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929A -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929A
KR20160049929A KR1020140147759A KR20140147759A KR20160049929A KR 20160049929 A KR20160049929 A KR 20160049929A KR 1020140147759 A KR1020140147759 A KR 1020140147759A KR 20140147759 A KR20140147759 A KR 20140147759A KR 20160049929 A KR20160049929 A KR 2016004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vinyl
crop
lower convey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욱
윤병운
Original Assignee
윤태욱
윤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윤병운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102014014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929A/ko
Publication of KR2016004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3/00Gatherers for removing stones, undesirable roots or the like from the soil, e.g. tractor-drawn r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 전방에 설치된 커팅휠이 밭이랑을 벗어나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한 후, 절단된 작물이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되도록 하여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을 밭이랑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작물과 비닐이 뒤엉키지 않게 수확할 수 있는 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HARVESTER WITH A VINYL SEPERATING MEANS}
본 발명은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을 분리함과 동시에 작물을 채취할 수 있는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논에 물을 가두고 벼를 기르는 논농사와 달리, 밭농사는 트렉터나 인력으로 지면을 고른 후 밭이랑과 밭고랑을 만들며, 밭이랑에 농사를 지으려는 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한다.
일반적으로 논농사를 제외하고 고추, 오이, 호박, 가지, 상추, 깻잎 등 대다수의 작물들이 밭농사를 통하여 재배된다. 근래에는 밭농사를 위한 작물을 파종하기 전에 밭이랑을 따라 비닐을 덮는 비닐 피복작업을 한다.
비닐 피복작업은 밭이랑에 잡초가 나지 않게 하고, 비닐 내부에 수분을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며, 밭이랑의 지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파종된 작물이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것을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밭농사 시에 뿌려지는 거름이 우천으로 인해 지하수나 하천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수질이 오염된다. 그러나 밭이랑을 따라 비닐을 피복하면 강우 시에도 거름에 포함된 유기물이 지하수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닐 피복 작업을 한 경우에는 밭이랑에 잡초가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제초제 등의 농약사용이 줄어들어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작물을 파종하기 전에 밭이랑에 비닐 피복작업을 많이 수행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는 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밭이랑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채굴한다.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는 작물 수확기는 삽날부가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작물을 채굴하며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흙 및 작물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땅속으로부터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이는 최소한의 인간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닐이 피복된 밭에서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비닐이 작업을 불편하게 만든다. 즉,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는 작물 수확기에 구비된 삽날부가 땅속에 삽입되어 전진하는 과정에서 작물뿐만 아니라 흙덩어리 및 피복된 비닐이 함께 채굴되어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기 때문이다.
작물, 흙덩어리, 및 비닐 등이 함께 채굴되는 경우 채굴된 작물, 토양, 및 비닐이 뒤섞여 큰 덩어리를 형성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이송이 고착되고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이송이 고착되지 않더라도 작물, 토양, 및 비닐이뒤섞여 이송되기 때문에 다시 별도로 뒤엉켜진 비닐 등으로부터 작물을 수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2010-0034610호(공개일 2010. 04. 01)
본 발명의 목적은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을 뒤엉키지 않도록 분리함과 동시에 작물 채취 가능하게 하여, 비닐 등으로부터 별도로 작물을 분리하여야 하는 시간과 수고를 절약하기 위한 비닐분리 수단을 갖는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는, 양 측단에 플레이트가 마주보게 설치된 바디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컨베이어, 상기 상부컨베이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컨베이어, 및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컨베이어 및 상기 하부컨베이어는 상호 이격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일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1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와 축 연결되어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바디부 전방의 좌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하는 커팅휠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팅휠은 원판 형상으로 원둘레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휠은 내부가 관통된 사각봉 형상의 수직로드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로드의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바디부 전방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직로드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육면체 형상의 제 2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곡선을 그리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판 형상의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기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주보는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컨베이어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지표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삽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는 