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993A -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 Google Patents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993A
KR20160046993A KR1020140142007A KR20140142007A KR20160046993A KR 20160046993 A KR20160046993 A KR 20160046993A KR 1020140142007 A KR1020140142007 A KR 1020140142007A KR 20140142007 A KR20140142007 A KR 20140142007A KR 20160046993 A KR20160046993 A KR 2016004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lve plate
opening
notc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병춘
조준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993A/en
Publication of KR2016004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9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07Arrangements for pressing the cylinder barrel against the valve plate, e.g.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22Details or component parts, e.g. valves, sealings or lubrication means
    • F04B1/124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35Cylinde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64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01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plate including: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a fluid flows in and out;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n and out; a notch formed in a suction uni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 discharge guide hole formed in the suction uni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releasing a fluid pressure; and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med in a suction uni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uction opening and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The suction guide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 for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ing a valve plate. The pump for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es a rotary shaft and the valve plat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The valve plate includes: the suction opening where the fluid flows in and out; the discharge opening where the fluid flows in and out; the notch formed in the suction uni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the discharge guide hole formed in the suction uni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the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med in the suction uni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uction opening and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The suction guide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The valve plate and the pump for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properly forming the notch or the guide holes in the discharge opening or the suction opening of the valve plat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reducing pulsation when the pump is operated. Moreover, the effects of reducing noise and improving durability are obtained.

Description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A valve plate and a pump of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plate and a pump of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the valve plate.

건설 장비란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용 기계를 의미하며, 도로, 하천, 항만, 철도, 플랜트 등과 같은 공사별로 각각 그 특성에 적합한 기계구조 및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건설 장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덤프트럭, 롤러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Construction equipment generally refers to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machinery, and each construction such as roads, rivers, ports, railways, and plants has a structure and performance suited to its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divided into excavation equipment, loading equipment, conveying equipment, loading equipment, compaction equipment, foundation equipment and the like due to the variety of work done in the industrial field.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classified into bulldozer, excavator, , Rollers, and the like.

산업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은 굴삭이다. 산업 공사 시에는 지면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파이프 등을 매설하는 작업이 주로 수행되는데, 이때 굴삭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The most basic work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ield is digging. In the case of industrial construction, excavation works are mostly carried out by excavating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and installing various structures or laying pipes on the ground.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An excavator is a construction machine that carries out works such as excavation work for digging the groun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 loading work for transporting soil, crushing work for dismantling the building, suspension work for arranging the ground, And an upper revolving body mounted on the traveling body and rotated by 360 degrees and a working device.

굴사기는 주행체의 주행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크롤라 굴삭기와 타이어식 휠 굴삭기로 구분된다. 크롤라 굴삭기는 휠 굴삭기에 비해 작업이 안정적이며 작업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장비 중량 1톤부터 100톤 이상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각 작업현장에 폭 넓게 사용되며, 휠 굴삭기는 크롤라 굴삭기에 비해 타이어 지지방식으로 인해 작업시 안정성은 떨어지나, 도로 주행이 가능하여 운반 트레일러 없이 작업장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과 이동을 빈번하게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 주로 사용된다.Crawler crawlers are classified into crawler crawlers and tire-type wheel excavators according to the driving style of the vehicle. Crawler excavator is more widely used in each work site from 1 ton to more than 100 tons of equipment because it is stable and work productivity compared to wheel excavator. Wheel excavator is compared with crawler excavator It is used mainly in the work site where the work stability can be reduced but the road can be traveled and the work place can be moved without a trailer and frequently work and movement are required.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In addition, excavators can be used with appropriate working equipmen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earth and rock, the type of work and the application. Buckets for general excavation and excavation, breakers for crushing hard ground, rocks, and crushers used for dismantling and crushing buildings.

이러한 건설기계에는 굴삭기 외에도 본체의 전방에 붐과 버켓을 포함하는 프론트 장치를 구비하여 파쇄된 암반, 토사 등과 같은 골재를 적재하거나 근거리 운반에 쓰이는 휠로더,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지게차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xcavator, the construction machine has a front device including a boom and a bucket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wheel loader used for carrying aggregate materials such as crushed rocks and soil, a wheel loader used for short distance transportation, and a forklift used for lifting or transporting a heavy load Can be.

일반적으로 굴삭기에는 각종 장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압 시스템은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작동유의 유동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 및 기계적인 일을 하는 각종 액추에이터 등을 갖추고 있다.Generally, an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system that provides power for driving various equipments. The hydraulic system includes a hydraulic pump for discharging hydraulic fluid, a hydraulic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and flow rate of hydraulic fluid, And an actuator.

