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495A -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495A
KR20160051495A KR1020140178042A KR20140178042A KR20160051495A KR 20160051495 A KR20160051495 A KR 20160051495A KR 1020140178042 A KR1020140178042 A KR 1020140178042A KR 20140178042 A KR20140178042 A KR 20140178042A KR 20160051495 A KR20160051495 A KR 2016005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information
user
authent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ublication of KR2016005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with encription of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검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certificationg of entry and exit using a sound wave,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출입 인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파를 이용해 사용자의 입출입에 따른 인증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방범 또는 보안 등을 위하여 특정 장소에 대해 외부인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 인증 시스템은 기업의 건물은 물론 아파트의 공통현관, 개별현관 및 건물의 주차장 등에 출입하는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사람이 출입하는 게이트에서는 출입 인증이 완료되었을 때 현관문에 설치된 도어잠금장치를 직접 구동하여 문을 개폐하도록 작동되며, 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출입이 인증된 차량인 경우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차량 자동 차단기를 개폐하도록 구동한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소위 휴대폰이라 불러지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사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입을 위한 의사표시를 하지 않으면 출입인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출입자가 게이트에 근접하는 행위만으로 출입을 인증할 수 없어 일일이 출입 인증 요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다중이용시설(예를 들면, 아파트 현관 출입문, 주차장의 게이트, 관광 컨벤션 센터 출입 등)에 적용하기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관광 컨벤션 산업은 산업발전방향 제시, 기술발전, 산업정보 교류에도 크게 기여하여 교역확대와 산업발전을 병행 촉진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와는 달리 참관객들이 회의 및 컨벤션 등의 행사 참석에만 그치지 않고, 소규모 그룹을 지어 주변지역의 유명 관광명소 탐방 등 행사 이외의 사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관광 컨벤션 참관객들이 주요 지점 및 추천 명소 등을 방문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를 지역 상권에서 사용하거나 기념품을 지급하는 등의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와 같은 상호 Win-Win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광 컨벤션 센터 출입 등의 사용자의 출입이 빈번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출입 인증 및 이에 따른 추가적인 정보 제공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파를 이용하여 컨벤션 센터 등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출입을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파(저주파 영역)를 수신하여 특정 지역으로 진입 시, 출입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검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삽입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결과 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전자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은, 음파 신호를 방송하는 음파 발생기; 상기 음파 발생기에서 방송되는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음파 발생기에 대응하는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음파 발생기는,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상기 음파 신호에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방송한다.
상기 음파 발생기는, 상기 음파 신호를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하여 방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이전에 기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은,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삽입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은,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증 응답신호 수신 후에,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은, 상기 인증 응답신호 수신 후에,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출입 인증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광 컨벤션 참관객 등의 대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회의 및 행사 등의 체크인에서부터 행사정보, 숙박, 음식, 쇼핑, 교통, 관광 등 지역에 체류하는 동안 필요한 많은 지역 여행정보들을 관광 컨벤션 정보시스템으로 일원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음파 발생기에서 방송하는 음파 신호의 코딩 및 변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상에 장착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정보 추출부에서 수신된 음파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출입 인증에 따른 관련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송을 위한 보안 관련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7은 위치 기반 방문 히스토리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휴대용 단말기(terminal)는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의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현재 관광 컨벤션 참가자들을 위한 통합 정보시스템은 없으며, 컨벤션 전시회장에서 사용되는 고객인증 방식으로 바코드나 RFID 등 고객이 직접적이고 근접에서 참여 가능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바코드 시스템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등록대에서 출입증을 발급받은 참관객이 바코드 단말기에 출입증을 근접시키면, 바코드 단말기가 방문 참관객의 정보를 저장하여 참관객의 정보를 간편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RFID를 이용, 고객정보 등록용으로 RFID 카드가 사용되어 참관객이 관심 있는 부스에서 발급받은 RFID 카드를 Reader에 근접시키면 카드에 내장된 고객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한, 방문 고객에 대한 동선 및 소비행위 등을 분석한 내용을 담은 카드를 방문 고객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고객들은 각종 업체 할인정보, GPS, 주변 추천상점 검색, 콜 택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관광 컨벤션 센터 등의 대중이용시설을 방문하는 사용자가 현장에 방문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파 측위기술을 사용한다. 