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39A -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339A
KR20160045339A KR1020140140711A KR20140140711A KR20160045339A KR 20160045339 A KR20160045339 A KR 20160045339A KR 1020140140711 A KR1020140140711 A KR 1020140140711A KR 20140140711 A KR20140140711 A KR 20140140711A KR 20160045339 A KR20160045339 A KR 2016004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level
case
fil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174B1 (ko
Inventor
김지웅
황용하
이춘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서 판단된 가습량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0); 상기 디스크유닛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50);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의 작동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는 필터유닛을 통해 공기를 여과하면서 디스크유닛을 통해 가습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워셔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washer}
본 발명은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워셔는 공기와 물을 접촉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를 통해 정화하여 토출 시키는 필터식, 전기적인 방전을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정화시키는 전기집진식, 및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물에 흡착시키고, 이를 통해 공기를 여과시키는 워터필터식으로 구분된다.
워터필터 방식은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추가비용이 소모되지 않아서 최근에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004555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필터유닛을 통해 공기를 여과하면서 가습을 실시할 수 있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서 판단된 가습량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0); 상기 디스크유닛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50);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의 작동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상기 S13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5); 상기 S130 단계 및 상기 S135 단계의 판단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5);를 포함한다.
상기 S145 단계에서는 상기 필터유닛이 감지된 경우, 필터유닛이 분리된 경우에 비해 더 높은 회전속도로 상기 송풍팽유닛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유닛의 회전속도는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 또는 분리여부와 관계 없이 일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또는 필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필터유닛의 탈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S135 단계에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필터유닛에 배치된 마그네틱과,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145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는 필터유닛을 통해 공기를 여과하면서 디스크유닛을 통해 가습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는 필터유닛의 장착여부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필터유닛의 장착시에도 비장착시와 동일한 가습량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셔는 탱크에 저장된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램프가 설치되기 때문에, 가습청정모드로 작동될 때, 살균모드가 작동되어 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측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필터유닛이 분리된 에어워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유닛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탱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살균램프의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램프전극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가습청정모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살균모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가습청정모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측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필터유닛이 분리된 에어워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유닛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살균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램프전극의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가습청정모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살균모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탱크(2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유닛(30)과, 상기 탱크(20)에 일부가 잠기게 배치되어 회전되는 디스크유닛(40)과, 상기 케이스(10)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유닛(40)을 회전시키는 디스크구동부(미도시)와, 상기 탱크(20)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20)에 저장된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램프(50)와, 상기 케이스(10)의 흡입구(11)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유닛(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아우터케이스(13), 이너케이스(14) 및 바텀케이스(15)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케이스(13)는 전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11)와,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12)와, 측부에 형성된 손잡이홈(1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1)를 형성시키기 위해 흡입그릴(16)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14)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3) 내부에 조립되고, 상기 송풍팬유닛(30), 디스크구동부 및 컨트롤박스(60)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박스(6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3) 및 이너케이스(14)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유닛(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습기의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바텀케이스(15)는 상기 탱크(20)를 받치는 받침으로서, 상기 탱크(20)와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송풍팬유닛(30)은 상기 아우터케이스(13)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토출구(12)를 형성시키는 송풍하우징(31)과, 상기 송풍하우징(31)에 결합되는 송풍모터(32)와, 상기 송풍모터(32)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송풍팬(34)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하우징(31)은 케이스(10)의 상측면을 형성시키는 송풍가이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가이드(33)는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32)는 모터축이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34)은 상기 송풍모터(32)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모터축과 결합된다.
상기 송풍팬(34)은 원심팬으로서, 중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여기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이너케이스(14) 및 송풍하우징(31)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2)로 이동된다.
상기 디스크유닛(40)은 복수개의 디스크(41)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조립된 디스크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크어셈블리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형성시키는 디스크축(42)과, 상기 디스크어셈블리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디스크기어(43)와, 상기 디스크기어(43)에 결합된 핸들(44)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어셈블리에는 상기 디스크(41)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41) 사이로 물이 유동되면서 상기 디스크(41) 표면에 접촉된다.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디스크기어(43)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디스크기어(43)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어셈블리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어셈블리가 디스크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탱크(20)에 잠겨진 부분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공기 중으로 노출된다. 이때, 공기 중으로 노출된 디스크(41)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면서, 공기 중에 가습을 실시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디스크구동부는 상기 이너케이스(14)에 설치된다.
