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00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005A
KR20160046005A KR1020140140832A KR20140140832A KR20160046005A KR 20160046005 A KR20160046005 A KR 20160046005A KR 1020140140832 A KR1020140140832 A KR 1020140140832A KR 20140140832 A KR20140140832 A KR 20140140832A KR 20160046005 A KR20160046005 A KR 2016004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display panel
light source
diffusion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236B1 (ko
Inventor
채경훈
윤수영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236B1/ko
Priority to US14/748,414 priority patent/US9823509B2/en
Publication of KR2016004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의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평판 표시 장치는 복수 쌍의 전기장 생성 전극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전기광학(electro-optical) 활성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액정층을 포함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며, 액정 패널 조립체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측면에 설치되며 도광판이 필요한 에지형(edge-lit) 백라이트 유닛과, 광원이 액정 패널의 하측에 설치되며 도광판이 불필요한 직하형(direct-lit) 백라이트 유닛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광원이 액정 패널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 판(diffuser plate)과 광학시트가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서포터를 사용한다. 그런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 광원의 개수를 줄이고 광 확산 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의 개수를 줄이고 확산판의 두께를 늘리면, 광원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서포터의 그림자가 화면상에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에서 광원의 개수를 줄이고 광 확산 판의 두께를 늘리더라도 서포터의 그림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서포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면 상에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용 서포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를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예각을 이루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확산판과 접촉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만곡된 홈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도, 화면 상에 서포터의 그림자가 시인되지 않고 화질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a 내지 도 4c 는 도1의 서포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와 인접한 복수 개의 광원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표시패널(200), 표시패널(2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400), 표시패널(20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탑 샤시(100) 및 표시패널(200)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탑 샤시(100)는 몰드 프레임(300) 상에 안착된 표시패널(200)을 덮기 위하여 바텀 샤시(440) 또는 몰드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탑 샤시(100)는 그 중앙부에 표시패널(200)이 노출되는 개방창을 구비한다.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덮도록(cover) 배치될 수 있다.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110), 및 측면부(110)에서 절곡되어 표시패널(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절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샤시(100)는 후크 결합 및/또는 나사 결합을 통하여 바텀 샤시(440) 또는 몰드 프레임(300)과 체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탑 샤시(100)와 바텀 샤시(440), 또는 탑 샤시(100)와 몰드 프레임(300)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00)은 수광형 표시패널로서,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 표시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200)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20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제1 기판(210)과, 제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2 기판(220), 및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부로 이루어진다. 비표시부는 탑 샤시(100)에 의해 가려진다.
제1 기판(210)은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 및 화소 전극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화소 전극 측으로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제2 기판(220)은 화소 전극들과 함께 액정의 배열을 제어하는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액정층을 구동하여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패널(200)은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칩(미도시), 구동칩이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및 TCP를 통해 표시 패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은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외부 신호는 인쇄회로 기판으로부터 공급된 신호이고, 외부 신호는 영상 신호, 각종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편광판(240)은 표시패널(200)에 배치되며, 제1 편광판(241) 및 제2 편광판(242)을 포함한다.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 측에 각각 제1 편광판(241)과 제2 편광판(242)이 배치된다. 즉, 제1 기판(210)의 외측에 제1 편광판(241)이 부착되고, 제2 기판(220)의 외측에 제2 편광판(242)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편광판(241)의 투과축은 제2 편광판(242)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바텀 샤시(440)와 결합하며, 표시패널(200)을 수납한다. 이러한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서 표시패널(200)을 지지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 패널(200) 이외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광학 시트(410) 및 확산판(420) 등을 고정하거나 지지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네 변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네 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네 변에 대응하는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표시패널(200)의 가장자리 중 세 변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300)은 탑 샤시(10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에 나사홀을 형성한 뒤, 스크류 체결을 이용하여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을 동시에 체결할 수 있다. 