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867A -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 Google Patents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867A
KR20160049867A KR1020140147610A KR20140147610A KR20160049867A KR 20160049867 A KR20160049867 A KR 20160049867A KR 1020140147610 A KR1020140147610 A KR 1020140147610A KR 20140147610 A KR20140147610 A KR 20140147610A KR 20160049867 A KR20160049867 A KR 2016004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dust
loading box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0810B1 (en
Inventor
조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Priority to KR102014014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8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or for fugitive dust using an air curt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lector for fugitive dust using an air curtain capable of collecting fugitive dust generated when an unloading material is unloaded to a loading box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such as a container box by using a crane from a ship anchored in a harbor or the like, by using a dust collecting unit, and preventing fugitive dust generated inside a loading box from being diffused to the outside by forming an air curtain layer on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or for fugitive dust capable of collecting fugitive dust generated when an unloading material is unloaded to a loading box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comprises: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n air inlet, a filtered dust collecting unit, and an air outlet for collecting fugitive dust generated inside the loading box; and an air curtain unit for forming an air curtain layer covering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by using air sprayed to prevent fugitive dust generated inside the loading box from being diffus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box.

Description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만에 정박한 선박 등으로부터 하역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상부가 개구된 적재박스에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집진부를 이용하여 집진하되, 적재박스의 개구된 상부에 에어커튼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Scattered dust generated by the inside of the stacking box can be prevented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by forming an air curtain layer on the opened top of the stacking box by using a dust collecting unit will be.

일반적으로 항만에는 선박에 의해 운반된 곡물, 사료, 비료 등과 같은 하역물을 내륙에 위치한 수요처로 이송하기 위해 버킷이 구비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호퍼 또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적재박스에 하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harbor is loaded and unloaded to a loading box such as a hopper or a container box by using a crane equipped with a bucket for transporting freight such as grain, feed, fertilizer and the like carried by the ship to a customer located inland.

그러나, 적재박스 내부는 하역물의 낙하에 따라 다량의 비산먼지가 발생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동시에 건강을 해하게 된다.However, a large amount of scattering dust is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due to falling of the unloading object, thereby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and also causing health problems.

만일, 적재박스 내부의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환풍기 등을 사용하여 비산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비산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어 항만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고, 이로 인한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어 환풍기를 사용하여 비산먼지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If the fugitiv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using an air blower or the like to remove the scattered dust inside the loading box, a large amount of fugitiv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olluting the air around the port, and a complai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discharge the scattered dust to the outside by using the ventilator.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902호(공개일자: 2011.10.05.)에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이 제안된 바 있다.In recognition of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a "scattered du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a port" has bee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1-0107902 (published on October 10, 2011).

