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098B1 -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098B1
KR101765098B1 KR1020150131908A KR20150131908A KR101765098B1 KR 101765098 B1 KR101765098 B1 KR 101765098B1 KR 1020150131908 A KR1020150131908 A KR 1020150131908A KR 20150131908 A KR20150131908 A KR 20150131908A KR 101765098 B1 KR101765098 B1 KR 10176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command
unit
mobile terminal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740A (ko
Inventor
임기태
Original Assignee
임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태 filed Critical 임기태
Priority to KR102015013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멀티탭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탭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멀티탭 제어 장치에 있어서, 멀티탭 제어 장치는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MOTE CONTROLLING THE SMART MULTI-T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기능이 포함된 멀티탭을 원격으로 제어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보통의 멀티탭은 메인 스위치, 다수의 플러그 삽입구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컴퓨터 본체는 물론 컴퓨터 주변기기, 예를 들면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등을 한 곳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렇게 컴퓨터 및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대부분의 멀티탭은 컴퓨터 본체 전원과 주변기기의 전원을 연동시키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컴퓨터 휴면 중에도 주변기기에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멀티탭은 전력 차단 등의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직접 전원이 연결된 멀티탭으로 사람이 직접 이동하여 멀티탭을 수동으로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6331호(발명의 명칭: 대기전력 차단용 다기능 멀티탭(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등록일자: 2004. 03. 26)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소비전력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탭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 및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별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차단명령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가 상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차단명령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전원소켓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임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 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및 미리 설정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전원소켓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의 차단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정보 및 차단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고유 아이피 주소를 갖는 통신 모듈이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장착됨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원격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장치는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시간당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소비전력 알람부;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만 점등되는 통신 표시부; 및 상기 전원 차단부에 의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만 점등되는 차단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표시부 및 상기 차단 표시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탭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 및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전원소켓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의 차단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정보 및 차단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고유 아이피 주소를 갖는 통신 모듈이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장착됨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여 사물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탭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전력 산출 기능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 및 장치의 전력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 탭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가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예상 모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멀티탭의 예상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는 소비전력 산출부(110), 수신부(120) 및 전원 차단부(130)를 포함한다.
소비전력 산출부(110)는 각각의 전원소켓(20)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원소켓(20)에 연결되는 전기기기는 동일한 제품이 계속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원소켓의 소비전력을 산출함으로써, 각각의 전원소켓에 연결된 장치의 소비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소비전력을 산출하여, 연결된 장치의 전력 소비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SDRAM 메모리를 이용해 소비전력의 산출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정전이 발생해도 기본적인 데이터를 계속해서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특정 전기기기에서 소비전력이 과다한 경우 또는 멀티탭(10) 전체의 소비전력이 과다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특정 전원소켓(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산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멀티탭(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소켓(20)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수신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전원소켓(20)을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수신부(120)는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명령은 전원 차단부(130)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명령으로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전원소켓의 식별정보, 전원의 차단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정보 및 차단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20)가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차단부(130)는 수신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전원소켓(20)을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시작 시간 정보 및 종료 시간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 동안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가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수신부(120)는 제어명령 생성부(210) 및 모바일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명령 생성부(210) 및 모바일 단말기(30)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명령 생성부(210)와 모바일 단말기(30)에 의하여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전원소켓(2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명령이 제어명령 생성부(210)와 모바일 단말기(30)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고 함은, 멀티탭 제어 장치(100)는 스스로 제어할 수 도 있지만, 모바일 단말기(30)에서도 제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명령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산출된 소비전력의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명령 생성부(2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210)는 비교부(212) 및 차단명령 생성부(214)를 포함한다.
비교부(212)는 각각의 전원소켓(20)별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다.
과전력이 소비되는 경우 화재의 위험 또는 타 전기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어 과전력이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과전력이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전원소켓(2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차단명령 생성부(214)는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 및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차단명령 생성부(214)는 미리 설정된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전원소켓(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탭(10)에 복수의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멀티탭 전체에 과전력이 흘러 전력소비를 줄여야 하는 경우, 각각의 전원소켓(20)에 연결된 장치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중요도를 미리 결정하고, 중요도가 낮은 전원소켓(20)부터 차례대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210)는 비교부(212), 차단명령 생성부(214) 및 알림부(2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210)는 도 3의 제어명령 생성부(2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알림부(216)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알림부(216)는 임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임계치와 산출된 소비전력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관리자 및 미리 설정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 생성부(210)는 외부인의 침입 등 비정상적인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아무도 없는 퇴근 시간에 타인의 컴퓨터에서 비밀스러운 정보를 인출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켜는 경우, 컴퓨터의 소비전력이 임계치 보다 높게 되면 알림부(216)가 작동할 수 있다.