즉,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광학시트(410), 확산판(420), 반사시트(430), 바텀 샤시(440), 광원 유닛(450) 및 서포터를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광원(451) 및 광원(451)이 배치된 회로기판(452)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표시패널(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450)은 반사판(430)의 바닥면 또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45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회로기판(452)은 반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성을 갖는 물질로 회로기판(452)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방열 기능 및 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다양한 금속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451)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451)은 표시장치(10)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광을 제공한다. 광원(45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420) 및 광학 시트(410)를 거쳐 표시패널(200))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광원 유닛(450)의 휘도 균일성을 위하여 광원(451)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451)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세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가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세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휘도 균일성을 얻기 위하여 광원(451)은 회로기판(452) 상에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 상부에 배치된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공받아 광을 확산시킨다. 즉,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확산판(420)은 광원(451)의 배치에 따라 밝은 부분으로 나타나는 휘점이 표시장치(1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확산판(420)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광원 유닛(450)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바텀 샤시(440)에 고정된다. 확산판(420)은 예를 들어, 표시패널(200)과 같이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LED와 같은 광원(451)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451)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홈 또는 돌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설명의 편의상, 플레이트(plate)로 기술하였으나, 표시장치(10)의 슬림화를 위해 시트 또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산판(420)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확산판(42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판(4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42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켜서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일면에 삼각 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확산 시트 상에 배치되어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표시패널(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시트는 프리즘 시트 위에 형성될 수 있고, 프리즘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서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광원 유닛(450) 및 바텀 샤시(440) 사이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표시패널(200)로 향하도록 반사시켜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반사 시트(430)는 바텀부 및 바텀부와 둔각을 이루어 연장된 날개부(Wing)를 포함한다. 반사 시트(430)의 바텀부는 바텀 샤시(440)에 안착될 수 있고, 반사 시트(430)의 날개부는 바텀 샤시(440)의 측벽(442)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져 반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샤시(440)는 반사시트(430) 및 확산판(420)을 수납한다. 바텀 샤시(440)는 바닥부(441) 및 바닥부(441)에서 절곡된 측벽(442)을 포함한다.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는 확산판(420)과 평행하다. 측벽(442)은 확산판(420)을 지지하고, 몰드 프레임(300)과 결합한다.
바텀 샤시(44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또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방열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텀 샤시(440)는 표시장치(10)의 골격을 유지하며,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보호하게 된다.
도 3은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a 내지 도 4c 는 도1의 서포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와 인접한 복수 개의 광원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터(460)는 확산판(4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확산판(420)과 바텀 샤시(440) 사이에 배치된다. 확산판(420)은 가장자리만 바텀 샤시(440)의 측벽(44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확산판(420)의 중앙부는 아래로 처지게 된다.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확산판(420)의 처짐도 커진다. 따라서, 서포터(460)는 확산판(420)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텀 샤시(44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4개의 서포터(460)가 바텀 샤시(440)의 대략적인 중앙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4개의 서포터(460)가 설치된 것은 일 예일 뿐이며, 서포터(460)는 확산판(420)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한 개 이상으로 적절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포터(460)는 지지부(461), 베이스부(462), 및 결합 돌기(463)를 포함한다. 서포터(460)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하다는 것은 약 85% 이상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지지부(461)는 투명 재질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461)는 투명 재료이며, 확산판(42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461)는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투명 수지로 만들 수 있다. 지지부(461)는 확산판(420)의 하부, 즉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에 설치되어 확산판(420)을 지지한다.
지지부(461)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다. 예를 들면, 지지부(461)는 제1 가로선(CL1), 제2 가로선(CL2), 및 제3 가로선(CL3)에서 휘어진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61)의 제1단(461a)은 확산판(420)의 하면과 접촉하며, 베이스부(462)와 연결된다. 지지부(461)의 제1 단(461a)은 베이스부(462)와 수직하다. 지지부(461)의 제2 단(461b)은 제1 단(461a)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가로선(CL2)에서 휘어진다. 지지부(461)의 제2 단(461b)은 제1 단(461a)과 둔각을 이룬다.
