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788A -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 Google Patents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788A
KR20160050788A KR1020140149800A KR20140149800A KR20160050788A KR 20160050788 A KR20160050788 A KR 20160050788A KR 1020140149800 A KR1020140149800 A KR 1020140149800A KR 20140149800 A KR20140149800 A KR 20140149800A KR 20160050788 A KR20160050788 A KR 20160050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assenger
receiving
ster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998B1 (ko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4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98B1/ko
Priority to PCT/KR2014/012105 priority patent/WO2016068387A1/ko
Publication of KR2016005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는, 선미체, 탑승체와 선두체 중 적어도 2개의 몸체 결합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보트에 있어서, 선미체의 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 삽입부의 상측 공간에 형성된 제1수용부와, 삽입부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폭 방향으로 연속된 요철 형태이고, 삽입부와 맞닿는 상부의 일부위가 요철 형태이며, 상부의 하향 볼록한 부위와 삽입부의 상향 볼록한 부위가 맞닿으면서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탑승체의 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위에 중심측으로 함입된 제3수용부, 제3수용부로부터 상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가공되어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부, 제3수용부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삽입부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제2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부를 구비하며,
탑승체의 전부는 선미체의 전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선수체의 후부는 탑승체의 후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block and assembly type Multipurpose leisure boat}
본 발명은 레저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미와 선수 및 중간부가 블록 형태로 상호 끼워져 고정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형되어 다양한 목적의 레저 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스포츠로는 소형 요트, 소형 보트, 카누, 카약, 서핑보드, 윈드서핑보드 등과 같은 종류가 있다. 이들 각각의 장비들은 일반 사용자들이 소유하기에 너무 고가이고, 운반 및 보관에 별도의 장비와 장소가 요구되며, 그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또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동호인들의 경우 특정한 한 종목만을 선호하기 보다는 다양한 수상 스포츠를 폭 넓게 즐기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립식 보트에 대한 일 예로, 본 출원인을 등록권리자로 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485호(고안의 명칭 :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을 간략히 살펴 보면, 선수부(10), 탑승부(20)와 선미부(30)로 구성되고, 선수부(10)의 제1연결부(11)와 탑승부(20)의 제2연결부(21) 또는, 선미부(30)의 제4연결부(31)와 탑승부(20)의 제3연결부(22)가 요철(凹凸)구조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선체를 이룬다. 또한, 선수부(10)와 탑승부(20) 또는, 선미부(30)와 탑승부(20)는 버클 형태인 한 쌍의 고정부(41040)에 의해 견고히 결합된다. 이때, 탑승부(20)가 배제된 상태에서 선수부(10)와 선미부(30)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1,2연결부(11,21) 또는 제3,4연결부(22,31)를 상호 맞춰 끼우기 위해 수평과 위치를 정확히 맞춰야 하고, 이를 위해 큰 외력과 함께 공간감각도 요구되어 상호 간의 결합이 어렵다. 또한, 제1,2,3,4연결부(11,21,22,31)의 끼워지는 부위가 짧아 결합력이 약하고, 물결의 수직파에 의해 쉽게 파손됨은 물론 침수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8706호(2005.12.2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485호(2014.03.05.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미체, 탑승체 또는 선수체 중 적어도 2개를 높이 방향으로 이중의 끼움 결합하여 상호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결합되는 부위가 폭 방향으로 상호 상응하게 요철 형태로 맞물리도록 하여 상호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선미체, 탑승체 또는 선수체 중 적어도 2개를 상호 체결부재로 체결시켜 상호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도록 한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는, 선미체, 탑승체와 선두체 중 적어도 2개의 몸체 결합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보트에 있어서, 선미체는 평면상 후부측을 향해 유선형의 형태이고, 선미체의 탑승체 또는 선두체측 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 삽입부의 상측 공간에 형성된 제1수용부와, 삽입부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폭 방향으로 연속된 요철 형태이고, 삽입부와 맞닿는 상부의 일부위가 요철 형태이며, 상부의 하향 볼록한 부위와 삽입부의 상향 볼록한 부위가 맞닿으면서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수용부의 높이는 삽입부 또는 제2수용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의 중심으로 향하는 제2수용부의 함입된 깊이는 제1수용부의 깊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선미체의 후부에는 후방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면보다 더 낮게 위치한 제1유입홀과, 이 제1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가공되면서 유입된 물을 양쪽으로 가를 수 있도록 볼록부를 구비한 제1배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탑승체의 선수체측 전부에는 선미체의 전부에 구비된 삽입부, 제1수용부, 