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125A -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125A
KR20160049125A KR1020140145177A KR20140145177A KR20160049125A KR 20160049125 A KR20160049125 A KR 20160049125A KR 1020140145177 A KR1020140145177 A KR 1020140145177A KR 20140145177 A KR20140145177 A KR 20140145177A KR 20160049125 A KR20160049125 A KR 20160049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lever
combine
switch
power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7332B1 (en
Inventor
강영선
김수경
이관호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332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1Automatic heade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01D57/02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 A01D57/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control height of a cutting portion and a rake reel in a combine,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the cutting portion and the rake reel. The device comprises: a rake reel automatic switch (42b) installed on a main transmission lever (42) to control a driving speed of the combine; a rake reel manual switch (42a) installed on the main transmission lever (42) to manually control height of the rake reel; a power steering lever (44) to control steering of the combine and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cutting portion; a control unit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nual switch (42a), the automatic switch (42b) and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nd a valve body (52) to control oil respectively supplied to a first hydraulic cylinder and a second hydraulic cylinder. By operating the power steering leve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valve body (52) to lower the rake reel by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turned on, in case the cutting portion is lifted up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By operating the power steering leve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valve body (52) to lift up the rake reel by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turned on, in case the cutting portion is lowered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harvester and rake reel in comb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크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loading unit and a raycle loading / unloading apparatus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structuring a raycle and a pre- .

콤바인은 일반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기초로 하여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주행 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 그리고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취부는, 예취프레임의 내부에 작물을 잡아 당기기 위한 레이크릴과, 상기 레이크릴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날, 그리고 예취날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을 탈곡부로 이송하기 위한 예취오거를 포함하고 있다. Generally, the combine consists of a running section that runs on the basis of the power of the engine, a preliminary section that assumes the crop during running of the running section, and a threshing section that treads the grains in the cut section. The cutting section includes a raycril for pulling the crop inside the cutting frame,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crop pulled by the raycril, and a cutting auger for feeding the cutting blade cut by the cutting blade to the threshing section .

그리고 콤바인의 운전석에는, 무단 변속 장치인 HST의 조작과 관련되고 주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장치와, 트랜스미션의 조작과 관련되고 주행 단수를 제어하는 부변속 장치, 그리고 조향을 담당하는 파워스티어링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콤바인에서 상술한 예취부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예취프레임 자체가 일점을 지지축으로 하여 전방부분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driver's seat of the combine includes a peripheral spe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ravel, which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ST, which i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 sub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ravel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a power steering lever Respectively. In the combine, the cut-ou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For example, the cut-off frame itself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using a hydraulic cylinder.

또한 예취부를 구성하는 레이크릴도 예취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의 승하강은 작업 상태에 따라서 그리고 주행 및 파킹 상태에 따라서 그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파킹 상태에서는,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을 가장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행 상태에서는 예취프레임을 일정한 높이, 예를 들면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 후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실제 작업 시에는 작업 대상 작물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Also, the laquer which constitutes the cu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fram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tting frame and the raycril in this manner is intended to set the heigh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working state and the traveling and parking state. For example, in the parked state, it is desirable to keep the cut frame and the laquer to the lowest state. In the running state, it is general to operate the cutting frame after raising the cutting frame to a certain height, for example, the highest position. In addition, during the actual work, the height of the cutting frame and the raycril is adjusted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crop to be worked.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예취프레임을 승하강 시키는 것은 파워스티어링레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레이크릴의 승하강은 별도의 레버를 통하여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콤바인의 주행 상황에서는 오른손은 파워스티어링레버를 그리고 왼손은 주변속레버를 잡은 상태로 운전해야 한다. 그러나 콤바인의 조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을 위해서는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을 조작해야 하는데, 이러한 조작을 위해서 각각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 또는 레버 등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up and down of the cut frame is performed by the power steering lever, and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rame is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lever. Therefore, i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ombine, the right hand should operate with the power steering lever and the left hand with the lever caught around. However, in the operation of the combin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cut frame and the lay-crill for the work, and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s or the levers or the like provided at the different parts follows.