상기의 종래기술은 전기집진장치를 구비하여 비산먼지를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dust collector to collect and remove fugitive dust.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적재박스의 외부로 확산되는 비산먼지까지는 전기집진장치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아 완벽하게 포집 및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completely capture and remove the scattering dust diffused to the outside of the stacking box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물의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집진부를 이용하여 집진하되, 적재박스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에어커튼층을 형성하여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urtain layer for collecting scattered dust generated when a cargo is unloaded by using a dust collecting unit, Scattered dust generated by the inside of the stacking box can be prevented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하역물을 상부가 개구된 적재박스에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비산먼지 집진 장치에 있어서, 공기흡입구, 여과집진부 및 공기배출구를 갖고, 상기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와; 상기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가 상기 적재박스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박스의 개부된 상부를 커버하는 에어커튼층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fog-free dust collector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icking up fugitive dust generated when an unloaded object is unloaded from a loading box having an opened top,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filtering dust collecting part and an air discharging port and collecting scattered dust generated inside the loading box; An air curtain portion forming an air curtain layer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tacking box using air to prevent scattering dust generated inside the stacking box from diffusing out of the stacking box;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상기 적재박스의 외측에서 지상에 세워지는 복수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커튼부는,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변에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에어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흡입구의 입구가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마주보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uppor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erected on the ground outside the loading box and an upper frame inter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Frame; Wherein the air curtai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spraying air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sucking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nozzles, And an inle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facing the air injection nozz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하역물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역물감지센서와;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하역물감지센서에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하역물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gitiv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unloading water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nloading objec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to be stopped while the unloading object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sensed in the unloading water detection sensor;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박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층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상기 상부프레임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g-fre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has a length of the supporting pillar so that the height of the air curtain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height of the loading box, And the upper fram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column by the user's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상기 에어커튼부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집진부의 공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cattered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curtain part uses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ng par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집진부를 통하여 하역물의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에어커튼층를 통하여 적재박스의 외부로 비산먼지가 확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the fog-type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fugitive dust generated upon unloading of the unloading object through the dust collecting p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spre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센서 및 제어부를 통하여 에어커튼층이 필요한 경우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적재박스의 규격에 따라 에어커튼층이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층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콤프레셔 등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fugitiv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ir curtain layer to be formed when necessary through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and can control the height at which the air curtain layer is formed And an air curtain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portio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compressor or the like for forming the air curtain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fugitive dust collector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ttered dust collector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cattering dust collector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ugitive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ugitive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구성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g-type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ide view.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항만에 정박한 선박 등으로부터 곡물, 사료, 비료 등과 같은 하역물(M)을 버킷이 구비된 크레인(C)을 이용하여 호퍼 또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상부가 개구된 적재박스(B)에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D)를 집진하는 장치로서 지지프레임(10)과, 집진부(20)와, 에어커튼부(30)와, 하역물감지센서(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rough 4, a fog-free dust collector using an air curtai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e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unloaded object M such as grain, feed, fertilizer, A dust collecting part 20, and an air blowing part 20 as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cattered dust D generated upon unloading in a loading box B having an upper part opened, such as a hopper or a container box, A curtain section 30, a cargo water sensor 40, and a control section 50. [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적재박스(B)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프레임 구조물로서 지지기둥(11)과, 상부프레임(12)과, 이동바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frame 10 includes a support post 11, an upper frame 12, and a movement wheel 13 as a frame structure having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oading box B therein.

상기 지지기둥(11)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박스(B)의 외측에서 지상에 세워지는 구성이다.The supporting posts 11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members and are erected on the ground from the outside of the loading box 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상기 적재박스(B)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지상에 4개의 지지기둥(11)이 세워지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지지기둥(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기둥(12)의 하단부에는 이동바퀴(13)가 구비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supporting pillars 11 are formed on the groun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stacking box B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illars 11, And a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illar 12. A moving wheel 13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illar 12. [

상기 상부프레임(12)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11)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4개의 지지기둥(11)에 대응되게 4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커튼부(30)의 구성인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에어커튼층(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타측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분사노즐(31)에서 분사된 에어가 흡입될 수 있는 집진부(20)의 공기흡입구(21) 입구(211)가 구비된다.The upper frame 12 is configured to connect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 to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12 is formed into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ur support pillars 11, A plurality of air jet nozzles 31 constituting the air curtain portion 3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air curtain layer A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12 And an inlet 211 of the air suction port 21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 through which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jet nozzle 31 can be sucke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기둥(11)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분할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실린더(미도시) 등의 작동에 의해 다단으로 분할된 지지기둥(11)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포개지거나 펼쳐지며 전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기 적재박스(B)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층(A)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4, each of the support pillars 11 is divided into multi-stages, and the support pillars 11 are divided into multi-stages by the operation of a cylinder (not shown) (11) are folded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frame (11) can be expanded or shrunk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12) from the ground surface is adjusted and the air curtain layer ) Can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1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적재박스(B)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층(A)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5, the upper frame 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pillars 11 by the user's manipula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B The height of the air curtain layer A can be adjusted.

상기 이동바퀴(13)는 상기 지지기둥(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moving wheel 13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st 11 to allow the support frame 10 to move on the ground.

한편, 상기 이동바퀴(13)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작업 위치로 이동 후 그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wheel 13 is provided with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does not move at the position after moving to the working position.