제2수용부와, 삽입부와 상부의 맞닿는 부위에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체의 선미체측 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위에 중심측으로 함입된 제3수용부, 제3수용부로부터 상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가공되어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부, 제3수용부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삽입부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제2수용부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탑승체의 하면에는 이동방향으로 곡면의 파도형태로 가공된 부력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탑승체는 폭 방향 양측부에 일정 깊이로 가공된 수납홈과, 이 수납홈의 양측 격벽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가공되어 로프를 연결하여 끼울 수 있는 다수의 걸이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체의 상면은 테두리를 제외한 부위가 오목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선수체는 평면상 전부측을 향해 유선형의 형태이고, 선수체의 탑승체 또는 선미체측 후부에는 탑승체의 후부에 구비된 제3수용부, 제1끼움돌기부, 제2끼움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선수체의 후부에는 후방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면보다 더 낮게 위치한 제2유입홀과, 이 제2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가공되면서 유입된 물을 양쪽으로 가를 수 있도록 제2볼록부를 구비한 제2배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미체, 탑승체 또는 선수체의 결합시 삽입부와 제3수용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삽입부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홈과, 장착홈에 체결되도록 제3수용부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선수체의 상면에는 돛을 설치할 수 있도록 마스터 하부를 끼우기 위한 끼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선미체, 탑승체 또는 선수체 중 적어도 2개의 몸체 결합시, 결합 부위에서 상호 연접하도록 일측 몸체 또는 타측 몸체에 제1체결홈 또는 제2체결홈 또는 제3체결홈이 서로 상응하게 배치되어 구비하고, 제1체결홈 또는 제2체결홈 또는 제3체결홈에는 상호 체결되는 고정부 또는 체결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부는 굴곡진 고리를 구비하고, 체결부는 고리에 걸리는 걸개, 걸개에 일단부가 결합된 연결축, 연결축의 타측이 나사 결합되어 자전으로 걸개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설치된 가로바, 가로바가 고정되어 축회전으로 걸개를 잡아 당기도록 설치된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미체, 탑승체와 선수체의 결합부위가 돌출된 길이를 다르게 하고, 이들 몸체를 결합하면서 생성된 결합선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그 결합력의 상승시키고, 침수의 위험을 최소화하며, 물결의 수직파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홈과 제1끼움돌기부, 삽입부와 제3수용부, 제2수용부와 제2끼움돌기부 등의 3중의 끼움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가 폭 방향으로 연속된 요철 형태이고, 이 삽입부에 접촉하는 제1끼움돌기부와 제2끼움돌기부 역시 요철 형태를 가짐으로써, 선미체, 탑승체와 선수체를 결합시킬 때, 폭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거의 소비되지 않은 채 상호 간의 결합 위치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삽입부의 일면에 가공된 장착홈과 제3수용부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돌기의 상호 체결로 인해 선미체, 탑승체와 선수체의 임의적인 결합 해제가 최대한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미체, 탑승체와 선수체의 양측부에 장착된 체결부재의 결합으로 선미체, 탑승체와 선수체의 결합력을 보조하고, 그 결합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체의 폭 방향 양측에 수납홈을 마련하여 보트에 탑승한 상태에서 필요한 용품을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탑승체의 하면에 다수의 부력홈을 구비하여 전방에서 오는 물을 밀어내어 보트에 부력을 제공하면서 보트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미체와 선수체의 끝 부위에 제1,2유입홀과 제1,2배출홈을 구비하여 물의 저항을 다소 낮출 수 있고, 선수체의 상면에 돛을 달기 위해 마스터 끼움홈을 구비하여 윈드서핑 보드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선미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하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일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탑승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측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타측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e는 도 4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선수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선미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하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일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탑승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탑승체의 일측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타측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e는 도 4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선수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측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체(100,船尾體), 탑승체(200)와 선수체(300,船首體)를 포함한다. 이들 선미체(100), 탑승체(200)와 선수체(300)는 상호 끼움 결합을 통한 주 결합과 체결부재(400)를 통한 보조 결합으로 상호 결합된다. 또한, 이들은 탑승체(200)가 배제된 채 선미체(100)와 선수체(300)만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선미체(100), 2개 이상의 탑승체(200)와 선수체(300)가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전방, 후방, 전부(前部), 후부(後部)는 선수체(300)측을 전방과 전부 방향으로, 선미체(100)측을 후방과 후부 방향으로 지칭한다.
