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84A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384A
KR20160045384A KR1020140140848A KR20140140848A KR20160045384A KR 20160045384 A KR20160045384 A KR 20160045384A KR 1020140140848 A KR1020140140848 A KR 1020140140848A KR 20140140848 A KR20140140848 A KR 20140140848A KR 20160045384 A KR20160045384 A KR 20160045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
bobbin
adhesive
flow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075B1 (ko
Inventor
한진석
조재홍
여인재
이상희
김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075B1/ko
Priority to US14/884,412 priority patent/US10451891B2/en
Priority to CN201510680382.1A priority patent/CN105527691B/zh
Priority to CN202010588645.7A priority patent/CN111880277B/zh
Publication of KR2016004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84A/ko
Priority to US16/566,190 priority patent/US11428950B2/en
Priority to KR1020220029512A priority patent/KR102641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075B1/ko
Priority to US17/814,059 priority patent/US202203575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Abstract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도록 상기 보빈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이 별도로 제작되어 이들을 조립하여 카메라 모듈을 완성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구동장치에는 렌즈 구동을 위한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하우징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트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작업에서 먼저 마그네트 안착부위의 측면 및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접착제의 도포량을 정확히 조절하여 상기 마그네트 안착부위에 고르게 도포하기는 일반적으로 어렵다. 이는 접착제의 종류, 접착작업시 온도의 영향 등에 따라 점도(viscosity)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 도포량이 소량인 경우 또는 접착제의 점도불량으로 인해 접착제가 고르게 퍼져 도포되지 않을 수 있어 마그네트의 접착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한 낙하실험을 진행할 경우 마그네트는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제품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접착된 후에는 접착제가 충분한 양으로 고르게 도포되었는지 정확히 판단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최초로 마그네트를 하우징에 접착한 후 추가적으로 접착제를 접착부위에 주입하여 충분한 접착제가 접착부위에 추가하여 마그네트와 하우징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마그네트를 하우징에 접착하는 작업 시, 마그네트 안착부위에 접착제가 과도하게 도포되거나, 적절한 양의 접착제가 도포되는 경우에도 접착제의 종류, 접착작업시 온도의 영향 등에 따라 접착제의 점도가 낮아져 유동성이 증가하는 경우, 도포된 접착제는 마그네트 안착부위를 벗어나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마그네트 안착부위를 벗어나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부위에 경화된 접착제는 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의 거동을 방해하므로 결과적으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불량,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화된 접착제로 인해 설계와 다르게 형성되는 돌출부위는 렌즈 구동장치의 오토 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기능에 현저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의 접착공정 시 이러한 흘러내려 경화된 접착제가 발생하는 경우 핀셋, 칼 등으로 긁어내는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업과정에서 또다른 이물질이 렌즈 구동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마그네트와 하우징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도록 상기 보빈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하우징 하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는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은 사다리꼴의 윗변에 해당하는 제1측면, 상기 제1측면의 양단과 연결되는 제2측면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제2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면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유동제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유동제한부는, 그 길이방향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 상측에 상기 보빈의 일부분이 안착하는 보빈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모따기 작업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복수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턱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상기 보빈 안착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커버부재;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외주면에 제1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기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가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면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유동제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제한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보빈 몸체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스토퍼; 및 상부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 상측에 상기 제2스토퍼가 안착되고 상기 제2스토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보빈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탄성변형부;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제2탄성변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패턴이 없는 와이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착제 유입구를 통해 접착부위에 추가적으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제1마그네트와 하우징의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 안착부 상면에 함몰형상의 제1유동제한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가 제1마그네트 안착부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마그네트 안착부 밖으로 흘러내려 경화되는 접착제의 발생을 차단하여 경화된 접착제의 돌출형상으로 인한 렌즈 구동장치의 오토 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기능 기타 작동에 관한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유동제한부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로부터 흘러내린 접착제가 보빈 안착부로 유입되어 경화되거나 보빈 안착부의 하면의 단부에 접착제가 경화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빈, 나아가서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작동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제2코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z축방향을 180°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유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유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15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16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커버부재(300)를 제거한 도면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센서(미도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하여 움직여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00)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 제1코일(12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0)은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113, 도 5 참조)와 하측 지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113)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프레임(151)의 상기 상측 지지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통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돌기(113)와 제1통공(15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 지지돌기(11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113)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1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113)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프레임(161)의 상기 하측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돌기와 제2통공(16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151)은 상기 보빈(110)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152)은 상기 하우징(140)과 결합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161)은 상기 보빈(110)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162)은 상기 하우징(140)과 결합한다.