음파 통신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지되어 사용자 출입 인증을 처리하게 된다. 행사 참여 Check-in관리를 통해 자연스럽게 참관객들에게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유도하고, 지역관광에 관련된 정보를 일원화하여 인센티브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지역 관광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음파를 이용한 위치측위 기술을 통해 참관객들이 제휴 업체 및 주요 방문 포인트의 방문여부를 확실하게 체크하여 차별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과제 기술은 차별화된 LBS 기술로 인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용이하고 참관객 편의 증대와 지역관광 홍보의 두 가지 이점을 동시에 겨냥하여 상호 Win-Win하는 비즈니스 모델 정립이 가능하다. 또한, 참관객이 자신의 방문 히스토리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이를 저장공유할 수 있는 SNS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역 관광자원의 인지도 제고 및 재방문 유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로서, 음파 발생기(100), 휴대용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및 서버(130)로 구성된다.
음파 발생기(100)는 음파 신호를 방송(broadcasting)한다. 음파 발생기(100)는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음파 신호에 음파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방송한다. 또한, 음파 발생기(100)는 음파 신호를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하여 방송한다.
음파 발생기(100)는 근거리영역에 저주파 대역의 음파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방송한다. 이를 위해, 음파 발생기(100)는 음파신호에 필요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부(미도시)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부는 음파 발생기를 식별하기 위한 음파 식별정보를 음파 신호에 매핑하고, 음파 식별정보가 매핑된 음파 신호를 전송을 위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음파 식별정보는 각각의 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로서 미리 음파 발생기 내에 설정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데이터 전송의 에러를 복원할 수 있도록 음파 신호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의 암호화 코딩을 수행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도 2는 음파 발생기에서 방송하는 음파 신호의 코딩 및 변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부는 음파 신호의 신호 등급을 균일한 주기로 표본화한 다음 디지털(이진)코드로 양자화 처리하고, 펄스 부호 변조(Pulse-code modulation, 줄여서 PCM)을 사용하여 방송하도록 한다.
송신부는 음파 식별정보가 매핑된 저주파 음파신호를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방송한다. 이를 위해, 송신부는 음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음파 발생기(100)에서 방송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파 신호로부터 음파 발생기(100)에 대응하는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110)는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10)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음파를 이용한 출입인증장치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네트워크(120)는 휴대용 단말기(110)과 서버(130) 간의 통신을 위한 망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 (telephone network) 등을 포함하며,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음파 식별정보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해,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서버(130)는 사용자로부터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이전에 미리 수신하여 등록해 놓는다. 또한, 서버(130)는 각 음파 발생기 별의 고유한 음파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서버(130)는 각 음파 식별정보와 매핑되는 음파 발생기의 위치정보, 서비스 안내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고 있다.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기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인증정보와 현재 수신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하면, 서버(130)는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응답신호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서버(130)는 인증 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안내정보는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도 서비스(예를 들어, 구글 지도 등)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지도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인증 응답신호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 상에 장착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러한,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전자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110)는 근거리의 음파 발생기(100)에서 방송된 저주파수의 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파 신호로부터 음파 발생기(100)에 대응하는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출입 인증장치(110)는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근거리는 음파발생기(100)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왜곡 없이 도달할 수 있는 일정한 거리 내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음파 수신부(200), 정보 추출부(210), 정보 저장부(220), 제어부(230), 통신 인터페이스부(240), 출력부(250), 위치 감지부(260) 등으로 구성된다.