먼저, 선미체(100), 탑승체(200)와 선수체(3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400)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부재(400)는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버클 형태로, 고정부(410)와 체결부(42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410)는 대략 체결부(420) 반대 방향으로 굽어진 고리(411)를 구비한다. 체결부(420)는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422), 레버(422)에 고정된 가로바(423), 걸개(424)와, 걸개(424)와 가로바(423)를 연결하는 연결축(4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축(425)은 가로바(423)에 나사체결되고, 연결축(42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개(42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걸개(424)와 고리(411)의 체결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걸개(424)를 고리(411)에 걸고,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레버(422)를 회전시키면 가로바(423)와 연결축(425)에 의해 걸개(424)가 고리(411)를 당기면서 체결된다. 그리고, 걸개(424)와 고리(411)의 체결력을 연결축(425)의 회전을 통해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400)는 선미체(100)의 제1체결홈(101), 탑승체(200)의 제2체결홈(201)과, 선수체(300)의 제3체결홈(301)에 고정부(410)와 체결부(420)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장착된다. 이는 탑승체(200)가 배제되더라도 선미체(100)와 선수체(30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선미체(100)의 제1체결홈(101)에 고정부(410)가 고정되면, 탑승체(200)의 선미체(100)측 제2체결홈(201)에 체결부(420)가 고정되고, 탑승체(200)의 선수체(300)측 제2체결홈(201)에 고정부(410)가 고정되면, 선수체(300)의 제3체결홈(301)에 체결부(420)가 고정된다.
선미체(100)는 도 2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부측을 향해 유선형을 갖는 형태이다. 이 선미체(100)의 후부측에는 도 2와 도 3a에서와 같이, 후방의 물이 유입되도록 선미체(100)의 상면보다 더 낮게 가공된 제1유입홀(102)을 구비한다. 또한, 선미체(100)의 후부측에는 제1유입홀(102)에서 유입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1유입홀(102)과 연결되도록 오목하게 가공되고, 제1유입홀(10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양쪽으로 가를 수 있도록 제1볼록부(103)가 가공되어 평면상 대략 부메랑 형태의 제1배출홈(104)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선미체(100)의 전부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상면 양측에 체결부재(400)의 체결부(420) 또는 고정부(410)를 장착하도록 가공된 제1체결홈(101)을 구비한다.
