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539A -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539A
KR20160051539A KR1020150075750A KR20150075750A KR20160051539A KR 20160051539 A KR20160051539 A KR 20160051539A KR 1020150075750 A KR1020150075750 A KR 1020150075750A KR 20150075750 A KR20150075750 A KR 20150075750A KR 20160051539 A KR20160051539 A KR 2016005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data
convert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찬규
Original Assignee
함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찬규 filed Critical 함찬규
Publication of KR2016005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으로 다니면서 모바일기기를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터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으로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DC/DC 컨버터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한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는
배터리;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부하기기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모듈;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데이터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AC/DC converter Charger builtin battery}
본 발명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해 출력포트에 연결된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키는 AC/DC 컨버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고, 절환부를 통해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차량의 스타트 전압으로 승압시켜 축전지가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분야와 관련된 기술의 발전과 음향 및 영상, 정보통신 매체의 다양한 보급으로 인하여 노트북, 휴대전화, PMP, MP3플레이어, PDA,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휴대용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 및 영화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는 휴대중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배터리는 일정시간 사용하여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보조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실내 벽면 등의 설치된 콘센트에 별도의 충전기를 연결시켜 충전시킨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내가 아닌 외부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가 어려워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충전기능을 가지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간단히 충전할 수 있도록 AC/DC 컨버터 충전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10-2007-0109552 "휴대용 충전장치"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AC/DC 컨버터 충전기는 단순히 내장된 배터리를 사전에 충전해 놓았다가 모바일기기의 전원이 부족한 상황이 되면 모바일기기에 연결하여 충전기의 배터리의 전원을 모바일기기에 공급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서 그 활용도가 낮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AC/DC 컨버터 충전기가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외부 전원으로 출력포트에 연결된 부하(즉,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키면서 내장된 배터리도 함께 충전시켜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고,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일시적으로 차량의 시동에 필요한 스타트 전압으로 승압시켜서 축전지가 방전된 차량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는
입력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강압하는 트랜스;
상기 트랜스의 출력전원을 직류화하여 출력하는 직류부;
상기 직류부의 출력전원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방전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부스트하여 방전하는 부스트부;
상기 직류부 또는 부스트부의 출력 직류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스트부의 출력 전압을 차량의 스타트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모바일기기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일시적으로 스타트 전압 이상이 되도록 하여 방전된 차량을 시동 거는데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의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LED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는
입력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0)와,
입력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인버터부(30)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강압하는 트랜스(T1)와,
상기 트랜스의 출력전원을 직류화하여 출력하는 직류부(40)와,
상기 직류부의 출력전원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방전부(50)와,
상기 배터리(B)에 충전된 전원을 부스트하여 방전하는 부스트부(60)와,
상기 직류부 또는 부스트부의 출력 직류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출력포트(70)와,
상기 부스트부의 출력 전압을 차량의 스타트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절환부(80)와,
상기 직류뷰의 출력전원을 감지하여 피드백시키는 포토커플러(PC)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피드백신호를 받아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직류부에 정전원(전전압/정전류)이 출력되도록 하는 PWM 컨트롤러(90)와,
상기 배터리의 방전과 상기 부스트부의 승압을 제어하는 마이컴(100)과,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SW)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리튬폴리머 2차전지로서, 3.7V, 5000mAh 사양을 갖고 복수개(4개에서 6개)를 사용한다.
본 발명 입력받는 외부 전원으로 220V의 상용 교류전원 이외에 110V의 교류전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외부 입력전원은 AC free Voltage 이다. 그리고 출력전원은 약, DC 5V이고 차량의 시동시에는 DC 10V~28V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10)는 과전류가 인가시 단선되는 퓨즈(F1)와, 과전압이 인가시 차단하는 바리스터(Z1)와, 입력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LF1)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부(20)는 입력 교류전원을 전파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와, 전파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는 캐패시터(C7)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부(30)는 상기 정류부(20)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트랜스(T1)의 1차측에 펄스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인버터부(30)는 상기 PWM 컨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정류부(20)의 출력전원이 구형파(펄스)가 되어 트랜스(T1)의 1차측에 안정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캐패시터(C8) 저항(R13, R14) 및 다이오드(D3)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T1)는 상기 인버터부(30)의 스위칭에 의해 1차측으로 입력되는 펄스전원을 강압하여 2차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직류부(40)는 상기 트랜스(T1)의 출력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만든다.