이와 같이 굴삭기에는 장비의 구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펌프의 구동 상황이 매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펌프의 구동이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pump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effectively drive the equipment in the excavator. Therefore, in recent years, numerous studi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so that the pump can be driven smooth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치 및 유도홀이 형성된 밸브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펌프 구동시 발생하는 맥동을 저감하기 위한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lve plate having a valve plate having a notch and an induction hole formed therein to reduce pulsation generated when a pump is driven, To provide a pump for the machi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는,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흡입 개구;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토출 개구;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노치;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토출 유도홀;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흡입 유도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notch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 discharge inducing hol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 discharging the fluid pressure, wherein the suction guide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클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ction inducing hole may have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larger than that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upstream side.

구체적으로, 상기 노치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tch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stages.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 유도홀은,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discharge induction hole is provid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제1 노치;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제2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치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노치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상기 흡입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tch may include: a first notch provided in a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a second notch provided at a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notches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and the second notch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tion opening Lt; / RTI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흡입 개구;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토출 개구;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노치;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토출 유도홀;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적어도 2개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흡입 유도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ump of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shaft; And a valve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valve plate includes: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notch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 discharge inducing hol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wherein the suction guide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ction induction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클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ction inducing hole may have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larger than that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upstream side.

구체적으로, 상기 노치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 유도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tch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stages, and at least one or more discharge inducing holes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는, 밸브 플레이트의 토출개구 또는 흡입개구에 노치 또는 유도홀을 적절하게 형성시킴으로써, 펌프의 구동시 맥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소음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mp of the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pulsation when the pump is driven by appropriately forming a notch or induction hole in the discharge opening or the suction opening of the valve plate,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도 1은 밸브플레이트를 장착한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성능 실험결과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1 노치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2 노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a valve plat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mp of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formance test result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notch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tch.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ame numerical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밸브플레이트를 장착한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를 구비하는 건설기계(1)를 우선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건설기계(1)는 굴삭기(1)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is a side view of a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a valve plate. Hereinafter, a construction machine 1 having a valve plate 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construction machine 1 shown in FIG. 1 may be an excavator 1 and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ining a pump including the valv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1)는,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 상부 선회체(1b), 프론트 어태치먼트(1c), 붐(1d), 암(1e), 버킷(1f), 붐 실린더(1g) 를 포함한다.1, an exca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wler type lower traveling body 1a, an upper revolving body 1b, a front attachment 1c, a boom 1d, an arm 1e, A bucket 1f, and a boom cylinder 1g.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1)는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에 선회 자재로 지지를 받는 상부 선회체(1b), 상부 선회체(1b)에 장착되는 프론트 어태치먼트(1c)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어태치먼트(1c)는 상부 선회체(1b)에 상하 이동 자재로 지지를 받는 붐(1d), 붐(1d)의 단부에 전후 이동 자재로 지지를 받는 암(1e), 암(1e)의 단부에 전후 이동 자재로 설치되는 버킷(1f), 브레이커(도시하지 않음), 크렘쉘(도시하지 않음), 붐(1d)을 구동하기 위해 압유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붐 실린더(1g) 등의 각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exca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awler type lower traveling body 1a, an upper revolving body 1b supported by a crawler type lower traveling body 1a in a revolving manner, a front body 1b mounted on the upper revolving body 1b, The front attachment 1c is constituted by an attachment 1c and a boom 1d which is supported by the upper swivel body 1b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and an arm 1e are driven by means of pressurized oil to drive a bucket 1f, a breaker (not shown), a creem shell (not shown), and a boom 1d provided at the ends of the arm 1e as back and forth moving materials A boom cylinder 1g,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건설기계(1)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를 설명하기에 앞서 펌프(20)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ump 20 will be described before describing the valve plate 2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riving the construction machine 1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mp of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를 포함하는 건설기계(1)의 펌프(20)는, 회전축(21), 실린더 블록(22), 피스톤 블록(23), 사판(24), 하우징(25) 및 밸브 플레이트(26)를 포함한다. 2, the pump 20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ncluding the valve plate 2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shaft 21, a cylinder block 22, a piston block 23, A swash plate 24, a housing 25, and a valve plate 26. [

펌프(20)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에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개의 피스톤 블록(23)이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22)과, 각 피스톤 블록(23)에 실린더 블록(22)의 회전에 따라 신장 행정(전진 행정) 및 압축 행정(후퇴 행정)을 가지며 왕복 변위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231)과, 압축 행정의 피스톤(231)이 끼워 맞춤(Fit)되는 피스톤 블록(23)에 접속되는 토출 개구(262) 및 신장 행정의 피스톤(231)이 끼워 맞춤되는 피스톤 블록(23)에 접속되는 흡입 개구(263)가 형성된다.The pump 20 includes a rotary shaft 21 and a cylinder block 22 integral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21 and having a plurality of piston blocks 23 form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pistons 231 which are reciprocally displaced with an extension stroke (advancing stroke) and a compression stroke (retraction strok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block 22 and a piston 231 of the compression strok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suction opening 263 connected to the piston block 23 to which the piston 231 of the extension stroke is fitted is formed.

