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652A -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652A
KR20210011652A KR1020190088804A KR20190088804A KR20210011652A KR 20210011652 A KR20210011652 A KR 20210011652A KR 1020190088804 A KR1020190088804 A KR 1020190088804A KR 20190088804 A KR20190088804 A KR 20190088804A KR 20210011652 A KR20210011652 A KR 2021001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reduction
demander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진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루
Priority to KR102019008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652A/ko
Publication of KR2021001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 즉, 전력수요처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수요자원시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수요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DEMAND USING ECONOMIC DISPATCH}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기에너지 소비는 1970년대부터 생활수준의 향상, 편리성의 추구 및 중간재 생산위주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화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1차 에너지인 유류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발전비용은 증가하는데 비해, 이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2차 에너지인 전기 판매단가는 최근에만 인상되었을 뿐 정부의 지속적인 동결로 가스ㆍ유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황이 지속되어 왔다.
한편, 실제 에너지가격을 반영하지 못하는 전기요금으로 인해 나타나는 에너지 상대가격의 불균형은 각 경제주체들의 소비와 투자에 있어 왜곡된 신호를 주며 부작용을 낳고 있다. 예컨대, 국내 제조업에서는 전기요금의 상대적인 저렴함으로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과잉설비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반 건물에는 전기냉난방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가스나 유류를 사용하던 건물 난방이 점차 전기로 대체되는 에너지전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수요는 매년 최고치를 갱신하여, 발전소를 계속 건설하여야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본 원전사태 이후 원전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불안감과 부품비리 등의 국내외적인 사건들로 인해, 대용량 발전소의 건설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전력계통이 성장함에 따라 전기를 전송하는데 필수적인 송전선로 및 변전소 등의 건설이 환경문제와 지역적 민원문제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력 공급측의 확충으로는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려워 전력 수요측의 전력수요 조절로 전력수급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수요 관리가 점차 중요한 해결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수요 관리는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 및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처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초과하거나 미달하여 전력량을 감축함에 따라 전력수요 관리에 참여중인 전력공급처 및 전력수요처들 모두에게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즉, 전력수요처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초과하여 전력량을 감축하면, 전력공급처는 초과한 전력량만큼 전기요금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전력수요처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미달하여 전력량을 감축하면, 전력계통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처들은 미달된 전력량만큼 전력공급처로 지불되는 위약금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 및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는 전력공급처 서버; 및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 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에서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는 통제전력량 산출부;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전력량 수집부; 및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부하그룹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는, 상기 전력수요처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처가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각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각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 전력공급처 서버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수요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부하그룹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는, 상기 전력수요처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수요처가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각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각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 즉, 전력수요처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수요자원시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수요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각 전력수요처별 및/또는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별로 분류하여 전력감축량을 분배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수요자원시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수요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은 크게, 전력공급처 서버(100), 전력수요 관리장치(200) 및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공급처(1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공급처(10)는 수요관리(Demand Side Management, DSM)를 통해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 수급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주체일 수 있다.
상기 수요관리(DSM)는 최소의 비용으로 소비자의 전기에너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의 전기사용 패턴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력회사의 제반활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과 효율향상(Energy Efficiency, E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요관리(DSM)는 전력공급설비 확충에 중점을 두어 온 종전의 공급측관리(Supply Side Management, SSM)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부하관리(負荷管理)를 포괄하는 상위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처(10)는 발전회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하여 전기를 판매하는 회사(일 예로, 한국전력), 전력계통을 운영하는 계통운영자(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 및 자신이 직접 발전하여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사업자(일 예로, 민자발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로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소비예측값(CBL)은 실수요감축량을 산정하기 위한 수요자원의 거래시간대별 기준수요로서, 감축시간대의 수요고객이 평상시 사용하는 전력소비량을 예측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고객기준수요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소비예측값(CBL)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수요전력감축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기준수요로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평상시 사용하는 사용전력량을 예측한 값일 수 있다.
특히,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이전의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다. 이에, 전력소비예측값(CBL)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과거 사용전력량에 기초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현재 또는 미래의 사용전력량의 예측값일 수 있다.
