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371A -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371A
KR20160047371A KR1020150009549A KR20150009549A KR20160047371A KR 20160047371 A KR20160047371 A KR 20160047371A KR 1020150009549 A KR1020150009549 A KR 1020150009549A KR 20150009549 A KR20150009549 A KR 20150009549A KR 20160047371 A KR20160047371 A KR 2016004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relay
power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닉스
Publication of KR2016004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부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절감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탭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현재 멀티탭에 연결된 부하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릴레이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MULTITAP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탭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현재 멀티탭에 연결된 부하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릴레이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절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하나 이상 전기기구의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꽂을 수 있게 만든 이동식 콘센트이다.
거물 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고정식 콘센트에 연결되어 부하에 전원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현재까지 멀티탭 각각에 대한 사용제한 제어가 가능한 멀티탭은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멀티탭은 멀티탭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멀티탭을 통한 불필요한 전력 사용 방지 등의 기능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사용되지 않는 전기기구 등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0333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탭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연결된 릴레이와 사용자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거리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통신부, 및 제1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거리인 인식거리가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각 컨센트의 릴레이에 대한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멀티탭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현재 멀티탭에 연결된 부하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릴레이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절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멀티탭에 포함된 각 컨센트마다 특정 전기기구의 사용이 예정되도록 하는 의미의 식별코드 정보가 기 할당되도록 하고, 그 식별코드 정보에 따라 인식거리가 가동범위 밖에 존재하더라도 해당 릴레이가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전원이 켜져있을 필요가 있는 전기기구가 결합되는 컨센트에 대해서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전기기구가 결합되는 컨센트에 대해서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기구의 사용 특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자의 부재 중에 대한 전력 사용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절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탭에 포함된 각 컨센트마다 특정 전기기구의 사용이 예정되도록 하는 의미의 식별코드 정보가 기 할당되도록 하고 각 컨센트에서의 전력사용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불필요한 전력사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부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 중 기 분류된 식별코드인 하나 이상의 서브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 각각에 연결된 릴레이는 상기 인식거리가 상기 가동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측정부와 더 연결되어 상기 컨센트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사용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한 상기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사용량이 측정되는 컨센트의 릴레이는 오프 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부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해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각 컨센트의 소비전력량 정보와 해당 콘센트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절감 멀티탭과,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별로 기 저장된 허용 전력사용량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 중 상기 허용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한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받은 전력절감 멀티탭의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에 대응되는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의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탭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현재 멀티탭에 연결된 부하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릴레이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절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전원이 켜져있을 필요가 있는 전기기구가 결합되는 컨센트에 대해서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전기기구가 결합되는 컨센트에 대해서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기구의 사용 특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자의 부재 중에 대한 전력 사용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절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멀티탭에 포함된 각 컨센트마다 특정 전기기구의 사용이 예정되도록 하는 의미의 식별코드 정보가 기 할당되도록 하고 각 컨센트에서의 전력사용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불필요한 전력사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력절감 멀티탭의 입력 전원단자와 제어부와 제1 통신부 및 부하 연결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에 전력 측정부가 추가된 구성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의 블록도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발명의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력절감 멀티탭의 입력 전원단자와 제어부와 제1 통신부 및 부하 연결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에 전력 측정부가 추가된 구성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력절감 멀티탭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100)은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110)와,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132)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131)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130)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40), 및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와 부하 연결부(130) 사이에 ㄹ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140)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14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131)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131)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100)은, 입력 전원단자(110), 제어부(120), 부하 연결부(130) 및 제1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은 멀티탭 등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이다.
상기 부하 연결부(130)는 릴레이부(131)와 컨센트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컨센트부(132)는 멀티탭에 형성된 컨센트 단자로서, 부하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단자이다.
이때, 상기 컨센트부(132)는 제1 컨센트(131-1), 제2 컨센트(132-2) 및 제N 컨센트(132-N) 등 하나 이상의 컨센트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부(131)는 상기 컨센트부(132)의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각각의 컨센트에 대해 구비된다.
예컨대, 제1 컨센트(132-1)에는 제1 릴레이(131-1)가, 제2 컨센트(132-2)에는 제2 릴레이(131-2)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이다.
즉, 상기 제1 통신부(140)에는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가 기 등록되고, 그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통신부(140)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전원단자(110)와 부하 연결부(13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140)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131)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인식거리는 블루투스 통신 시 산출되는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시 통신 단말기와 통신수단 사이의 기존의 거리 측정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근거리 통신 결과 산출되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부를 온 시켜 상기 입력 전원단자의 전원이 상기 컨센트부의 각 컨센트로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인식거리가 상기 가동범위 외에 포함된 경우(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통신부와의 근거리 통신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 역시 포함됨)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켜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상기 컨센트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으로부터 해당 멀티탭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있는 경우, 멀티탭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전력사용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 중 기 분류된 식별코드인 하나 이상의 서브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 각각에 연결된 릴레이는 상기 인식거리가 상기 가동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온 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사무실 등의 업무 시간 등에서 항시 사용 중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한 전기기구, 예컨대 PC나 전화기 등의 경우, 상기 인식거리가 상기 가동범위 밖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해당 릴레이가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절감을 위한 릴레이의 사용에 의한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식별코드 등은, 상기 컨센트부의 각 컨센트들 마다 할당될 것이고, 그에 따라 각 컨센트는 PC용 컨센트, 스탠드용 컨센트, 전화기용 컨센트, 모니터용 컨센트 등 각 컨센트에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것이고, 사용자는 그에 따라 각 컨센트에 해당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은 전력 측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100)은 상기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력 측정부(150)와 더 연결되어 상기 컨센트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사용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한 상기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사용량이 측정되는 컨센트의 릴레이는 오프 되도록 더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상기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컨센트에 결합되도록 제안되는 각종 전기기구에 따라 결정되고, 각 컨센트마다, 즉 각 식별코드마다 상기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이 기 설정되도록 하여, 각 컨센트에 결합되도록 제시된 부하의 특성에 따라, 그에 따른 적정 일정 시간당 전력 사용량 내에서만 전력사용이 허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의 블록도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절감 멀티탭의 기본적인 구성 원리와 상술한 전력절감 멀티탭의 구성은 같은 원리이고, 여기에 서버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이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은, 전력절감 멀티탭(100)과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절감 멀티탭(100)은,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110)와,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132)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131)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130)와,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50)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40)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컨센트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상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131)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131)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해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각 컨센트의 소비전력량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별로 기 저장된 허용 전력사용량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 중 상기 허용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한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받은 전력절감 멀티탭의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에 대응되는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의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더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 멀티탭(100)의 컨센트부(132)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해 특정 전기기구가 부하로서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예정된 각 컨센트에서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허용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사용이 감지된 컨센트에 대한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버에서 일정 공간 또는 건물 등에 포함된 모든 멀티탭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전기기구에 대한 전력사용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전력사용에 따른 사용 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사용 또는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전력사용량을 갖는 전기기구에 대한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에는 각 전기기구의 전력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에 포함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이 금지된 전기기구의 전력 특성 정보와 매칭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에 대응되는 컨센트의 식별코드를 상기 제2 통신부로 더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이 금지된 전기기구의 전력 특성 정보와 매칭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에 대응되는 컨센트의 식별코드에 대한 릴레이가 상기 허용 전력 사용량을 초과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오프되어 사용이 제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절력절감 멀티탭
110: 입력 전원부 120: 제어부
130: 부하 연결부 131: 릴레이부
132: 컨센트부 140: 제1 통신부
150: 전력 측정부 160: 제2 통신부
200: 서버