음파 수신부(200)는 음파 발생기(100)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음파 수신부(200)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다. 오디오 모듈은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마이크, 리시버, 이어폰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10)는 음파 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파 신호에 포함된 음파 발생기(100)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음파 수신부(200)가 수신하는 음파 신호는 음파 발생기(100)에서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삽입된 음파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 추출부(210)는 음파 신호에 포함된 의사 코드(Pseudo Code)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정보 추출부(210)는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도 4는 정보 추출부(210)에서 수신하는 음파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예를 들어, 정보 추출부(210)는 수신된 음파의 2K 샘플링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한다. 정보 추출부(210)는 Validation Key값 체크와 CRC를 이용하여 잡음 제거하고, 비가청 대역의 잡음 제거를 위해 Noise-filtering-SNR(Signal-to-noise ratio)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정보 추출부(210)는 정확한 신호 수신을 위해 Decision line을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CRC, SNR, beacon 신호를 통해 Noise-filtering을 수행한다. 정보 추출부(210)는 도플러 효과로 왜곡되는 신호도 알고리즘을 통해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여 수신하고, 신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N번을 반복하여 데이터를 측위한다.
정보 저장부(220)는 정보 추출부(210)에서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정보 저장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10)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정보는 서버(130)와 사이에서 출입 인증을 위해 이전에 미리 설정해 놓은 정보로서 서버(130)에도 동일한 사용자 인증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정보 추출부(210)에서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정보 추출부(210)에서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의 추출 결과를 전달받으면,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액세스한다. 그 후, 제어부(230)는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 인증정보를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40)을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는 음파 식별정보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로부터 전송된 음파 식별정보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해,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서버(130)는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기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의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하면, 서버(130)는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응답신호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1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로 전송한다.
한편, 서버(130)는 인증 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안내정보는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지도 서비스(예를 들어, 구글 지도 등)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지도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는 서버(13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서버(13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정보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에 대해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250)는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250)는 인증 결과정보로서, 출입 허용메시지 또는 출입 불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등의 서비스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260)는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260)는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 등를 사용해 해당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빠르게 움직이는 고객에게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로 인해 왜곡되는 신호와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Decision baseline의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위치를 측위한다. 데이터 좌우에 기준 신호를 추가하여 1,0을 판별하는 기준선을 수평선에서 사선으로 변경하여 수신율을 개선한다. 신호/노이즈 비율을 이용하여 미약신호는 디코딩하지 않음으로써 디코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신호/노이즈 비율을 이용하여 미약신호는 디코딩하지 않음으로써 디코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위치 감지부(260)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인증결과 정보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위치 정보를 지도 정보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 지도 서비스(예를 들어, 구글 지도)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인증 결과정보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출입 인증에 따른 관련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위치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음파 측위기술을 이용하며, 사용자 대상 맞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관광 컨벤션 참관객들이 국제회의 및 행사, 포럼 등에 참여할 경우 체크인 관리를 기본으로 지역 명소 및 관광 포인트 방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역의 정보를 위치기반으로 제공한다. 참가자나 관광객들이 시스템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제안하는 주요 지점을 직접 방문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를 지역 상권에서 사용하거나 식사, 다과, 행사 기념품과 같은 사은행사에 활용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출입 인증 체크인, 인센티브 정보, 관광정보, 쇼핑정보, 교통정보, 개인 관광이력정보, 공유데이터 관리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음파 발생기 및 C2DM과 연동하여 위치정보 확인, Push Notification 등의 클라이언트 지원을 담당한다. 체크인 관리는 참관객들의 행사 체크인 정보를 기록관리한다. 인센티브 관리는 실제 방문기록이 있는 참가자에게 인센티브를 발급관리한다. 관광/교통정보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문화관광/쇼핑 교통/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개인 관광이력관리는 개인의 관광이력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내역을 스토리텔링화 하여 SNS와 연동 및 시스템 사용자간의 정보공유를 지원한다. 