그리고 일본 특허 제4111051호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행속도를 변속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에 레이크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릴승강스위치를 설치하고, 예취프레임의 승하강 및 좌우 조향을 제어하는 부변속레버에는 레이크릴을 수동으로 상하 움직이는 수동 우선의 수동 상하 스위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릴승강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위치까지 레이크릴을 하강시키는 기술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레이크릴 및 예취프레임의 조작 기구 만으로는 충분한 사용편의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In Japanese Patent No. 4111051, a peripheral speed lever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change of the running speed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s provided with a reel-up / down switch for moving the rachel wheel up and down and controls the up / down / right / A manual priority manual up / down switch that manually moves the rachel wheel up and down is proposed for the shift lever. Also,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lso proposed a technique of lowering the laqu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operating a reel-up / down switch. However, sufficient operating convenience can not be ensured only by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laquerile and the cut frame proposed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은 파킹 상태에서 주행, 그리고 작업지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때의 각각의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의 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편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을 원하는 위치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착안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each of the cut frames and the laikrill when traveling in a parked state and performing a work in a work paper, the cut frame and the raycril are moved up and down to a desir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여러 가지 상태를 고려하여,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의 이동을 아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carrying out a movement of a cut frame and a laque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tates of a combine.

본 발명의 승하강장치는,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작물을 잡아당기며 제2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레이크릴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콤바인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에 설치되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와; 상기 주변속레버에 설치되어 레이크릴의 수동으로 승하강시키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 콤바인의 조향 제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 상기 수동스위치 및 자동스위치,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에 각각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하강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상승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한다. The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loading portion rotatably supported on a main frame an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a first hydraulic cylinder, a second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preloading portion, To a combine having a raycl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by a lift mechanism. And a reel automatic switch installed on a lever for controlling the running speed of the combine; A lever lock switch installed on the peripheral speed lever and manu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lever; Steering control of the combine and power steering lever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ounting part;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nual switch, the automatic switch, and the power steering lever; And a valve body for controlling the oil supplied to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respectively,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Here, when the cut-off portion rises through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body so that the rake wheel descends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automatic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cutting portion is lower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body so that the raycle rises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automatic switch is turned on.

그리고 레이크릴의 하강은, 레이크릴의 최저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descent of the laquer can be configured to run to the lowest point of the laikrir or to descend while the automatic switch is on.

그리고 레이크릴의 승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까지 수행되거나, 레이크릴의 최고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raycril can be performed up to the position set by the control section, up to the highest point of the rachel, or elevated while the automatic switch is in the on state.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및 작업이 완료된 경우, 레이크릴 수동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푸쉬스위치로 구성되어 터치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자동스위치에 의하여 레이크릴이 자동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승하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어 예취부가 상승하게 되면 레이크릴은 자동으로 하강하게 되고, 작업의 시작을 위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면 레이크릴은 자동으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양손 조작 없이, 간단한 온오프 조작에 의하여 콤바인의 레이크릴 및 예취부를 소정의 위치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작업 전후의 콤바인의 조작성이 보다 쉽고 간편해지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work is actually started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push switch is operated without operating the manual reels manually, and the push- It can be seen that the crick can automatically ascend and desc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work is completed and the cut-off portion is raised, the raycril is automatically lowered. When the cut-off portion is lowered to start the work, the raycril is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combine lycra and cut-off por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simple on-off operation without complicated two-hand opera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operability of the combin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and simpler, and the ease of use is expected to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의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콤바인의 운전석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강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illustrative illustration of a combine with a hydraulic cylinder for driving a preamplifier and a laquer.
2 is an exemplary view of a driver's seat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승하강 장치가 적용되는 콤바인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엔진에서의 구동력에 의한 주행하는 한 쌍의 크롤러로 구성되는 주행부(12)와, 상기 주행부에 의한 주행 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20), 그리고 상기 예취부(20)에서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부(14)를 포함하고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irst, a combine to which the up-dow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mbine includes a traveling section 12 composed of a pair of crawlers traveling by a driving force in the engine, a pre-loading section 20 for taking a crop during traveling by the traveling section, And a threshing section (14) for separating the grains from the curved section cut out from the curved section (20).

