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90A -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90A
KR20160047990A KR1020150145761A KR20150145761A KR20160047990A KR 20160047990 A KR20160047990 A KR 20160047990A KR 1020150145761 A KR1020150145761 A KR 1020150145761A KR 20150145761 A KR20150145761 A KR 20150145761A KR 20160047990 A KR20160047990 A KR 2016004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electric power
demande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31B1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ublication of KR2016004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의 관리자가 전력사용 피크시기에 즉시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CHARGE}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기에너지 소비는 1970년대부터 생활수준의 향상, 편리성의 추구 및 중간재 생산위주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화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1차 에너지인 유류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발전비용은 증가하는데 비해, 이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2차 에너지인 전기 판매단가는 최근에만 인상되었을 뿐 정부의 지속적인 동결로 가스ㆍ유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황이 지속되어 왔다.
한편, 실제 에너지가격을 반영하지 못하는 전기요금으로 인해 나타나는 에너지 상대가격의 불균형은 각 경제주체들의 소비와 투자에 있어 왜곡된 신호를 주며 부작용을 낳고 있다. 예컨대, 국내 제조업에서는 전기요금의 상대적인 저렴함으로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과잉설비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반 건물에는 전기냉난방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가스나 유류를 사용하던 건물 난방이 점차 전기로 대체되는 에너지전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수요는 매년 최고치를 갱신하여, 발전소를 계속 건설하여야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본 원전사태 이후 원전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불안감과 부품비리 등의 국내외적인 사건들로 인해, 대용량 발전소의 건설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전력계통이 성장함에 따라 전기를 전송하는데 필수적인 송전선로 및 변전소 등의 건설이 환경문제와 지역적 민원문제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력 공급측의 확충으로는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려워 전력 수요측의 전력수요 조절로 전력수급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수요 관리가 점차 중요한 해결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력수요 관리에서는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기본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기본요금을 바탕으로 전기요금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전력수요 관리에서는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이 최대수요전력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매월 발생하고 있다. 이는 기본요금의 증가로 인해 전기요금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여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시킬 수 있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여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시킬 수 있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사용전력량 측정기;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하는 전력공급처 서버; 및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하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 상기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하는 사용전력량 수집부;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수요처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사용전력량 측정기, 전력공급처 서버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를 통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a)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c-1) 상기 단계(b)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하는 단계; (c-2)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c-3) 상기 단계(a)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하는 단계; (c-4) 상기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5) 상기 단계c-4에서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c-4)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4)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수요처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의 관리자가 전력사용 피크시기에 즉시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을 부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부하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분류된 부하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관리자가 전력사용 피크시기에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요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1년 동안 전력수요처에서 사용한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요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은 크게, 사용전력량 측정기(120), 전력공급처 서버(200)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되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후술할 전력공급처(20) 또는 부하관리사업자(30)에 구비되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전력수요처(10), 전력공급처(20) 및 부하관리사업자(30)와 구별되는 장소에 별도로 설치되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는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에 대한 원격검침이 가능한 전자식 계량기, 최대수요전력제어기 또는 피크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전력공급처(2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공급처(20)는 수요관리(Demand Side Management, DSM)를 통해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 수급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주체일 수 있다.