Claims (4)

  1.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부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 중 기 분류된 식별코드인 하나 이상의 서브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 각각에 연결된 릴레이는 상기 인식거리가 상기 가동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측정부와 더 연결되어 상기 컨센트 각각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사용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한 상기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기준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사용량이 측정되는 컨센트의 릴레이는 오프 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4.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자;
    상기 입력 전원단자에 입력된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컨센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컨센트부와 상기 컨센트 각각과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릴레이가 하나 이상 포함된 릴레이부가 포함된 부하 연결부;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의 일정 시간당 소비 전력량인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 이상 기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입력 전원단자와 부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제1 통신부 사이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산출된 거리인 인식거리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인 가동범위 이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에 포함된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센트부에 포함된 컨센트 각각에 대해 기 할당된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각 컨센트의 소비전력량 정보와 해당 콘센트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절감 멀티탭과,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별로 기 저장된 허용 전력사용량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 정보 중 상기 허용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는 개별 컨센트 전력사용량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한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받은 전력절감 멀티탭의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에 대응되는 식별코드가 할당된 컨센트의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KR1020150009549A 2014-10-22 2015-01-20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KR20160047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388 2014-10-22
KR1020140143388 2014-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71A true KR20160047371A (ko) 2016-05-02

Family

ID=5602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549A KR20160047371A (ko) 2014-10-22 2015-01-20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02B1 (ko) * 2018-01-04 2018-07-19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Pc용 스마트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02B1 (ko) * 2018-01-04 2018-07-19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Pc용 스마트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011Y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30048358A (ko)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RU270222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яемый в такой системе
CN103794955B (zh) 智能供电系统及其智能插排与智能供电方法
KR101182780B1 (ko) 효율적 전력 관리를 위한 스마트 미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
KR101645647B1 (ko) 실시간 다중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US10980097B2 (en) Power source equipment device for a power over ethernet lighting system
US109382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inrush current
KR20160047371A (ko) 전력절감 멀티탭 및 전력절감 멀티탭 시스템
KR20140129825A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101645648B1 (ko) 통신 및 분기 확장이 용이한 통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KR102239636B1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765098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58284A (ko) 콘센트 및 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101723463B1 (ko) 부하유형에 따라 출력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각구제어 멀티탭
KR20170042078A (ko) 스마트 멀티탭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0785A (ko) 패턴분석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85484B1 (ko) 비상시 상시전원 자동 연결기능을 갖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FI128767B (en) Electrical outle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outlet system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EP3604950B1 (en)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6350939B2 (ja) 省エネ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