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740A -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740A
KR20160048740A KR1020160047067A KR20160047067A KR20160048740A KR 20160048740 A KR20160048740 A KR 20160048740A KR 1020160047067 A KR1020160047067 A KR 1020160047067A KR 20160047067 A KR20160047067 A KR 20160047067A KR 20160048740 A KR20160048740 A KR 2016004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information
request
stream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천
방창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8740A/ko
Publication of KR2016004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 또는 메세지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서버의 스트리밍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서버에서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리딩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트리밍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INTER-CLIENTS IN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 또는 메세지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사용자 및 복수의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홈 서버(Home Server)와 상기 홈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받는 복수의 클라이언트(Client)로 구성된다. 또한 디지털 홈 네트워킹을 위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따라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디지털 미디어 제어 포인트인 DMC(Digital Media Control Point)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DMR(Digital Media Renderer)에 DMS(Digital Media Server)의 위치 및 DMS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를 지정하며, DMR은 지정된 컨텐츠를 DMS에 요청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홈 서버는 멀티미디어 검색 및 재생을 위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보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파일 이름과 같은 메타 데이터(Meta Data) 정보를 활용하여 필요로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이후 홈 서버는 검색된 컨텐츠 리스트를 미리 정의된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검색된 컨텐츠 리스트를 받아 리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다음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할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홈 서버로 전달되고, 홈 서버는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홈 서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및 재생 방식은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방식이기 때문에,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검색 방법은 제공하나 서버에서 현재 스트리밍하고 있는 컨텐츠 및 방송 등에 대한 검색이나 재생 등의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홈 서버 시스템은 소유한 컨텐츠의 분배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컨텐츠를 요청한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정보는 관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클라이언트 장치가 어떤 컨텐츠를 재생하는지 알 수 없으며,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와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자신의 클라이언트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다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컨텐츠를 검색하여 찾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사용자들의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및 다른 사용자의 정보 및 다른 클라이언트가 재생하고 있는 방송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쉽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서버의 스트리밍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서버에서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리딩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트리밍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제2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서버에서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리딩하는 연결 관리부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트리밍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타겟 스트리밍 컨텐트를 갖지 않은 타겟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상기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임-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스트리밍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타겟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사용자들 또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다른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및 사용자가 재생하고 있는 방송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재생중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홈 서버에 접속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의 정보, 다른 클라이언트가 시청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정보, 재생 상태 및 기타 정보 등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거나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 중인 컨텐츠의 주요 장면을 캡쳐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홈 서버에서 원격(Remote)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져(Browser)만 탑재하여 상기 기능을 홈 서버로부터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홈 서버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요청 송수신부의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연결 관리부의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홈 서버에 저장하는 스트리밍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원격 UI 제공부의 동작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스트리밍 업/다운에 대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각 클라이언트에 스트리밍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제1클라이언트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제3클라이언트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대상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 및 다른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며,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거나, 메세지나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은 정보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요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홈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현재 스트리밍 상황을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스트리밍 제공 요청으로부터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와 스트리밍을 제공할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타겟 클라이언트에게 추출된 대상 컨텐츠의 주소 또는 채널 정보를 제공하며, 타겟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대상 컨텐츠를 타겟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 서버 장치(100)는 튜너(105)와, 방송 수신부(110)와, 연결 관리부(115)와, 요청 송수신부(120)와,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와, 원격 UI(User Interface) 제공부(130)와, 데이터 베이스(DB, Database)(135)와, 컨텐츠 검색부(140)와, 내부 저장 장치(145)와, 외부 저장 장치(150)를 포함한다.
튜너(105)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복수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주어진 주파수(Frequency)로 채널을 선택하며,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경우에는 PTC(Physical Transmission Channel)로 채널을 선택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및 섹션 테이블 데이터(Section Table Data)를 분석하여 채널 리스트 및 방송 정보를 구성하며, DB(135) 등록 및 방송 재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컨텐츠 검색부(140)는 홈 서버(100)에 연결된 저장 장치(145, 150)의 리스트를 확보하여 저장 장치의 컨텐츠를 검색한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나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와 같은 방식을 통해 연결 가능한 저장 장치(145, 150) 리스트를 확보하여 DB(135)에 등록한다.