위치정보 관리는 LBS(저주파, GPS, Wi-Fi)서비스를 통한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서버는 시스템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모델링하고, C2DM을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푸시 기능을 지원하고, REST API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기능 구현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LBS(Local Based Service) 기술, Mash up 기술, Context Awareness 기술, Social Network 기술 등을 지원한다. LBS(Local Based Service) 기술은 GPS와 음파를 활용한 위치 인식 기술이고, Mash up 기술은 Google Maps 연동 기술이고, Context Awareness 기술은 상황인지(접근성)에 기반한 정보 제공 기술이고, Social Network 기술은 기록과 공유를 통한 정보의 확산 및 재생산에 관한 기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송을 위한 보안 관련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가로채기와 서버 피싱으로부터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요 통신 데이터의 경우 128bit SSL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불법적인 활용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인증키에 대해 일방향 암호화(SHA) 사용하거나, 데이터에 대해 주요 정보의 경우 AES를 사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도 7은 위치 기반 방문 히스토리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위치기반의 방문 히스토리 관리 및 스토리텔링을 위해, 사용자가 방문한 지역의 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장소들(장소 A, B, C, D, E, F 등)에 대해 지도에 매핑하고, 특정 장소에서 사진촬영 또는 글쓰기 등에 대해,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하며, 사용자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방문지점마다 작은 스토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SNS와 연동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한다(S800).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는 음파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음파 식별정보는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음파 신호에 삽입되어 방송된다.
S800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802).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로부터 의사 코드(Pseudo Code)의 해석을 통해 삽입된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S802 단계 후에, 상기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804).
S804 단계 후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806). 이때, 서버로부터 인증 응답신호와 별개로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등을 포함한다.
S806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S808). GPS 신호, 기지국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S808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출력한다(S808). 상기 인증 응답신호 수신 후에, 현재 위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현재 위치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한다.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도 서비스(예를 들어, 구글 지도 등)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한다.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 및/또는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인증 결과정보로서, 출입 허용메시지 또는 출입 불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음파 발생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등의 서비스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기를 이용하여 전시컨벤션, 국제회의, 지역행사 등의 대중이용시설을 방문 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LBS) 맞춤형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행사 참가자의 체크인 관리를 기본으로 지역 관광지 및 명소 방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역정보를 위치기반으로(LBS) 제공한다. 행사 참가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활동반경을 넓히고,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한다. 지역명소 방문정보 및 히스토리를 다른 사용자 및 SNS를 통해 공유하여 소개 및 지역홍보에 기여한다. LBS(Local Based Service), Context Awareness기술을 탑재하여 상황인지(접근성)을 통한 지역정보 및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한다. GPS를 통한 실외 측위 뿐 만 아니라 저주파를 이용한 행사체크인 및 주요 방문지의 방문 여부를 확인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음파 발생기
110: 휴대용 단말기
130: 서버
200: 음파 수신부
210: 정보 추출부
220: 정보 저장부
230: 제어부
240: 통신 인터페이스부
250: 출력부
260: 위치 감지부

Claims (22)

  1.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에 있어서,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삽입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결과 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전자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
  10.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음파 신호를 방송하는 음파 발생기;
    상기 음파 발생기에서 방송되는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음파 발생기에 대응하는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음파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생성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발생기는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상기 음파 신호에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발생기는
    상기 음파 신호를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하여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이전에 기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시스템.
  16.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에 있어서,
    음파 발생기로부터 방송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음파 발생기의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파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인증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사용해 삽입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펄스부호변조된 음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은
    상기 수신된 인증 응답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상기 음파 발생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교통정보, 쇼핑 정보 및 관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은
    상기 인증 응답신호 수신 후에,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의 감지 결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지도 정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방법.