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161)과 하우징(140)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162) 및 내측 프레임(151)(161)과 외측 프레임(152)(16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53)(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제1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복수 개의 제1통공(152a)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51)에서 복수 개의 제2통공(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52a)은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 도 10 참조)와 결합하고, 상기 제2통공(151a) 또는 홈은 보빈(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지지돌기(113, 도 6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은 제1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51)은 제2통공(15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이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및 외측 프레임(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외측 프레임(162)에서 복수 개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61)에서 복수 개의 제3통공(161a)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62a) 또는 홀은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결합하고, 상기 제3통공(161a) 또는 홈은 보빈(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지지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62)은 삽입홈(162a) 또는 홀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61)은 제3통공(16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내측 프레임(161)이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제1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상측 탄성부재(150a)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는 제1상측 탄성부재(150a)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이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에 배치된 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상기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상측 탄성부재(150a)가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다른 하나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 및/또는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와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 및 외측 프레임(1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탄성부재(150)(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단자부(2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절곡된 제1단자부(251)가 설치되는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250)이 1개의 절곡 된 제1단자부(251)가 설치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251)가 설치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단자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251)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절곡된 면이 1개 더 있을 수 있으며,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직선면에 지지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커버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단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턱(211)의 바닥면은 커버부재(300)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제1단자부(251)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251)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턱(211)은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211)과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실링 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모서리 부분에 지지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부재(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상기 지지부재(220)의 끝단이 삽입 또는 배치되어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안착홈(214)은 지지부재(220)가 설치되는 직선 면에 각각 복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안착홈(214)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214)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직선 면마다 2개씩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부재(220)의 형상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1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100), 인쇄회로기판(250), 베이스(210)를 감쌀 수 있다. 이때,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베이스(210)의 단턱(2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피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이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접착제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접착제는 점성이 낮게 설정되어,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주입된 접착제가 단턱(211)과 커버부재(300)의 단부의 접촉 위치에 스며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피부 또는 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상기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워, 커버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실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의 사시도이다. 상기 보빈(110)에는 제1스토퍼(111) 및/또는 제2스토퍼(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11)는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위해 제1방향으로 움직일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더라도, 보빈(110)의 몸체 상측면이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재(300)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11)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11)는 복수 개가 상측으로 제1높이(h1)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적어도 4개가 다각 기둥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11)는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된 비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스토퍼(112)는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위해 제1방향으로 움직일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더라도, 보빈(110)의 몸체 바닥면이 도 2에 도시된 베이스(210) 및 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스토퍼(112)는 보빈(110)의 모서리 부분 상부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40)에는 상기 제2스토퍼(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빈 안착부(146, 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112)와 보빈 안착부의(146)의 하면(146a, 도 10 참조)이 접촉된 상태가 초기위치로 구성되면, 일방향 제어 즉, 예를 들어 전류가 제1코일(120)에 공급될 때 보빈(110)이 상승하고, 전류가 오프될 때 보빈(120)이 하강하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만일, 제2스토퍼(112)와 보빈 안착부(146)의 하면(146a)이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가 초기위치로 구성되면, 양방향 제어 즉, 전류의 방향에 따라 보빈(110)을 제1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토퍼(112)와 대응되는 하우징(140)의 보빈 안착부(146)는 오목하게 형성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112)의 제1폭(w1)보다는 대응되게 형성된 제2폭(w2)을 일정 공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빈 안착부(146)의 내부에서 제2스토퍼(11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110)이 제1방향이 아닌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제2스토퍼(112)가 보빈(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110)의 상측 외주면에는 2개의 권선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선돌기(115)에는 상기 제1코일(120)의 양 끝단인 시선과 종선이 각각 권선될 수 있다. 