상기 수요관리(DSM)는 최소의 비용으로 소비자의 전기에너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의 전기사용 패턴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력회사의 제반활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과 효율향상(Energy Efficiency, E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요관리(DSM)는 전력공급설비 확충에 중점을 두어 온 종전의 공급측관리(Supply Side Management, SSM)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부하관리(負荷管理)를 포괄하는 상위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공급처(20)는 발전회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하여 전기를 판매하는 회사(일 예로, 한국전력), 전력계통을 운영하는 계통운영자(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 및 자신이 직접 발전하여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사업자(일 예로, 민자발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공급처(20)는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 있으며, 계약에 따라 산정된 전기요금을 전력수요처(10)에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통신망(1)을 통해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1)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1)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전송된 각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각 전력수요처(10)에 대한 당월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당월 전기요금 산정시, 당월을 포함한 이전의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처(2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기요금을 계약에 따라 전력수요처(10)에 부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요금은 전력수요처(10)가 전력을 사용하는 대가로 부과되는 요금으로서, 기본요금, 전력사용량요금(또는, 전력량요금, 사용량요금) 및 기타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요금은 아래의 수학식 1 같이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요금의 합계에 기타요금이 포함되어 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타요금은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전기요금 = 기본요금 + 전력량사용량요금 + 기타요금
[수학식 2]
기타요금 = 역률요금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요금은 전기공급방식 또는 계약종별에 따라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요금은 전기 공급방식에 따라 저압 전기요금 또는 고압 전기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요금은 계약종별에 따라 주택용(일 예로, 주거용 등) 전기요금, 일반용(일 예로, 공공용 또는 영업용 등) 전기요금, 산업용(일 예로, 광업용 또는 공업용 등) 전기요금, 교육용(일 예로, 학교 또는 박물관 등) 전기요금, 농사용(일 예로, 농업용 또는 어업용 등) 전기요금 또는 가로등(일 예로, 가로등 또는 보안등 등) 전기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요금은 월별 및 시간대별로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은 전력공급처(20)와 부하관리사업자(30) 또는 전력수요처(10)의 계약을 통해 미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기본요금은 전력공급처(일 예로, 한국전력)(20)가 전력수요처(일 예로, 전기소비자)(10)에게 공급하기로 동의한 계약전력을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본요금은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산정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 중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량사용량요금은 당월 전력수요처(10)에서 사용하는 사용전력량에 대한 요금으로서, 당월 전력수요처(10)에서 사용한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매월마다 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타요금 중 역률요금은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부하들(110-1 내지 110-N)의 역률이 미리 산정된 기준역률을 초과하는지 또는 미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10)의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요금의 합계에 가감되는 요금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역률은 9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경가능하다.
일 예에서, 상기 역률요금은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부하들(110-1 내지 110-N)의 역률이 미리 산정된 기준역률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수요처(10)의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요금의 합계에 감산될 수 있다. 이에, 전력수요처(10)의 당월 전기요금은 역률요금만큼 감액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역률요금은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부하들(110-1 내지 110-N)의 역률이 미리 산정된 기준역률에 미달하는 경우, 전력수요처(10)의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요금의 합계에 가산될 수 있다. 이에, 전력수요처(10)의 당월 전기요금은 역률요금만큼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타요금 중 부가가치세 및 전력산업기반기금은 법률에 의해 정해지는 요금일 수 있다. 현재, 부가가치세 세율은 10%이며, 전력산업기반기금은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요금의 합계에 1천분의 37에 해당하는 요금이지만, 부가가치세 세율과 전력산업기반기금은 법률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1월, 2월,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최대인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들이라도 이용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상술한 기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변형 실시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기본요금을 포함한 전기요금은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에서도 산정될 수 있다.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관리사업자(Load Aggregator, LA)(30)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공급처(20) 또는 전력수요처(10)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개의 시스템 운영자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관리사업자(30)는 수요고객으로부터 수요자원의 이용권을 취득하여 지능형 수요자원시장에 참여한 자로서, 지능형전력망수요반응관리서비스제공사업자 또는 수요관리사업자라고도 한다. 이러한 부하관리사업자(30)는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의 지능형전력망수요반응관리서비스제공사업자(또는, 수요관리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보유한 수요자원을 지능형 수요자원시장에서 직접 거래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하관리사업자(30)는 전력수요처(10)의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전력수요처(10)에게 컨설팅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력수요처(10)의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이 줄어든 경우, 전력수요처(10)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력수요처(10)의 당월 전기요금이 1000만원이라면, 그 중 기본요금은 대략 300만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부하관리사업자(30)가 기본요금 300만원을 200만원으로 줄인다면, 부하관리사업자(30)는 컨설팅 비용으로 대략 10만원 정도 전력수요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전력수요처(10)는 대략 90만원 정도의 이득을 볼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로부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지는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에서 산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 단말기(40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로 통신망(1)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통신망(1)을 통해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공급처(2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통신망(1)을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400)는 예컨대, 일반 유선 전화기, 휴대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화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1)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전력감축 알람신호 생성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전력수요처(10)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10)는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 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력수요처(10)는 수요반응 또는 수요관리에 참여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전기소비자(일 예로, 전력기기 또는 전력소비자)로서, 전력수요(또는, 사용전력량)를 감축할 수 있는 주체이며, 수요자원(Demand Resources)이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수요처(10)는 매달 사용전력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전력공급처(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수요처(10)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컨설팅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하관리사업자(30)와 계약할 수 있고, 전력수요처(10)의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이 줄어든 경우,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부하관리사업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전력을 소비할 수 다양한 부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일반부하, 상업용부하, 교육용부하 및 산업용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즉시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 및/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부하, 냉난방부하 및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즉시 차단되어도 무방한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되어야 하는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될 수 있는 공장의 기계장치는 제 2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나머지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크게, 통신부(310),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 사용전력량 수집부(34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는 제어부(380)와 연결되어, 제어부(38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는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제어부(380) 및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제어부(380) 