요청 송수신부(120)는 홈 서버(100)에 연결된 렌더러 장치, 즉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거나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요청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요청 송수신부(12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의 정보 및 해당 요청을 연결 관리부(115)로 전달하며, 현재 스트리밍 상황을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스트리밍 정보 요청에 대한 정보를 원격 UI 제공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요청 송수신부(120)는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요청에 포함된 타겟 클라이언트에 대상 컨텐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타겟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대상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대상 컨텐츠의 정보 및 해당 요청을 연결 관리부(115)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재요청을 수행하야 하는 이유는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을 보낸 장치가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홈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를 바로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타겟 클라이언트에 재생하도록할 대상 컨텐츠의 정보를 전달하여 타겟 클라이언트가 대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타겟 클라이언트에서 대상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원하지 않으면 그러한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연결 관리부(115)는 요청 송수신부(120)로부터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 정보를 전달 받으면, 해당 컨텐츠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송신부(125)로 전달한다. 또한 요청 송수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전송할 컨텐츠의 정보, 스트리밍 상태 정보 등의 스트리밍 정보를 DB(135)에 저장한다. 만약, 요청 받은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 경우는 방송 수신부(110)에 명령을 전달하여 요청된 방송 컨텐츠 스트림을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전달한다. 만약, 요청 받은 컨텐츠가 내부 저장 장치(145) 및 외부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로드(load)하여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전달한다. 또한 연결 관리부(115)는 현재 스트리밍 상황을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로 관리한다. 새로운 스트리밍이 시작되면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에 스트리밍 정보를 추가하며, 스트리밍이 종료되면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에 스트리밍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스트리밍 정보의 세부 내용은 DB(135)에 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리부(115)는 상기 요청 송수신부(120)로부터 실시간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채널 인덱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부(110)에 전달하며, 상기 방송 수신부(110)가 상기 채널 인덱스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여 실시간 컨텐츠를 상기 연결 관리부(115)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결 관리부(115)는 수신된 실시간 컨텐츠와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125)로 전달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실시간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송신부(125)는 연결 관리부(115)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을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및/또는 업로딩(Uploading)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원격 UI 제공부(13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현재 스트리밍 상황을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연결 관리부(115)에서 관리되는 클라이언트 정보, 컨텐츠 정보, 재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 및 각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되는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의 재생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현되는 정보는 썸네일 이미지나 아이콘, 간략화된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각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클라이언트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스트리밍 재생 요청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종래의 채널 선택과 유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컨텐츠 업/다운 요청 및 스트리밍 장치 업/다운 요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145) 및 외부 저장 장치(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다. 내부 저장 장치(145)는 홈 서버(100)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저장 장치(150)는 홈 서버(100) 외부에 위치하며 홈 서버(1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홈 서버(100)는 요청 송수신부(120), 멀티미디어 송신부(125), 원격 UI 제공부(130)를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201, 202, 203)들과 요청 신호, 컨텐츠 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 서버(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21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홈 서버(100)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201, 202, 203)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정보는 새로운 클라이언트가 연결될 때마다 수신될 수 있다.
다음 22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1, 202, 203)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220단계의 판단 결과 요청을 수신하지 않으면 대기하며, 요청을 수신하면 230단계로 진행한다. 230단계에서는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 정보 요청인지 판단한다. 230단계의 판단 결과 스트리밍 정보 요청인 경우에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스트리밍 정보 요청을 송신한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고 280단계로 진행한다. 이 때 스트리밍 정보는 현재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의 정보, 스트리밍을 받는 클라이언트의 정보, 스트리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230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 정보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25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요청이 컨텐츠 요청인지 판단한다. 25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명령이 컨텐츠 요청이 아니면 220단계로 다시 진행하며, 25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명령이 컨텐츠 요청이면 2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을 전송한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한다. 이 경우 요청된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부(110)에 요청 정보를 전달하여 채널을 선택하여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며, 요청된 컨텐츠가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인 경우에는 요청 정보를 컨텐츠 검색부(140)로 전달하여 해당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를 스트리밍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현재 스트리밍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바로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넘겨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의 스트리밍 대상을 추가하여 바로 스트리밍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27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 스트리밍 되는 컨텐츠 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와 재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정보를 저장하여 홈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35)에 저장된 스트리밍 정보를 갱신한다.
