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215A -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215A
KR20160050215A KR1020140147882A KR20140147882A KR20160050215A KR 20160050215 A KR20160050215 A KR 20160050215A KR 1020140147882 A KR1020140147882 A KR 1020140147882A KR 20140147882 A KR20140147882 A KR 20140147882A KR 20160050215 A KR20160050215 A KR 2016005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ody
body portion
pair
n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5952B1 (en
Inventor
최성규
김용민
남성현
문영섭
양재원
전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4014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52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dustproof net, comprising: a strut part, wherein a pair of front struts and a pair of rear struts are stood; a first net part which is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with a slope at intervals, and includes dustproof nets comprising mesh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a second net part which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with a slope between the first net part, and includes dustproof nets comprising mesh with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n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net parts with different mesh sizes ar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struts and the rear struts of the strut part, wind speed can be reduced by generating turbulence from a downstream region of the strut part, and simultaneous generation of scattering du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

본 발명은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적장에 설치되어 비산먼지를 감소시키도록 방진망을 이용하여 풍속을 저감시키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speed reduction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 speed reduction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work that reduces a wind speed by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o reduce scattered dust.

바람으로 인하여 도로, 항만, 철도, 통신, 전력, 수도 등과 같은 사회간접시설과, 화학, 제철, 기계, 조선, 광공업 등과 같은 기간산업시설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고, 모래, 석탄, 시멘트 등과 같은 야적물질로부터 비산먼지가 발생하게 되어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Winds are increasingly causing damage to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oads, ports, railways, communications, power, and water, and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chemical, steel, machinery, shipbuilding, and mining, Fugitive dust is generated from a dark substance such as cement and the like, which causes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즉, 주행하는 차량이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거나 심할 경우 통제력을 잃게 되어 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항구에 정박한 선박이나 방파제를 지나는 사람이나 물건이 바람의 영향을 받는 한편 전력망, 통신망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바람에 의하여 모래, 시멘트, 석탄 등이 비산되게 되어 건강을 해치는 동시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vehicle that is traveling is shaken or severely affected by the wind, it loses its controllability, causing accidents. When a person or an object passing through a ship or a breakwater at anchor is affected by the wind and the power grid or communication network is damaged In particular, sand, cement and coal are scattered by the wind, which is harmful to health and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따라서, 바람으로부터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나무를 심어 방풍림을 형성하거나 방풍벽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중 방풍림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나무를 심고 상당기간 경과하여야 하며 나무를 식재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방풍벽은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조절하지 못하여 바람에 쓰러지거나 비산먼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from the wind, trees are formed to form windbreaks or windbreaks, and in order to construct the windbreaks, trees must be plant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 The wind screen can not effectively block the wind and can not control the wind, so that the wind can not be effectively collapsed or scattered dust can not be generated.

또한, 방풍림과 방풍벽은 원하는 장소에 빠르게 설치하기 어렵고, 특히 방풍벽은 단순히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만 하게 되어 바람의 효과적인 차단이 어려운 동시에 비산먼지의 발생을 줄여주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stall windbreaks and windshields quickly in a desired place. In particular, windshields simply block the winds,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block the winds and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cattered dusts.

특히, 제철소, 화력발전소 내 철광석, 석탄, 석회석 등의 원료 야적장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방진망을 이용하여 방풍벽을 설치하게 된다.In particular, a windshield is installed by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installed to reduce scattered dust generated by strong winds in iron ore, coal, limestone and other raw yard in a steel mill or a thermal power plant.

이와 같이 야적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방풍벽은 일자형상의 펜스에 방진망이 설치되어 있으나, 원료 야적지에서는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의한 비산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풍속을 감소시키는데는 기능수행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windshield wall installed in the yard, the windshield is installed on the fence having a straight shape. However, in order to reduce scattered dust due to strong wind blowing from the raw windsurface, There was a problem.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일자형 방진망의 설치시에는, 지주에 일정간격으로 방진망을 묶고 고정시키는 와이어 로프와, 이 와이어 로프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방진망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턴버클과, 이 와이어 로프를 지주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고정구 등과 같이 다양한 부품을 설치해야 하므로, 방진망의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such a conventional linear type vibration damping network, there are a wire rope that binds and fixes a vibration damping network at regular intervals to a support, a turnbuckle for giving tension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and it takes a long time.