이와 같은 주행부(12), 예취부(20), 그리고 탈곡부(14)는 콤바인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예취부(20)는, 콤바인의 주행과 더불어 작물을 예취하고, 예취된 작물을 모아서 피더(16)를 통하여 탈곡부(14)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예취부(20)는,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벽(21)을 구비하는 예취프레임(22)과, 상기 예취프레임(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이크릴(24)을 포함하고 있다. The running unit 12, the preload unit 20 and the threshing unit 14 ar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10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whole combine. Then, the preloading unit 20 collects the crops along with the driving of the combine, collects the cut crops, and feeds them through the feeder 16 to the threshing unit 14. [ The preloading portion 20 includes a cutting frame 22 having a pair of side walls 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raycril 24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cutting frame 22 .

그리고 상기 예취프레임(22)은 본체프레임에 일점을 중심으로 지지되고 있고,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되고 있는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레이크릴(24) 자체도 예취프레임(22)에 지지되고 있는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고, 이러한 구성 역시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cut-off frame 22 is supported on the body frame at one point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supported by the body frame 10, Lt; / RTI > Further, the raycril 24 itself is supported by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supported by the cutting frame 22 such that it can be raised or lowered, and this configuration is also known.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콤바인의 운전석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운전석의 좌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레버(42)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의 정면 우측에는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변속레버(42)의 주기능, 예를 들면 HST를 제어하는 것에 의한 속도 제어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driver's seat of the comb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peripheral speed lever 42 for controlling the speed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a power steering lever 44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is provid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The speed control function by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42, for example HST,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그리고 상기 파워스티어링레버(44)도 종래와 같이, 조향을 제어하면서 예취부(20)의 승하강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좌우 방향 조작은 콤바인의 주행 시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의 조작은 상기 제1유압실린더(32)를 구동시킴으로써 예취부(20) 전체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승하강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Also, the power steering lever 44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reload part 20 while controlling the steering as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of the combine during running, and the ope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rive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to move up and down the entire pre-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변속레버(44)에는 예를 들면 전후 이동에 의한 속도 제어 이외에, 레이크릴(24)의 승하강을 위한 수동스위치(42a)와, 레이크릴의 자동 제어를 위한 자동스위치(4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스위치(42a)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이크릴(24)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스위치(42b)는 레이크릴(24)을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그 자체적으로는 동작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20)의 승하강시 같이 온(on)되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스위치(42b)는 온/오프 조작 가능한 스위치로 구성되며, 예취부(20)의 승하강 동작 시, 온 상태가 됨에 따라서 레이크릴(24)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The peripheral speed lever 44 is provided with a manual switch 42a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ever 24 and an automatic switch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lever 42b are provided. The manual switch 42a is for manually raising or lowering the raycril 24 by operating the manual switch 42a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automatic switch 42b is a switch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rachel 24 and does not operate on its own but when it is turned on as the elevating portion 20 ascends and descends as described later, And perform the operatio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constituted by a switch capable of ON / OFF operation, and control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raycril 24 as the preload section 20 is brought into the ON state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상기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와 자동스위치(42b)는 제어부(50)와 신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44) 역시 제어부(50)와 연결되어,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에 의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조향 및 예취부(20)의 승하강을 제어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manual reel relay switch 42a and the automatic switch 42b provided in the peripheral speed lever 4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in a signal connection manner.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steering and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steering unit 20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44.

다음에는 상기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의 기능에 대하여 도 3에 기초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수동 조작에 의하여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를 조작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수동스위치(42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조작을 수행하면, 제어부(50)는 이러한 신호를 전달받아서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된다. 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layout switch 42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Basically, when raycri 24 is to be raised or lowered by manual operation, the manual reel lock switch 42a is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for raising or lowering the manual switch 42a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signal to control the valve body 52. [

여기서 밸브체(52)는,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도시 생략)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상기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로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체이다. 이러한 밸브체(52)의 내부에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개폐)되는 것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가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 원리 자체는 현재 콤바인에 적용되는 것이다.Here, the valve body 52 controls to selectively supply the oil supplied from a hydraulic pump (not shown) driven by the engine to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respectively Valve body. A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are built in the valve body 52. The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are controlled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50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is operated, and this operation principle itself is applied to the current combine.

따라서 제어부(50)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밸브(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52)를 통하여,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32,34)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예취부(20) 또는 레이크릴(24)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through the valve body 52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operated valves (for example, solenoid valves) Can be controlled. Controlling the hydraulic cylinders 32, 34 here means that the preloading portion 20 or the reel 24 can be selectively raised or lowered.