및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제어부(380) 및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는 제어부(380)와 연결되어, 제어부(38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로부터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목표사요전력량 산출부는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에서 산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의 통신부(310)로 통신망(1)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제어부(380)와 연결되어, 제어부(38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수집한 전력수요처(10) 사용전력량을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전력공급처(2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로부터,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메모리부(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80)는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상술한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 및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와, 후술할 통신부(310)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로부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은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에서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로부터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또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통신부(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110-1 내지 110-N)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또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80)는,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사용전력량 수집부(34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또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나머지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요금을 포함한 전기요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에서도 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각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메모리부(3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각 전력수요처(10)에 대한 당월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당월 전기요금 산정시, 당월을 포함한 이전의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1월, 2월,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38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34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최대인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380)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들이라도 이용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상술한 기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변형 실시가능하다.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을 관리하는 별도의 전력수요처(10)의 서버 및/또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별도의 전력수요처(10)의 서버 및/또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과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별도의 전력수요처(10)의 서버 및/또는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3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80)와 연결되어, 제어부(38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1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380)로부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통신망(1)을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수요 관리장치(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통신 표준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Wibro(Wireless broadband), WLAN(Wireless LAN)(Wi-Fi),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모듈과 함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38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어부(38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면, 어떠한 패널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각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평균사용전력량, 최대수요전력량, 전기요금, 기본요금, 목표사용전력량, 전력감축 알람신호 상태, 관리자 단말기(400), 복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관련된 상태 및 전력감축이행률 등과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부(35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메모리부(3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360)는 제어부(38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6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38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0)는, 각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평균사용전력량, 최대수요전력량, 전기요금, 기본요금, 목표사용전력량, 전력감축 알람신호 상태, 관리자 단말기(400), 복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관련된 상태 및 전력감축이행률 등과 관련된 정보들을 메모리부(360)에 저장되도록 메모리부(3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36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원부(3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370)는 제어부(38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7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37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제공된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통신부(310),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320),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330), 사용전력량 수집부(340), 디스플레이부(350), 메모리부(360) 및 제어부(380)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시스템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이하에서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은 사용전력량 측정기(120), 전력공급처 서버(200)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법일 수 있다.
먼저,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S100).
일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되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20) 또는 부하관리사업자(30)에 구비되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처(10), 전력공급처(20) 및 부하관리사업자(30)와 구별되는 장소에 별도로 설치되는 사용전력량 측정기(12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S200).
상기 단계 S20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20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 S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수요처(10)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산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로 통신망(1)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300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전력공급처 서버(200)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30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S100 이후, 상기 단계 S200은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단계 S210, S220 및 S230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산출할 수 있다(S220).
상기 단계 S22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S230).
상기 단계 S23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계 S210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릍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1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수요처(10)별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상기 단계 S220 및 단계 S230를 수행하여 각 전력수요처(10)에 대한 당월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당월 전기요금 산정시, 당월을 포함한 이전의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 S230에서,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230 이후,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1월, 2월, 7월, 8월, 9월 및 검침 당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 S230에서,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230 이후,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15분마다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 S230에서,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230 이후,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30에서,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에서 최대인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230이후,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 기반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단계 S200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들이라도 이용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상술한 기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기본요금산정기간 및 이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는 변형 실시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기본요금을 포함한 전기요금은 전력공급처 서버(200)를 통해 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서도 산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200 이후, 상기 단계 S300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단계 S310, S320 및 S330, S340 및 S350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계 S23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S310).