예컨대,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통해 계측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는 전력공급처(10), 부하관리사업자(20) 및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와 구별되는 장소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공급처(10), 부하관리사업자(20) 및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사용전력량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사용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평상시 즉, 이전에 사용한 사용전력량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1분, 15분, 30분, 45분 또는 1시간 등의 일정한 시간단위별로 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과거 1년전 동일한 시점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사용한 사용전략량에 기반하여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사용한 사용전력량을 함수에 대입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소비예측값(CBL)은 1:1함수로서, 과거 데이터 그 자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 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 전 근무일 10일 중 사용전력량이 최대인 최고일과 사용전력량이 최저인 최저일을 제외한 6일을 평균하여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 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일로부터 전일을 제외한 최근 5일(평일) 중 최대 4일의 사용전력량을 평균하여 산정될 수 있다.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소비예측값(CBL)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은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은 전력공급처(10)의 운영예비력이 500만kW 이하가 예상되는 경우의 기간, 계통 최대전력이 기존 계통 최대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의 기간 또는 수요예측오차 및 발전기 고장 등 전력공급처(10)(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의 기간일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평일 09시부터 20시까지(12시부터 13시 제외)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최소 2시간부터 최대 4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최대 연간 60시간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1일 최대 8시간(최대 4시간 2회)일 수 있다.
여기서, 전력감축량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기준으로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감축량은 3MW이하, 3MW초과~20MW이하, 20MW초과~500MW이하, 500MW초과~1,000MW 이하 또는 1,000MW초과일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에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축 시간 정보에는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와 관련된 모든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는 전력공급처(10)가 미리 계약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전력감축량만큼 감축하라는 감축지시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공급처(10)의 운영예비력이 500만kW 이하가 예상되는 경우, 계통 최대전력이 기존 계통 최대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또는 수요예측오차 및 발전기 고장 등 전력공급처(10)(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에,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에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이 포함될 수 있지만,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별도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1)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관리사업자(Load Aggregator, LA)(20)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공급처(10) 또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관리사업자(20)는 수요고객으로부터 수요자원의 이용권을 취득하여 지능형 수요자원시장에 참여한 자로서, 지능형전력망수요반응관리서비스제공사업자 또는 수요관리사업자라고도 한다. 이러한 부하관리사업자(20)는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의 지능형전력망수요반응관리서비스제공사업자(또는, 수요관리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보유한 수요자원을 지능형 수요자원시장에서 직접 거래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 및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공급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즉,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동안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는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는 수요반응(DR) 또는 수요관리(DSM)에 참여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전기소비자(일 예로, 전력기기 또는 전력소비자)로서, 전력수요(또는, 사용전력량)를 감축할 수 있는 주체이며, 수요자원(Demand Resources)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전력을 소비할 수 다양한 부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일반부하, 상업용부하, 교육용부하 및 산업용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즉시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 및/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부하, 냉난방부하 및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즉시 차단되어도 무방한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되어야 하는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될 수 있는 공장의 기계장치는 제 2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수요 관리 장치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부하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부하에 가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 부하를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된 부하들이 경제급전(Economic Dispatch, ED)에 기반하여 상기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전력량을 각각 분배하여 감축하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나머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2 부하그룹이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은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각 전력수요처별 및/또는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별로 분류하여 전력감축량을 분배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수요자원시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수요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크게, 통신부(210), 통제전력량 산출부(220), 사용전력량 수집부(23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100)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제어부(270)와 연결되어, 제어부(2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통제전력량 산출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 및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제공받아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 및/또는 사용전력량 계측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통신망(1)을 통해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 및/또는 사용전력량 계측장치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 및/또는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수요 관리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통신 표준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Wibro(Wireless broadband), WLAN(Wireless LAN)(Wi-Fi),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모듈과 함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통신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 및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제어부(270)와 연결되어, 제어부(2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에서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후술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산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계전력량을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는 산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계전력량을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제어부(270)와 연결되어, 제어부(2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수집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전력공급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는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전력수요 관리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상술한 통신부(210), 통제전력량 산출부(220) 및 사용전력랑 수집부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통제전력량 산출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로부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 및 산출된 통계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즉,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동안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제어부(270)는, 사용전력량 수집부(230)로부터 제공받은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22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산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부하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부하에 가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 부하를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된 부하들이 경제급전(Economic Dispatch, ED)에 기반하여 상기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전력량을 각각 분배하여 감축하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나머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2 부하그룹이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7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어부(27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면, 어떠한 패널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전력감축시간, 전력소비예측값(CBL), 통제전력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 복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에 관련된 상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 수요자원(일 예로,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과 관련된 상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이행률,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이행률에 기반한 인센티브 및 위약금 등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메모리부(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7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7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전력감축시간, 전력소비예측값(CBL), 통제전력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 복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에 관련된 상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 수요자원(일 예로,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과 관련된 상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이행률,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이행률에 기반한 인센티브 및 위약금 등을 메모리부(250)에 저장되도록 메모리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25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원부(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260)는 제어부(27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6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26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제공된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통신부(210), 통제전력량 산출부(220), 사용전력량 수집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메모리부(250) 및 제어부(270)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이하에서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 전력공급처 서버(100)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먼저, 전력공급처 서버(1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력수요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100는, 먼저 전력공급처 서버(1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다(S110).