상기 직류부(40)는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D5)와, 평활하는 캐패시터(C14, C16)와, 평활된 전원을 다시 한번 정류하며 역전압의 유입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8, D9)를 포함한다.
상기 충방전부(50)는 IC칩(U3)과 그 주변소자(R30, R42, C13 등)와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상기 IC칩(U3) 상기 직류부(40)의 출력전원을 받아 배터리(B)로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포트(70)에 모바일기기(부하)가 연결된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방전하여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킨다. 이때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는 방전하지 않고 외부 전원으로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킨다. 배터리는 상기 IC칩(U3)이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면 방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IC칩(U3)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과충전이 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배터리가 과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다수의 LED(LD1, LD2, LD3)를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부스트(60)는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원을 승압시켜 모바일기기로 공급한다.
상기 부스트(60)는 IC칩(U4)과 주변소자(R39, R40, D6, C18 등)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포트(70)는 상기 부스트(60) 또는 상기 직류부(40)에서 출력하는 전원을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출력포트(70)는 현재 모바일기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USB단자나 마이크로단자가 접속되는 USB포트나 마이크로포트를 사용한다.
상기 PWM컨트롤러(80)는 상기 직류부(40)의 출력전원이 정전원(정전압, 정전류)이 되도록 상기 인버터부(30)의트랜지스터(Q1)를 제어한다.
상기 PWM컨트롤러(80)는 상기 직류부(40)의 출력전원을 감지하여 피드백시키는 포토커플러(OP1, OP1B1)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피드백신호를 받아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IC칩(IC1)과 그 주변소자(D1, R1, C5 등)를 포함한다.
상기 절환부(미도시)는 상기 부스트(60)에서 승압하여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전압이 차량을 시동하기에 충분한 스타트 전압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부스트(60)는 상기 절환부의 신호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키기 적합한 약 5V의 전압이나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약 10V~28V의 스타트 전압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B), 필터부(10), 인버터부(30) 등을 내장하여 보호하는 하우징(9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90)은 밀폐수단(9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2를 기준으로 제1커버(91)의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제2커버(92)와 결합되는 부분)을 전방으로 설정하고,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 하, 좌, 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도2에서 하우징(90)과 관련한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므로 권리범위를 한정짓는 요소로 작용하여서는 안 된다.
먼저 하우징(90)은 제1결합부(911) 및 제2결합부(912)를 갖는 제1커버(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91)는 전방(또는 후방)으로 개구부를 갖고, 상부가 평평한 아치형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공간부를 갖고, 이 공간부에 상기 배터리(B), DC/DC 컨버터(20), 데이터통신모듈(30) 등이 내장된다.
제1커버(91)의 상부가 평평한 아치형 구조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결합부(911)는 제2커버(92)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어 제2커버(92)의 결합돌기(921)와 결합되는데,
도3은 이러한 제1결합부(911)가 홈 형태로 구비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제2결합부(912)는 제1커버(91)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제2결합부(912)는 제2커버(92)가 제1커버(91)의 개구부를 덮은 후, 그 상태의 유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결합부(912)는 고정돌기(912a)와 체결홈(912b)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하우징(9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921)를 갖는 제2커버(9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기한 바와 같이 제2커버(92)의 결합돌기(921)는 제1커버(91)의 제1결합부(911)와 결합하여 제1 및 제2커버(91)(92)의 결합 상태를 지지한다.