구체적으로, 펌프(20)는, 회전축(21)의 축선 주위에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겉면에는 하우징(25)으로 둘러싸여 펌프(20)의 각 부품들을 보호한다.Specifically, the pump 20 may include a cylinder block 22 that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axis of the rotating shaft 21, and the casing 20 is surrounded by a housing 25, .

실린더 블록(22)에는 복수 개의 피스톤 블록(23)이 형성되고, 각 피스톤 블록(23)에 연통하는 실린더 포트(Cylinder port;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피스톤 블록(23)에는 피스톤(231)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A plurality of piston blocks 23 are formed in the cylinder block 22 and a cylinder port communicating with each piston block 23 is formed. The piston 231 is fitted.

각각의 피스톤(231)의 일단부에는 슈우(Shoe; 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각 슈우는 회전축(21)의 축선에 수직한 가상 평면(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기울어진 사판(24)을 향하여 가압된다. Shoe (not shown)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piston 231. Each shoe has a swash plate 24 inclined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plane (not show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rotation shaft 21. [ Lt; / RTI >

따라서, 각각의 피스톤(231)은 실린더 블록(22)의 회전과 동기화(Synchronization)하여 신장 행정 및 압축 행정을 가지며 왕복 변위할 수 있다.Accordingly, each piston 231 can be reciprocally displaced with an extension stroke and a compression stroke by synchronizing with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block 22.

이하에서부터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valve plate 2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1 노치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2 노치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notch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a)는,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 토출 개구(262), 흡입 개구(263), 중공부(264), 노치(2651a,2652a), 유도홀(2661a, 2662a, 2663a)을 포함한다.
3 and 7,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plate outermost portion 261, a discharge opening 262, a suction opening 263, a hollow portion 264, notches 2651a, 2652a, and guide holes 2661a, 2662a, 2663a.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형태를 결정지을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는 실린더 블록(2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outermost portion 261 of the valve plate can determine the shape of the valve plate 26a. The outermost portion 261 of the valve plate can be slidably mounted on the cylinder block 22.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는, 밸브 플레이트(26a)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블록(22)의 형태에 맞춰 결정될 수 있다.
The outermost portion 261 of the valve plate 26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valve plate 26a has a circular shap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ylinder block 22.

토출 개구(262)는, 유체를 인입 또는 토출시킨다. 토출 개구(262)는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할 수 있으며, 압축 행정에 있는 피스톤(231)이 끼워맞춤된 피스톤 블럭(23)에 실린더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opening 262 introduces or discharges the fluid. The discharge opening 262 can communicate with an actuator (not shown) and can be formed so that the piston 231 in the compression stroke is connected to the fitted piston block 23 through the cylinder port.

토출 개구(262)는, 펌프(20)가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린더 블록(22)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각 피스톤(231)이 왕복 변위하고, 액츄에이터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opening 262 is formed such that the piston 231 is reciprocally displaced by the cylinder block 22 being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e source (not shown) of the pump 20 and the hydraulic oil is supplied to the actuator to drive the actuator .

흡입 개구(263)는, 유체를 인입 또는 토출시킨다. 흡입 개구(263)는, 유체 공급원(바람직하게는 오일)에 연통할 수 있으며, 신장 행정에 있는 피스톤(231)이 끼워맞춤된 피스톤 블럭(23)에 실린더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opening 263 introduces or discharges the fluid. The suction opening 263 can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fluid source (preferably oil) and to be connected to the piston block 23 through which the piston 231 in the extension stroke is fitted through the cylinder port.

흡입 개구(263)는, 펌프(20)가 구동원에 의해 실린더 블록(22)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각 피스톤(231)이 왕복 변위하고,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작동유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The suction opening 263 allows each piston 231 to be reciprocally displaced by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block 22 by the drive source of the pump 20 and can suck and discharge the operating oil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중공부(264)는, 밸브 플레이트(26a)가 회전하기 위해 회전축(21)이 결합되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관통된 면적일 수 있다. 즉, 중공부(264)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중심에서 동심원을 이루며 개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직경은 회전축(21)의 직경과 유사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264 may be the penetrated area of the valve plate 26a to which the rotary shaft 21 is coupled to rotate the valve plate 26a. That is, the hollow portion 264 may be in the form of an opening concentric with the center of the valve plate 26a, and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264 may be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rotary shaft 21.

중공부(264)는 회전축(21)의 회전력이 밸브 플레이트(26a)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264 ma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shaft 21 to the valve plate 26a.

노치(2651a,2652a)는, 제1 노치(2651a) 및 제2 노치(2652a)로 구성되며, 제1 노치(2651a)는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기준 유입부에 구비되고, 제2 노치(2652a)는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기준 유입부에 구비된다.The notches 2651a and 2652a are constituted by a first notch 2651a and a second notch 2652a and the first notch 2651a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2652a) is provided at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제1 노치(2651a)는, 2단 이상으로(바람직하게는 2단)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2651a)의 형태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The first notch 2651a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stages (preferably two stages), and the shape of the first notch 265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 Can be explained.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1 노치의 단면도로 도면에서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유체가 제1 노치(2651a)로 유입된다. 7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luid flows into the first notch 2651a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제1 노치(2651a)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이며 임의의 한 지점에서 더욱 깊이 파인 후 토출개구(262)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 the first notch 2651a rise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from the left to the right and can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262 after deeper depression at an arbitrary point have.