즉,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이전의 사용전력량에 기반하여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다. 이에, 전력소비예측값(CBL)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과거 사용전력량에 기초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현재 또는 미래의 사용전력량의 예측값일 수 있다.
예컨대,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통해 계측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기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사용전력량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별 사용전력량에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평상시 즉, 이전에 사용한 사용전력량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1분, 15분, 30분, 45분 또는 1시간 등의 일정한 시간단위별로 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의 과거 1년전 동일한 시점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사용한 사용전략량에 기반하여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사용한 사용전력량을 함수에 대입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소비예측값(CBL)은 1:1함수로서, 과거 데이터 그 자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 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 전 근무일 10일 중 사용전력량이 최대인 최고일과 사용전력량이 최저인 최저일을 제외한 6일을 평균하여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소비예측값(CBL)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이전 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일로부터 전일을 제외한 최근 5일(평일) 중 최대 4일의 사용전력량을 평균하여 산정될 수 있다.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소비예측값(CBL)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1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100)를 통해, 상기 단계 S11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은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은 전력공급처(10)의 운영예비력이 500만kW 이하가 예상되는 경우의 기간, 계통 최대전력이 기존 계통 최대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의 기간 또는 수요예측오차 및 발전기 고장 등 전력공급처(10)(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의 기간일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평일 09시부터 20시까지(12시부터 13시 제외)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최소 2시간부터 최대 4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최대 연간 60시간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는 1일 최대 8시간(최대 4시간 ㅧ 2회)일 수 있다.
여기서, 전력감축량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기준으로 해마다 전력공급처(10)와 부하관리사업자(20)의 계약으로 미리 설정되어 전력공급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감축량은 3MW이하, 3MW초과~20MW이하, 20MW초과~500MW이하, 500MW초과~1,000MW 이하 또는 1,000MW초과일 수 있다.
상기 단계 S120 이후, 전력공급처 서버(100)를 통해, 상기 단계 S120에서 산정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력수요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에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축 시간 정보에는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와 관련된 모든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는 전력공급처(10)가 미리 계약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전력감축량만큼 감축하라는 감축지시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전력공급처 서버(100)는 전력공급처(10)의 운영예비력이 500만kW 이하가 예상되는 경우, 계통 최대전력이 기존 계통 최대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또는 수요예측오차 및 발전기 고장 등 전력공급처(10)(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에,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단계 S10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100에서 전송된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200은, 먼저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S210).