또한, 선미체(100)의 전부에서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110), 삽입부(110)의 상측 공간에 형성된 제1수용부(120), 삽입부(110)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제2수용부(130)를 구비한다. 이때, 제1수용부(120)의 높이는 삽입부(110) 또는 제2수용부(130)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고, 삽입부(110)의 높이는 제2수용부(130)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제2수용부(130)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선미체(100)의 중심으로 향하는 함입된 깊이는 제1수용부(120)의 깊이 보다 짧게 이루어지고, 물론 제1수용부(12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삽입부(110)의 폭 방향에서의 정면 형상은 상/하면 전체에 대해 연속된 요철(凹凸)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삽입부(110)는 상면에 대해서만 연속된 요철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이 경우 후술된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의 제2끼움돌기부(230)는 배제된다. 도 3c에서와 같이, 이 삽입부(110)가 맞닿는 상부의 일부위에 삽입부(110)의 요철 형태와 대응하는 요철 형태가 가공되고, 상부의 하향 볼록한 부위와 삽입부(110)의 상향 볼록한 부위가 상호 맞닿으면서 다수의 삽입홈(140)이 마련된다. 또한, 삽입홈(140)의 단면 형상은 상부와 삽입부(110)의 요철 형상에 상응하게 되고, 일 예로 벌집 형상이거나 원형 또는, 상하 대칭인 2개의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오각형 형상, 육각형 형상 등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 삽입홈(140)에는 후술된 탑승체(200)의 후부에 가공된 제1끼움돌기부(220,도 4b 참조)가 끼워진다. 이를 감안한 삽입홈(140)의 깊이는 제1끼움돌기부(2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상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 정도로, 삽입홈(140)의 내면과 제1끼움돌기부(220)의 선단면이 접촉하거나 약간 여유가 있는 정도이다. 또한, 삽입부(110)의 선단면은 도 3b에서와 같이 우하향으로 경사지고, 도 3c에서와 같이 폭 방향의 정면상 중앙 부위가 오목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이 삽입부(110)의 하면 에 가공된 장착홈(150)을 구비한다. 이 장착홈(150)은 삽입부(110)가 후술된 탑승체(200) 또는 선두체(300)의 제3수용부(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돌기(240)이 체결하도록 구비된다.
탑승체(200)는 도 2와 도 4a 내지 도 4d에서와 같이, 선미체(100)와 선수체(300) 중간에 끼워지면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부위이고, 경우에 따라 배제될 수도 있고, 2개 이상 연결될 수도 있다. 이 탑승체(200)의 상면은 테두리를 제외한 부위의 대부분이 오목한 형태로 가공되고, 이는 탑승체(200)에 이용자가 탑승하기 편하게 하고, 본 발명의 보트를 카누나 카약으로 이용시 의자 단독으로, 또는 의자와 이 의자의 이동을 위한 레일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탑승체(200)의 상면에서 전부와 후부 양측에는 체결부재(400)의 고정부(410) 또는 체결부(420)가 장착되도록 제2체결홈(201)을 구비한다. 이 제2체결홈(201)은 선미체(100) 또는 선수체(300)와 탑승체(200)의 결합시 제1체결홈(101) 또는 제3체결홈(301)과 꼭 들어맞는 위치에 가공된다. 또, 탑승체(200)의 상면에서 양측부에는 일정 깊이로 가공된 수납홈(202)과, 이 수납홈(202)을 이루는 양측의 격벽(203)에 일정 간격으로 가공된 다수의 걸이홈(204)을 구비한다. 따라서, 수납홈(202)에 물건을 수납한 후 덮개(미도시)를 덮은 상태에서 로프(미도시)를 걸이홈(204)들을 연결하듯 끼운 후 매듭을 지을 수 있다. 물론, 덮개는 배제하고 로프만 걸 수도 있고, 수납홈(202)에 노(櫓)를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203)은 배가 뒤집혔을 때, 올바른 상태도 다시 뒤집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부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체(200)의 후부는 중간 부위에 대략 "역 ㄷ"자 형태로 함입된 제3수용부(210), 제3수용부(210)로부터 상부보다 더 돌출도록 가공된 다수의 제1끼움돌기부(220),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가공된 다수의 제2끼움돌기부(230)와,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돌기(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3수용부(210)는 선미체(100)의 삽입부(110)가 끼워지는 부위로, 끼워질 때, 삽입부(110)의 상면이 제1끼움돌기부(220)의 하면과 접촉하고, 삽입부(110)의 하면이 제2끼움돌기부(23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물론, 제3수용부(210)는 삽입부(110)의 경사진 단면과 폭 방향에 대한 정면상 오목한 전체 형상에 부합되도록 가공된다. 이때, 제3수용부(210)의 높이는 상부의 높이보다 낮거나 유사하거나 높을 수 있고, 정확하게는 선미체(100)의 제1수용부(120), 삽입부(110)와 제2수용부(130)의 높이와 상응하게 탑승체(200)의 상부와 제2수용부(130)의 높이가 결정된다.