상기 집진부(20)는 공기흡입구(21), 여과집진부(22) 및 공기배출구(23)를 갖고, 상기 공기흡입구(21)의 입구(2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비산먼지가 흡입되며, 흡입된 비산먼지가 상기 여과집진부(22)에서 집진되고, 여과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dust collecting unit 20 has an air inlet 21, a filtering and dust collecting unit 22 and an air outlet 23. The dust is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an inlet 211 of the air inlet 21, Scattering dust is collected in the filter dust collector 22 an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23. [

상기 공기흡입구(21)의 입구(211)는 상기 에어분사노즐(31)에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분사노즐(31)을 마주보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의 타측변에 구비되는데, 원활한 공기 흡입을 위하여 전광후협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The inlet 211 of the air intake port 21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12 facing the air injection nozzle 31 so as to suck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nozzle 31 , And is tapered in the shape of an all-optical tube for smooth air suction.

상기 집진부(20)의 작동 원리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20)의 특징은 상기 공기배출구(23)가 상기 에어커튼부(30)의 에어분사노즐(31)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분사노즐(31)로 공기를 공급하는 점이다.The air discharge port 23 is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nozzle 31 of the air curtain unit 30 to supply air to the air injection nozzle 31, .

상기 에어커튼부(30)는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박스(B)의 개부된 상부를 커버하는 에어커튼층(A)을 형성하는 구성이다.The air curtain part (30) is configured to form an air curtain layer (A) covering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B) by using air to be injec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에어커튼층(A)에 의해 상기 적재박스(B)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D)가 상기 집진부(20)의 공기흡입구(21) 입구(211)로 흡입되도록 유도됨과 동시에 비산먼지(D)가 상기 적재박스(B)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cattered dust D generated inside the stacking box B by the air curtain layer A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inlet 211 of the air inlet 21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attering dust D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of the stacking box B.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커튼부(30)의 구성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1)이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분사노즐(31)은 상기 집진부(20)의 공기배출구(23)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배출구(2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층(A)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31 for injecting air in the air curtain 30 are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12, and the air injection nozzles 31 And the air curtain layer A is formed by us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3 connected to the air outlet 23 of the dust collector 2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1)이 설치된 상부프레임(12)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적재박스(B)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층(A)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of the air curtain layer 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acking box B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12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31 as described above. Lt; / RTI >

상기 하역물감지센서(40)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하역물(M)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내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포토센서,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ad sensing sensor 40 senses whether the unloading object M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12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50, Sensor or the like.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하역물감지센서(40)에서의 하역물(M)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노즐(3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하역물(M)이 상부로부터 낙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의 내부 즉, 에어커튼층(A)을 통과하는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에어분사노즐(31)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낙하되는 하역물(M)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가 상기 에어분사노즐(31)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의 충돌에 의해 오히려 외부로 확산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31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argo M is detected by the cargo water sensor 4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air injection nozzle 31 from being operated when it falls from the upper part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12, that is, the air curtain layer 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ed scattered dust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air jetted by the air jet nozzle 31. [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fugitive dust collector using the air curtai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 적재박스
C 크레인
M 하역물
D 비산먼지
10 지지프레임
11 지지기둥
12 상부프레임
13 이동바퀴
20 집진부
21 공기흡입구
22 여과집진부
23 공기배출구
30 에어커튼부
31 에어분사노즐
40 하역물감지센서
50 제어부
B loading box
C crane
M unloading water
D scattering dust
10 support frame
11 Support column
12 Upper frame
13 wheels
20 dust collecting part
21 Air intake
22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part
23 Air outlet
30 Air curtain part
31 Air injection nozzle
40 Unloading water detection sensor
50 control unit

Claims (5)