일 예에서, 상기 단계 S31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단계 S31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23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1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3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S320).
즉, S320 단계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상기 단계 S3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산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로 통신망(1)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은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32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S330).
일 예에서, 상기 단계 S3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단계 S3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단계 S3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단계 S3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전력공급처(2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200)는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단계 S3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200)로부터, 전력수요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3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33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 S3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 S3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 생성할 수 있다(S340).
상기 단계 S34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상기 단계 S340에서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력수요처(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단계 S34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상기 단계 S33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 S3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 S3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수요처(10)의 관리자에 의해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상기 단계 S34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는, 상기 단계 S33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 S320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 S3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나머지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전력을 소비할 수 다양한 부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일반부하, 상업용부하, 교육용부하 및 산업용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110-1 내지 110-N)은 즉시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 및/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부하, 냉난방부하 및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즉시 차단되어도 무방한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되어야 하는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될 수 있는 공장의 기계장치는 제 2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1년 동안 전력수요처에서 사용한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연월일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전력사용량kWh을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은 겨울철(12월, 1월 및 2월) 및 여름철(7월, 8월 및 9월)에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전력사용량은 1월에 가장 높으며, 대략 3300kWh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은 사용전력량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산정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 중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기 때문에,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 피크시기 즉, 겨울철(12월, 1월 및 2월) 및 여름철(7월, 8월 및 9월)에 해당하는 전력수요처(10)의 전력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다면, 기본요금을 절감할 수 있어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연월일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전력사용량kWh을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은 겨울철(12월, 1월 및 2월) 및 여름철(7월, 8월 및 9월)에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전력사용량은 1월에 가장 높으며, 대략 3300kWh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공급처(20) 서버(200)를 통해 1월달의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인 3300kWh을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 3300kWh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 500kWh만큼 감산하여, 2800kWh를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 관리장치(300)를 통해 전력수요처(10)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전력수요처(10)의 목표사용전력량 2800kWh보다 크고 전력수요처(10)의 최대수요전력량 3300kWh보다 작은 경우, 즉 2013년 1월 1일(3300kWh), 1월 6일(3000kWh) 및 12월 15일(2900kWh)에 전력수요처의 부하(110-1 내지 110-N)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려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의 관리자가 전력사용 피크시기에 즉시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을 부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부하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분류된 부하에 따라 전력수요처의 관리자가 전력사용 피크시기에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요금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부하 120: 사용전력량 측정기
200: 전력공급처 서버 300: 전력수요 관리장치
310: 통신부 320: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
330: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 340: 사용전력량 수집부
350: 디스플레이부 360: 메모리부
370: 전원부 380: 제어부
4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4)

  1.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사용전력량 측정기;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하는 전력공급처 서버; 및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하는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
    상기 최대수요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하는 사용전력량 수집부;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수요처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사용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요금 절감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8. 사용전력량 측정기, 전력공급처 서버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전력량 측정기를 통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이용하여 당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 산정을 위한 기 설정된 기본요금산정기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대마다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평균사용전력량 중 최대인 평균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으로 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작은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a)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c-1) 상기 단계(b)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을 수집하는 단계;
    (c-2)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량만큼 감산하여 상기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c-3) 상기 단계(a)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수집하는 단계;
    (c-4) 상기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상기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5) 상기 단계c-4에서 생성된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기 설정된 전력수요처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c-4)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4)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수요처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된 후, 단계(c-3)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2)에서 산출된 전력수요처의 목표사용전력량보다 크고 상기 단계(c-1)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최대수요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부하그룹을 차단하라는 전력감축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요금 절감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문문자메시지(SMS), 앱(App) 및 자동응답시스템(ARS)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들에 대한 실시간 사용전력량 감축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금 절감 방법.