또한, 제1끼움돌기부(220)는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결합시 선미체(100)의 삽입홈(140)에 끼워지는 부위로, 높이 방향에 대해 윗쪽 절반은 상부로부터 돌출되고, 아랫쪽 절반은 제2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제1끼움돌기부(220)의 길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삽입홈(140)의 깊이와 상응하게 제작되고, 제1끼움돌기부(220)의 단면 형상은 삽입홈(1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 또, 제1끼움돌기부(220)의 단면 크기는 삽입홈(140)에 끼워질 때 약간의 유격은 있을 수 있으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헐거운 끼움보다는 억지 끼움이 되는 정도이다.
또, 제2끼움돌기부(230)는 선미체(100)의 삽입부(110)의 하면과 접촉하여 끼워지도록 가공된다. 이때, 제3수용부(210)의 하부는 선미체(100)의 제2수용부(130)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3수용부(210)의 하부 길이는 제2수용부(13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결정된다. 이때, 제3수용부(210)의 하부와 제2수용부(13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약 약간의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삽입부(110)와 제3수용부(210), 제1수용부(120) 등의 결합에 의해 침수 현상은 방지된다.
또한, 장착돌기(240)는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돌출된 형태로, 탑승체(200)가 선미체(100)와 결합할 때, 선미체(100)의 삽입부(110) 하면에 가공된 장착홈(150)에 끼워지는 부위이다. 여기서, 탑승체(200)의 장착돌기(240)와 선미체(100)의 장착홈(150)은 그 위치를 서로 바꿔 가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결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폭을 맞춰 삽입부(110)의 요철 형태의 상면에 제1끼움돌기부(220)의 하면을 안착시킨다. 이를 통해 당연히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길이 방향 중심이 맞춰진다. 이후, 선미체(100) 또는 탑승체(200)를 밀게 되면 선미체(100)의 삽입홈(140)에 탑승체(200)의 제1끼움돌기부(220)가 삽입된다. 또한, 선미체(100)의 삽입부(110)는 탑승체(200)의 제3수용부(210)에 삽입되고, 선미체(100)의 제2수용부(130)에 탑승체(200)의 제2끼움돌기부(230)가 끼워지며, 선미체(100)의 제1수용부(120)에 탑승체(200)의 돌출된 상부가 끼워진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선미체(100)와 탑승체(200)는 침수 위험 없이 상호 견고히 결합된다. 이후, 선미체(100)의 제1체결홈(101)에 장착된 고정부(410)와, 탑승체(200)의 제2체결홈(201)에 장착된 체결부(420)를 상호 체결하면 모든 체결은 완료되고,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상호 결합 역시 완료된다.
한편, 탑승체(200)의 선수체(300)측 전부는 도 3a와 도 4a를 보듯이 선미체(100)의 전부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탑승체(200)의 전부를 설명하는데 있어 선미체(100)의 전부와 비교하여 동일한 형태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설명을 간략히 한다.
탑승체(200)의 전부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부위에서 돌출된 삽입부(110), 삽입부(110) 상측의 제1수용부(120), 삽입홈(140), 삽입부(110) 하측의 제2수용부(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삽입부(110)는 폭 방향의 정면 형상이 요철 형태이고, 단면이 우하향 경사지며, 폭 방향의 정면상 오목한 형상이다.