또한 결합돌기(921)는 제1 및 제2결합돌기(921a)(921b)로 구성되는데, 제1결합돌기(921a)는 제2결합돌기(921b)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하기할 밀폐수단(93)과 관련한 특성으로 아래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하우징(90)은 제1결합부(911)와 결합돌기(921)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행창부재를 갖는 밀폐수단(9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팽창부재(930)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로, 고체 또는 겔(Gel)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이 진행되는 도중 PCB의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부피가 팽창하여 제1결합부(911) 내부를 밀폐시키고, 이 후 충전이 끝나 온도가 하강하면 부피가 축소되어 제1결합부(911)의 밀폐를 해제한다.(도3 상부 쇄선 원 영역 참조.)
한편, '제1결합돌기(921a)가 제2결합돌기(921b)보다 짧은 특성' 및 '밀폐수단(93)의 내부에 팽창부재(930)가 구비된 특성'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인데, 이러한 특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충전을 하지 않는 일반 상태에서 팽창부재(930)는 수축해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제1결합부(911) 내측에 빈 공간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는 제1결합부(911)와 결합돌기(921)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쉽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게 제1커버(91)와 제2커버(92)를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이 시작되면 내부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발열된 하우징(90)(특히 제1커버(91) 내측 수용공간) 내측 공기는 팽창부재(930)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된 팽창부재(930)의 부피는 팽창하고, 밀폐수단(93)은 제1결합부(911) 내측 공간을 가득 채워 제1결합부(911) 내부를 완전 밀폐시킨다. (도3 상부 우측 쇄선 원 영역 참조)
이 때, '제1결합돌기(921a)가 제2결합돌기(921b)보다 짧은 특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인하는데,
제1결합돌기(921a)가 제2결합돌기(921b)에 비해 짧기 때문에, 제1결합부(911) 내측 공간 중 제1결합돌기(921a)가 구비된 외측은 제2결합돌기(921b)가 구비된 내측에 비해 더 많은 유격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 밀폐가 이루어진 가열상태에서도 제2커버(92)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제2커버(92)의 분리가 불가능하다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고장으로 인해 본 포터블 충전장치 내부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어느 정도 냉각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결합돌기(921a)가 제2결합돌기(921b)보다 짧은 특성'충전 중 즉각적인 하우징(9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 및 수리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팽창부재(930)와 관련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하우징(90)은 결합 유지력을 위해 제2커버(92)에 연결된 체결수단(9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체결수단(94)은 제2커버(92)에 연결되고, 제1커버(91)의 좌우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912)에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수단(94)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체결수단(94)은 제2결합부(912)를 이루는 고정돌기(912a)가 삽입되는 고정홈(9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체결수단(94)은 제1커버(91)의 제2결합부(912)를 이루는 체결홈(912b)에 삽입되는 체결후크(94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3(하부 쇄선 원 영역)에서는 체결후크(943)가 고정홈(941)보다 단부 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3(하부 쇄선 원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후크(943)는 단부에 라운드부(94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라운드부(943a)와 이어지면서 단부의 반대 측에 형성된 걸림부(94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결합부(912)를 이루는 체결홈(912b)은 걸림부(943b)와 결합하는 걸림홈(91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라운드부(943a)는 체결홈(912b) 내에 체결후크(943)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해제를 위해 체결후크(943)를 체결홈(912b) 외부로 분리할 때, 라운드부(943a)를 타고 보다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943b)와 걸림홈(912c)의 결합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원치 않는 '체결홈(912b)과 체결후크(943)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결합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아울러 체결후크(943)는 걸림부(943b)와 걸림홈(912c)의 억지 끼움 결합을 위해 약간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커버(91)와 제2커버(92)의 결합은
1차적으로 '제1결합부(911) 및 결합돌기(921)의 결합'과 함께 팽창부재(930)를 갖는 밀폐부재의 가압으로 인한 결합 유지가 이루어지고,
2차적으로 '제2결합부(912) 및 체결수단(94)의 결합', 특히 고정돌기(912a)와 고정홈(941), 체결홈(912b)과 체결후크(943), 걸림홈(912c)과 걸림부(943b) 등에 의해 결합 유지가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가 가능하며, 밀폐성까지 보장되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음료를 쏟거나 하는 등의 방수사고에 대해서도 걱정이 없다.