상기 핸들(44)은 상기 디스크축(42)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축(42)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탱크(20) 상측에 지지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44)을 통해 상기 디스크유닛(40)을 탱크(20)에서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탱크(2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텀케이스(15)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케이스(13)의 결합 시 상기 케이스(10)의 하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탱크(20)는 상기 바텀케이스(15)에 안착되는 아우터탱크(22)와, 상기 아우터탱크(22)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이너탱크(24)와, 상기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이너탱크(24)에 설치된 수위감지전극(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유닛(40)은 상기 이너탱크(24)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이너탱크(24)에는 상기 디스크유닛(40)의 디스크축(42)이 지지된다.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이너탱크(24) 및 아우터탱크(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박스(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전극(58)이 상기 탱크(20) 상측으로 일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탱크(24)에는 상기 살균램프(50)에서 발생된 광원이 탱크(20) 내부로 투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탱크윈도우(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탱크윈도우(25)는 물이 상기 아우터탱크(22) 및 이너탱크(24)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처리된다.
상기 살균램프(50)는 램프케이스(52)와, 상기 램프케이스(52) 내부에 배치된 램프기판(54)과, 상기 램프기판(54)에 설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살균을 위한 특정 파장을 발생시키는 램프(56)와, 상기 램프기판(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탱크(20)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배치된 램프전극(58)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윈도우(25)는 상기 탱크(2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크유닛(40)과 최대로 이격될 수 있는 내부 모서리 측에 위치된다.
상기 램프(56)에서 발생되는 파장은 276나노미터의 자외선 단파장(UVC)이다.
상기 램프(56)에 발생되는 파장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이 사용된다.
상기 램프(56)에서 발생되는 파장은 그 전달 거리가 짧지만, 상기 디스크유닛(40)의 변색 또는 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탱크(20) 내부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탱크(2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적을 때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가능한 램프(56)가 가능한 낮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케이스(52)는 내부에 램프(56)가 밀폐되어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탱크(24) 외측면과 형합되어 상기 램프(56)를 밀폐시킨다. 그래서 상기 이너탱크(24)의 외측면에는 상기 램프케이스(52)와 형합되는 형상이 형성되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탱크윈도우(25) 내측에 상기 램프(56)가 배치된다.
상기 램프케이스(5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탱크(20)와의 조립 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위치결정홈(53)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홈(53)은 탱크(20)에 형성된 보스(23)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램프케이스(22)가 설치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램프케이스(22)는 상기 보스(23)와 상호 간섭되고, 아우터탱크(22) 및 이너탱크(24)의 조립 후에는 상기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램프전극(58)은 상기 컨트롤박스(60) 및 램프기판(5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전극(58)과 접촉되는 연결전극(미도시)이 배치되며,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컨트롤박스(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전극은 이너케이스(14)에 형성되고,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극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탱크(20)에 저장된 물을 살균시키기 위해 탱크(20)에 설치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컨트롤박스(60)가 설치된 케이스(10)와 물리적으로 탈착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20) 및 케이스(10)의 결합 시 항상 전기적인 연결상태에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램프전극(58)이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10) 측과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램프전극(58)은 상기 램프케이스(52)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길이가 가변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전극(58)은 램프케이스(52)에 설치된 제 1 전극(57)과, 상기 제 1 전극(57)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전극(57)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제 2 전극(59)과, 상기 제 1, 2 전극(57)(59)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59)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전극탄성부재(5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57)의 상측단과 제 2 전극(59)의 하측단은 서로를 향해 벤딩되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 1, 2 전극(57)(59)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극탄성부재(51)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전극(57)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전극(59)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램프전극(58)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서로 상대이동되면서 외력에 대하여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고, 상기 전극탄성부재(59)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탄성부재는 케이스(10) 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전극(59)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램프전극(58)는 제 1, 2 전극이 아닌 판스프링의 형태로 제작되고,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전극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그래서 상기 케이스(10)가 상기 탱크(20)와 조립될 때,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제 2 전극(59)을 눌러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전극(미도시)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가 탱크(20)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제 2 전극(59)은 전극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전극(59)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컨트롤박스(60)와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탱크(20) 및 케이스(10)의 조립 시 발생되는 이격거리 또는 조립공차에 대해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살균램프(5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하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 및 탱크(20)를 분리시키는 순간, 상기 살균램프(50)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상기 살균램프(50)의 사용자에게 가할 유해 가능성을 원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80)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16)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필요할 때에만 상기 필터유닛(80)을 상기 흡입그릴(16)에 결합시키고, 사용하지 않거나 청소기 필요할 경우 상기 흡입그릴(16)에서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80)은 상기 흡입그릴(16)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필터케이스(82)와, 상기 필터케이스(82)의 전면에 결합되는 필터커버(84)와, 상기 필터케이스(82)에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90)들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90)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90)들은 상기 필터케이스(82) 내부에 적층된다.