다음 280단계에서는 홈 서버(100)는 동작이 종료되는지 판단하여 동작이 종료하거나 220단계로 진행하여 동작을 반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홈 서버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의 동작 과정은 상기 도 2의 210단계의 동작에 해당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10단계에서 홈 서버(100)에 특정 클라이언트가 멀티캐스트 조인을 수행하면 32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 조인한 클라이언트를 검색한다. 다음 33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IP를 확보하고, 3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요청한다. 다음 350단계에서 홈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ID,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위치 등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DLNA또는 UPnP를 이용하여 홈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홈 서버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DLNA또는 UPnP를 이용한다. UPnP의 경우 모든 피제어 장치는 자신을 설명하는 디스크립션(Description) XML 파일(File)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파일은 UPnP Spec에 정의 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UPnP 발견(Discovery) 동작을 통해 UPnP 제어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요청 송수신부(12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0단계에서 요청 송수신부(120)는 클라이언트(201, 202, 203)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하고, 요청이 수신되면 420단계로 진행한다. 420단계에서는 수신된 요청을 분석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ID를 추출한다. 다음 430단계에서 요청 송수신부(120)는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 정보 요청인지 판단한다. 상기 430단계의 판단 결과 스트리밍 정보 요청인 경우에는 수신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원격 UI 제공부(130)로 전달하고 410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요청 수신을 대기한다. 상기 43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 정보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연결 관리부(115)로 제공하고 410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요청 수신을 대기한다.
원격 UI와 같이 홈 서버(100)에서 UI HTML을 클라이언트(201, 202, 203)에게 제공하는 경우, 홈 서버(100)에서 준비한 HTML 스크립트(Script)가 클라이언트(201, 202, 203)에 전송되기 때문에, 모든 요청 명령어 규약은 홈 서버(100)에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원격 UI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201, 202, 203)에서 클라이언트(201, 202, 203)와 홈 서버(100) 간의 요청 명령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요청 명령 제공 시 클라이언트(201, 202, 203)는 명령어 종류, 명령어에 따른 파라미터(parameter), 자신의 유니크(Unique) ID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201, 202, 203)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실시간 방송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실시간(Live) 채널 설정 요청, 실시간 방송의 채널을 녹화하기 위한 실시간 채널 녹화 요청,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실시간 채널 재생 요청(실시간 컨텐츠 요청),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저장된 컨텐츠 재생(Stored Contents Play) 요청,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저장된 컨텐츠 다운로드(Stored Contents DownLoad)요청, 현재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알기위한 스트리밍(Streaming) 정보 요청, 현재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컨텐츠 요청, 현재 다른 클라이언트들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컨텐츠 업/다운(Streaming Contents Up and Down), 현재 다른 클라이언트 들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장치(Streaming Device) 업/다운 요청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채널 설정 요청의 경우는 채널 인덱스(Index), 저장된 컨텐츠 재생 요청의 경우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컨텐츠 업/다운 요청은 방송 채널 업/다운과 같이 실시간 방송을 포함해서 스트리밍을 수행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해 다음 스트리밍 컨텐츠나 이전 스트리밍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에 컨텐츠를 기준으로 정렬(Sorting)하여 업/다운 시의 변경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스트리밍 장치 업/다운 요청은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있는 장치 리스트 중에 다음 장치 또는 이전 장치에서 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이다. 이에 장치의 타입(Type)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업/다운 시의 변경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렌더러(Audio Renderer)와 STB(Set-Top Box), TV, PMP(Portable Multivedia Player)와 같은 비디오 렌더러(Video Renderer)가 존재하는 경우, 스트리밍 장치 업/다운 명령은 먼저 비디오 렌더러의 장치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Navigation)한 후, 오디오 렌더러에 제공되는 컨텐츠로 이동하여 스트리밍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연결 관리부(115)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10단계에서 연결 관리부(115)는 요청 송수신부(12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510단계에서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대기하고, 명령을 수신하면 52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명령이 스트리밍 컨텐츠 요청인지 판단한다. 52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명령이 스트리밍 컨텐츠 요청이면 530단계로 진행하여 요청 정보에서 스트리밍 인덱스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송신부(125)로 전달하고 510단계로 다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현재 스트리밍중인 컨텐츠를 요청한 경우, 홈 서버(100)는 이미 방송 채널이나 저장 장치(145, 15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획득하여 스트리밍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며, 이 경우에는 바로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클라이언트의 장치 정보를 넘겨 현재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의 스트리밍 대상을 추가하여 바로 스트리밍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상기 요청 정보에서 스트리밍이 요청된 클라이언트 및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요청된 클라이언트로 상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스트리밍 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컨텐츠 로딩이나 선택 과정 없이 바로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520단계에서 수신한 명령이 스트리밍 컨텐츠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명령이 실시간 컨텐츠 요청인지 판단한다. 540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한 명령이 실시간 컨텐츠 요청인 경우에는 55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요청 정보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고 방송 수신부(110)로 전달하고 다시 510단계로 진행한다.
