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16A -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16A
KR20160047916A KR1020140144453A KR20140144453A KR20160047916A KR 20160047916 A KR20160047916 A KR 20160047916A KR 1020140144453 A KR1020140144453 A KR 1020140144453A KR 20140144453 A KR20140144453 A KR 20140144453A KR 20160047916 A KR20160047916 A KR 2016004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oints
movement
area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욱
Original Assignee
신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욱 filed Critical 신상욱
Priority to KR102014014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916A/ko
Publication of KR2016004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는 이동 권역 구분부와,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이동경로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ROUTE}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 날씨 및 다수의 지점들 간 거리정보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여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경로 안내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으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선박, 항공기, 차량,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등 각종 이동체에 탑재되며 사용자에게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며 경로에 따라 사용자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지도(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한다. 즉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실제 도로나 건물,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에 따라 수치적인 데이터로 저장하고, GPS 위성들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에 매칭(matching)시켜 이동체에 대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화면을 통해 안내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마다 다른 지점의 명칭을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이에 따라 택배 배송 또는 여행, 비지니스 출장 등과 같이 이동해야 할 지점이 다수인 경우, 사용자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해야될 때마다 다른 지점의 명칭 등을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수의 지점들을 이동해야 하는 택배 배송, 여행, 비지니스 출장 등에 있어서 지점 이동시마다 지점의 명칭 등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경로 안내 서비스가 요구된다.
한편, 날씨에 민감한 사용자, 예를 들어 여행자 등의 경우, 다수의 지점들을 이동하는 데 있어 날씨에 따라 이동경로를 정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다수의 지점들을 이동하는데 있어서 날씨를 고려하여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47166호(공개일자 : 2001년 06월 15일)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 날씨 및 다수의 지점들 간 거리정보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여 안내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수의 지점들 간 이동 경로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경로 안내의 대상에 제외하여서, 다수의 지점들 중 이동이 완료된 지점으로 다시 되돌아오는 동선의 꼬임 현상을 방지한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는 이동 권역 구분부; 와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이동경로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권역 구분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권역 내에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고,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는 단계; 와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로 구분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로 구분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와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고,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해서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수의 지점들을 이동해야 할 때 지점을 이동할 때마다 지점의 명칭 등을 입력해야하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수의 지점들의 날씨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안내해줌으로써, 날씨에 민감한 사용자, 예를 들어 여행자 등의 경우, 다수의 지점들을 이동하는 데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지점들 간 이동 경로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경로 안내의 대상에 제외함으로써, 경로 안내 중 이동이 완료된 지점으로 다시 되돌아오는 동선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권역들 간의 이동경로 및 각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의 이동경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는 이동 권역 구분부(4)와 이동 경로 결정부(5)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입력부(2), 맵 데이터 저장부(3), 위치 파악부(6) 및 표시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의 블록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 권역 구분부(4)는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은 입력부(2)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는 근거리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부(2)는 외부 콘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지점들(에 대한 명칭 등의 정보)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권역 구분부(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지점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맵 데이터 저장부(3)에서 파악한다. 이때 맵 데이터 저장부(3)는 지점들의 명칭 등에 매칭(matching) 되는 위치가 수치화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명칭 등은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 권역 구분부(4)는 다수의 지점들에 대한 날씨정보를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상청 서버에 접속해서 파악할 수 있는데, 날씨정보의 파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이동 권역 구분부(4)는 입력부(2)를 통해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 권역 내에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는 동일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권역 내에서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가 흐림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권역의 형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USER)가 이동해야 할 지점들이 A, B, C, D, E, F, G, H, I, J인 경우 이들을 포함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CP)를 사용자가 설정한 2개의 이동권역 구분라인(AA, BB)에 의해서 제1위치영역, 제2위치영역, 제3위치영역 및 제4위치영역이 형성되고, 위치영역들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도 2의 경우 4개의 이동권역들(10, 12, 14, 16)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동권역(10)은 제1위치영역 내에 존재하며, 이동권역(12)는 제2위치영역 내에 존재하며, 이동권역(14)은 제3위치영역 내에 존재하며, 이동권역(16)은 제4위치영역 내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동권역(10)의 날씨정보는 흐림, 이동권역(12)의 날씨정보는 비, 이동권역(14)의 날씨정보는 맑음, 이동권역(16)의 날씨정보는 흐림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동권역 구분라인(AA, BB)이 정중앙 위치(CP)를 지나는 형상(모습)은 입력부(2)를 통한 사용자의 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이동 권역 구분부(4)에 의해서 이동 권역들이 형성된 후, 이동경로 결정부(5)는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한다.
이때, 이동 경로 결정부(5)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고,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예로 들면,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사용자(USER)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A)이 포함된 제1위치영역 내의 이동권역(10)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고, 이동권역(10) 내의 지점(A)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B)을 지점(A)의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고 다시 지점(B)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C)을 지점(B)의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한다. 이후 이동 권역(10)의 마지막 이동 지점(C)과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D)이 포함된 제2위치영역 내의 이동 권역(12)을 이동 권역(10)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한다. 이후 이동 권역(12) 내부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한다. 즉 이동 권역(12) 내 지점(D)과 가장 가까운 지점(E)을 지점(D)의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고, 지점(E)과 가장 가까운 지점(F)을 지점(E)의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한다. 이후 이동 권역(12)의 마지막 이동 지점(F)과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G)이 포함된 제3위치영역 내의 이동 권역(14)을 이동 권역(12)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한다. 이후 이동 권역(14) 내부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한다. 즉 이동 권역(14) 내 지점(G)과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H)을 지점(G)의 이동 지점으로 결정한다. 이동 권역(14)에서는 지점들이 2개이므로, 지점(H)이 이동 권역(14)의 마지막 이동 지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 권역(14)의 지점(H)과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I)이 포함된 제4위치영역 내의 이동 권역(16)을 이동 권역(14)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한다. 이후 이동 권역(16) 내부의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한다. 이동 권역(16)의 지점(I)과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J)을 지점(I)의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한다. 이동 권역(16)에서는 지점들이 2개이므로, 지점(J)이 마지막 이동 지점이 되는 것이다.
결국, 도 2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지점들 간 이동 경로는 A->B->C->D->E->F->G->H->I-J 지점 순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권역 들 별 이동 경로는 10->12->14->16 이동 권역 순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동권역(10) 내 지점들의 날씨가 흐림, 이동권역(12) 내 지점들의 날씨가 비, 이동권역(14) 내 지점들의 날씨가 맑음, 이동권역(16) 내 지점들의 날씨가 비인 경우, 사용자는 날씨가 흐린 이동권역(10)->비가 내리는 이동권역(12)->날씨가 맑은 이동권역(14)->날씨가 흐린 이동권역(16)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된 이동 권역들 간 이동 경로 및 각 이동 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는 이동 경로 결정부(5)의 제어하에 도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부(7)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표시부(7)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부(7)를 통해서 이동 권역들 간 이동 경로 및 각 이동 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위치 파악부(6)의 위치 파악 기술을 통해서 사용자가 소지한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의 위치변화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 파악 기술은 GPS 위성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1)의 위치가 파악되면,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한다. 일 양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USE)가 이동 권역(12)의 지점(D)에 위치한 경우,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10)을 이동해야할 이동 권역들에서 제외한다.
그리고,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한다. 일 양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USER)가 이동 권역(10)의 지점(C)에 위치한 경우 이동 경로 결정부(5)는 이동이 완료된 지점들(A, B)을 이동해야할 이동 권역들에 제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은, 내비게이션 단말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한다.(S1).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이 되고, 이후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한다(S2). 이때,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고,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S2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S2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2 : 입력부
3 : 맵 데이터 저장부
4 : 이동 권역 구분부
5 : 이동 경로 결정부
6 : 위치 파악부
7 : 표시부