도4에는 상기 하우징(90)의 외면에 구비되어서 현재 배터리(B)가 충전중인지, 방전중인지 등을 색상이나 점멸 여부로 표시하는 LED(2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LED(200)의 휘도 및 광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광부재(251)로 덮힌다.
상기 집광부재(25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 형상으로, 엘이디(200)를 덮고, 상기 집광부재(251)의 중앙에는 상기 엘이디(200)의 빛을 모으기 위한 굴곡홈(251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엘이디(200)가 상기 굴곡홈(251B)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엘이디(200)의 빛이 집광부재(251)를 통해 발산하는 경우 굴곡홈(251B)의 내면에 굴절됨에 따라 휘도를 향상시켜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집광부재(251)를 이용하는 경우, 환형의 Yellow Ring 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집광부재(251)의 하단 및 외면 하단에는 외측돌기부(251A)가 구비되어, 엘이디(200)의 빛을 난반사 함에 따라 Yellow Ring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굴곡홈(251B)에도 상기 외측돌기부(251A)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집광부재(251)의 하부에는 결합돌기(251C)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기(251C)는 기둥부(251Ca)와 상기 기둥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251Cb)로 이루어져, PCB(2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집광부재(251)는 PCB(220)과 공랭 특성 향상을 위하여 이격되어 공랭부(251D)를 형성하여 PCB(2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 과부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합돌기(251C)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블럭도와 회도로를 갖는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DC/DC 컨버터 11 : 전원입력부
13 : 충전부 15 : 전원출력부
20 : 데이터통신모듈 21 :데이터입력부
22 : 메모리 23 : 절체부
24 : 허브 25, 26 : 데이터출력부
30 : 마이컴

Claims (3)

  1. 배터리;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부하기기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모듈;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데이터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모듈은 상기 메모리에의 데이터 입출력 방식을 USB방식 또는 OTG방식으로 설정하는 절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충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태양광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원을 충전부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쏠라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KR1020150075750A 2014-10-30 2015-05-29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 KR20160051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8893 2014-10-30
KR1020140148893 2014-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539A true KR20160051539A (ko) 2016-05-11

Family

ID=5602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50A KR20160051539A (ko) 2014-10-30 2015-05-29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5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05B1 (ko) * 2016-08-30 2017-04-11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유무선충전기
KR101849325B1 (ko) * 2017-08-30 2018-04-1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05B1 (ko) * 2016-08-30 2017-04-11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유무선충전기
KR101849325B1 (ko) * 2017-08-30 2018-04-1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055B1 (en) Hub that can supply power actively
RU2323514C2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ый силово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TWI579678B (zh) 電源適配器與其控制方法
JP2007215320A (ja) 多機能旅行用充電器
US20160043585A1 (en) Rapid Charging Mobile Electronic Device Battery Case
US20100026248A1 (en) Rapid Transfer of Stored Engery
TW201427227A (zh) 可攜式無線充電器
US20150357834A1 (en) Smart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19472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10886756B2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dual batteries
JP5960280B2 (ja) 充電器
US7808548B1 (en) Power management for digital devices
KR20160051539A (ko) 배터리 내장형 ac/dc 컨버터 충전기
CN102891512A (zh) 移动电源的控制芯片及其工作控制方法
CN202906508U (zh) 移动电源的控制芯片
CN206977141U (zh) 一种多功能超级电容汽车应急启动电源
TWI600252B (zh) 行動充放電裝置
CN103746423A (zh) 新型移动电源及其制备方法
KR101633275B1 (ko)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CN20393305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移动电源
TWI554000B (zh) 行動充放電裝置
KR101143522B1 (ko) 배터리 급속 충전기
CN201054506Y (zh) 一种能够在接与不接外部电源时给手持设备供电或充电的电子配件
CN101789621A (zh) 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