참고로, 실시간 컨텐츠를 요청을 수신한 경우, 연결 관리부(115)는 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 인덱스(Index) 정보를 방송 수신부(110)에 전달하고, 방송 수신부(110)는 주어진 채널 인덱스로 채널을 선택함으로서 요청되는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획득하여 연결 관리부(115)에 제공한다. 연결 관리부(115)는 수신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정보를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에 실시간 방송이 스트리밍되도록 한다.
540단계에서 수신한 요청이 실시간 컨텐츠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56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명령이 저장된 컨텐츠 요청인지 판단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10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수신한 요청이 저장된 컨텐츠 요청인 경우에는 57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저장된 컨텐츠 요청에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고 컨텐츠 검색부(140)로 전달한다.
참고로 저장된 컨텐츠를 요청한 경우에는, 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URI 정보를 컨텐츠 검색부(140)에 전달하고 컨텐츠 검색부(140)가 요청된 URI를 갖는 컨텐츠 데이터를 획득하여 연결 관리부(115)에 제공한다. 연결 관리부(115)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정보와 함께 멀티미디어 송신부(125)에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스트리밍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세 가지 컨텐츠 요청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면, 연결 관리부(115)는 스트리밍되는 클라이언트 정보와 컨텐츠 정보 그리고 주어진 시간마다 스트리밍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정보를 DB(135)에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스트리밍 정보 테이블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홈 서버에 저장하는 스트리밍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정보 테이블(Streaming Table)(610)은 스트리밍 인덱스(Streaming Index), 컨텐츠 키(contents key), 장치 키(Device Key), 재생 시작 시간(Play Start Time), 재생 길이(Play Duration)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컨텐츠는 컨텐츠별로 컨텐츠 정보 테이블(Contents Table)(620)이 구성된다. 컨텐츠 정보 테이블은 키(Key), 타입(Type), 위치(Location), 명칭(Name), 디스크립션(Description), 크기/시간(Size/Time)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도 각 테이블로 저장되는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Device Table)(630)은 키, 타입, 위치, 사용자 이름(User Name), IP, U_ID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원격 UI 제공부(13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원격 UI의 HTML 방식을 사용하여 브라우져가 존재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먼저 710단계에서 원격 UI 제공부(130)는 요청 송수신부(120)로부터 스트리밍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710단계의 판단 결과 스트리밍 정보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히며, 710단계의 판단 결과 스트리밍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720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관리부(115)에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한다. 다음 730단계에서 원격 UI 제공부(130)는 연결 관리부(115)로부터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를 수신한다. 다음 740단계에서 DB(135)로부터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에 존재하는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 750단계에서 원격 UI 제공부(130)는 HTML UI를 구성한다. 이 경우 방송 화면을 썸네일로 표시하거나 스트리밍 상태 정보를 상태바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음 760단계에서 상기 구성한 HTML UI를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한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상기 스트리밍 정보 요청을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경우에는, 화면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서비스 또는 채널의 고유번호 및 명칭, 방송 시간, 방송 명칭 등의 프로그램 정보, 현재 재생 시간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경우에는, 썸네일 이미지, 총 재생 시간, 현재 재생 시간, 파일 명칭, 파일 타입, 장르, 작자등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 정보로서 디바이스 타입(Device Type), 디바이스 명칭(Device Name), 디바이스 위치(Device Location), 디바이스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시 스트리밍 업/다운에 대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제1클라이언트에 영화(810)이 재생되고 제2클라이언트에 드라마(820)가 재생되고 있다면, 다른 제3클라이언트에서는 스트리밍 정보 요청 을 통해 현재 제1클라이언트와 제2클라이언트에서 재생 중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스트리밍 컨텐츠 업/다운이나 스트리밍 장치 업/다운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각 클라이언트에 스트리밍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제1클라이언트(910) 및 제2클라이언트(920)는 각각 전화기와 TV이며 'MBC'의 방송을 재생하고 있으며, 제3클라이언트(930)는 PC이며 'aa.mp3'라는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다. 