트렉터 등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작물이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고, 이때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이 함께 끌려오므로 작물 수확과 동시에 밭이랑으로부터 비닐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부의 플레이트 전방에 설치되는 커팅휠은 본 발명의 작물 수확기가 전진하는 동안 작물의 뿌리 또는 줄기를 절단하므로, 뿌리나 줄기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흙덩어리 등에 의해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가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커팅휠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는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을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 사이로 안내하여 피복된 비닐 및 작물이 뒤엉키지 않게 하고, 이로써 작물을 별도로 뒤엉켜진 비닐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휠 및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휠 및 가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삽날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의 일 실시예는 양 측단에 플레이트가 마주보게 설치된 바디부, 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비닐 및 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 플레이트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작물의 뿌리 또는 줄기를 잘라내기 위한 커팅휠, 비닐 및 작물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 및 밭이랑으로부터 작물을 채굴하는 삽날부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전방에 견인대(130)가 구비되며, 양 측단에는 플레이트(110, 120)가 설치된다. 견인대(130)는 바디부(100)를 트렉터 등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바디부(100)가 트렉터 등을 따라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110, 120)는 후술하는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를 따라 바디부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작물이나 비닐이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바디부(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하부컨베이어(300)는 후술하는 구동부(400)의 제 1 동력전달부(410)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부 주동축(310), 하부 주동축(310)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종동축(320), 및 하부 주동축(310)과 하부 종동축(320)을 연결하는 하부 컨베이어벨트(330)로 구성된다.
하부 주동축(310) 및 하부 종동축(320)의 양 단부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 컨베이어벨트(330)의 양 단부가 체인 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00)의 제 1 동력전달부(410)에 축 연결된 하부 주동축(310)이 회전하면, 하부 컨베이어벨트(330)가 구동되면서 하부 주동축(310)과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 종동축(32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하부컨베이어(300)가 동작을 한다.
상부컨베이어(200)는 후술하는 구동부(400)의 제 2 동력전달부(420)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 주동축(210), 상부 주동축(210)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종동축(220), 및 상부 주동축(210)과 상부 종동축(220)을 연결하는 상부 컨베이어벨트(230)로 구성된다.
상부 주동축(210) 및 상부 종동축(220)의 양 단부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컨베이어벨트(230)의 양 단부가 체인 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00)의 제 2 동력전달부(420)에 축 연결된 상부 주동축(210)이 회전하면, 상부 컨베이어벨트(230)가 구동되면서 상부 주동축(210)과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 종동축(22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부컨베이어(200)가 동작을 한다.
상술한 상부컨베이어(200)와 하부컨베이어(300)는 플레이트(110, 120)에 상하부간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작물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면서 상부컨베이어(200)와 하부컨베이어(300)의 사이를 통과하여 바디부(100)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결국, 작물이 이송될 때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도 함께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의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부컨베이어(200)와 하부컨베이어(300)가 상하부간 이격되어 설치되되, 플레이트(110, 120)에 인접한 양 단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맞물리면서 구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컨베이어(200)와 하부컨베이어(300)의 구동 시 밭이랑에 피복되었던 비닐은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의 양 단부 사이로 맞물려 이송되고 작물은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작물 및 비닐의 이송과정에서 비닐이 잘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므로비닐과 작물이 뒤엉키지 않게 된다.
구동부(400)는 트렉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하부컨베이어(300)를 구동시키는 제 1 동력전달부(410), 제 1 동력전달부(410)와 축 연결되어 상부컨베이어(200)를 구동시키는 제 2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동력전달부(41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풀리(411), 주동풀리(41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413), 및 구동벨트(413)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풀리(4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렉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동풀리(411)가 회전하면 이와 구동벨트(413)로 연결된 종동풀리(41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 1 동력전달부(410)가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체인과 스프로킷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동력전달 장치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 2 동력전달부(420)는 제 1 동력전달부(410)의 종동풀리(412)와 축 연결되는 제 1 기어(421), 및 상기 제 1 기어(4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422)를 포함한다.