또한, 일자형의 방진망은 지주도 일렬로 설치되므로, 풍력에 대한 지주의 지지구조가 미약하여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대형화가 불가피하게 되거나, 지주의 설치간격을 좁하게 되어 지주 및 방진망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ight type vibration damping net is installed in a line,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trut against the wind force is weak and it is inevitable to enlarge the fixture for fixing the strut to the ground, or the spacing of the strut is narrow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381호(2001년 07월 19일)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29381 (July 19, 2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주부의 하류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풍속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비산먼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reduce the wind speed and reduce the generation of scattering dust by forming turbulence downstream of the suppor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지주부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improve the support rigidity of a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 할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maintain a stable support structure by enhancing a supporting force of a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망체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망체부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various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net portion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net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제1 망체부의 하류와 제2 망체부의 하류에서 풍속을 서로 다르게 유지하여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속이 저감된 보호층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reduce the wind pressure while maintaining the wind velocity differently downstream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제1 망체부의 풍향과 제2 망체부의 풍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난류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which can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urbulent flow by mak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first net body part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second net body part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비산먼지의 특성에 따라 난류의 형성부위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regulate a turbulent formation region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cattering dust.

또한, 본 발명은 망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망체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that can easily engage with a mesh portion and improve a supporting force of a mesh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이 입설된 지주부(10); 상기 지주부(10)에 상하로 경사지게 이격 설치되며 소정의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을 구비한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1 망체부(20) 사이에 상하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1 망체부(20)와 다른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을 구비한 제2 망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pillar main body having a pair of front and rear support pillars; A first net body portion 20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0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having a mesh network formed in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a second net body 30 extending between the first net body 20 and the first net body 20 and having a mesh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net body 20 .

본 발명의 상기 지주부(10)는,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의 거리가 상방으로 좁아지도록 베이스의 상부에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은, 상단부위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posts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posts is narrowed upward. The front support pair and the rear support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상기 전방 지주쌍은 상기 후방 지주쌍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지주쌍의 상단부위가 상기 후방 지주쌍의 상단부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support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support pair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support pair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support pair.

본 발명의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에는, 상기 제1 망체부(20)와 상기 제2 망체부(3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설치홀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support pair and the rear support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spaced vertically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와 상기 제2 망체부(30)는,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 사이에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members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members.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의 메쉬 사이즈는, 상기 제2 망체부(30)의 메쉬 사이즈 보다 2∼3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의 메쉬 사이즈는 2∼4㎜이고, 상기 제2 망체부(30)의 메쉬 사이즈는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size of the first net body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wo to three time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30. The mesh size of the first mesh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 to 4 mm and the mesh size of the second mesh unit 30 is 1 to 1.5 mm.

본 발명의 상기 제2 망체부(30)는, 메쉬 사이즈가 동일한 복수의 방진망이 서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의 경사각이, 지면을 기준해서 상기 제2 망체부(30)의 경사각 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nti-vibration meshes having the same mesh siz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10∼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망체부(30)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40∼5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는, 지면을 기준해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10 to 20 degrees upward or downward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40 degrees upward or downward To 50 [deg.]. The first net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net portion 30 are provide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본 발명의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전단부위를 상기 전방 지주쌍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를 상기 후방 지주쌍 사이에 결합하는 결합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40)는, 와이어로프 또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된 앵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nd a coupling part (40) for coupling the rear end part of the rear supporting part to the rear supporting part pair. The engaging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wire rope or an angle frame having a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에 방진망의 메쉬 사이즈가 다른 망체부를 설치함으로써, 지주부의 하류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풍속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비산먼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t body portion having a different meshed mesh size between a pair of front and bottom support posts of a support portion, turbulence is formed downstream of the support portion to reduce wind spe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또한,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의 이격거리를 상방으로 좁게 형성하거나 상단부위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지주부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the support stiffness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narrower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the front supporting blocks and the pair of the rear supporting blocks of the supporting portion 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to each other.

또한, 전방 지주쌍을 후방 지주쌍 보다 높게 설치하여 전방 지주상의 상단부위를 후방 지주쌍이 지지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providing the front support pair higher than the rear support pair and coupling the upper support portion on the front support to support the rear support pai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ructure.

또한,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망체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망체부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support pillars of the support part, it is possible to various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network part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net part.

또한, 제1 망체부의 메쉬 사이즈를 제2 망체부의 메쉬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제1 망체부를 단일망으로 제2 망체부를 복수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망체부의 하류와 제2 망체부의 하류에서 풍속을 서로 다르게 유지하여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속이 저감된 보호층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forming the mesh siz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or configuring the first net body portion as a single net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as a plurality of mesh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nd pressure an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layer in which the wind speed is reduced.

