 도면부호 '250'으로부터 차량의 정지시간, 즉, 30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이 340cc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시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ime from the stopping time of the engine to the start requesting time is 30 minutes,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starts the stopping time of the vehicle from the reference numeral 250 of the learning table shown in Fig. 2, Minute,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leakage amount is 340 cc, and the startup mod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is.

한편, 차량의 정지시간이 5분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학습 테이블에서는 5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확인할 수 없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학습 테이블의 '10분-100cc' 정보로부터 '5분-50cc'라는 정보를 예측하여, 그에 대응하는 시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pping time of the vehicle is five minutes, the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five minutes can not be confirmed in the learning table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can predict the information of '5 minutes-50cc' from the information of '10 minutes -100cc' of the learning table and determine the startup mode corresponding thereto.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를 평균하여 5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p time of each engine may be averaged to predict the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five minut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시동 모드 가변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starting mode variable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면부호 '310'은 모터시동모드의 동작 조건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330'은 엔진시동모드의 동작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10 denotes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motor start mode, and reference numeral 330 denotes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engine start mode.

먼저, 모터시동모드를 살펴보면, 도면부호 '310'에서와 같이, 공기 누설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시동 모드를 모터에 의해 엔진 시동을 수행하는 모터시동모드로 결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 예를 들어, 18kW로 하향 조절하여 운전자 요구 파워가 18kW를 넘어서면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한다.  First, as for the motor starting mode, when the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starting mode to be the motor starting mode for performing the engine starting by the motor. In this case,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adjusts the EV output power to a second value, for example, 18 kW, and when the driver's requested power exceeds 18 kW, the engine is started using the motor.

한편, 엔진시동모드를 살펴보면, 도면부호 '330'에서와 같이, 공기 누설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시동 모드를 엔진이 자체 시동을 수행하는 엔진시동모드로 결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 예를 들어, 20kW로 하향 조절하여 차량의 20KW까지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If the air leakage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330,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startup mode to be the engine startup mode in which the engine performs its own startup. In this case,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adjusts the EV outputable power to a first value, for example, 20 kW, so that the vehicle can travel to 20 KW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al flow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start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의 정지 상태가 되고(S110), 이후 시동 요구가 발생하면(S120), 'S110' 과정의 시작시각으로부터 'S120'과정의 시작시각까지의 시간을 통해 엔진의 정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tart control apparatus of the vehicle enters the stop state of the engine (S110). When a start request is generated thereafter (S120), from the start time of the step S110 to the start time of the step S120 The engine stop tim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ime of the engine.

이때,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여(S130), 'S130' 과정의 판단 결과, 공기 누설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S140),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시동 모드를 모터시동모드로 전환하고(S150),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S160). 물론 'S160' 과정은 EV 출력 가능 파워가 이미 제1 값으로 설정된 상태라면 생략 가능하다.If the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1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0, the startup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artup mode of the vehicle is the startup mode Is switched to the motor starting mode (S150), and the EV output enable power is decreased to the second value (S160). Of course, the 'S160' process can be omitted if the EV output power is already set to the first value.

이후,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한다.(S170).Thereafter, the start-up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starts the engine using the motor (S170).

한편, 'S130' 과정의 판단 결과, 공기 누설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S140),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시동 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전환하고(S180),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으로 증가시키도록 한다(S185). 물론 'S185' 과정은 EV 출력 가능 파워가 이미 제1 값으로 설정된 상태라면 생략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air leakage amount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S140),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switches the startup mode to the engine startup mode (S180) (S185). Of course, the 'S185' procedure can be omitted if the EV output power is already set to the first value.

이후,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 자체적으로 시동하도록 한다.(S190).Thereafter, the start-up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starts the engine itself (S190).

여기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S130' 과정에서의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를 학습하여 저장하도록 하며(S200), 이후 'S130' 과정을 재수행하는 때 이용될 수 있다.
Here,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learns and stores the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in the step 'S130' (S200), and can be used when the 'S130' step is executed again.