KR1020150145761A 2014-10-23 2015-10-20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0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240 2014-10-23
KR20140144240 2014-10-23
KR1020140145700 2014-10-27
KR20140145700 201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90A true KR20160047990A (ko) 2016-05-03
KR101720431B1 KR101720431B1 (ko) 2017-03-27

Family

ID=5602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61A KR101720431B1 (ko) 2014-10-23 2015-10-20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535B1 (ko) * 2016-07-01 2017-01-09 가진기업(주) 재난재해를 대비한 에너지절약형 자동제어 시스템
KR20180044573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쿠루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CN110568357A (zh) * 2019-09-10 2019-12-13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核电机组电出力监测与诊断系统
KR102258487B1 (ko) * 2021-01-07 2021-05-31 주식회사 네오비젼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5271A (ko) * 2020-06-15 2021-12-22 정병창 전력사용 및 비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018226A1 (ko) * 2021-08-10 2023-02-16 주식회사 플럭시티 예측 전력 피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24206A (ko) * 2021-08-10 2023-02-20 주식회사 플럭시티 예측 전력 피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36225A (ko) * 2021-09-07 2023-03-14 박동영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기에너지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443A (ja) * 2003-06-10 2005-01-06 Yamatake Corp 電力基準値算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6014533A (ja) * 2004-06-28 2006-01-12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および負荷率演算表示方法
KR101243053B1 (ko) * 2012-08-09 2013-03-13 대동산전주식회사 실시간 피크전력 및 예상 전기요금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순차적 부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443A (ja) * 2003-06-10 2005-01-06 Yamatake Corp 電力基準値算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6014533A (ja) * 2004-06-28 2006-01-12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および負荷率演算表示方法
KR101243053B1 (ko) * 2012-08-09 2013-03-13 대동산전주식회사 실시간 피크전력 및 예상 전기요금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순차적 부하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535B1 (ko) * 2016-07-01 2017-01-09 가진기업(주) 재난재해를 대비한 에너지절약형 자동제어 시스템
KR20180044573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쿠루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CN110568357A (zh) * 2019-09-10 2019-12-13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核电机组电出力监测与诊断系统
KR20210155271A (ko) * 2020-06-15 2021-12-22 정병창 전력사용 및 비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8487B1 (ko) * 2021-01-07 2021-05-31 주식회사 네오비젼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018226A1 (ko) * 2021-08-10 2023-02-16 주식회사 플럭시티 예측 전력 피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24206A (ko) * 2021-08-10 2023-02-20 주식회사 플럭시티 예측 전력 피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36225A (ko) * 2021-09-07 2023-03-14 박동영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기에너지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31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31B1 (ko)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9428B1 (ko)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Yao et al. Residential demand side management under high penetration of rooftop photovoltaic units
KR101776641B1 (ko)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Mohamed et al. Energy management and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in smart grid system
Roldán-Blay et al. Improving the benefits of demand response participation in facilities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ong et al. Improving the feasibility of household and community energy storage: A techno-enviro-economic study for the UK
US201100550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lectricity delivery and commerce
KR101893834B1 (ko)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Moura et al. The role of Smart Grids to foster energy efficiency
Zhang et al. Minimum cost solar power systems for LTE macro base stations
Huang et al. Optimal power procurement and demand response with quality-of-usage guarantees
Shakya et al. Survey based characterisation of energy services for improved design and operation of standalone microgrids
Fouda et al. A novel demand control policy for improving quality of power usage in smart grid
Schmitt et al. A review on active customers participation in smart grids
KR101652755B1 (ko) 가상 전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75273A (ko) 마이크로 그리드의 전력 공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assim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electric power monitoring on energy consumptions at a campus university
KR20210011652A (ko)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Ifland et al. Appliance of direct and indirect demand side management
Soleimani et al. Enabling vehicle-to-grid and grid-to-vehicle transactions via a robus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by considering battery aging
Specht et al. Quantifying value pools for distributed flexible energy assets
Zhang et al. The impact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on demand response management in a smart grid
KR20130082576A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사용 전력 에너지 저감을 위한 프로파일별 수요반응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Zimmermann et al. An analysis of long-term impacts of demand response on investments in thermal power plants and generation adequ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