또한, 제1 망체부의 경사각을 제2 망체부의 경사각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망체부의 풍향과 제2 망체부의 풍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난류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portion to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urbulence by maki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net por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net por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

또한, 망체부의 후단부위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비산먼지의 특성에 따라 난류의 형성부위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provid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et portion upwardly or downward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rmation region of the turbulence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ttering dust.

또한, 지주부의 지주쌍 사이에 결합부를 개재해서 망체부를 결합함으로써, 망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망체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joining the net body portion between the pair of legs of the support portion via the engagement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net body portion and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net body por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제1 망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제2 망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풍속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work.
4 is a view showing a first net portion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second net portion of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wind speed reducing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wind speed state of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제1 망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제2 망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의 풍속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unit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net portion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net portion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wind speed condition of the wind speed reduction device. Fig.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는, 지주부(10), 제1 망체부(20) 및 제2 망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야적장에 설치되어 시멘트, 모래, 석탄 등과 같은 야적물로부터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방지하도록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nd speed reducing apparatus using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 a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a second net body portion 30, It is a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a vibration damping net installed to prevent scattered dust generated from yams such as cement, sand, and coal.

지주부(10)는,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가 설치되도록 베이스(100)에 입설된 지주부재로서, 전방에 입설된 전방 지주쌍(11)과, 이 전방 지주쌍(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입설된 후방 지주쌍(12)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upport member 10 is a strut member installed in the base 100 so as to have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nd is composed of a front support pair 11 disposed forwardly, And a pair of rear supporting posts 12 spaced rearward from the supporting pair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전방 지주쌍(11)은, 바닥에 콘크리트 등과 같이 고정지지된 베이스(100)의 전방 상부에 2개가 한쌍으로 입설된 지지부재로서, 강관파일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주가 상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입설되며,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의 전단부위가 여기에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pair of front support pillars 11 are a pair of two support pillars arrang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a base 100 fixedly supported on the floor such as concrete. The pair of pillars made of steel pipe pil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coupled and supported.

후방 지주쌍(12)은, 바닥에 콘크리트 등과 같이 고정지지된 베이스(100)의 후방 상부에 2개가 한쌍으로 입설된 지지부재로서, 강관파일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주가 상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입설되며,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가 여기에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pair of rear support pillars 12 are a pair of two support pillars arrang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fixedly supported on the floor such as concrete. The pair of pillars made of steel pipe pil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netting portion 20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netting portion 30 are joined and supported.

또한,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에는, 제1 망체부(20)와 인접한 제1 망체부(20)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제2 망체부(30)와 인접한 제2 망체부(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설치홀(11a, 12a)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adjacent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20 adjacent to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set in the front post pair 11 and the rear post pairs 12,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1a and 12a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portions 30.

또한,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베이스(100)의 상부에 입설되어 대략 "A"자 형상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front post pairs 11 and the rear post pairs 1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to form a substantially A-shaped support structure.

또한, 이러한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은, 상단부위가 서로 연결되며, 전방 지주쌍(11)의 높이(h1)가 후방 지주쌍(12)의 높이(h2) 보다 높게 설치되어, 전방 지주쌍(11)의 상단부위가 후방 지주쌍(12)의 상단부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irs 11 and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eight h1 of the front support pair 11 is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rear support pair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post pair 11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post pairs 12. [

따라서,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에 부여되는 풍압을 "A"자 형상의 지지구조인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에 의해 베이스(100)로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지주부(10)의 지지강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주부(10) 및 베이스(100)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이들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transmitted to the base 100 by the front support pair 11 and the rear support pair 12, which are the "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 rigidity of the support portion 10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ructure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base 100 to reduce their manufacturing cost do.

제1 망체부(20)는, 지주부(10)의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의 1면 또는 2면에 설치되되 상하로 경사지게 이격 설치되며 풍압에 대응하도록 대향면체로 형성된 방진부재로서, 소정의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21)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provided on one or two surfaces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columns 11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members 12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is composed of a vibration-proofing net 21 formed in a predetermined mesh size.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벌집형상의 망체로서,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에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nacelle 21 of the first net portion 20 is a honeycomb net formed of polyethylene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includes a pair of front strut 11 and a pair of rear strut 12 in a staggered manner.