일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전력공급처(10)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공급처 서버(100)를 통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전력공급처 서버(100)로부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30에서 전송된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상기 단계 S220 이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단계 S220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S230).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단계 S22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집된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 S230에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부하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부하에 가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 부하를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된 부하들이 경제급전(Economic Dispatch, ED)에 기반하여 상기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전력량을 각각 분배하여 감축하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이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이 우선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즉,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220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 S220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나머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제2 부하그룹이 차단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전력을 소비할 수 다양한 부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일반부하, 상업용부하, 교육용부하 및 산업용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부하들(300-1 내지 300-N)은 즉시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1 부하그룹 및/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 즉, 이들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부하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부하, 냉난방부하 및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즉시 차단되어도 무방한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되어야 하는 부하라면 어떠한 부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될 수 있는 공장의 기계장치는 제 2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h]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사용량[kW]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처(10)에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T1),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이 100kW(A)이고,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이 20kW라면, 통제전력량은 80kW(C)이다.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통제전력량 80kW(C)만큼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T1),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에서 수집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90kW(B)라면, 전력수요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90kW(B)에서 10kW만 줄여주면, 통제전력량 80kW(C)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90kW(B)를 10kW만큼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처(10)에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T1)부터 전력감축 완료시점(T2)까지,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통제전력량 80kW(C)만큼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계속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T1~T2)에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통제전력만큼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부하관리사업자(20)가 전력공급처(10)와 계약한 목표 감축량만큼 정확히 감축하였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수요처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초과하여 전력량을 감축하면, 전력공급처는 초과한 전력량만큼 전기요금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전력수요처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미달하여 전력량을 감축하면, 전력계통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처들은 미달된 전력량만큼 전력공급처로 지불되는 위약금의 손실이 발생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전력수요 피크 타임에, 전력공급처(10)와 미리 수요자원에 참여하기로 계약을 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서 사용하는 사용전력을 목표 전력감축량만큼 효율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공급처(10)는 부하관리사업자(20)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설정하고 미리 계약을 할 수 있다. 전력공급처(10)가 특정 시간대(일 예로, 전력수요 피크 타임)에 전력감축량만큼 사용전력을 줄여줄 것을 부하관리사업자(20)에게 지시할 경우,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공급처(10)에서 지시한 전력감축량만큼, 수요자원에 참여하기로 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을 줄여야한다.
이때,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전력공급처(10)에서 지시한 전력감축량만큼 사용전력을 줄여 충실히 목표를 달성한 경우,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공급처(1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즉, 미리 계약된 감축정산금을 정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에게 감축한 사용전력량에 상응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력수요처가 전력공급처(10)에서 지시한 전력감축량만큼 사용전력을 줄이지 못해 충실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공급처(10)에게 이에 상응하는 즉, 미리 계약된 위약금을 지불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수요 관리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을 통합적 및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초과하거나 미달하여 전력량을 감축함에 따라 전력수요 관리에 참여중인 전력공급처(10) 및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 모두에게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즉, 종래의 전력수요 관리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이 목표 전력감축량을 초과하거나 미달하여 전력량을 감축함으로써,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공급처(10)에 위약금을 지불하여야 하는 상황이 빈번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공급처(10)에서 사용전력량 감축에 대한 감축지시가 있을 경우,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을 통합적 및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kW] =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kW] -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kW]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은, 전력공급처 서버(100)에서 미리 계약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사용전력량을 전력감축량만큼 감축하라는 감축지시를 나타내는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발생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사용해야하는 사용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 즉,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동안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과거 사용전력량에 기초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현재 또는 미래의 사용전력량의 예측값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과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가 공장일 경우, 현재의 공장은 과거 1년전 보다 공장설비가 증설될 수 도 있고,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전력수요 관리장치(200)가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통제전력량을 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한다면,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는 전력공급처(10)가 지시한 전력감축량만큼 최적으로 감축하지 못하여, 전력공급처(10) 및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 모두에게 손실이 초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정산금, 위약금 및 인센티브는 전력소비예측값(CBL)을 기준으로 얼마나 전력이 감축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산정되기 때문이다.
[수학식 2]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kW] =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kW] -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kW]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가, 전력 감축지시를 나타내는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발생시, 어떠한 경우라도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를 수학식 1의 통제전력량만큼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하여야만, 전력공급처(10) 및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들 모두에게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력공급처(10)에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이 100kW이고,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전력감축량이 20kW라면, 통제전력량은 80kW이다.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통제전력량 80kW만큼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하면 된다.
즉,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에서 수집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90kW라면,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90kW에서 10kW만 줄여주면, 통제전력량 80kW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90kW를 10kW만큼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하면 된다.