기존과 달리 지지부(461)가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짐에 따라, 지지부(461)에서 반사되는 광이 줄어든다. 지지부(461)에서 반사되는 광이 줄어듬에 따라 서포터(460)에 의한 광 간섭이 줄어들고, 광 간섭에 의한 그림자 발생이 줄어든다. 즉, 지지부(461)는 주변의 광원(451)에서 방출되는 광(L)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다.
지지부(461)는 주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광원(451)에서 방출된 광(L)에 의해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얇게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평판 형상이라는 것은 전면과 후면이 서로 평행한 평평한 판 형상을 말한다. 따라서, 지지부(461)는 확산판(42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면, 가능한 얇게 만드는 것이 좋다.
베이스부(462)는 지지부(461)의 제1단(461a)에 연결되며, 지지부(461)를 백라이트 유닛(400), 즉 바텀 샤시(440)에 고정한다. 베이스부(462)는 지지부(461)에 대해 수직하게 연결되어 지지부(461)가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베이스부(462)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하였다.
결합 돌기(463)는 베이스부(462)에서 돌출된다. 결합 돌기(463)는 서포터(460)가 바텀 샤시(44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력을 제공한다.
결합 돌기(463)는 반사시트(430)에 구비된 삽입 홀(431) 및 바닥부(441)에 구비된 결합 홀(443)에 삽입된다. 결합 돌기(463)는 삽입축(463a)과 걸쇠(463b)를 포함한다. 걸쇠(463b)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쇠(463b)는 삽입축(463a)의 말단에 연결된 구형상, 다각뿔 형상일 수 있다. 걸쇠(463b)는 강제 압입방식으로 삽입 홀(431) 및 결합 홀(443)을 통과하여 바닥부(441)의 외측에 배치된다.
서포터(460)는 주변의 광원(451)에 의해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도록 주변의 복수 개의 광원(451)의 중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접하는 복수 개의 광원(451)이 형성하는 도형의 중심에 서포터(4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4개의 광원(451-1,451-2,451-3,451-4)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서포터(460)는 상기 4개의 광원(451-1,451-2,451-3,451-4)을 연결하는 2개의 대각선(C1,C2)의 교차점(C)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460)는 확산판(420)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4개의 서포터(460)로 확산판(420)을 지지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포터(460)는 확산판(420)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바텀 샤시(440)의 중앙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포터(460)는 주변의 서로 인접한 4개의 광원(451)의 중앙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460)를 투명한 재질의 얇은 판 형상으로 제작하고,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지지부(461)로 제작함에 따라 광원(451)에서 방출된 대부분의 광이 서포터(460)를 통과하고, 서포터(460)에 의한 광의 간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서포터(460)의 주위의 광원(451)에 의해 화면에 서포터(460)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포터(460)로 확산판(420)을 지지하면, 원가절감을 위해 백라이트 유닛(50)에 사용되는 광원(451)의 개수를 줄이고 확산판(420)의 두께를 늘리더라도 화면에 서포터(460)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560, 660, 760, 860, 960, 1060)를 설명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560)는 베이스부(562) 및 결합 돌기(5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5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561)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61)의 제1 단(561a)은 베이스부(562)와 연결되고, 베이스부(562)와 예각을 이룬다. 제2 단(561b)은 제1 단(561a)과 둔각을 이룬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660)는 베이스부(662) 및 결합 돌기(6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6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661)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661)의 제1 단(661a)은 베이스부(662)와 연결되고, 베이스부(662)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 단(661b)은 제1 단(661a)과 둔각을 이룬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760)는 베이스부(762) 및 결합 돌기(7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7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761)는 제1 가로선(CL1) 및 제2 가로선(CL2)을 기준으로 두 번 절곡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761)의 제1 단(761a)은 베이스부(762)와 연결되고, 베이스부(762)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 단(761b)은 제1 단(761a)과 둔각을 이루고, 제2 가로선(CL2)에서 절곡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860)는 베이스부(862) 및 결합 돌기(8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8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861)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지지부(861)는 어느 특정 포인트를 중심으로 휘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다.