이러한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의 메쉬 사이즈는, 제2 망체부(30)의 메쉬 사이즈 보다 2∼3배 크게 형성되어, 제1 망체부(20)를 통과하는 풍압과 제2 망체부(30)를 통과하는 풍압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size of the dust-screening net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formed to be two to three time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so that the wind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ind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two mesh portions 3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또한,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의 메쉬 사이즈는 2∼4㎜이고,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의 경사각(α)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10∼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size of the dust-screening net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2 to 4 mm and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dust-screening net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upward or downward 10 to 20 [deg.].

그 이유는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의 메쉬 사이즈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풍압의 저감효과가 미미하거나 제2 망체부(30)와의 풍압차이를 유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suppression net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reducing the wind pressure is insignificant or it is difficult to induce a difference in wind pressure with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의 경사각(α)은, 지면을 기준해서 제2 망체부(30)의 경사각(β) 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방진망(21)의 최적의 경사각(α)으로는 15°로 이루어져 있고, 방진망(21)의 최적의 메쉬 사이즈는 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beta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mum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anticorrosive network 21 is 15 degrees and the optimum mesh size of the anticorrosive network 21 is 3 mm.

제2 망체부(30)는, 지주부(10)의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의 1면 또는 2면에 설치되되 상하로 경사지게 이격 설치되며 풍압에 대응하도록 대향면체로 형성된 방진부재로서, 제1 망체부(20) 사이에 상하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며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과 다른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31)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provided on one or two surfaces between the front support pair 11 and the rear support pair 12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vibration damping member 31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rst mesh unit 20 and extending in an inclined manner and having a different mesh size from the vibration damping mesh 21 of the first mesh unit 20.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벌집형상의 망체로서,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에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vibration damping net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a honeycomb net made of polyethylene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 pairs 11, So that it is staggered.

이러한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의 메쉬 사이즈는, 제1 망체부(20)의 메쉬 사이즈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망체부(20)를 통과하는 풍압과 제2 망체부(30)를 통과하는 풍압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of the second mesh unit 30 is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first mesh unit 20 so that the wind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first mesh unit 20 and the wind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second mesh unit 2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ind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windshields 30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의 메쉬 사이즈는 1∼1.5㎜이고,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의 경사각(β)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40∼5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1 to 1.5 mm and the inclination angle beta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set to be upward or downward 40 DEG to 50 DEG.

그 이유는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의 메쉬 사이즈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풍압의 저감효과가 미미하거나 제1 망체부(20)와의 풍압차이를 유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reducing the wind pressure is insignificant or it is difficult to induce the wind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의 경사각(β)은, 지면을 기준해서 제1 망체부(20)의 경사각(α) 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방진망(31)의 최적의 경사각(β)으로는 45°로 이루어져 있고, 방진망(31)의 최적의 메쉬 사이즈는 1.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beta of the vibration prevention net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mal inclination angle beta of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31 is 45 degrees and the optimum mesh size of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31 is 1.5 mm.

또한,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쉬 사이즈가 동일한 복수의 방진망이 서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lurality of vibration damping meshes of the same mesh size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s shown in Fig.

특히,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은, 2매의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이 서로 어긋나도록 중첩되어, 방진망(31)의 메쉬 사이즈를 절반으로 감소시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31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overlapped with the vibration damping net 21 of the two first net body portions 20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by half .

따라서, 제1 망체부(20)의 방진망(21)이 2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방진망(21)의 경사각(α)이 15°로 이루어져, 방진망(21) 사이의 각도가 30°로 이루어지게 되고, 제2 망체부(30)의 방진망(31)이 2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방진망(31)의 경사각(β)이 45°로 이루어져, 방진망(31) 사이의 각도가 90°로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bration suppression network 21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provided on two sides,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vibration suppression net 21 is 15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vibration suppression networks 21 is 30 degrees The inclination angle beta of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is 45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is 90 degrees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sh 31 of the second net body 30 is installed on two sides.

구체적으로,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지주쌍(11)과 후방 지주쌍(12) 사이에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하게 설치되며 메쉬 사이즈가 서로 다르고 경사각도도 서로 다르게 설치됨으로써, 제1 망체부(20)의 하류에서의 풍향, 풍량 및 풍속이 제2 망체부(30)의 하류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난류를 형성하게 되므로 풍속을 감소시키게 된다.8,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ront landing pair 11 and the rear landing pair 12,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wind speed downstream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downstream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to form a turbulent flow, .