관리자는 멀티탭(10)의 관리자가 해당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경찰 또는 보안업체 등 보안을 책임 질 수 있는 곳의 연락처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는 소비전력 산출부(110), 수신부(120), 전원 차단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110, 120, 130)가 도 1의 멀티탭 제어 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14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다른 나머지 구성요소(110, 120, 1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30)에게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소비전력 산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제어명령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WIFI, 블루투스, NFC 및 지그비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유선 방식으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하나의 통신 모듈(미도시)이 모든 전원소켓(20)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전원소켓(20) 마다 고유 아이피 주소를 갖는 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통신부(140)는 통신 모듈을 이용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원소켓(20) 마다 통신 모듈이 설치되면, 각각의 전원소켓을 별도로 제어 할 수 있고, 각각의 전원소켓끼리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멀티탭 제어 장치(100) 및 다른 멀티탭(10)의 전원소켓(20)과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모바일 단말기(30)와 WIFI 모듈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거나,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멀티탭(10)의 외부에서 멀티탭(10)과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30)는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소비전력을 모바일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전력의 소비패턴을 분석할 수 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모바일 단말기(30)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30)에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예상 모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10)은 소비전력 알람부(510), 통신 표시부(520), 차단 표시부(530), 전원 스위치(540) 및 리셋 스위치(550)를 포함한다.
소비전력 알람부(510)는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상단에 각각의 전원소켓의 시간당 소비전력을 표시한다.
통신 표시부(520)는 LED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원소켓(2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만 점등된다.
차단 표시부(530)는 LED로 구성되어, 전원 차단부에 의하여 전원소켓(20)의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만 점등된다.
또한, 통신 표시부(520) 및 차단 표시부(530)는 서로 다른 색의 LED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전원소켓(20)은 전원 스위치(540)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540)는 수동으로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리셋 스위치(5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550)는 멀티탭(10)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멀티탭의 예상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4개의 전원소켓(20)을 포함하는 멀티탭의 예상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전원소켓(20)에 소비전력 산출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원소켓에는 전원 스위치(5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2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을 전원 차단부(130)에 전송할 수 있고, 소비전력 산출부(110)에서 산출된 멀티탭(10) 전체의 소비전력 및 각각의 전원소켓(20)의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통신부(140)에 하나의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통신 모듈이 설치 되어 각각의 전원소켓(20)이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810에서는,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각각의 전원소켓(20)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한다.
산출되는 소비전력은 각각의 전원소켓(20)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단계 820에서는,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사용자 입력 또는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전원소켓(20)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에 의한다고 함은 사용자에 조작에 의하여 수동으로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함을 의미하고,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전원소켓(20)을 제어한다고 함은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원소켓(20)의 전원을 차단함을 의미한다.
단계 830에서는, 멀티탭 제어 장치(100)가,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둘 이상의 전원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탭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 및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별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차단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 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및 미리 설정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대가 상기 전원소켓에 연결된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인 경우 상기 임계치는 과전력이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경찰 및 보안업체 중 적어도 한 곳의 연락처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가 상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차단명령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전원소켓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전원소켓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의 차단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정보 및 차단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고유 아이피 주소를 갖는 통신 모듈이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장착됨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시간당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소비전력 알람부;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만 점등되는 통신 표시부; 및
    상기 전원 차단부에 의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만 점등되는 차단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표시부 및 상기 차단 표시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11. 적어도 둘 이상의 전원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탭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 및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별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의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차단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 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및 미리 설정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대가 상기 전원소켓에 연결된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인 경우 상기 임계치는 과전력이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경찰 및 보안업체 중 적어도 한 곳의 연락처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전원소켓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원소켓의 전원의 차단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정보 및 차단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고유 아이피 주소를 갖는 통신 모듈이 상기 각각의 전원소켓 마다 장착됨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소비전력의 산출 결과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KR1020150131908A 2015-09-17 2015-09-17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6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08A KR101765098B1 (ko) 2015-09-17 2015-09-17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08A KR101765098B1 (ko) 2015-09-17 2015-09-17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40A KR20170033740A (ko) 2017-03-27
KR101765098B1 true KR101765098B1 (ko) 2017-08-07

Family

ID=5849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908A KR101765098B1 (ko) 2015-09-17 2015-09-17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629B1 (ko) * 2018-12-20 2020-07-28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KR102244588B1 (ko) * 2019-05-22 2021-04-26 주식회사 웰바스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40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7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US9007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o a device
US8129859B2 (en) Extension cord with wireless timing function
US915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US20110217875A1 (en) Receptac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of
TWI524620B (zh) Radiator control method
Makhanya et al. A smart switch control system using ESP8266 Wi-Fi module integrated with an android application
KR101765098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17500A (ko) 무선통신을 활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및 시스템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KR101479659B1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CN107615215B (zh) 电气设备控制装置和使用该控制装置的电气设备控制方法
KR20030092514A (ko) 온도 감지 및 감응형 전원접속구 및 스위치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US10110279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field device
KR20150124027A (ko) 무선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자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8893A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2020003401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KR20170001522A (ko) 스마트 전기 콘센트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JP2020056744A (ja) スマートタップ
KR1016396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JP2020058198A (ja) 管理装置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