즉, 제1 노치(2651a)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이는 경사도가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완만해지다가 임의의 한 지점에서 하방으로 급격히 증가한 후, 토출개구(262)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notch 2651a, the inclination of the pi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eft side toward the right sid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then rapidly increases from an arbitrary point downward, ).

또한, 제1 노치(2651a)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이는 경사도가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급격히 증가하다가 임의의 한 지점에서 하방으로 완반하게 증가한 후, 토출 개구(262)와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notch 2651a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pi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increases sharply downward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increases gradually from an arbitrary point downwardly, 262, respectively.

제2 노치(2652b)는 1단 이상으로(바람직하게는 1단)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노치(2652a)의 형태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The second notch 2652b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stages (preferably one stage), and the shape of the second notch 2652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b) can do.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2 노치의 단면도로 도면에서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유체가 제2 노치(2652a)로 유입된다.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luid flows into the second notch 2652a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the drawing.

제2 노치(2652a)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인 후 흡입개구(263)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notch 2652a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which is draw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from the right to the left as shown in Fig. 7 (b).

즉, 제2 노치(2652a)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이는 경사도가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완만해진 후, 흡입개구(263)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notch 2652a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after the inclination of the pi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becomes gradually downward from the right side toward the left side.

제2 노치(2652a)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깊이 방향으로 파이는 경사도가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제1 노치(2651a)의 경사도보다는 완만하게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제1 노치(2651a)의 경사도보다 급격하게 하방으로 기울어진 후, 흡입개구(263)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notch 2652a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pi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valve plate 26a is inclined downward more gradually tha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notch 2651a as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notch 2651a is shift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And then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실린더 포트의 접속장소가 토출 개구(262)로부터 흡입 개구(263)로 전환될 때에, 실린더 포트가 흡입 개구(263) 및 토출 개구(262)의 양쪽 모두에 접속되는 상태에서는 유체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cylinder port is connected to both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discharge opening 262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ylinder port is switch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262 to the suction opening 263, have.

이 상태에서 흡입 개구(263)의 개구 면적이 큰 경우에는, 토출 개구(262)로부터 흡입 개구(263)로 역류하는 유량이 많기 때문에 펌프(20)의 효율이 저하되고 피스톤 블럭(23)의 압력변동 속도가 커지게 되어 진동이 증가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opening 263 is large, the efficiency of the pump 20 is lowered and the pressure of the piston block 23 is lowered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backward flow from the discharge opening 262 to the suction opening 263 is large. The fluctuation speed is increased and the vibration is increased.

또한, 흡입 개구(263)의 개구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작은 개구 면적에 대하여 실린더 포트와 흡입 개구(263)의 압력차가 큰 경우에 역류하는 유체의 유속이 커져 제트류(Jet stream)가 되어 큰 소음을 발생시키고, 또한, 밸브 플레이트(26a) 및 실린더 포트의 내구성 약화를 일으키게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opening 263 is small,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backward becomes large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er port and the suction opening 263 is large with respect to the small opening area, And also causes the durability of the valve plate 26a and the cylinder port to be weakened.

또한, 흡입 개구(263) 및 토출 개구(262)가 실린더 포트에 의하여 접속되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는, 토출 개구(262)와 실린더 포트가 차단된 후에 피스톤 블럭(23)의 유체가 피스톤(231)에 의해 압축되고, 유체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흡입 개구(263)에 접속되기 때문에 더욱 큰 소음을 발생시키며, 밸브 플레이트(26a) 및 실린더 포트의 내구성 약화를 더욱 심하게 유발한다.When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discharge opening 262 are not connected by the cylinder port, the fluid in the piston block 23 flows into the piston 231 after the discharge opening 262 and the cylinder port are shut off,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increased, so that it generates a larger noise and more seriously weakens the durability of the valve plate 26a and the cylinder port.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노치를 흡입 개구(263) 및 토출 개구(262)에 모두 구성하여 밸브 플레이트(26a) 및 실린더 포트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ch is formed in both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discharge opening 262, thereby preventing the durability of the valve plate 26a and the cylinder port from being weakened, and reducing noise generation .

유도홀(2661a,2662a,2663a)은, 제1 유도홀(2661a), 제2 유도홀(2662a) 및 제3 유도홀(2663a)을 포함하며, 토출 유도홀(2661a) 및 흡입 유도홀(2662a,2663a)을 가질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a, 2662a and 2663a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a, a second induction hole 2662a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a, and the induction holes 2661a and 2662a , 2663a.

토출 유도홀(2661a)은,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유도홀(2661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a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preferably one), and may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a.