그리고, 탑승체(200)의 하면에는 도 4b와 도 4c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부위 양측과, 전부와 후부에 위치하면서 폭 방향에 대해 중앙 부위에 가공된 다수의 부력홈(250)을 구비한다. 이 부력홈(250)의 형태는 도 4e에서와 같이 보트의 이동방향에 대해 대략 곡면의 파도형태로 이루어진다. 보트가 물에 띄워진 상태에서 부력홈(250)에 물이 채워지게 되고, 이 부력홈(250)에 채워진 물이 보트가 이동하면 다가오는 전방의 물을 밀어내어 보트에 부력 현상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부력홈(250)에 의해 보트의 이동 속도는 빨라진다.
선수체(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측을 향해 유선형을 갖는 형태이다. 이 선수체(300)의 상면에는 보트를 윈드서핑 보드로 이용하기 위해 선수체(300)와 선미체(100)를 결합시키는 경우 돛의 마스터 하부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305)을 구비한다.
또한, 선수체(300)의 하면은 도 5b에서와 같이, 전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더 높고, 이를 전방에서 바라보면 점차적으로 대략 "U'자 형태에서 대략 "V"자 형태를 이룬다. 또한, 선수체(300)의 제2유입홀(302)은 도 5b에서와 같이, 측면상 외부에서 보면 오목한 형태로 가공된다. 이 제1유입홀(102)은 후술된 바와 같이, 선미체(100)의 제1유입홀(102)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선수체(300)의 전부는 선미체(100)의 후부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후부는 탑승체(200)의 후부와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따라서, 선수체(300)에 대해서는 선미체(100)와 탑승체(200)를 비교하여 동일한 형태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설명을 간략히 한다. 이러한 선수체(300)의 전부에는 선미체(100)의 제1유입홀(102)과 제1배출홈(104)와 동일한 제2유입홀(302), 제2볼록부(303)와 제2배출홈(304)을 구비한다. 또, 선수체(300)의 탑승체(200) 또는 선미체(100)측 후부에는 제3체결홈(301)을 구비하며, 제3체결홈(301)은 선미체(100)의 제1체결홈(10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또한, 선수체(300)의 후부에는 중간 부위에 대략 "역 ㄷ"자 형태로 합입된 제3수용부(210), 제3수용부(210)로부터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가공된 제1끼움돌기부(220),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가공된 제2끼움돌기부(230)와 장착돌기(240)를 구비한다. 물론,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의 제3수용부(210)는 "역 ㄷ"자 이외에도 측면상 곡면의 형태일 수도 있고, 삽입부(110)가 끼워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선수체(300)와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와 선미체(100)의 결합은 상술된 선미체(100)와 탑승체(200)의 결합과 동일하다. 요약하면, 선수체(300)와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와 선미체(100)의 폭을 맞춰 삽입부(110)의 상면에 제1끼움돌기부(220)의 하면을 안착시킨다. 이후 선수체(300), 탑승체(200) 또는 선미체(100) 중 하나의 일방향으로 밀면 삽입홈(140)에 제1끼움돌기부(220)가 삽입되고, 삽입부(110)가 제3수용부(210)에 삽입되며, 제2수용부(130)에 제3수용부의 하부가 끼워지고, 탑승체(200)의 제1수용부(120)에 선수체(300)의 돌출된 상부가 끼워진다. 끝으로, 체결부재(400)의 고정부(410)와 체결부(420)를 상호 체결하면 선수체(300)와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와 선미체(100)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선미체 101:제1체결홈
102:제1유입홀 103:제1볼록부
104:제1배출홈 110;삽입부
120:제1수용부 130:제2수용부
140:삽입홈 150:장착홈
200:탑승체 201:제2체결홈
202:수납홈 203:격벽
204:걸이홈 210:제3수용부
220:제1끼움돌기부 230:제2끼움돌기부
240:장착돌기 250:부력홈
300:선수체 301:제3체결홈
302:제2유입홀 303:제2볼록부
304:제2배출홈 305:끼움홈
400:체결부재 410:고정부
411:고리 420:체결부
421:회전축 422:레버
423:가로바 424:걸개
425:연결축

Claims (15)

  1. 선미체(100), 탑승체(200)와 선수체(300) 중 적어도 2개의 몸체 결합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보트에 있어서,
    상기 선미체(100)는 평면상 후부측을 향해 유선형의 형태이고,