권선돌기(115)와 근접한 보빈(110)의 상부면에서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부면에 제1코일(120)의 끝단이 솔더(solder)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부재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선돌기(115)는 보빈(110)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권선돌기(115)는 서로 마주보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권선돌기(115)의 끝단에는 걸림턱(115a)이 형성되어, 제1코일(120)이 권선되어 제1코일(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제1코일(12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걸림턱(11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권선돌기(115)의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끝단에서 단차진 단턱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돌기(115)의 옆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116)은 제1요홈(116a) 및/또는 제2요홈(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요홈(116a) 및/또는 제2요홈(116b)은 제1코일(120)의 시선 또는 종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코일(120)의 지름보다 큰 값의 깊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요홈(116a)(116b)을 통과하는 제1코일(120)의 시선 또는 종선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요홈(116a)(116b)에 쉽게 안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요홈(116)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탄성부재와 간섭 없이 상기 제1코일(120)이 상기 요홈(116)을 통과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한편,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제2면(142)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에폭시 등 접착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우징(140)의 측벽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제2면(142)에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직선면마다 2개씩 8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직선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20)는 제1결합부(221), 제2결합부(224), 제1탄성변형부(222), 제2탄성변형부(223), 연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21)는 하우징(140)의 제2면(142) 상단부와 연결되는 곳으로 제2면(142)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 홈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끼워 맞춤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제1결합부(221)는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4)는 상기 베이스(210)와 결합하는 부위이고,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의 폭 보다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좁거나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합부(224)는 도 8, 도 9와 같이 2개로 분리되어, 각각이 상기 베이스(210)의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4)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을 제2결합부(224)와 대응되도록 하여 이들을 끼워 맞춤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제2결합부(224)는 1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베이스(210)에는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222,223)는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변형부는 제1 및/또는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탄성변형부(222)는 상기 제1결합부(22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5)와 연결된다. 제2탄성변형부(223)는 상기 제1결합부(22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5)와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225)를 가운데에 개재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 도 8과 같이, 제1탄성변형부(222)가 2번 이상의 절곡을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제2탄성변형부(223) 또한 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탄성변형부(222)만 있거나 제2탄성변형부(223)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그 외에도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패턴 없이 서스펜션 와이어의 형태로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의 직선 부분은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탄성변형부(222,223)는 하우징(140)이 제1방향에 수직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움직일 때, 하우징(140)이 움직이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미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하우징(140)은 제1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위치 변화없이 실질적으로 제2 및 제3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탄성변형부(222)(223)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221)(224)를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연결부(225)는 상기 제1탄성변형부(222) 및 제2탄성변형부(223)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22)(223)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탄성변형부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지만, 제1 및 제2결합부(221)(224)는 한 몸으로 형성되어, 한 쌍씩의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한꺼번에 하우징(140)과 베이스(2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제2코일(23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렌즈 구동장치는 제2코일(230), 위치 감지센서((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인쇄회로기판(25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경우 인쇄회로기판(250)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제2코일(23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 상부에 별도의 제2코일(23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
감지센서(240)는 상기 제2코일(2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4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24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40)의 제1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우징(140)의 제2 및 제3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감지센서(240)는 홀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감지센서(2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의 모서리 부분에 총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실장 된 감지센서(240)는 베이스(210)에 형성된 감지센서 안착홈(215)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하면은 상기 제2코일(230)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2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코일(2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240)는 제2코일(230)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기준으로 상부면에는 제2코일(230)이, 하부면에는 감지센서(2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은 제1면(141)과 제2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41)은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되는 면이고 제2면(142)은 지지부재(220)가 배치되는 면이 될 수 있다.