제1 유도홀(2661a)은,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며 토출 개구(262)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duction hole 2661a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nd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opening 262 to discharge the fluid pressure.

흡입 유도홀(2662a,2663a)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유도홀(2662a) 및 제3 유도홀(2663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a and 2663a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two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a and 2663a and may include a second induction hole 2662a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a.

제2 유도홀(2662a) 및 제3 유도홀(2663a)은,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유도홀(2662a) 및 제3 유도홀(2663a) 중 하나는 흡입 개구(263)에 연통되고, 나머지는 유체가 드레인(Drain)되는 드레인 유로(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a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a ar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and discharge the fluid pressure. Concretely, one of 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a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a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rest is connected to a drain passage (not shown) in which the fluid is drained have.

유도홀(2661a, 2662a, 2663a)은 상기와 같이 토출 개구(262) 측에 구비되는 토출 유도홀(2661a)을 1개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개구(263) 측에 구비되는 흡입 유도홀(2662a,2663a)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하도록 하여, 유체의 압력을 낮출 수 있어, 소음 저감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a, 2662a and 2663a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scharge induction hole 2661a (preferably one) provided at the discharge opening 262 side and are provided at the suction opening 263 side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a and 2663a are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can be lowered and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도홀(2661a)을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유도홀(2662a,2663a)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함으로써, 피스톤 블럭(23)이 흡입 개구(263)에 직접 접속되기 전에 피스톤 블럭(23)의 유체를 토출 유도홀(2661b)을 통하여 충분히 토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가 제트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제트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 또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one) of the discharge inducing holes 2661a is provided, and the suction inducing holes 2662a and 2663a are provided at least two or more The fluid of the piston block 23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b before the piston block 2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The pressure can be lowered so that the jetting can be prevented and noise can be reduced.

게다가, 만약 제트류가 발생하더라도, 흡입 유도홀(2662a,2663a) 중 하나는 유체가 드레인(Drain)되는 드레인 유로(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제트류가 흡입 개구(26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jet flow occurs, one of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a and 2663a is connected to a drain channel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luid is drained to prevent the jet flow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opening 263 So that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를 펌프(20)에 구비한 후 구동을 시킨 결과, 그 효과에 대해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ump 20 is provided with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성능 실험결과도이다.6 is a performance test result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험은 펌프(20)의 압력맥동 시험 결과로 압력센서 방식 계측기 (펌프(20)의 밸브 블록 하단부 토출 개구(262) 압력 게이지)을 이용하였다.In this experiment, a pressure sensor type measuring instrument (pressure gauge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block of the pump (20)) was used as the pressure pulsation test result of the pump (20).

도면의 최좌측 블럭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고, 도면의 최좌측에서 2번째 블럭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를 포함하는 펌프(20)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다.The leftmost block in the drawing is the result of the pulsation measurement experiment for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e second block from the leftmost part of the drawing shows the pulsation of the pump 20 including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ment results.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의 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종래의 기술의 맥동폭에 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의 맥동폭이 더 작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pulsation width of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보다 맥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pulsation more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can effectively reduce noise and vib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a)는, 밸브 플레이트(26a)의 토출개구(262) 또는 흡입개구(263)에 노치(2651a,2652a) 또는 유도홀(2661a, 2662a, 2663a)을 적절하게 형성시킴으로써, 펌프(20)의 구동시 맥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소음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plate 2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notches 2651a and 2652a or the induction holes 2661a and 2662a, 2662a and 2662b in the discharge opening 262 or the suction opening 263 of the valve plate 26a, 2663a are appropriately formed, pulsation during driving of the pump 20 is reduced, and furthermore, noise is reduc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1 노치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2 노치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b)는,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 토출 개구(262), 흡입 개구(263), 중공부(264), 노치(2651b,2652b), 유도홀(2661b,2662b,2663b)을 포함한다. 4 and 7,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plate outermost portion 261, a discharge opening 262, a suction opening 263, a hollow portion 264, notches 2651b, 2652b, and guide holes 2661b, 2662b, 2663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b)는, 노치(2651b, 2652b), 유도홀(2661b,2662b,2663b)외에 도 3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 3, in addition to the notches 2651b and 2652b, the induction holes 2661b, 2662b, and 2663b, 26a,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the reference numerals are not necessarily referred to.

노치(2651b,2652b)는, 제1 노치(2651b) 및 제2 노치(2652b)로 구성되며, 제1 노치(2651b)는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기준 유입부에 구비되고, 제2 노치(2652b)는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기준 유입부에 구비된다.The notches 2651b and 2652b are constituted by a first notch 2651b and a second notch 2652b and the first notch 2651b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2652b)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제1 노치(2651b)는, 2단 이상으로(바람직하게는 2단)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노치(2652b)는 1단 이상으로(바람직하게는 1단)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2651b) 및 제2 노치(2652b)의 형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The first notch 2651b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preferably two stages), and the second notch 2652b may be configured in one stage (preferably one stage). The shapes of the first notch 2651b and the second notch 2652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 and 7 (b).