제 1 동력전달부(410)의 종동풀리(412)와 제 1 기어(421)의 연결은 상술한 하부컨베이어(300)를 구성하는 하부 주동축(3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종동풀리(412)와 하부 주동축(310)이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 주동축(310)이 제 1 기어(421)와 축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동력전달부(4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동력을 제 2 동력전달부(4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기어(422)는 제 1 기어(421)와 치합되어 회전한다. 제 2 기어(422)는 상술한 상부컨베이어(200)를 구성하는 상부 주동축(210)에 축 연결되어 제 1 기어(421)에 의한 구동력을 상부 주동축(210)에 전달하게 된다.
제 1 기어(421) 및 제 2 기어(42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위해서 제 1 기어(421)와 제 2 기어(422)의 직경이 동일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잇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기어(421)에 연결되는 하부컨베이어(300)와 제 2 기어(422)에 연결되는 상부컨베이어(200)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게 하여 상부컨베이어(200)의 이송력과 하부컨베이어(200, 300)의 이송력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작물이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 사이를 통과하여 바디부(100)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팅휠(500)과 가이드부(600)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10)는 바디부(100) 전방에서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플레이트(110, 120)에 설치되는 커팅휠(500)과 가이드부(600)를 포함한다.
커팅휠(500)은 원판 형상으로 원둘레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잘라낼 수 있다. 커팅휠(500)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봉 형상의 수직로드(510)의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로드(510)의 타단이 플레이트(110, 120)에 형성된 제 1 고정부(140)에 삽입된다. 따라서 커팅휠(5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한 후 제 1 고정부(140) 외측에서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커팅휠(500)은 양 플레이트(110, 12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수확기(10)가 전진하는 동안 밭이랑을 벗어난 작물의 뿌리를 자른다. 이는 밭이랑을 벗어난 작물의 뿌리나 줄기에 부착되는 흙덩어리나 돌 등의 이물질로 인해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의 이송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600)는 이송되는 비닐을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 사이로 안내하기 위해 곡선을 그리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610), 상기 가이드바(610)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구비되는 판 형상의 가이드핀(620), 및 가이드바(6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지지부(630)를 포함한다.
가이드바(610)는 이송되는 비닐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가이드핀(620)은 가이드바(610)의 하단으로 밀착되는 비닐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지지부(630)는 상기 수직로드(5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육면체 형상의 제 2 고정부(520)에 삽입되고, 제 2 고정부(520) 외측에서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가이드바(6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삽날부(700)를 설명한다.
삽날부(700)는 판형상으로서 하부컨베이어(3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주보는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 설치된다. 삽날부(700)의 일단은 하부컨베이어(300)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지표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삽날부(700)의 타단이 지표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트렉터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작물 수확기가 전진하는 동안 삽날부(700)가 지표면에 삽입되어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삽날부(700)는 밭이랑으로부터 작물 및 토양을 계속적으로 퍼 올리게 되고, 채굴된 작물 등은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 사이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삽날부(700)의 타단은 지표면을 향하는 자유단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날카로운 칼날은 삽날부(700)가 지표면에 삽입되어 작물 등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길고 산발적으로 성장된 작물 및 잡초 등의 뿌리를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뿌리에 부착된 많은 양의 흙덩어리가 작물과 함께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면 1, 2,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 및 작물의 일부를 바디부(100) 전방에서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 사이를 통과하도록 위치시킨다. 비닐 및 작물의 일부가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 사이에 놓이면 트렉터가 제 1 동력전달부(410)의 주동풀리(411)에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전진하며, 삽날부(700)는 계속적으로 작물 및 토양을 퍼올리게 된다.
주동풀리(411)는 구동벨트(413)에 의해 종동풀리(412)를 회전시킨다. 이때, 종동풀리(412)와 축 연결된 하부컨베이어(300)의 하부 주동축(310)이 회전하게 된다. 하부 종동축(320)은 상기 하부 주동축(310)과 이격되어 하부 컨베이어벨트(330)로 연결되므로 하부 주동축(310)의 회전에 의해 하부컨베이어(300)가 작동을 하게 된다.