반면,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에서 수집되는 전력수용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110kW라면, 전력수용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110kW에서 30kW만 줄여주면, 통제전력량 80kW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관리사업자(20)의 전력수요 관리장치(200)는 전력수요처(30-1 내지 30-N)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110kW를 30kW만큼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300-1 내지 300-N)를 제어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 발생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 즉, 전력수요처가 통제전력량만큼 사용전력량을 사용하도록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수요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 전력감축량에 상응하여 전력량을 최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수요자원시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수요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전력공급처 서버 200: 전력수요 관리장치
210: 통신부 220: 통제전력량 산출부
230: 사용전력량 수집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메모리부 260: 전원부
270: 제어부 300-1 내지 300-N: 부하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는 전력공급처 서버; 및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 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력감축 이벤트 신호에서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는 통제전력량 산출부;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전력량 수집부; 및
    상기 사용전력량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통제전력량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부하그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는, 상기 전력수요처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가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각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각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요처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 전력공급처 서버 및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ustomer Baseline Load, CBL)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전력감축기간동안 특정 시간대에 전력량을 감축하기 위한 전력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가 포함된 전력감축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제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이벤트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 및 전력감축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수집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상기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하들은, 즉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부하그룹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부하그룹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우선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제1 부하그룹을 차단한 후,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이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통제전력량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부하그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그룹은, 조명 및 냉난방 부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부하그룹은, 공장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처 서버는, 상기 전력수요처에 설치된 별도의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부터 해당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요처가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각 전력수요처의 전력소비예측값(CBL)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을 산출함과 아울러 각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전력소비예측값(CBL)에서 상기 추출된 전력수요처의 전력감축량을 감산하여 전력수요처의 통제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전력수요 관리장치는, 상기 추출된 전력감축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수요처의 총합 실시간 사용전력량에서 상기 산출된 통제전력량을 감산한 만큼의 전력량을 줄이도록 각 전력수요처의 부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 관리 방법.
KR1020190088804A 2019-07-23 2019-07-23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21001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04A KR20210011652A (ko) 2019-07-23 2019-07-23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04A KR20210011652A (ko) 2019-07-23 2019-07-23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52A true KR20210011652A (ko) 2021-02-02

Family

ID=7455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804A KR20210011652A (ko) 2019-07-23 2019-07-23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17B1 (ko) 2021-02-17 2022-04-21 주식회사 노바챔프 실시간 소비전력 모니터링 기반 전력패턴 분석을 통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230064029A (ko) * 2021-11-02 2023-05-1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감축관리시스템 및 전력감축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17B1 (ko) 2021-02-17 2022-04-21 주식회사 노바챔프 실시간 소비전력 모니터링 기반 전력패턴 분석을 통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230064029A (ko) * 2021-11-02 2023-05-1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감축관리시스템 및 전력감축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428B1 (ko)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029795A1 (en) Power supply/demand adjustment system and power supply/demand adjustment method
KR101720431B1 (ko) 전기요금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
Aghamohamadi et al. A novel approach to multi energy system operation in response to DR programs; an application to incentive-based and time-based schemes
Tiwari et al. Automated demand response in smart distribution grid: A review on metering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ptimization models
Safdarian et al. Domestic EWH and HVAC management in smart grids: Potential benefits and realization
KR20190105173A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가상 발전소
Hansen et al. Coordination of system needs and provision of services
KR20210011652A (ko) 경제급전을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운영시스템
Neme et al. Energy efficiency as a T&D resource: Lessons from recent US efforts to use geographically targeted efficiency programs to defer T&D investments
KR102571463B1 (ko) 태양광 발전과 ess를 이용한 전력수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un et al. An optimal performance based new multi-objective model for heat and power hub in large scale users
KR20180110881A (ko) 마이크로 그리드 운용 방법
Merfeld et al. Economic real-time energy trading services for electric vehicles with uncertain mobility demand
KR102542282B1 (ko)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이용한 수요반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722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 상호 전력공유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인터넷 플랫폼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Ranjbar et al. Transactive charging control of electric vehicles considering voltage unbalance and transformers’ loss of life
Altın et al. Review on vehicle-to-grid systems: The most recent trends and smart grid interaction technologies
KR102377224B1 (ko)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운용서버
Srivastava et al. A DSO support framework for assessment of future-readiness of distribution systems: technical, market, and policy perspectives
Aliu et al. Charge/discharge event model for electric vehicles with predictive control application
CN105205703A (zh) 基于业务分析的电网电力运营方案确定方法及系统
Akhavan-Hejazi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large-scale deployment of automated energy consumption scheduling systems in smart grids
Pongrašić et al. Cost-benefit analysis of smart grids projects implementation
Carlini et al. A Power sector in transition understanding transition towards a cleaner grid and how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ffect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