다만, 도 7(a)의 제1 노치(2651b) 및 도 7(b)의 제2 노치(2652b)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2651a) 및 제2 노치(2652a)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notch 2651b in Fig. 7 (a) and the second notch 2652b in Fig. 7 (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notch 2651a and the second notch 2652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52a), it should be replaced.

유도홀(2661b,2662b,2663b)은, 제1 유도홀(2661b), 제2 유도홀(2662b) 및 제3 유도홀(2663b)을 포함하며, 토출 유도홀(2661b) 및 흡입 유도홀(2662b,2663b)을 가질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b, 2662b and 2663b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b, a second induction hole 2662b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b, and the induction holes 2661b and 2662b , 2663b.

토출 유도홀(2661b)은,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유도홀(266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b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preferably one), and may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b.

제1 유도홀(2661b)은,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며 토출 개구(262)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hole 2661b is provid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nd can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opening 262 to discharge the pressure of the fluid.

흡입 유도홀(2662b,2663b)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유도홀(2662b) 및 제3 유도홀(266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b and 2663b may include at least two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b and 2663b, and may include a second induction hole 2662b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b.

제2 유도홀(2662b) 및 제3 유도홀(2663b)은,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유도홀(2662b) 및 제3 유도홀(2663b)은 모두 유체가 드레인(Drain)되는 드레인 유로(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b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b ar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to discharge the fluid pressure. Specifically, 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b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b may be connected to a drain passage (not shown) in which the fluid is drained.

또한, 흡입 유도홀(2662b,2663b)은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클 수 있다. Further,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b and 2663b may have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which is larger than the induction hole area formed on the upstream side.

예를 들어 제2 유도홀(2662b)이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형성되고, 제3 유도홀(2663b)이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상류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유도홀(2662b)의 면적이 제3 유도홀(2663b)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b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b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The area of 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b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b.

유도홀(2661b, 2662b, 2663b)은 상기와 같이 토출 개구(262) 측에 구비되는 토출 유도홀(2661b)을 1개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개구(263) 측에 구비되는 흡입 유도홀(2662b,2663b)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하도록 하여, 유체의 압력을 낮출 수 있어, 소음 저감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b, 2662b and 2663b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scharge induction hole 2661b (preferably one) provided at the discharge opening 262 side and are provided at the suction opening 263 side At least two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b and 2663b are provided so that the fluid pressure can be lowered and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and durability improvement can be obtai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도홀(2661b)을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유도홀(2662b,2663b)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함으로써, 피스톤 블럭(23)이 흡입 개구(263)에 직접 접속되기 전에 피스톤 블럭(23)의 유체를 토출 유도홀(2661c)을 통하여 충분히 토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가 제트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제트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 또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one) of the discharge inducing holes 2661b is provided, and the suction inducing holes 2662b and 2663b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he fluid of the piston block 23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c before the piston block 2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so that the fluid is not jetted The pressure can be lowered so that the jetting can be prevented and noise can be reduced.

게다가, 만약 제트류가 발생하더라도, 흡입 유도홀(2662b,2663b)은 유체가 드레인(Drain)되는 드레인 유로(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제트류가 흡입 개구(26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jet flow occurs,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b and 2663b can be connected to a drain channel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luid is drained to prevent the jet flow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opening 263 , And noise and vibration are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b)를 펌프(20)에 구비한 후 구동을 시킨 결과, 그 효과에 대해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ump 20 is provided with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성능 실험결과도이다.6 is a performance test result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험은 펌프(20)의 압력맥동 시험 결과로 압력센서 방식 계측기 (펌프(20)의 밸브 블록 하단부 토출 개구(262) 압력 게이지)을 이용하였다.In this experiment, a pressure sensor type measuring instrument (pressure gauge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block of the pump (20)) was used as the pressure pulsation test result of the pump (20).

도면의 최좌측 블럭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고, 도면의 최좌측에서 3번째 블럭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b)를 포함하는 펌프(20)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다.The leftmost block in the drawing is the result of a pulsation measurement experiment for the prior art, and the third block from the leftmost side of the drawing shows the pulsation of the pump 20 including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ment results.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b)의 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종래의 기술의 맥동폭에 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b)의 맥동폭이 더 작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sation width of the valve plate 26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보다 맥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pulsation more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can effectively reduce noise and vib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1 노치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제2 노치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notch of the valv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c)는,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261), 토출 개구(262), 흡입 개구(263), 중공부(264), 노치(2651c), 유도홀(2661c,2662c,2663c)을 포함한다. 5 and 7,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plate outermost portion 261, a discharge opening 262, a suction opening 263, a hollow portion 264, a notch 2651c, and induction holes 2661c, 2662c, 2663c.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c)는, 노치(2651c), 유도홀(2661c,2662c,2663c)외에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a,26b)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otch 2651c, the induction holes 2661c, 2662c, and 2663c, and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respective constructions of the valve plates 26a and 26b,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노치(2651c)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제1 노치(2651c)로만 구성되며, 제1 노치(2651c)는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기준 유입부에 구비된다.The notch 2651c is constituted only by the first notch 2651c,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notch 2651c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

제1 노치(2651c)는, 2단 이상으로(바람직하게는 2단)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2651c)의 형태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The first notch 2651c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stages (preferably two stages), and the shape of the first notch 265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 Can be explained.