위에서 설명한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를 조작하여 직접 원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레이크릴(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서는 예취부(20)의 승하강, 즉 제1유압실린더(32)를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과 동시에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를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raycril 24 can be adjusted so as to have a desired height directly by operating the manual reel manual switch 42a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on of the preload portion 20, that is, The automatic lever switch 42b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44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steering lever 32.

예를 들면,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온시킨 상태, 즉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조작하여 예취부(20)를 승하강 시키게 되면, 상기 레이크릴(24)도 같이 구동하게 된다. 제1실시예로써,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이용하여 예취부를 상승시키게 되면, 제어부(50)는 예취부(20)의 상승과 동시에 레이크릴(24)를 이동시키는 두 개의 명령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레이크릴(24)의 이동은 하강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preload section 20 in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switch 42b is turned on, that is, in a pressed state, the raycril 24 is also driven . When the cut portion is raised by using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n the state where the automatic switch 42b is being press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portion 50 controls the rake 24)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of the lithile 24 is set to fall.

이와 같이 파워스티어링레버(44)에 의하여 예취부(20)를 상승시키는 조작 및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가 되면, 제어부(50)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예취부(20)가 상승하도록 밸브체(52) 내부의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스위치(42b)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레이크릴(24)이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preload section 20 and the automatic switch 42b are turned on by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ction 50 controls the first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in the valve body 52 so that the preload unit 20 is raised by the hydraulic cylinder 32 an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solenoid valves 2 hydraulic cylinder 34 to control the valve body 52 so that the raycril 24 descends.

여기서 상기 레이크릴(24)의 하강은 상기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를 유지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면서,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유압실린더(34)를 통하여 레이크릴(34)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descent of the laquer 24 may be performed only while the automatic switch 42b is kept on. That is, the control unit 50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the automatic switch 42b is kept in the ON state, and only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kept in the ON state, 34) is lowered.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레이크릴(24)의 하강이 자동스위치(42b)의 원터치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파워스티어링레버(44)가 조작되어 제1유압실린더(32)가 예취부를 상승하는 도중에 자동스위치(42b)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자동스위치(42b)의 신호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입력된 후,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밸브체(52)를 제어하여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을 최저 높이에 이를 때까지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escent of the raycril 24 is performed by one-touch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 42b. When the signal of the automatic switch 42b is inputted or the signal of the automatic switch 42b is inputted at least once during the time when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s operated and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is lifted up to the cut portion,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ower steering lever 44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alve body 52 to control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until it reaches the minimum height.

이와 같이 예취부(20)가 상승할 때, 자동으로 레이크릴(24)을 하강시키는 제어방법은, 실질적으로 작업을 완료한 후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즉, 작업 시 예취부(20) 및 레이크릴(24)은 작물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작업이 완료된 후 이동을 위하여 예취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자동스위치(42b)를 한 번 누르거나 누른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제어하여 예취부(20)를 상승시키면 자동으로 레이크릴(24)은 최소 높이까지 내려가서 예취부(20)에 가장 근접한 상태로 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automatically lowering the lithile 24 when the preload part 20 is lifted will be very useful when it actually starts moving after completing the operation. That is, the working part 20 and the laecryl 24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rop. When the working part is to be moved up to the height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elevator 20 is raised by controlling the power steering lever 44 while the switch 42b is pressed once or pressed, the raycril 24 is automatically lowered to the minimum height, Lt; / RTI >

다음에는 예취부(20)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42b)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예취부(20)를 하강시킨다는 것은 콤바인의 이동이 완료되어 작업지에 도착한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이 완료된 후, 예취부(20)를 하강시키는 조작을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수행하면서 자동스위치(42b)를 온상태로 조작하면(누르면)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switch 42b when the preload part 20 is lowered. The lowering of the preloading unit 20 can be expected when the movement of the combine is completed and the workpiece arrives. Accordingly,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automatic switch 42b to be turned on (presses)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preload unit 20 through the power steering lever 44, .