    상기 선미체(100)의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측 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110), 삽입부(110)의 상측 공간에 형성된 제1수용부(120)와, 삽입부(110)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제2수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0)는 폭 방향으로 연속된 요철 형태이고, 상기 삽입부(110)와 맞닿는 상부의 일부위가 요철 형태이며, 상기 상부의 하향 볼록한 부위와 삽입부(110)의 상향 볼록한 부위가 맞닿으면서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1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20)의 높이는 삽입부(110) 또는 제2수용부(13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 향하는 상기 제2수용부(130)의 함입된 깊이는 제1수용부(120)의 깊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체(100)의 후부에는 후방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면보다 더 낮게 위치한 제1유입홀(102)과, 이 제1유입홀(10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가공되면서 유입된 물을 양쪽으로 가를 수 있도록 제1볼록부(103)를 구비한 제1배출홈(1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체(200)의 선수체(300)측 전부에는 상기 선미체(100)의 전부에 구비된 삽입부(110), 제1수용부(120), 제2수용부(130)와, 상기 삽입부(110)와 상부의 맞닿는 부위에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1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체(200)의 선미체(100)측 후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위에 중심측으로 함입된 제3수용부(210), 제3수용부(210)로부터 상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가공되어 상기 삽입홈(140)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부(220),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110)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제2수용부(130)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체(200)의 하면에는 이동방향으로 곡면의 파도형태로 가공된 부력홈(2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체(200)는 폭 방향 양측부에 일정 깊이로 가공된 수납홈(202)과, 이 수납홈(202)의 양측 격벽(203)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가공되어 로프를 연결하여 끼울 수 있는 다수의 걸이홈(2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체(200)의 상면은 테두리를 제외한 부위가 오목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체(300)는 평면상 전부측을 향해 유선형의 형태이고,
    상기 선수체(300)의 탑승체(200) 또는 선미체(100)측 후부에는 상기 탑승체(200)의 후부에 구비된 제3수용부(210), 제1끼움돌기부(220), 제2끼움돌기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체(300)의 후부에는 후방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면보다 더 낮게 위치한 제2유입홀(302)과, 이 제2유입홀(30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가공되면서 유입된 물을 양쪽으로 가를 수 있도록 제2볼록부(303)를 구비한 제2배출홈(3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체(100),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의 결합시 삽입부(110)와 제3수용부(210)가 끼워져 걸리도록 삽입부(110)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홈(150)과, 장착홈(150)에 체결되도록 제3수용부(210)의 하면에 가공된 장착돌기(2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체(300)의 상면에는 돛을 설치할 수 있도록 마스터 하부를 끼우기 위한 끼움홈(30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체(100), 탑승체(200) 또는 선수체(300) 중 적어도 2개의 몸체 결합시, 결합 부위에서 상호 연접하도록 일측 몸체 또는 타측 몸체에 제1체결홈(101) 또는 제2체결홈(201) 또는 제3체결홈(301)이 서로 상응하게 배치되어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홈(101) 또는 제2체결홈(201) 또는 제3체결홈(301)에는 상호 체결되는 고정부(410) 또는 체결부(42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10)는 굴곡진 고리(411)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420)는 고리(411)에 걸리는 걸개(424), 걸개(424)에 일단부가 결합된 연결축(425), 연결축(425)의 타측이 나사 결합되어 자전으로 걸개(424)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설치된 가로바(423), 가로바(423)가 고정되어 축회전으로 걸개(424)를 잡아당기도록 설치된 레버(4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KR1020140149800A 2014-10-31 2014-10-31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KR10168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00A KR101688998B1 (ko) 2014-10-31 2014-10-31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PCT/KR2014/012105 WO2016068387A1 (ko) 2014-10-31 2014-12-10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00A KR101688998B1 (ko) 2014-10-31 2014-10-31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88A true KR20160050788A (ko) 2016-05-11