또한 제4클라이언트(940)는 DLNA STB이며 'MBC'의 PVR(Personal Video Recorder) 컨텐츠를 재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스트리밍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는 화면 오른쪽 상단에 각 다른 클라이언트가 재생 중인 화면을 썸네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의 명칭이나, 재생 경과 시간, 클라이언트 종류 등의 정보를 한눈에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로 자신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른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간의 컨텐츠나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른 클라이언트의 정보 및 현재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의 상황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112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제1클라이언트의 요청(미도시)에 의해 제1클라이언트에게 현재 홈 서버(100)의 스트리밍 상황을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 1120단계에서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113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스트리밍 제공 요청으로부터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와 스트리밍을 제공할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 114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타겟 클라이언트에게 대상 컨텐츠의 주소 또는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요청 송수신부(120)는 타겟 클라이언트에 대상 컨텐츠의 URI를 전송하며,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DMC(Digital Media Controller)에서 DLNA DMR(Digital Media Renderer)에 재생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 정의가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청 송수신부(120)가 DMC 역할을 수행하고, 타겟 클라이언트가 DMR의 역할을 수행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 1150단계에서 타겟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타겟 클라이언트에게 대상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제1클라이언트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제3클라이언트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1클라이언트가 홈 서버의 스트리밍 상황을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각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전송이나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스트리밍 제공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세지 전송이나 스트리밍 전송 이외에도 자신의 화면을 캡쳐한 이미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1클라이언트에서 홈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한 경우, 제1클라이언트는 별도의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입력 장치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반면 홈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 자체의 UI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타겟 클라이언트와 현재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 정보를 상호 정의된 프로토콜에 의해 홈 서버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에서 홈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클라이언트가 HTTP 'GET' 메소드를 이용하여 홈 서버에 요청 명령어와 그에 따른 정보를 보내는 예를 나타내며, 표 2는 HTTP 'POST' 메소드를 이용하여 홈 서버에 요청 명령어와 그에 따른 정보를 보내는 예를 나타낸다.
GET/Command?name=Transfer_streaming_data&Contents=livestream_14&TargetClientID=3 HTTP/1.1
Connection : Keep_Alive
Use_Agent : Mozilla/4.03
Accept : */*
POST /Command HTTP/1.1
Connection : Keep_Alive
Use_Agent : Mozilla/4.03
Accept : */*
Content-type : application / x-www-form-urlencoded
Content-length : 67
name=Transfer_streaming_data&Contents=livestream_14&TargetClientID=3
상기 표 1, 2는 Livestream 14의 방송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ID가 3인 장치로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명령을 나타낸다.
클라이언트에서 홈 서버로 전송하는 이러한 요청은 다른 클라이언트로 메세지 전송 요청, 스트리밍 전송(제공) 요청, 캡쳐 이미지 전송 요청이 있다.
상기 메세지 전송 요청의 경우, 명령어 종류는 메세지 전송이며, 컨텐츠 파라미터(Contents paramenter)는 메세지 스트리밍(Message Streaming)이 된다. 상기 스트리밍 전송 요청의 경우, 명령어 종류는 스트리밍 전송이며, 컨텐츠 파라미터는 컨텐츠의 URI가 된다. 캡쳐 이미지 전송 요청의 경우, 명령어 종류는 이미지 전송이며, 컨텐츠 파라미터는 이미지 데이터가 된다.