제1면(141)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마그네트(130)는 제1면(141)의 안쪽 면에 형성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는 제1마그네트(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마그네트(130)와 적어도 3면, 즉 양 측면과 상부면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네트(130)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를 도 4와 같이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하는 대신, 제1마그네트(130)의 일부가 노출 또는 끼워질 수 있는 장착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4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3스토퍼(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토퍼(143)는 상기 하우징(140)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토퍼(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3스토퍼(14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면(141)은 커버부재(30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제1면(141)은 상기 제2면(142)보다 큰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면(142)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가지는 도피 홈(14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도피 홈(142a)의 하면은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피 홈(142a)의 상면이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상면과 하면이 모두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피 홈(142a)이 구비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재(153)(163)와 보빈(11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여 연결부재(153)(16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 홈(142a)의 하부는 지지부재(220)의 하측부의 제2결합부(224)가 하우징(14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피 홈(142a)의 상측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42b)를 구성하여 지지부재(220)의 상측부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 홈(142a)의 위치는 실시예처럼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부재(150)(160)의 연결부재(153)(163), 지지부재(220)의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하우징(14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113)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측 프레임(15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5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대응되는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3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는 상기한 하측 지지돌기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6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와 대응되는 외측 프레임(16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4통공(16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제4스토퍼(14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스토퍼(147)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스토퍼(147)는 하우징(140)의 바닥면이 베이스(210)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스토퍼(147)는 초기 상태 및 정상 동작 중에는 상기 베이스(210)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과 일정 거리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40)은 아래쪽으로는 베이스(210)와 이격되고, 상측으로는 커버부재(300)와 이격되어 상하 간섭 없이 지지부재(220)에 의해 제1방향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40)은 제1방향에 수직한 제2 및 제3방향으로 시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 z축방향을 180°회전시킨 도면이다. 제1마그네트(130)를 접착제(g)를 사용하여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z축방향 즉, 제1방향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140)을 작업대에 설치하고 결합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작업 과정에서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접착제(g)가 부족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도포되는 경우에 대한 해결이 실시예가 제시하는 목적이므로 이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도 12 이하에서는 제1방향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도시된 도면을 기재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에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기 하우징(140)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g) 유입구(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하우징(140) 하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는 하우징(140)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이 서로 연통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2와 같이 상기 홀 형상은 홀 측면 일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마그네트(130) 결합작업 시, 하우징(140)은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배치되어 진행되므로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g)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는 상기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도록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은 사다리꼴의 윗변에 해당하는 제1측면(p1-1), 상기 제1측면(p1-1)의 양단과 연결되는 제2측면(p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상기 제1측면(p1-1) 및/또는 제2측면(p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제1마그네트(130)를 하우징(140)에 결합하는 작업에서 먼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 및 상면(p2)에 접착제(g)를 도포하는데 접착제(g)의 도포량을 정확히 조절하여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고르게 도포하기는 일반적으로 어렵다. 이는 접착제(g)의 종류, 접착작업시 온도의 영향 등에 따라 점도(viscosity)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g) 도포량이 소량인 경우 또는 접착제(g)의 점도불량으로 인해 접착제(g)가 고르게 퍼져 도포되지 않을 수 있어 제1마그네트(130)의 접착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한 낙하실험을 진행할 경우 제1마그네트(130)는 하우징(140)으로부터 이탈하는 제품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네트(130)가 하우징(140)에 접착된 후에는 접착제(g)가 충분한 량으로 고르게 도포되었는지 정확히 판단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최초로 제1마그네트(130)를 하우징(140)에 접착한 후 추가적으로 접착제(g)를 접착부위에 주입하여 충분한 접착제(g)가 접착부위에 추가하여 제1마그네트(130)와 하우징(140)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최초로 제1마그네트(130)를 하우징(140)에 접착한 후 접착부위에 접착제(g)를 추가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통해 주사기(n)로 접착제(g)를 주입하면 주사바늘의 끝에서 나오는 접착제(g)는 접착부위 즉, 제1마그네트(130)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사이에 최초의 접착시 접착제(g)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스며들어 제1마그네트(130)와 하우징(14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상기 하우징(140)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통해 접착부위에 추가적으로 접착제(g)를 주입하여 제1마그네트(130)와 하우징(140)의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면(p2)에는 접착제(g)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유동제한부(141a-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동제한부(141a-1)는 그 길이방향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30)를 하우징(140)에 접착하는 작업 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접착제(g)가 과도하게 도포되거나, 적절한 양의 접착제(g)가 도포되는 경우에도 접착제(g)의 종류, 접착작업시 온도의 영향 등에 따라 접착제(g)의 점도가 낮아져 유동성이 증가하는 경우, 도포된 접착제(g)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를 벗어나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를 