즉, 제2 망체부(30)에서의 풍량 및 풍속이 제1 망체부(20)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풍향이 제1 망체부(20)의 방향으로 변경되고 풍속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서로 충돌하여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의 하류에서 난류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wind amount and the wind speed in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relatively reduced i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wind speed is relatively increased,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form a turbulent flow downstream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또한, 제1 망체부(20) 및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을 기준해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되어 비산먼지나 야적장의 특성에 따라 제1 망체부(20)와 제2 망체부(30)의 하류의 상향 또는 하향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풍속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6 and 7,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provided upward or downward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wind speed by forming turbulence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본 실시예의 풍속저감장치는, 제1 망체부(20) 및 제2 망체부(30)의 전단부위를 전방 지주쌍(11)의 전방지주 사이에 결합하고, 제1 망체부(20) 및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를 후방 지주쌍(12)의 후방지주 사이에 결합하는 결합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wind speed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coupled between the front strut of the front post pairs 11,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ortion 40 for engaging a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net portion 30 between the rear legs of the rear leg pair 12.

이러한 결합부(40)는, 전방 지주쌍(11)의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 및 후방 지주쌍(12)의 후방지주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도록, 와이어로프를 주로 사용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단면이 "ㄱ"자로 형성된 앵글 프레임(4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ement portion 40 mainly uses the wire rope so that it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ts of the front strut pair 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trut pairs 12 are variable , It is preferable to use an angle frame 41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에 방진망의 메쉬 사이즈가 다른 망체부를 설치함으로써, 지주부의 하류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풍속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비산먼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net body portions having different mesh sizes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between the pair of front support columns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columns of the support portion, turbulence is formed at the downstream of the support portion to reduce the wind spe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또한,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의 이격거리를 상방으로 좁게 형성하거나 상단부위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지주부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the support stiffness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narrower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the front supporting blocks and the pair of the rear supporting blocks of the supporting portion 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to each other.

또한, 전방 지주쌍을 후방 지주쌍 보다 높게 설치하여 전방 지주상의 상단부위를 후방 지주쌍이 지지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providing the front support pair higher than the rear support pair and coupling the upper support portion on the front support to support the rear support pai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ructure.

또한, 지주부의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망체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망체부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support pillars of the support part, it is possible to various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network part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net part.

또한, 제1 망체부의 메쉬 사이즈를 제2 망체부의 메쉬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제1 망체부를 단일망으로 제2 망체부를 복수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망체부의 하류와 제2 망체부의 하류에서 풍속을 서로 다르게 유지하여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속이 저감된 보호층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forming the mesh siz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or configuring the first net body portion as a single net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as a plurality of mesh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nd pressure an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layer in which the wind speed is reduced.

또한, 제1 망체부의 경사각을 제2 망체부의 경사각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망체부의 풍향과 제2 망체부의 풍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난류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portion to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urbulence by maki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net por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net por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

또한, 망체부의 후단부위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비산먼지의 특성에 따라 난류의 형성부위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provid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et portion upwardly or downward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rmation region of the turbulence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ttering dust.

또한, 지주부의 지주쌍 사이에 결합부를 개재해서 망체부를 결합함으로써, 망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망체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by joining the net body portion between the pair of legs of the support portion via the engagement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net body portion and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net body portion.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 지주부 20: 제1 망체부
30: 제2 망체부 40: 결합부
10: support member 20: first net member
30: second net body portion 40:

Claims (14)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이 입설된 지주부(10);
상기 지주부(10)에 상하로 경사지게 이격 설치되며 소정의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을 구비한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1 망체부(20) 사이에 상하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1 망체부(20)와 다른 메쉬 사이즈로 형성된 방진망을 구비한 제2 망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10) in which a pair of front and rear struts are installed;
A first net body portion 20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0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having a mesh network formed in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And a second net body portion (30) extending between the first net body portions (20) in an upward and downward sloping manner and having a mesh network formed in a mesh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Wind speed redu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0)는, 전방 지주쌍과 후방 지주쌍 사이의 거리가 상방으로 좁아지도록 베이스의 상부에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so that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front support beams and a pair of rear support beams is narrowed up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은, 상단부위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front support members and the pair of rear support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쌍은 상기 후방 지주쌍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지주쌍의 상단부위가 상기 후방 지주쌍의 상단부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support pair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support pair so th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support pair is supported by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support p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에는, 상기 제1 망체부(20)와 상기 제2 망체부(3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설치홀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support pair and the rear support pair so as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와 상기 제2 망체부(30)는, 상기 전방 지주쌍과 상기 후방 지주쌍 사이에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ront pair of legs and the pair of rear legs so as to stagger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의 메쉬 사이즈는, 상기 제2 망체부(30)의 메쉬 사이즈 보다 2∼3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sh siz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two to three time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의 메쉬 사이즈는 2∼4㎜이고, 상기 제2 망체부(30)의 메쉬 사이즈는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sh siz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2 to 4 mm, and the mesh siz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1 to 1.5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망체부(30)는, 메쉬 사이즈가 동일한 복수의 방진망이 서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overlapped with a plurality of anti-vibration meshes having the same mesh size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의 경사각이, 지면을 기준해서 상기 제2 망체부(30)의 경사각 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10∼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망체부(30)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40∼5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is 10 to 20 degrees upward or downward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is 40 to 50 degrees upward or downward And the wind speed reduction device using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는, 지면을 기준해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installe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전단부위를 상기 전방 지주쌍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망체부(20) 및 상기 제2 망체부(30)의 후단부위를 상기 후방 지주쌍 사이에 결합하는 결합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net body portion 20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net body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portion (40) for engaging the pair of rear legs between the pair of rear leg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0)는, 와이어로프 또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된 앵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of a wire rope or an angle frame having a "a" shape in cross section.
KR1020140147882A 2014-10-29 2014-10-29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KR101695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882A KR101695952B1 (en) 2014-10-29 2014-10-29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882A KR101695952B1 (en) 2014-10-29 2014-10-29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215A true KR20160050215A (en) 2016-05-11
KR101695952B1 KR101695952B1 (en) 2017-01-12