하역물을 상부가 개구된 적재박스에 하역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비산먼지 집진 장치에 있어서,
공기흡입구, 여과집진부 및 공기배출구를 갖고, 상기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와;
상기 적재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비산먼지가 상기 적재박스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박스의 개부된 상부를 커버하는 에어커튼층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A fugitive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fugitive dust generated upon unloading an unloading object into a loading box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n air inlet, a filtering dust collecting part and an air discharging port and collecting scattered dust generated inside the loading box;
An air curtain portion forming an air curtain layer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tacking box using air to prevent scattering dust generated inside the stacking box from diffusing out of the stacking box; Where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an air curt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박스의 외측에서 지상에 세워지는 복수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커튼부는,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변에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에어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흡입구의 입구가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마주보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erected on the ground outside the loading box and an upper frame inter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air curtai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spraying air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Wherei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facing the air jet nozzle so that an inlet of the air suction port can suck air blown from the air jet nozzl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하역물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역물감지센서와;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하역물감지센서에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하역물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load sens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unloading objec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to be stopped while the unloading object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sensed in the unloading water detection sensor; Further comprising an air-curta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박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층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상기 상부프레임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ing fram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column is adjustable by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air curtain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Wherein the dust collector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pillar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집진부의 공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curtain part uses air discharged from an air discharge port of the dust collecting part.
KR1020140147610A 2014-10-28 2014-10-28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KR101630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10A KR101630810B1 (en) 2014-10-28 2014-10-28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10A KR101630810B1 (en) 2014-10-28 2014-10-28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67A true KR20160049867A (en) 2016-05-10
KR101630810B1 KR101630810B1 (en) 2016-06-15

Family

ID=5602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610A KR101630810B1 (en) 2014-10-28 2014-10-28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8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90A (en) * 2019-02-26 2020-09-04 주식회사 필옵틱스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laser cutting processing
KR102402568B1 (en) *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of harbor loading and unloa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83B1 (en) * 2020-05-21 2021-10-14 주식회사 피엠테크솔루션 Device having module for making air-curtain around filter b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5840B2 (en) * 1990-10-15 1999-02-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Waste transshipment facility
JP2003206036A (en) * 2002-01-15 2003-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Unloader and dust collecting method for bulk (bulk cargo) in unloader
KR20110004197U (en) * 2009-10-20 2011-04-27 임동일 Hopper for low dust type
KR20110066368A (en)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Unloader controllable to water sprinkler of unloader hop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5840B2 (en) * 1990-10-15 1999-02-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Waste transshipment facility
JP2003206036A (en) * 2002-01-15 2003-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Unloader and dust collecting method for bulk (bulk cargo) in unloader
KR20110004197U (en) * 2009-10-20 2011-04-27 임동일 Hopper for low dust type
KR20110066368A (en)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Unloader controllable to water sprinkler of unloader hopp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90A (en) * 2019-02-26 2020-09-04 주식회사 필옵틱스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laser cutting processing
KR102402568B1 (en) *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of harbor loading and un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810B1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810B1 (en) Collector for scattered dust using air curtain
CN105555388B (en) The modularization cleaner for airborne dust with detachable box
KR101015999B1 (en) A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for mushroom
KR200483073Y1 (en) Fume removing apparatus for wafer storage
WO2001064558A1 (en) Device for capturing dust in the loading of concrete mixer trucks
ES2296239T3 (en) SAND JET DEVICE.
KR102354996B1 (en) The scattering dust removal system
NL2005047C2 (en) DEVICE FOR PERFORMING SURFACE TREATMENT.
JP5879423B1 (en) Cover for dust scattering prevention of crusher
KR101450304B1 (en) Dust collector
KR101592390B1 (en) wheel cleaning apparatus for a lifting vehicles
KR20070018496A (en) A reclaimer for preventing dust dispersing
KR101591390B1 (en) Dust scattering suppress device for port
KR101622773B1 (en) A filter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material from inflow in inlet of fan
KR200479561Y1 (en) Clean booth provided with double air curtain
CN211418929U (en) Bagged water mud loading dust collector
ITMI20080963A1 (en) PAINTING CABIN WITH DUST BLASTING SYSTEM
CN208711328U (en) Storing dedusting cabin
KR101536694B1 (en)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KR101859596B1 (en) Controlling airflow method of cleanroom
ITBO20080511A1 (en)
KR101859593B1 (en) Air controlling system for cleanroom
GB2214906A (en) Preventing dust release when loading trucks
KR100951533B1 (en) Small-sized dust collector
NL2000530C2 (en) Dust removing arrangement for workplace, has bladder system resources present on edge of workplace and air bladders, so that ambient air is prevented from outside of workplace, where ambient air flows within the work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