먼저 제어부(50)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예취부(20) 하강 신호에 따라서 제1유압실린더(32)가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예취부(20)가 하강하면서, 상기 자동스위치(42b)의 온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24)를 상승시키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킬 때, 레이크릴(24)의 상승 정도는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alve body 52 so that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is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ing signal of the preload unit 20 through the power steering lever 44. [ At the same time, while the preloading section 20 is lowered, the control section 50 controls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to move the valve body 52 so that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raises the raycril 24 by the ON signal of the automatic switch 42b. . Here, when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raises the raycril 24, the degree of lift of the raycril 24 can be controlled as follows.

먼저 레이크릴(24)을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실시예를 들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가장 필요한 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술한 바와 같은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한 예취부 하강 및 자동스위치(42b)의 온 신호가 같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First, the raycril 24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preliminary lowering via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nd the ON signal of the automatic switch 42b are inputt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laikr 24 is set to a predetermined height, .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 실질적으로 작업 시 가장 많이 설정된 위치까지 레이크릴(24)을 하강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50)가 콤바인에서 작업 시 가장 자주 설정되는 위치를 기억하거나 저장부에서 이를 읽어내어서, 그에 해당하는 위치로 레이크릴(24)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34)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aycril 24 may be lowered to a position that is set at the most when the work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4 so that the control unit 50 can memorize the position most frequently set in the operation of the combine or read the same from the storage unit and move the raycril 24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

이와 같이 예취부(20)의 하강과 동시에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로 조작되는 경우, 레이크릴(24)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레이크릴(2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포지션센서)가 필요함은 당연하고, 이러한 위치센서는 실제로 공지된 것임과 동시에 콤바인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operated in the ON state simultaneously with the lowering of the preload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reamer 24 to the position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reamer 24 Needless to say, a position sensor (position sensor) for sensing is required, and this position sensor is actually known and applied to the combi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취부(20)의 승하강 조작이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또는 다른 조작레버를 통하여 이루어지면서, 자동스위치(42b)가 조작되면 레이크릴(24)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취부(20)의 상승 시에는 레이크릴(24)이 하강하고, 예취부(20)의 하강 시에는 레이크릴(24)이 상승하도록 제어부(50)가 밸브체(52)를 제어하고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operated while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preload unit 20 is performed through the power steering lever 44 or another operation lever, It can be seen that the theme is to operate automatically.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alve body 52 so that the raycril 24 descends when the preloading unit 20 is lifted and the raycril 24 rises when the preloading unit 20 is lowered It is.

실제로 콤바인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파킹 상태를 제외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스위치의 조작은 실제로 원터치로 수행되거나 온/오프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어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오른손으로 조작하면서 왼손으로 손쉽게 자동스위치(42b)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간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fact, if you look at the status of the combine, you can see that most of the situations described above occur, except for the parking status.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ctually performed by one-touch operation or in the on / off state, so that the automatic switch 42b can be easily operated with the left hand while operating the power steering lever 44 with the right h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easy.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가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는 콤바인의 주행 또는 작업 시, 운전석에서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는 부분, 즉 주변속레버(42) 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별도의 스위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lever switch 42b is provided in the peripheral lever 4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utomatic lycra switch 4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eripheral lever 42 or the power steering lever 44 that is held by the operator with both hands at the driver's seat when the combine is traveling or working . Alternatively, the automatic switch 42b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witch.

본 발명의 자동스위치(42b)가 주변속레버(42) 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더라도, 주행 및 작업 시, 작업자는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콤바인에서 레이크릴(24)의 승하강 시 가장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Whether the automatic switch 42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42 or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turn on and off using one hand or both hands during traveling and work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ost convenient usability in raising and lowering the raycril 24 in the combi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 본체프레임
12 .... 주행부
14 ..... 탈곡부
16 ..... 피더
20 ..... 예취부
22 ..... 예취프레임
24 ..... 레이크릴
32 ..... 제1유압실린더
34 ..... 제2유압실린더
42 ..... 주변속레버
42a ..... 레이크릴 수동스위치
42b ..... 레이크릴 자동스위치
44 ..... 파워스티어링레버
50 ..... 제어부
52 ..... 밸브체
10 ..... body frame
12 ....
14 ..... Threshing section
16 ..... Feeder
20 ..... Yes Mounting
22 ..... Cutting frame
24 ..... Ray Krill
32 ..... first hydraulic cylinder
34 ..... 2nd hydraulic cylinder
42 ..... Around Lever
42a ..... Raychel manual switch
42b ..... Raycryl automatic switch
44 ..... Power steering lever
50 ..... controller
52 ..... valve body