상기의 과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e above processes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software modules executed by a processor, or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ftware modules may reside in storage media, such as memory and / or storage,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s, removable disks, CD-ROMs.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which is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nd writing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시동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출력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엔진상태 확인부 170: 누설량 판단부
180: 누설량 학습부
100: Start control device 110:
120: input unit 130: output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160: engine condition checking unit 170: leak amount judging unit
180: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Claims (13)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시의 엔진 상태를 확인하는 엔진상태 확인부;
상기 엔진의 정지 전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누설량 판단부; 및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과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An engine stat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n engine state at the start and stop of the engine;
A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air leakage during a stoppage time of the engine by using an angular accele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crankshaft and the crankshaft before the engine is stopped and when the engine is started; And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amount of air leaking during the engine stop tim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for determining a starting mode of the engin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and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engine,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EV outputable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rtup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량 판단부는,
엔진 시동 시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 시 감소된 각 가속도에 대응하는 연소 폭발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연소 폭발력으로부터 공기 누설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Estimating a combustion explos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acceleration reduc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by using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and calculating the air leakage amount from the estimated combustion explosion for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상기 누설량 판단부에 의해 계산된 공기 누설량으로부터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학습하는 누설량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rt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eakage amount learning unit for learning an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stop time of the engine from the air leakage amount calculated by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설량 판단부는,
상기 학습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eakage amou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nd determines an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stop time of the engine based on the learned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pping time of the eng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시동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하여, 상기 엔진 자체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determines that the engine is in an engine starting mode if the air leakage amount does not exceed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so as to start the engine itsel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시동모드를 모터시동모드로 결정하여 모터에 의해 상기 엔진을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tart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motor start mode and the engine is started by the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시동 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 시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모터시동모드로 결정 시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으로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EV outputable power at a first value when the engine startup mode is set to the engine startup mode and adjusts the EV outputable power to a second value when the engine startup mode is determined, Of the starting control device.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시의 엔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정지 전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의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 동안의 공기 누설량과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동 모드에 따라 상기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Confirming an engine state at the start and stop of the engine;
Determining an amount of air leakage during a stoppage time of the engine using the difference in angular acceleration between the crankshaft and the crankshaft at the start of the engine and at the start of the engine;
Comparing the air leakage amount during the engine stop time with a predef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 start mode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djusting an EV outputable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rtup mode; And
Controlling the start-up of the engin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start-up mode
And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vehicl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엔진 시동 시 크랭크 축의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 시 감소된 각 가속도에 대응하는 연소 폭발력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연소 폭발력으로부터 공기 누설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ir leakage amount comprises:
Estimating a combustion explos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acceleration reduced at the start of the engine by using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rankshaft at the start of the engine; And
And calculating an air leakage amount from the estimated combustion explosive for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누설량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계산된 공기 누설량으로부터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을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earning the air leakage amount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from the air leakage amount calculated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ir leakage amou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된 엔진의 정지시간에 따른 공기 누설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엔진의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공기 누설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ir leakage amount comprises:
And the air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is determined based on the learned air leakag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p time of the engin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시동모드를 엔진시동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시동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1 값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rtup mode of the engine includes determining the startup mode to be the engine startup mode if the determined air leakage amount does not exceed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Wherein the step of regulating the EV output power includes maintaining the EV output enable power at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the engine startup mod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시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공기 누설량이 상기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시동모드를 모터시동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시동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EV 출력 가능 파워를 제2 값으로 하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rtup mode of the engine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startup mode as a motor startup mode when the determined air leakage amount exceeds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Wherein the step of regulating the EV output power includes adjusting the EV output enable power to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or startup mode.
KR1020140149370A 2014-10-30 2014-10-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KR102042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70A KR102042126B1 (en) 2014-10-30 2014-10-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70A KR102042126B1 (en) 2014-10-30 2014-10-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61A true KR20160051961A (en) 2016-05-12
KR102042126B1 KR102042126B1 (en) 2019-11-08

Family

ID=5602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370A KR102042126B1 (en) 2014-10-30 2014-10-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2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605A (en) * 1996-02-21 1997-09-12 하나와 기이찌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induced by the wheel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KR20020005589A (en) 1999-12-17 2002-01-17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proces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314341A (en) * 2002-02-22 2003-11-06 Toyota Motor Corp Driving device
JP2004346834A (en) * 2003-05-22 2004-12-09 Honda Motor Co Ltd Engine start controlling device
JP2013144534A (en) * 2011-12-16 2013-07-25 Nippon Soken Inc Start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252725A (en) * 2012-06-05 2013-12-19 Nissan Motor Co Ltd Engine start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605A (en) * 1996-02-21 1997-09-12 하나와 기이찌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induced by the wheel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KR20020005589A (en) 1999-12-17 2002-01-17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proces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314341A (en) * 2002-02-22 2003-11-06 Toyota Motor Corp Driving device
JP2004346834A (en) * 2003-05-22 2004-12-09 Honda Motor Co Ltd Engine start controlling device
JP2013144534A (en) * 2011-12-16 2013-07-25 Nippon Soken Inc Start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252725A (en) * 2012-06-05 2013-12-19 Nissan Motor Co Ltd Engine start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126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169B1 (en)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of vehicle
US10696287B2 (en) Initiating preparations for engine autostop prior to vehicle stop
KR102426367B1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US11193466B2 (en) Remote startup system, terminal, vehicle, and remote startup method
US20130151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of engine
US9890754B2 (e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US9914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ine friction torque of hybrid vehicle
US980356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200031450A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controlling of vehicle based on virtual machine
KR1023228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cooling, vehicle system
KR20160049293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emergency ignition method thereof
JP4306616B2 (en) Misfire det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ybri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isfire detection method
JP2019064531A (en) Startup detection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800672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of hybrid vehicle
KR201600519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vehicle
CN104832297A (en) Double-fuel switching control device, system, method and vehicle
US20150308331A1 (en) Engine control method for cold start stabilization
KR101519797B1 (en) Robust control method for engine clutch of hybrid electric vehicle
KR1025068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ngine
KR201900673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vehicle
US20160121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KR101866054B1 (en) Method and Vehicle for Engine Friction Loss Control by Learning Loss Torque
KR201800672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hybrid vehicle
CN104282186B (en) The two-stage speed changer clutch learning system and its method of hybrid vehicle
JP2021105371A (en) Electronic contro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