도 6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960)는 베이스부(962) 및 결합 돌기(9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9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961)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만곡된 홈(961a)을 갖는다.
도 6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60)는 베이스부(1062) 및 결합 돌기(1063)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지부(1061)의 형상이 달라진다. 지지부(1061)는 베이스부(1062)에서 연장되며, 베이스부(1062)와 예각을 이룬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 : 표시장치 100 : 탑 샤시
110 : 측면부 120 : 절곡부
200 : 표시패널 210 : 제1 기판
220 : 제2 기판 240 : 편광판
241 : 제1 편광판 242 : 제2 편광판
300 : 몰드 프레임
4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410 : 광학시트
420 : 확산판 430 : 반사 시트
440 : 바텀 샤시 441 : 바닥부
442 : 측벽 443 : 결합 홀
450 : 광원 유닛 451 : 광원
452 : 회로기판
460, 560, 660, 760, 860, 960, 1060 : 서포터
461, 561, 661, 761, 861, 961, 1061 : 지지부
462, 562, 662, 762, 862, 962, 1062 : 베이스부
463, 563, 663, 763, 863, 963, 1063 : 결합 돌기

Claims (19)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를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된 표시장치.
  8.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예각을 이루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된 표시장치.
  14.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배치된 바텀 샤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확산판; 및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확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바텀 샤시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확산판과 접촉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만곡된 홈을 갖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판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 4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이 이루는 상기 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된 표시장치.
KR1020140140832A 2014-10-17 2014-10-17 표시장치 KR10227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32A KR102270236B1 (ko) 2014-10-17 2014-10-17 표시장치
US14/748,414 US9823509B2 (en) 2014-10-17 2015-06-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32A KR102270236B1 (ko) 2014-10-17 2014-10-17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005A true KR20160046005A (ko) 2016-04-28
KR102270236B1 KR102270236B1 (ko) 2021-06-29

Family

ID=5574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832A KR102270236B1 (ko) 2014-10-17 2014-10-1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23509B2 (ko)
KR (1) KR102270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23A1 (ko) * 2022-05-24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WO2024019257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9037A (zh) * 2015-10-14 2018-06-08 索尼公司 发光器件、显示装置和照明装置
DE202017103332U1 (de) * 2017-06-02 2018-09-05 Rehau Ag + Co Leuchtvorrichtung
KR102517072B1 (ko) * 2018-12-07 2023-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27597B (zh) * 2021-12-23 2023-02-03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025A (ko)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1319537B1 (ko) * 2012-02-07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지지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62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10836A (ko)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써포터,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80011787A (ko)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서포터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JP2009272199A (ja) 2008-05-09 2009-11-19 Videocon Industries Ltd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における衝撃吸収型スペーサピン
KR20100033196A (ko) 2008-09-19 2010-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부재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44608B1 (ko) 2012-05-2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025A (ko)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1319537B1 (ko) * 2012-02-07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지지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23A1 (ko) * 2022-05-24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WO2024019257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3509B2 (en) 2017-11-21
KR102270236B1 (ko) 2021-06-29
US20160109089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232B1 (ko) 표시장치
KR102250808B1 (ko) 표시장치
KR102270236B1 (ko) 표시장치
US20050099604A1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with
KR102343720B1 (ko) 표시장치
KR20160017372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표시장치
JP2012230264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24264A (ko) 표시장치
KR102256237B1 (ko) 표시 장치
US964876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ottom chassis including a binding portion
KR20160013418A (ko) 표시장치
KR102282447B1 (ko) 표시장치
KR20160148105A (ko) 표시장치
KR20160135894A (ko) 표시 장치
KR20160147107A (ko) 표시 장치
KR20150092436A (ko) 표시 장치
WO2014199988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KR20160147106A (ko) 표시장치
KR20160019565A (ko) 표시장치
KR2015006531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08675A (ko) 표시장치
KR20160116101A (ko) 표시 장치
KR102493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3430B1 (ko)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