Claims (16)

  1.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는 이동 권역 구분부; 와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이동경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권역 구분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권역 내에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고,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결정부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9.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다수의 지점들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점들을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sector)들로 구분하는 단계; 와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로 구분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권역 구분라인이 다수의 지점들이 전부 포함되는 영역의 정중앙 위치를 지나도록 하여 적어도 둘의 위치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위치영역들 마다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권역 내에 속하는 지점들의 날씨정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 권역들로 구분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권역 구분라인의 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지점들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이 포함된 이동 권역을 가장 먼저 이동해야 할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와
    직전 이동권역 내 지점들 간 이동경로의 마지막 지점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지점을 포함한 이동 권역을 상기 직전 이동권역의 다음 이동 권역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의 이동권역들 중 상기 결정된 이동 권역 이외 나머지 이동 권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마다, 직전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을 다음 이동 지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권역 내의 지점들 간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이동 권역을 이동해야할 이동권역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점들 간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권역들 간 이동경로 및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권역들 각각의 내에서 지점들 간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지점을 이동해야 할 지점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0140144453A 2014-10-23 2014-10-23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47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53A KR20160047916A (ko) 2014-10-23 2014-10-23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53A KR20160047916A (ko) 2014-10-23 2014-10-23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16A true KR20160047916A (ko) 2016-05-03

Family

ID=5602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53A KR20160047916A (ko) 2014-10-23 2014-10-23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9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274A (ko) * 2017-07-21 2019-01-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274A (ko) * 2017-07-21 2019-01-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13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ynamic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and trip planning
US9939285B2 (en) Navigation apparatus
CN102135433B (zh) 精确导航方法及位置服务设备
US20200080862A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US8762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al guidance using landmarks
US20140107917A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navigation program
US20130317745A1 (en) Navigation device
CN102506853A (zh) 路径规划法方法、导航方法、位置服务设备及服务器
CN102918359A (zh) 导航或地图绘制设备和方法
KR20070077270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04842898A (zh) 用于检测驾驶者对对象的注意力的方法和系统
CN104851242A (zh) 用于处理来自车辆的注意力数据的方法和系统
JP201318195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2113576A (zh) 行程路线规划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0793533B (zh) 导航装置和方法
KR20160047916A (ko)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47917A (ko)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418055B1 (ko) 내비게이션의 경로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7918A (ko)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90062524A (ko) 항법 시스템에서의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2324282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추천 정보 제공 방법
KR100981179B1 (ko) 시간정보가 반영된 관심지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62515B1 (ko) 블루투스 기기의 일정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의 목적지 자동 설정 방법
JP2017044546A (ja) 領域案内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99727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중 경로 탐색 및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