KR1020140178042A 2014-10-30 2014-12-11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9557 2014-10-30
KR1020140149557 2014-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95A true KR20160051495A (ko) 2016-05-11

Family

ID=5602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42A KR20160051495A (ko) 2014-10-30 2014-12-11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49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5315A (zh) * 2016-10-13 2018-04-20 深圳市康悦合科技开发有限公司 门禁控制方法及系统
KR20180128615A (ko) 2017-05-24 2018-12-04 창신정보통신(주) 오디오 신호와 생체 신호를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출입 통제 기기 및 출입 통제 시스템
WO2019088544A1 (ko) * 2017-11-06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자동연결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979652B1 (ko) * 2017-12-20 2019-05-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음파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음파 통신 방법
KR101985782B1 (ko) * 2018-11-07 2019-06-10 (주)바인테크 주변소리를 이용한 위험군 제어기기의 중요권한설정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SE1850083A1 (en) * 2018-01-25 2019-07-26 Total Security Stockholm Ab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95446A (ko) * 2016-12-21 2019-08-1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교차 디바이스 로그인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200018038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큐티티 음파 인증을 이용한 의료정보 전송시스템
KR102120121B1 (ko) * 2019-09-16 2020-06-08 주식회사 씨디에스 비가청 음파통신 기반 관람객 출입관리 및 정보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5315A (zh) * 2016-10-13 2018-04-20 深圳市康悦合科技开发有限公司 门禁控制方法及系统
KR20190095446A (ko) * 2016-12-21 2019-08-1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교차 디바이스 로그인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10856149B2 (en) 2016-12-21 2020-12-01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Cross-device login to improve service efficiency
KR20180128615A (ko) 2017-05-24 2018-12-04 창신정보통신(주) 오디오 신호와 생체 신호를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출입 통제 기기 및 출입 통제 시스템
WO2019088544A1 (ko) * 2017-11-06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자동연결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979652B1 (ko) * 2017-12-20 2019-05-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음파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음파 통신 방법
SE1850083A1 (en) * 2018-01-25 2019-07-26 Total Security Stockholm Ab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018038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큐티티 음파 인증을 이용한 의료정보 전송시스템
KR101985782B1 (ko) * 2018-11-07 2019-06-10 (주)바인테크 주변소리를 이용한 위험군 제어기기의 중요권한설정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20121B1 (ko) * 2019-09-16 2020-06-08 주식회사 씨디에스 비가청 음파통신 기반 관람객 출입관리 및 정보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1495A (ko) 음파를 이용한 출입 인증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US10237256B1 (en) Dynamic identity profiles
Bojan et al. An internet of things bas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US9741022B2 (en) Parental controls
JP6749891B2 (ja) 仮想待ち行列システム及び方法
US9311685B2 (en) Geolocation check-in system
US9720555B2 (en) Location-based services
US10171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Mitchell et al. Hajj crowd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People tracking and location based services via integrated mobile and RFID systems
US20160042333A1 (en) Smart ticketing in fare collection systems
US20130040654A1 (en) Location-based automated check-in to a social network recognized location using a token
CN104471966A (zh) 无线设备中的相对定位应用
US20190306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JP2016516979A (ja) Gpsフィックス利用分布の解析によるジオフェンスの生成
CN107689871B (zh) 带身份核验的物联网移动终端及人证合一核验方法
Hidayat et al. WiFi scanner technologies for obtaining travel data about circulator bus passengers: Case study in Obuse, Nagano prefecture, Japan
CA2904438C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796298B2 (en) Interactive display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s
US20150178733A1 (en) Payment card fraud protection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Owaidah Hajj crowd management via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 case of The Hajj event, Saudi Arabia
WO2021120825A1 (zh) 基于近场通信nfc的行程信息提示方法、装置、系统及终端
JP7206986B2 (ja) 特定場所にいる装置及び/又は個人の存在を決定するための時間に基づく検証
CN107750339A (zh) 基于无线信号特性使用移动装置检测用户的场境
US201803763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unique iden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