벗어나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부위에 경화된 접착제(g)는 렌즈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의 거동을 방해하므로 결과적으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불량,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화된 접착제(g)로 인해 설계와 다르게 형성되는 돌출부위는 렌즈 구동장치의 오토 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기능에 현저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g)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면(p2)에는 상기 제1유동제한부(141a-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2유동제한부(146a-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제2유동제한부(146a-1)가 도시되었으나, 도 13, 도 14와 관련하여 제1유동제한부(141a-1)를 설명하고 제2유동제한부(146a-1)는 도 15, 도 16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실시예에서 제1유동제한부(141a-1)와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유동제한부(141a-1)와 제2유동제한부(146a-1)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그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동제한부(141a-1)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면(p2)에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가 개방된 내측부위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면(p2) 또는 측면(p1)으로부터 유동하는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유동제한부(141a-1)는 그 길이방향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의 단면도에서는 제1유동제한부(141a-1)의 함몰된 단면은 반원형 또는 U자형으로 구비되었으나, 함몰된 형상으로 유동하는 접착제(g)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함몰형상은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동제한부(141a-1)는 일 실시예로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개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유동제한부(141a-1)의 개수는 1개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유동제한부(141a-1)의 개수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면(p2)의 표면적, 도포되는 접착제(g)의 일반적인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면(p2)의 표면적과 접착제(g)의 양 등이 커질수록 제1유동제한부(141a-1)의 개수는 증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g)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도 13의 (b)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면(p2)에 복수의 단턱(s)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단턱(s)은 접착제(g)가 상기 상면(p2)에서 유동하는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므로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안착부(141a)에 머물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s)은 일 실시예로 2개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단턱(s)의 개수는 1개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턱(s)은 상기 제1유동제한부(141a-1)와 함께 상기 상면(p2)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유동제한부(141a-1)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단턱(s)만 상기 상면(p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g)의 유동경로의 길이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단턱(s)에 모따기 등의 작업을 하여 제2유동제한부(146a-1)와 유사한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의 단면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측면(p1) 또는 상면(p2)으로부터 유동하는 접착제(g)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개방된 부위를 향해 유동하게 되고, 그 개방된 부위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첫번째 제1유동제한부(141a-1)에 수용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결국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4의 단면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되는 접착제(g)의 양이 많거나 접착제(g)의 점도가 낮은 경우 상기 첫번째 제1유동제한부(141a-1)를 넘어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개방된 부위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방된 부위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두번째 제1유동제한부(141a-1)에 접착제(g)는 수용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결국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면(p2)의 표면적, 도포되는 접착제(g)의 일반적인 양 등을 고려하여 제1유동제한부(141a-1)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하면,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면(p2)에 함몰형상의 제1유동제한부(141a-1)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밖으로 흘러내려 경화되는 접착제(g)의 발생을 차단하여 경화된 접착제(g)의 돌출형상으로 인한 렌즈 구동장치의 오토 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기능 기타 작동에 관한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제한부(146a-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140)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 상측에 상기 보빈(110)의 일부분이 안착하는 보빈(110) 안착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110) 안착부(146)와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접착제(g)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유동제한부(146a-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상기 보빈(110) 안착부(146)의 하면(146a)과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제1방향으로 보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일 실시예로 모따기 작업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빈(110) 안착부(146)에는 보빈(110)의 일부,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112)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보빈(110) 안착부(146)는 상기 제2스토퍼(11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112)는 보빈(110) 안착부(146)에 고정되지 않으며 보빈(110) 안착부(146)가 형성하는 체적의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로부터 흘러내려 보빈(110) 안착부(146)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이러한 경화된 돌출부위는 제2스토퍼(112)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적 범위를 더욱 제한하여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g)가 경화된 돌출부위는 반복적으로 제2스토퍼(112)와 부딪히게 되면 접착제(g)가 가진 접착력으로 인해 이러한 접착제(g)와 제2스토퍼(112)와 일시적으로 접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착제(g)가 경화된 돌출부위가 제2스토퍼(112)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2스토퍼(112)를 포함하는 보빈(110), 나아가서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동제한부(146a-1)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접착제(g)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2유동제한부(146a-1)가 형성되지 않은 샤프한 모서리의 경우 접착제(g)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로부터 흘러내려 보빈(110) 안착부(146)의 하면(146a)의 단부에 도달한 경우, 중력에 의해 흘러내린 접착제(g)의 일부가 낙하하여 보빈(110) 안착부(146) 내부로 침투할 수 있고, 렌즈 구동장치 조립작업 시 하우징(140)과 보빈(110)을 먼저 결합하는 경우 흘러내린 접착제(g)의 일부가 낙하하여 보빈(110)의 제2스토퍼(112)에 경화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제(g)가 낙하하지 않더라도 보빈(110) 안착부(146)의 하면(146a)의 단부에 제1방향으로 돌출부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위도 제2스토퍼(112)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유동제한부(146a-1)가 구비되는 경우, 흘러내린 접착제(g)가 제2유동제한부(146a-1)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그 유동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경사면으로 유동하고 접착제(g)는 상기 경사면에 접착되어 흘러내리지 않으며 제1방향으로 돌출부위를 형성하지도 않는다.