제 1 동력전달부(410)의 종동풀리(412)는 하부 주동축(310)과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 주동축(310)은 제 2 동력전달부(420)의 제 1 기어(421)와 축 연결되므로, 제 1 동력전달부(410)에 의한 구동력이 제 2 동력전달부(420)에 전달된다.
제 2 기어(422)는 제 1 기어(421)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 기어(421)의 회전에 따라 제 2 기어(422)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기어(422)는 상부컨베이어(200)의 상부 주동축(210)과 축 연결되므로 제 2 기어(422)의 회전에 따라 상부 주동축(210)이 회전하게 된다.
상부 주동축(210)과 상부 종동축(220)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컨베이어벨트(230)로 연결되므로 상부 주동축(210)의 회전으로 상부컨베이어(200)가 구동된다.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가 이격되어 구동되므로 상부컨베이어(200)는 작물의 상부에서 이송력을 발생시키고 하부컨베이어(300)는 작물의 하부에서 이송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컨베이어(200, 300) 사이에서 작물이 바디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며, 이때 비닐이 함께 끌려오게 되어 밭이랑으로부터 비닐이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트렉터가 전진함에 따라 밭이랑을 피복하고 있던 비닐과 작물이 상부컨베이어(200) 및 하부컨베이어(300) 사이에 맞물려 점차 이송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는 트렉터 등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커팅휠이 밭이랑을 벗어난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하고, 뿌리 등이 절단된 작물과 비닐이 상부컨베이어 및 하부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면서 밭이랑으로부터 비닐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물이 밭이랑에 피복된 비닐과 뒤엉키지 않게 채굴될 수 있으므로 채굴된 작물을 쉽게 비닐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물을 별도로 뒤엉켜진 비닐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바디부 200 : 상부컨베이어
300 : 하부컨베이어 400 : 구동부
500 : 커팅휠 600 : 가이드부
700 : 삽날부

Claims (7)

  1. 양 측단에 플레이트가 마주보게 설치된 바디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컨베이어;
    상기 상부컨베이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컨베이어; 및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일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와 축 연결되어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2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전방의 좌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하는 커팅휠을 더 포함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휠은 원판 형상으로 원둘레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작물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휠은 내부가 관통된 사각봉 형상의 수직로드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로드의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로드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육면체 형상의 제 2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곡선을 그리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판 형상의 가이드핀을 갖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서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주보는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컨베이어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지표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삽날부를 더 포함하는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KR1020140147759A 2014-10-28 2014-10-28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KR20160049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59A KR20160049929A (ko) 2014-10-28 2014-10-28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59A KR20160049929A (ko) 2014-10-28 2014-10-28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929A true KR20160049929A (ko) 2016-05-10

Family

ID=5602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759A KR20160049929A (ko) 2014-10-28 2014-10-28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7172A (zh) * 2016-12-28 2017-05-3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适于铲筛式残膜回收机的膜土分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7172A (zh) * 2016-12-28 2017-05-3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适于铲筛式残膜回收机的膜土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163B1 (en) Tilling apparatus
KR101674721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US3971446A (en) Agricultural do-all machine
US20160088786A1 (en) Active coulter planting system
US20160212931A1 (en) Agricultural seeding and harvesting system
CN115226509A (zh) 一种茶苗扦插方法
KR101578654B1 (ko) 로터리
KR101084369B1 (ko) 동력장치 부착형 근채류 수확기
CN103535142A (zh) 一种能够自动导苗的免耕育苗移栽机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CN203467186U (zh) 一种能够自动导苗的免耕育苗移栽机
US4166351A (en) Agricultural do-all machine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KR1021929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절단장치
KR20160049929A (ko) 비닐분리 수단을 구비한 작물 수확기
CN203167554U (zh) 播种机
KR101170513B1 (ko) 조사료 수확기의 가변폭 예취기구
KR200461744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CN104929099A (zh) 治沙联合作业机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KR20150079327A (ko) 감자 파종기
CN204350627U (zh) 播种收割一体机
JP2017205079A (ja) 茎葉処理機
RU2313208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посадки
KR102265053B1 (ko) 정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