다만, 도 7(a)의 제1 노치(2651c)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2651c)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notch 2651c in Fig. 7 (a)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irst notch 2651c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도홀(2661c,2662c,2663c)은, 제1 유도홀(2661c), 제2 유도홀(2662c) 및 제3 유도홀(2663c)을 포함하며, 토출 유도홀(2661c) 및 흡입 유도홀(2662c,2663c)을 가질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c, 2662c and 2663c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c, a second induction hole 2662c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c, and the induction holes 2661c and 2662c , 2663c.

토출 유도홀(2661c)은,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유도홀(2661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c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preferably one), and may include a first induction hole 2661c.

제1 유도홀(2661c)은, 토출 개구(262)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며 토출 개구(262)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duction hole 2661c is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nd can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opening 262 to discharge the fluid pressure.

흡입 유도홀(2662c,2663c)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유도홀(2662c) 및 제3 유도홀(2663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c and 2663c may include at least two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c and 2663c, and may include a second induction hole 2662c and a third induction hole 2663c.

제2 유도홀(2662c) 및 제3 유도홀(2663c)은,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유도홀(2662c) 및 제3 유도홀(2663c)은 흡입 개구(263)로 연통되어 흡입 개구(263)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c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c ar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and discharge the fluid pressure. Specifically, 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c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c can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opening 263 and can be connected with the suction opening 263.

흡입 유도홀(2662c,2663c)은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클 수 있다. The suction induction holes 2662c and 2663c may have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larger than that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upstream side.

예를 들어 제2 유도홀(2662c)이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형성되고, 제3 유도홀(2663c)이 흡입 개구(263)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상류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유도홀(2662c)의 면적이 제3 유도홀(2663c)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c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and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c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263 The area of the second induction hole 2662c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ird induction hole 2663c.

유도홀(2661c, 2662c, 2663c)은 상기와 같이 토출 개구(262) 측에 구비되는 토출 유도홀(2661c)을 1개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개구(263) 측에 구비되는 흡입 유도홀(2662c,2663c)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하도록 하여, 유체의 압력을 낮출 수 있어, 소음 저감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nduction holes 2661c, 2662c and 2663c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scharge induction hole 2661c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preferably one) At least two (preferably two) suction induction holes 2662c and 2663c are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can be lowered and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도홀(2661c)을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1개) 구비하고, 흡입 유도홀(2662c,2663c)은 적어도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구비함으로써, 피스톤 블럭(23)이 흡입 개구(263)에 직접 접속되기 전에 피스톤 블럭(23)의 유체를 토출 유도홀(2661c)을 통하여 충분히 토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가 제트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제트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 또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one) of the discharge inducing holes 2661c is provided, and the suction inducing holes 2662c and 2663c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he fluid of the piston block 23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661c before the piston block 2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263 so that the fluid is not jetted The pressure can be lowered so that the jetting can be prevented and noise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c)를 펌프(20)에 구비한 후 구동을 시킨 결과, 그 효과에 대해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ump 20 is provided with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의 성능 실험결과도이다.6 is a performance test result of a valv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험은 펌프(20)의 압력맥동 시험 결과로 압력센서 방식 계측기(펌프(20)의 밸브 블록 하단부 토출 개구(262) 압력 게이지)을 이용하였다.In this experiment, a pressure sensor type measuring instrument (pressure gauge of the discharge opening (262)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block of the pump (20)) was used as the pressure pulsation test result of the pump (20).