상기 필터커버(8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케이스(82)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커버(84)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커버가이드(85)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85)는 상기 필터커버(8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하측면을 제외한 좌측면, 우측면 및 상측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결합 시 상기 필터케이스(8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커버(84)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패턴을 갖는 흡입구(8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커버(84)의 흡입구(81) 패턴과 상기 흡입그릴(16)의 흡입구(11) 패턴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82)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고,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이 밀폐되며, 전면에 상기 필터커버(84)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커버(84)와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82)의 전면 가장자리에 케이스가이드(86)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가이드(85)가 상기 케이스가이드(86)를 감싸도록 결합된 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필터커버(84)가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가이드(85) 및 케이스가이드(86)는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커버(84)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82)에는 커버스토퍼(87)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스토퍼(87)는 필터케이스(82)의 전면 및 측면에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스토퍼(87)는 상기 필터커버(84)의 하측단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켜 상기 필터커버(84)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가이드(85)의 하단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82)는 상기 케이스(10)와 탈착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필터걸림부(8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걸림부(88)는 후크 형태로 상기 필터케이스(82)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그릴(16)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킨다.
특히 상기 필터걸림부(88)는 흡입구(11)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흡입그릴(16)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킴으로써, 상호 걸림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걸림부(88)는 상기 필터케이스(82)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82)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90)가 상기 흡입그릴(16)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그리드(89)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그리드(89)는 상기 흡입그릴(16) 및 필터(90)를 이격시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필터(90)들 중에서 필터커버(84)에 밀착되는 곳에 프리필터(92)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92)는 메시형태의 망이 배치되고, 상기 망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프리필터(92)가 상기 필터케이스(82) 내부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리필터(92)에는 필터고정부(95)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고정부(95)는 상기 필터커버(84)의 흡입구(81)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유닛(8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필터유닛(80)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상기 필터케이스를 체결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필터커버(84)는 상기 필터케이스(82)로부터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여 필터(90)들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필터유닛(80)은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에 형성된 흡입그릴(16)을 이용하여 상호 걸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케이스(10)에 탈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80)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립자는 상기 필터케이스(82) 내측에 필터(90)들을 삽입하여 적층하고, 상기 프리필터(92)가 가장 전방 측에 위치되게 조립한다.
이후, 필터커버(84)의 커버가이드(85)를 케이스가이드(86)에 결합 시킨 후,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필터케이스(82)의 전면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필터커버(84)는 커버스토퍼(87)에 걸림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커버(84)가 상기 커버케이스(82)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가이드(85) 및 케이스가이드(86)는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조립자는 필터(90)가 내장된 필터유닛(80)을 흡입그릴(16)에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케이스(82)에 형성된 필터걸림부(88)는 상기 흡입홀(1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흡입그릴(16)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필터유닛(80)과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필터걸림부(88)와 흡입그릴(16)의 상호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필터유닛(80) 전체를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필터유닛(80)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고, 필터커버(84)를 개방하여 일부 필터(90)를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상기 필터유닛(80) 전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문 서비스기사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간편하게 필터(90)들을 분리하거나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가습청정모드에 대해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와,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20)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와,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S130 단계에서 판단된 가습량에 따라 송풍팬유닛(30)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0)와, 탱크(20)에 배치된 디스크유닛(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50)와, 상기 송풍팬유닛(30) 및 디스크유닛(40)의 작동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와,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20)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와,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상기 S130 단계로 리턴되고,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컨트롤패널(35)에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와,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30) 및 디스크유닛(40)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원을 켠 후, 컨트롤패널(35)에 배치된 작동버튼(37)을 선택하여 가습청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가습청정모드는 가습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유닛(8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유닛(40)을 작동시켜 실시한다.
사용자가 가습청정모드를 구동시키면, S120 단계에서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S130), 상기 디스크유닛(40)이 작동가능한 수위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20)의 수위판단과 별도로 제어부는 가습량을 판단한다(S140).
상기 가습량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지 않는 경우, 가습청정모드의 디폴트 값이 입력되거나 직전 사용시의 가습량이 선택된다.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상기 가습량에 따라 송풍팬유닛(30)의 속도를 제어하고, 요구가습량이 높을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S150 단계에서는 상기 송풍팬유닛(30)의 속도와 구분되어 상기 디스크유닛(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일반적인 가습청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크유닛(40)은 1rpm의 속도로 회전되면서 유동되는 공기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요구가습량이 높을 경우, 자연증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디스크유닛(4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최대 10rpm 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유닛(40)의 직경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디스크유닛(40)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면, 작동소음이 커질 뿐만 아니라, 디스크(41)에서 비산된 물방울이 케이스(10) 내부를 오염시킬 수도 있다.