Family

ID=5602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882A KR101695952B1 (en) 2014-10-29 2014-10-29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068A (en) * 2017-07-11 2017-09-15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Hand-held hinders husky fence and the husky facility of resistance with the wind
KR20180039355A (en)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Dustproof and windbreak wall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855B1 (en) * 2017-10-23 2019-04-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angle fr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1997A (en) * 1993-08-26 1997-02-25 プリニウス,エリック Noise damping wall
KR200229381Y1 (en) 2001-01-17 2001-07-19 동림건설기술(주) Structure of a fence protecting snow and sand for a road
KR200383798Y1 (en) * 2004-12-20 2005-05-10 송부욱 The Fence use Build
JP2006143408A (en) * 2004-11-19 2006-06-08 Onishi Kensetsu Kk Windbreak fence and its building
KR100827633B1 (en) * 2007-04-24 2008-05-07 이재우 Windbrea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1997A (en) * 1993-08-26 1997-02-25 プリニウス,エリック Noise damping wall
KR200229381Y1 (en) 2001-01-17 2001-07-19 동림건설기술(주) Structure of a fence protecting snow and sand for a road
JP2006143408A (en) * 2004-11-19 2006-06-08 Onishi Kensetsu Kk Windbreak fence and its building
KR200383798Y1 (en) * 2004-12-20 2005-05-10 송부욱 The Fence use Build
KR100827633B1 (en) * 2007-04-24 2008-05-07 이재우 Windbrea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355A (en)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Dustproof and windbreak wall structure
CN107165068A (en) * 2017-07-11 2017-09-15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Hand-held hinders husky fence and the husky facility of resistance with the w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52B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952B1 (en)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dust proof net
JP5670927B2 (en) Protective fence
JP4680072B2 (en) Transmission type sabo dam
CN102031749B (en) Grid structure for controlling girder induced vibration of split steel box girder bridge
CN103967019A (en) Fish-bellied beam device for supporting foundation ditch
CN102409604B (en) Device for damping and protecting bridge structural suspender
JP6285682B2 (en) Prevention fence
KR101530081B1 (en) A bumper unit include slo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ockfall protection facilities using this same
CN206289739U (en) A kind of energy-conservation steel construction unit and steel structures coating
CN106759181B (en) A kind of movable pollutant enclosure column
CN205857691U (en) A kind of basement haunch wall form supports
CN204728510U (en) A kind of structure for improving the isolated building safety with degree of freedom
KR20090025758A (en) Safety air fence
CN205443962U (en) Self -supporting protective structure suitable for simply supported girder bridge construction
CN203499259U (en) Tool type cantilevered unloading platform
CN103114746A (en) Garden above road
CN203846506U (en) Angle bracing structure for foundation pit supporting
CN206015634U (en) River channel oil stain intercepting system
KR101966855B1 (en) Apparatus for reducing wind speed using angle frame
CN203308109U (en) External carrying net device
JP2014227767A (en) Rockfall prevention fence
CN103669231A (en) Highway bridge broadening modification project overpass protec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985949B1 (en) Soundproof tunnel structure
KR20090027860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beam byvertical tension at post
CN103981871A (en) Angle brace structure for supporting of foundation p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