도 12는 제1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제3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제1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제공을 선택하면 그러한 요청이 홈 서버로 전송되며 홈 서버는 제3클라이언트에게 제1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스트리밍을 제공하고자한다는 사실을 알린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클라이언트는 화면에 제1클라이언트의 화면이 작게 표시되어 제1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스트리밍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시 대상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1130단계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1410단계에서 홈 서버(100)의 요청 송수신부(120)에서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을 수신한지 판단한다. 1410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대기하고, 수신하였으면 142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요청을 연결 관리부(115)로 전달하고, 연결 관리부(115)에서 수신한 요청이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포함한지 판단한다. 만약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았다면 주어진 요청을 무시하고 1410단계로 돌아가며,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포함한다면 143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지 판단한다. 143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면, 144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30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요청이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1450단계로 진행하여 요청을 송신한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를 대상 컨텐츠로 설정하고 1440단계로 진행한다. 1440단계에서는 스트리밍할 대상 컨텐츠의 정보와 타겟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요청 송수신부(120)로 전달하고 141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클라이언트로의 스트리밍 제공 요청시 대상 컨텐츠는 자신이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외에 일반 메세지나 캡쳐 이미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8)

  1.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서버의 스트리밍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서버에서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리딩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트리밍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정보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이 실시간 컨텐트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실시간 컨텐트에 대한 요청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해당되는 채널에 따른 실시간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의해 스트리밍 동작이 상기 서버에서 추가되면, 상기 추가된 스트리밍 동작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재생에 대한 요청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요청된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제2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서버에서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리딩하는 연결 관리부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트리밍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스트리밍된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는,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에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스트리밍되는 컨텐트의 정보,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정보,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이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수신된 요청을 상기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이 컨텐트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수신된 요청을 상기 연결 관리부로 전달하는 서버.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이 현재 스트리밍되는 컨텐트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요청된 컨텐트 정보가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되도록 클라이언트의 정보 및 컨텐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로 전달하는 서버.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이 실시간 컨텐트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요청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연결 관리부의 제어하에 상기 채널에 해당되는 실시간 컨텐트를 상기 연결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상기 실시간 컨텐트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는 상기 연결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실시간 컨텐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하는 서버.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이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요청이면, 상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를 전달하고, 컨텐트 검색부는 상기 요청된 URI를 갖는 컨텐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트 데이터를 상기 연결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연결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수신된 컨텐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정보와 함께 상기 멀티미디어 송신부로 전달하는 서버.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UI 제공부는,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결 관리부에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연결 관리부로부터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를 수신하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인덱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요청을 보낸 제1 클라이언트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트리밍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트리밍된 컨텐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18.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현재 스트리밍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리밍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타겟 스트리밍 컨텐트를 갖지 않은 타겟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상기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에 대한 요청임-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스트리밍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타겟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47067A 2016-04-18 2016-04-18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4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67A KR20160048740A (ko) 2016-04-18 2016-04-18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67A KR20160048740A (ko) 2016-04-18 2016-04-18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287A Division KR20110032674A (ko) 2009-09-23 2009-09-23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40A true KR20160048740A (ko) 2016-05-04

Family

ID=5602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067A KR20160048740A (ko) 2016-04-18 2016-04-18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87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989B2 (en) Media content redirection
US8135844B2 (en) Content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10072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clients in multimedia broadcast system
KR101315608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84739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using video playlists within a network
US874566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preview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review content
US10009656B2 (en) Multi-option sourcing of content
US20120278837A1 (en) Presenting related content during a placeshifting session
US20120233651A1 (en) Iptv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KR20060002952A (ko)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TW20104303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variable length clips from a media stream
US102059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t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KR20110026745A (ko)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09369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指示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指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033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to reproduce content in a plurality of reproduction regions on screen thereof
WO2015090161A1 (zh) 通过智能电视提供电视节目的方法及系统
US20090238543A1 (en) Local Recording of Previously Aired Programming
WO2008013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display of grouped multiple independent contents
KR20160048740A (ko)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2094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tuning channels using dlna dms service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JP5279074B2 (ja) オンデマンド視聴システム及びオンデマンド視聴方法
KR100925646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셋탑박스
WO20080133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with continuous display of grouped multiple independent contents
KR20120131637A (ko) 이벤트 원격 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