Claims (5)

본체프레임(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예취부(20)와, 상기 예취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작물을 잡아당기며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레이크릴, 콤바인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레버(42), 그리고 콤바인의 조향 제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레버(42) 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어느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 및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
상기 수동스위치(42a) 및 자동스위치(42b),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에 각각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밸브체(5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42b)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고,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상승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A preloading part 20 rotatably supported on the main body frame 10 and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 and a preloading part 20 installed inside the preloading part 20 and pulling the crop by rotation A peripheral speed lever 42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combine, and a power steering lever 44 for steering control of the combine an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reliminary mounting portion. A preloading and laying-off device for a combined combine, comprising:
A lever automatic switch 42b and a lever manual switch 42a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42 or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 control unit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nual switch 42a, the automatic switch 42b, and the power steering lever 44; And
And a valve body (52) for controlling the oil supplied to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respectively, based on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n the cut-off portion rises through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eering lever, when the automatic switch 42b is turned on, the valve body 52 is controlled to desce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cut-off portion is lower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the valve body is controlled so that the raycle rises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when the automatic switch is turned 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하강은, 레이크릴의 최저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하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wering of the laquer is performed to the lowest point of the laquer, or is lowered while the automatic switch is in the on-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승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까지 수행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aycle is raised and lowered to a position set by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승강은, 레이크릴의 최고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승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aycril is performed up to the highest point of the raycril, or while the automatic switch is in the ON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 및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는 주변속 레버에 설치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reel lock switch (42b) and the manual reel lock switch (42a) are mounted on a lever in the periphery.





KR1020140145177A 2014-10-24 2014-10-24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KR101677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en) 2014-10-24 2014-10-24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en) 2014-10-24 2014-10-24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25A true KR20160049125A (en) 2016-05-09
KR101677332B1 KR101677332B1 (en) 2016-11-18

Family

ID=5602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en) 2014-10-24 2014-10-24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3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415B1 (en) * 2016-10-13 2018-05-1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of combine
US11272663B2 (en) 2018-03-01 2022-03-15 Deere & Company Harvester head reel with extendable b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4A (en) * 1997-07-11 1999-02-02 Kubota Corp Shift operation device for harvester
JP2007159468A (en) * 2005-12-13 2007-06-28 Kubota Corp Lever operation mechanism of combine harvester
KR20090117604A (en) * 2008-05-09 2009-11-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Reaping-harves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4A (en) * 1997-07-11 1999-02-02 Kubota Corp Shift operation device for harvester
JP2007159468A (en) * 2005-12-13 2007-06-28 Kubota Corp Lever operation mechanism of combine harvester
KR20090117604A (en) * 2008-05-09 2009-11-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Reaping-harvest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415B1 (en) * 2016-10-13 2018-05-1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of combine
US11272663B2 (en) 2018-03-01 2022-03-15 Deere & Company Harvester head reel with extendable b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332B1 (en)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973B2 (en) Lifting mechanism of the harvesting machine
US20140048294A1 (en) Control method for driving a ripper
KR10167733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JP6384063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3005770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06280271A (en) Transplanter
JP2007002430A (en) Cab in work machine
JPH06113605A (en) Ground work unit-elevating system of working vehicle
JP2008029212A (en) Farm working machine
JP2018033381A (en) Mulch rice transplanter
JP2018033382A (en) Mulch rice transplanter
JP2010099005A (en) Tea leaf plucker
JPH11196628A (en) Lifting and lowering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in paddy field
JP4073805B2 (en) Mobile farm machine
JP4600996B2 (en) Paddy field machine
JP2000175520A (en) Machine for ground work
KR101819963B1 (en) Cutting device lifter of Combine
JP7399072B2 (en) vegetable harvester
JP5404011B2 (en) Transplanter
KR101859415B1 (en) 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of combine
JP3200514B2 (en) Elevating device of reaper
JP3203129B2 (en) Elevating device of reaper
JP3142161B2 (en) Paddy field machine
JP2552032Y2 (en) Work vehicl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device
JP2019103397A (en) Trans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