제2유동제한부(146a-1)의 폭(w3), 즉 도 15, 도 16의 단면도에서 경사면의 폭이 길어질 수록 접착제(g)의 유동제한 효과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유동제한부(146a-1)의 폭(w3)은 하우징(140)에 공간이 허용되고,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되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g) 유입구(141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g) 유입구(141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상기 제1측면(p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기(n)를 통해 접착제(g)를 추가적으로 접착부위에 주입할 때, 주사바늘의 끝에서 나오는 접착제(g)는 먼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제1측면(p1-1)에 위치하는 접착부위에 스며들고, 다음으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제2측면(p1-2)과 상면(p2)에 스며들게 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g) 유입구(141b)는 상기 제2측면(p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상기 제2측면(p1-2)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g) 유입구(141b)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2개의 상기 제2측면(p1-2)에 접착제(g)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상기 제2측면(p1-2) 각각에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이 경우 주사기(n)를 통해 접착제(g)를 추가적으로 접착부위에 주입할 때, 주사바늘의 끝에서 나오는 접착제(g)는 먼저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제2측면(p1-2)에 위치하는 접착부위에 스며들고, 다음으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제1측면(p1-1)과 상면(p2)에 스며들게 된다.
한편, 도 17,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를 조합할 수도 있다. 즉, 접착제(g) 유입구(141b)를 상기 제1측면(p1-1)과 제2측면(p1-2)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2개의 상기 제2측면(p1-2)에 접착제(g)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상기 제2측면(p1-2) 각각에 접착제(g) 유입구(141b)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접착제(g) 유입구(14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제한부(146a-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 안착부(146)와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복수의 단턱(s)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턱(s)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유동제한부(146a-1)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하나의 제2유동제한부(146a-1)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복수로 형성될 경우 제2유동제한부(146a-1)에 의한 접착제(g)의 유동제한 효과는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예를 들어, 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의 상면(p2), 보빈(110) 안착부(146)의 하면(146a)과 만나는 부위에 복수의 단턱(s)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s) 각각에 모따기 작업을 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실시예에서 2개로 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유동제한부(146a-1)의 개수는 하우징(140)에 허용되는 공간,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상기 복수의 단턱(s)에 전부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단턱(s) 중 일부에만 제2유동제한부(146a-1)를 형성하는 경우, 접착제(g)가 상기 상면(p2)로부터 흘러내려 보빈(110) 안착부(146)로 유입되는 최초의 부위 즉, 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바로 연결되는 부위의 단턱(s)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146a-1)를 반드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턱(s)만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s)에 별도의 모따기 작업 등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단턱(s)이 제2유동제한부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유동제한부(146a-1)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로부터 흘러내린 접착제(g)가 보빈(110) 안착부(146)로 유입되어 경화되거나 보빈(110) 안착부(146)의 하면(146a)의 단부에 접착제(g)가 경화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빈(110), 나아가서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작동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인쇄회로기판(250)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인쇄회로기판(250)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인쇄회로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10: 보빈
120: 제1코일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41a: 제1마그네트 안착부
141a-1: 제1유동제한부
141b: 접착제 유입구
146: 보빈 안착부
210: 베이스
220: 지지부재
230: 제2코일
300: 커버부재
g: 접착제
n: 주사기
p1: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
p1-1: 제1측면
p1-2: 제2측면

Claims (22)

  1.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도록 상기 보빈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 유입구가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하우징 하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평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은 사다리꼴의 윗변에 해당하는 제1측면, 상기 제1측면의 양단과 연결되는 제2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입구는 상기 제2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면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유동제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제한부는,
    그 길이방향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 상측에 상기 보빈의 일부분이 안착하는 보빈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모따기 작업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복수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턱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상기 보빈 안착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3.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커버부재;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외주면에 제1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기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가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측면이 서로 연통되는 접착제 유입구가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면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유동제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제한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보빈 몸체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스토퍼; 및