상기 S140 및 S150 단계 후에, 소정 시간을 경과시키고, 다시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S170)
상기 S170 단계에서는 작동 중 감소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구동가능 수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수위부족을 사용자에게 알림한다.(S180)
반면에 구동가능 수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S130 단계로 리턴된다.
그리고 상기 S180 단계와 병행하여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유닛(30) 및 디스크유닛(40)을 정지시킨다.(S190)
한편, 상기 에어워셔가 가습청정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모드가 병행되어 제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살균모드인 경우, 탱크(20)에 저장된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탱크(20)의 수위가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살균램프(50)에 전원을 인가하여 램프(56)를 작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램프(56)의 구동시간을 체크하여 구동시간이 초과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구동시간이 초과된 경우, 살균램프(50)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20 단계에서 구동가능 수위가 아닌 경우, 상기 S50 단계로 이행된다.
더불어 상기 S40 단계에서 구동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에 설치된 제어부는 상기 살균램프(50)를 작동시키기에 앞서 상기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20)에 설치된 수위감지전극(26)을 통해 상기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수위감지전극(26)을 통해 판단된 수위가 살균램프(50)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상기 살균램프(50)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구동가능 수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램프(56)가 수위가 높은 경우로 설정된다. 상기 램프(56)보다 수위가 낮은 경우, 생성된 광원이 물이 아닌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상기 디스크유닛(40)을 변색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수위 감지 후 살균램프(50)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에어워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탱크(20)의 수위가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살균램프(5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램프(56)를 통해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상기 살균유닛(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스크유닛(40)의 구동 중에 작동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크유닛(40)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유닛(40)이 작동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램프(50)에 1.5시간동안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을 실시하고, 6시간 동안은 상기 살균램프(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인터벌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유닛(40)의 작동 중에 살균램프(50)가 작동되면, 상기 디스크유닛(40)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디스크유닛(40)의 작동 중 탱크(20) 내부로 포집된 이물질에서 유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초기에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유닛(40)이 회전되면, 상기 디스크(41)의 표면에서 자연기화가 발생되는데, 상기 살균을 통해 유해 세균이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램프(50)의 작동될 때, 상기 케이스(10)가 탱크(20)에서 분리되면, 상기 살균램프(5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그 즉시 램프(56)의 광원이 오프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외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드는 인터벌이 설정되어 작동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1.5시간 작동 후 6시간동안 오프되는 사이클이 반복된다. 그리고 살균모드의 온/오프 시간은 탱크의 크기 및 저장된 물의 부피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가습청정모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필터유닛(80)의 탈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걸림부(88) 또는 필터케이스(82) 후면에 마그네틱(182)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0) 측에 상기 마그네틱(182)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184)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유닛(80)이 케이스(10)에서 분리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팬유닛(30)을 제어하고, 상기 필터유닛(80)이 설치된 경우,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 저하를 감안하여 상기 송풍팬유닛(30)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그네틱센서(184)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유닛(80)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광센서 등과 같이 다른 종류를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또는 필터유닛(80)에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필터유닛(80)을 감지할수도 있다.
더불어 마그네틱센서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80)의 장착여부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센서 없이도 상기 필터유닛(80)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팬유닛(30)을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필터유닛(80)이 장착된 경우,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저하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바, 이를 감지하여 필터유닛(80)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80)의 장착여부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당업자의 기술수준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다양한 방법으로 필터유닛(8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청정모드에서 필터유닛(80)의 유무에 따른 제어를 추가로 실시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모드에서는 송풍팬유닛(30)의 속도를 제어하기 전에, 필터유닛(80)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단계(S135)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80)의 장착 유무 및 요구가습량에 따라 상기 송풍팬유닛(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145)가 포함된다.
상기 S135 단계에서 필터유닛(80)이 장착된 경우, 더 빠른 회전속도로 송풍팬유닛(30)을 회전시켜야 한다.
즉, 필터유닛(80)이 장착된 경우, 필터(90)들로 인해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고, 감소된 유량으로 인해 디스크(41)들 표면에서의 자연증발 수분량도 감소된다.