도면의 최좌측 블럭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고, 도면의 최우측 블럭 즉, 최좌측에서 4번째 블럭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c)를 포함하는 펌프(20)에 대한 맥동측정 실험결과이다.The rightmost block in the figure is the result of a pulsation measurement experiment for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e rightmost block in the figure, i.e., the fourth block from the leftmost, is a pump (not shown) including a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c)의 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종래의 기술의 맥동폭에 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26c)의 맥동폭이 더 작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pulsation width of the valve plate 26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보다 맥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pulsation more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can reduce noise and vibration efficient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26b,26c)는, 밸브 플레이트(26b,26c)의 토출개구(262) 또는 흡입개구(263)에 노치(2651b,2652b,2651c) 또는 유도홀(2661b,2662b,2663b,2661c,2662c,2663c)을 적절하게 형성시킴으로써, 펌프(20)의 구동시 맥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소음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valve plates 26b and 26c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the notches 2651b, 2652b and 2651c in the discharge opening 262 or the suction opening 263 of the valve plates 26b and 26c, Or the induction holes 2661b, 2662b, 2663b, 2661c, 2662c, and 2663c are suitably formed, pulsation during driving of the pump 20 is reduced, and noise is further reduc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ha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건설기계 1a: 크롤러식 하부주행체
1b: 상부 선회체 1c: 프론트 어태치먼트
1d: 붐 1e: 암
1f: 버킷 1g: 붐 실린더
20: 펌프 21: 회전축
22: 실린더 블록 23: 피스톤 블록
231: 피스톤 24: 사판
25: 하우징 26: 밸브 플레이트
261: 밸브 플레이트 최외각부 262: 토출 개구
263: 흡입 개구 264: 중공부
26a: 제1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2651a: 제1 노치
2652a: 제2 노치 2661a: 제1 유도홀
2662a: 제2 유도홀 2663a: 제3 유도홀
26b: 제2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2651b: 제1 노치
2652b: 제2 노치 2661b: 제1 유도홀
2662b: 제2 유도홀 2663b: 제3 유도홀
26c: 제3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2651c: 제1 노치
2661c: 제1 유도홀 2662c: 제2 유도홀
2663c: 제3 유도홀
1: Construction machine 1a: Crawler type lower traveling body
1b: upper swivel body 1c: front attachment
1d: Boom 1e: Cancer
1f: bucket 1g: boom cylinder
20: pump 21: rotating shaft
22: cylinder block 23: piston block
231: Piston 24: Swash plate
25: housing 26: valve plate
261: valve plate outermost portion 262: discharge opening
263: Suction opening 264: Hollow portion
26a: valve plate 2651a of the first embodiment:
2652a: second notch 2661a: first induction hole
2662a: second induction hole 2663a: third induction hole
26b: valve plate 2651b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notch
2652b: second notch 2661b: first induction hole
2662b: second induction hole 2663b: third induction hole
26c: valve plate 2651c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notch
2661c: first induction hole 2662c: second induction hole
2663c: third induction hole

Claims (9)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흡입 개구;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토출 개구;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노치;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토출 유도홀;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적어도 2개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흡입 유도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notch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 discharge inducing hol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And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suction induc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is larger than an induction hole area formed on the upstream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alve plate comprises two or more stag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valve openings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제1 노치;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제2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치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노치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상기 흡입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notch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And a second notch provided o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Wherein the first notch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notches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흡입 개구;
유체가 인입 또는 토출되는 토출 개구;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는 노치;
상기 토출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토출 유도홀; 및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에 적어도 2개 구비되며, 유체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흡입 유도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A rotating shaft; And
And a valve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valve plate comprises: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 notch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 discharge inducing hole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And at least two suction guide holes for dischar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suction induc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7. The inha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uction opening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도홀은,
상기 흡입 개구의 회전방향 기준 유입부 하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의 면적이 상류측에 구성되는 유도홀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7. The inha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rea of the induction hol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eference inlet of the suction opening is larger than an induction hole area formed on the upstream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 유도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토출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notch comprises two or more stages,
Wherein the at least one discharge induction hole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KR1020140142007A 2014-10-20 2014-10-20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201600469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07A KR20160046993A (en) 2014-10-20 2014-10-20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07A KR20160046993A (en) 2014-10-20 2014-10-20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993A true KR20160046993A (en) 2016-05-02

Family

ID=5602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007A KR20160046993A (en) 2014-10-20 2014-10-20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9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308A (en) * 2018-04-18 2019-10-2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With the axial piston machine to the pressure portion in driving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308A (en) * 2018-04-18 2019-10-2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With the axial piston machine to the pressure portion in driving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50976A (en) Cutter head of tunneling machine suitable for complex hard rock geology
KR20160046992A (en)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20160046993A (en) A Valve Plate And Pump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20140061004A (en) A control method for backhoe loader
KR20170028006A (en) Hydraulic Valve and Hydraulic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101882528B1 (en) Floating System of Boom in Construction Equipment
KR101920089B1 (en) A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KR101914331B1 (en) Valve Plate and Hydraulic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101948851B1 (en) Hydraulic Valve and Hydraulic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20120094318A (en) A small pro-apparatus for mine
KR20170028009A (en) Hydraulic Valve and Hydraulic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KR20140061019A (en) A control method for backhoe loader
KR101922219B1 (en) A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KR101882529B1 (en) Floating System of Boom in Construction Equipment
KR101023565B1 (en) Micro tunneling machine
CN107090866A9 (en) A kind of excavator bucket hook
KR20170101492A (en) Floating System of Boom in Construction Equipment
KR20150030094A (en) A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KR102635473B1 (en) Hydraulic valv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4085172B1 (en) Hydraulic cylinder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ttachment integrat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s
KR101920088B1 (en) Swing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60017318A (en) A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198609B1 (en) A dredger with drum excavator
KR20150030927A (en) Swing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50030928A (en) Swing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