    상부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안착부 상측에 상기 제2스토퍼가 안착되고 상기 제2스토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보빈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접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제한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빈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제1방향으로 만나는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는 상기 제2유동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탄성변형부;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제2탄성변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탄성변형부는,
    패턴이 없는 와이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22.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40848A 2014-10-17 2014-10-17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7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48A KR102374075B1 (ko) 2014-10-17 2014-10-17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4/884,412 US10451891B2 (en) 2014-10-17 2015-10-15 Lens moving apparatus
CN201510680382.1A CN105527691B (zh) 2014-10-17 2015-10-19 透镜移动装置
CN202010588645.7A CN111880277B (zh) 2014-10-17 2015-10-19 透镜移动装置
US16/566,190 US11428950B2 (en) 2014-10-17 2019-09-10 Lens moving apparatus
KR1020220029512A KR102641904B1 (ko) 2014-10-17 2022-03-0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7/814,059 US20220357589A1 (en) 2014-10-17 2022-07-21 Lens mo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48A KR102374075B1 (ko) 2014-10-17 2014-10-17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12A Division KR102641904B1 (ko) 2014-10-17 2022-03-0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84A true KR20160045384A (ko) 2016-04-27
KR102374075B1 KR102374075B1 (ko) 2022-03-14

Family

ID=559146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848A KR102374075B1 (ko) 2014-10-17 2014-10-17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029512A KR102641904B1 (ko) 2014-10-17 2022-03-0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12A KR102641904B1 (ko) 2014-10-17 2022-03-0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407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180101083A (ko) * 2017-03-03 2018-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110997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8216945A1 (ko) * 2017-05-26 2018-11-2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143938B2 (en) 2017-02-10 2021-10-1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11294262B2 (en) 2017-03-30 2022-04-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5268171A (zh) * 2017-06-30 2022-11-01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移动装置、摄像头模块及电话
US11573394B2 (en) 2016-10-24 2023-02-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327A (ko) * 2010-10-21 2012-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30042755A (ko) * 2011-10-19 2013-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4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327A (ko) * 2010-10-21 2012-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30042755A (ko) * 2011-10-19 2013-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4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3394B2 (en) 2016-10-24 2023-02-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US11143938B2 (en) 2017-02-10 2021-10-1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KR20180101083A (ko) * 2017-03-03 2018-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US11543735B2 (en) 2017-03-30 2023-01-03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180110997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747715B2 (en) 2017-03-30 2023-09-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210151752A (ko) * 2017-03-30 202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294262B2 (en) 2017-03-30 2022-04-05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0678803B (zh) * 2017-05-26 2022-04-1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114935829A (zh) * 2017-05-26 2022-08-2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1561362B2 (en) 2017-05-26 2023-01-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10678803A (zh) * 2017-05-26 2020-01-1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WO2018216945A1 (ko) * 2017-05-26 2018-11-2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5268171A (zh) * 2017-06-30 2022-11-01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移动装置、摄像头模块及电话
CN115268171B (zh) * 2017-06-30 2024-03-15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移动装置、摄像头模块及电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360A (ko) 2022-03-22
KR102374075B1 (ko) 2022-03-14
KR102641904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90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5971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4304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428950B2 (en) Lens moving apparatus
CN110401789B (zh) 透镜移动装置及包括该透镜移动装置的相机模块
KR10242107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33688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액티브 얼라인시키는 방법
KR20150128265A (ko) 렌즈 구동장치
KR20230006770A (ko) 렌즈 구동장치
KR20150123004A (ko) 렌즈 구동장치
KR102256625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631962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373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66735B1 (ko) 카메라 모듈
KR10255651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002852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