예를들어 설정된 가습량이 "중" 또는 "강"인 경우, 필터유닛(80)이 분리되었을 때보다 필터유닛(8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유닛(30)을 더 빠른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은 상기 필터유닛(80) 장착 유무와 무관하게 동일한 가습을 실시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케이스(10)에는 습도센서가 배치되기 때문에, 필터유닛(80)의 장착 후, 소정 시간 동안 습도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80)의 회전속도를 더 증가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케이스 11 : 흡입구
12 : 토출구 13 : 아우터케이스
14 : 이너케이스 15 : 바텀케이스
20 : 탱크 22 : 아우터탱크
24 : 이너탱크 25 : 탱크윈도우
30 : 송풍팬유닛 31 : 송풍하우징
32 : 송풍모터 33 : 송풍가이드
34 : 송풍팬 40 : 디스크유닛
41 : 디스크 42 : 디스크축
43 : 디스크기어 44 : 핸들
50 : 살균램프 51 : 전극탄성부재
52 : 램프케이스 53 : 위치결정홈
54 : 램프기판 56 : 램프
57 : 제 1 전극 59 : 제 2 전극
60 : 컨트롤박스 80 : 필터유닛
82 : 필터케이스 84 : 필터커버
85 : 커버가이드 86 : 케이스가이드
87 : 커버스토퍼 88 : 필터걸림부
90 : 필터 92 : 프리필터
95 : 필터고정부

Claims (9)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유닛;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에 일부가 잠기게 배치된 디스크유닛;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유닛을 회전시키는 디스크구동부; 및 상기 흡입구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필터가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서 판단된 가습량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0);
    상기 디스크유닛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50);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의 작동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구동가능 수위인 경우, 상기 S130 단계로 리턴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3.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유닛;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에 일부가 잠기게 배치된 디스크유닛;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유닛을 회전시키는 디스크구동부; 및 상기 흡입구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필터가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습청정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110);
    가습청정모드인 경우,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20);
    가습량을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5);
    상기 S130 단계 및 상기 S135 단계의 판단에 따라 송풍팬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S145);를 포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145 단계에서는 상기 필터유닛이 감지된 경우, 필터유닛이 분리된 경우에 비해 더 높은 회전속도로 상기 송풍팽유닛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유닛의 회전속도는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 또는 분리여부와 관계 없이 일정하게 회전시키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필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필터유닛의 탈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S135 단계에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필터유닛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필터유닛에 배치된 마그네틱과,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을 감지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145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탱크에 수위를 감지하여 구동가능 수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부족을 알리는 단계(S180);
    상기 S170 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구동가능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유닛 및 디스크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제어방법이 구현된 에어워셔.
KR1020140140711A 2014-10-17 2014-10-17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68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11A KR101689174B1 (ko) 2014-10-17 2014-10-17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11A KR101689174B1 (ko) 2014-10-17 2014-10-17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39A true KR20160045339A (ko) 2016-04-27
KR101689174B1 KR101689174B1 (ko) 2016-12-23

Family

ID=559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11A KR101689174B1 (ko) 2014-10-17 2014-10-17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238A (zh) * 2021-11-15 2022-03-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室内空气质量调节方法、装置及空调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85B1 (ko) * 2007-10-30 2009-02-18 공간테크 주식회사 에어컨 필터청소장치
KR20100008293A (ko) * 2008-07-15 2010-01-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KR101004555B1 (ko) 2003-10-02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120026910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노비타 공기청정가습기 및 이의 잔수 량 조절방법
KR20140028417A (ko) * 2012-08-29 2014-03-10 김진한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555B1 (ko) 2003-10-02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0883685B1 (ko) * 2007-10-30 2009-02-18 공간테크 주식회사 에어컨 필터청소장치
KR20100008293A (ko) * 2008-07-15 2010-01-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KR20120026910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노비타 공기청정가습기 및 이의 잔수 량 조절방법
KR20140028417A (ko) * 2012-08-29 2014-03-10 김진한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238A (zh) * 2021-11-15 2022-03-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室内空气质量调节方法、装置及空调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74B1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CN107917491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US9254459B2 (en) Room air purifier with pressurization relief
US8034169B2 (en) Air cleaner
KR101634530B1 (ko) 에어워셔
JP6367445B2 (ja) 加湿空気清浄機
JP2003035443A (ja) 加湿機
JP5053208B2 (ja) 空気清浄機
JP2012057887A (ja) 空気清浄機
EP3330625B1 (en) Humidifier
KR101634528B1 (ko) 에어워셔
JP7071901B2 (ja) 電気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89174B1 (ko)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634529B1 (ko) 에어워셔
KR101634527B1 (ko)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WO2010053227A1 (en) Air conditioner
KR101476298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35568A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KR2017012760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634532B1 (ko)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JP4683789B2 (ja) 加湿機
JP6105899B2 (ja) 加湿装置
KR20060087298A (ko) 기능성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13070791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