KR101688998B1 KR101688998B1 (ko) 2016-12-22

Family

ID=5585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00A KR101688998B1 (ko) 2014-10-31 2014-10-31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8998B1 (ko)
WO (1) WO20160683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14A (ko) * 2016-06-30 2018-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WO2018105869A1 (ko) * 2016-12-06 2018-06-14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101386B1 (de) * 2019-09-13 2021-03-19 Inuk Kajak Innovation Gmbh Wassersportgerät, insbesondere Kajak
CN111907639A (zh) * 2020-07-27 2020-11-10 湖南洣水游艇制造有限公司 一种加厚耐磨橡皮艇的底盘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895A (ja) * 1997-02-19 1998-09-02 Yasuo Yoshioka 折り畳み式ボート
US6325014B1 (en) * 2000-03-13 2001-12-04 Genmar Holdings, Inc. Modular boat hull and method of assembly
KR20020069030A (ko) * 2001-02-22 2002-08-29 공종철 조립식 요트.보트.선박.건축설비.기계설비.완구등의부품과 조립방법
KR20050063252A (ko) * 2003-12-22 2005-06-28 박선재 조립식 보트
KR200471485Y1 (ko) 2012-06-18 2014-03-05 허홍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256A (en) * 1985-10-16 1988-12-13 Levine Howard E Two-piece combination boat and luggage carrier
KR101393541B1 (ko) * 2013-07-10 2014-05-09 김영돈 주행 성능이 향상된 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895A (ja) * 1997-02-19 1998-09-02 Yasuo Yoshioka 折り畳み式ボート
US6325014B1 (en) * 2000-03-13 2001-12-04 Genmar Holdings, Inc. Modular boat hull and method of assembly
KR20020069030A (ko) * 2001-02-22 2002-08-29 공종철 조립식 요트.보트.선박.건축설비.기계설비.완구등의부품과 조립방법
KR20050063252A (ko) * 2003-12-22 2005-06-28 박선재 조립식 보트
KR100538706B1 (ko) 2003-12-22 2005-12-26 박선재 조립식 보트
KR200471485Y1 (ko) 2012-06-18 2014-03-05 허홍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14A (ko) * 2016-06-30 2018-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WO2018105869A1 (ko) * 2016-12-06 2018-06-14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387A1 (ko) 2016-05-06
KR101688998B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998B1 (ko)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KR200471485Y1 (ko)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
US8336477B2 (en) Wake shaping system
CA2263614A1 (en) Dual hull kayak
JP2010536634A5 (ko)
US7021234B1 (en) Modular kayak with elevated hull voids
US20130074760A1 (en) Kayak
US11001341B2 (en) Wakesurf system
US6745716B2 (en) Modular kayak
JP6549606B2 (ja) ウォータークラフト・フィン用固定機構
US20140026807A1 (en) Self-Propelled Watercraft
US9365268B1 (en) Fender for a watercraft
US6539889B2 (en) Frame, inflatable skin and watercraft formed from same
US6240865B1 (en) Multi-purpose sailing kit assembly
US10703446B2 (en) Watercraft
US3150385A (en) Collapsible boat
US6877455B2 (en) Prefabricated boat
US20120006249A1 (en) Portable Boat
US6860223B2 (en) Self-propelled personal watercraft
JP6889729B2 (ja) 遮光システムを備えた透明で調節可能なカヤック
KR101522233B1 (ko) 모듈결합방식 딩기보트
US9266588B2 (en) Adjustable surfing fin
US20170291667A1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surface water sport device
US20110265700A1 (en) Craft rapidly convertible from a catamaran craft into a single-hull craft
WO2015122781A1 (en) Improved kayak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