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25A -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25A
KR20160044925A KR1020140140036A KR20140140036A KR20160044925A KR 20160044925 A KR20160044925 A KR 20160044925A KR 1020140140036 A KR1020140140036 A KR 1020140140036A KR 20140140036 A KR20140140036 A KR 20140140036A KR 20160044925 A KR20160044925 A KR 2016004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yclodextrin
superfine
carbon dioxide
peracety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203B1 (ko
Inventor
임권택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2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접체 초미립자는,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의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의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 또는 용액상으로 방출하여 제조됨으로써, 간단하고, 경제적 방법으로 포접체 초미립자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는 포접율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경구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Ultrafine particles of inclusion complex of peracetylated cyclodextrin and drug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물 중 하나인 몰시도민(또는 N-(에톡시카르보닐)-3-(4-모르폴리닐)시드논 이민)은 대표적인 신규한 항 협심증 물질, 시드논이민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허 제 6734호에 의한 특정 약물로 알려져 있다. 이 화합물은 혈관의 평활근 완화와 혈소판 활성화의 초기상태 저해를 유발하는 모든 형태의 협심증 발작 예방 치료에 특히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 화합물의 활성은 그의 생체변형 기간 중 일산화질소(NO) 라디칼을 직접 방출할 수 있게 하는 능력에 기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몰시도민은 프로드러그(기존 약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약물)이다. 경구 투여 후 몰시도민은 완전히 흡수되고, 간에서 효소적 변형(가수분해 및 탈카르복실화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생성된 SIN-1(Linsidiomine, 3-morpholino-sydnonimine)은 그 스스로 빠르게 혈액에서 효소적 간섭없이 SIN-1A(N-nitroso-N-morpholino-aminoacetonitrile)로 변형된다. SIN-1 및 SIN-1A는 몰시도민의 활성 대사산물인 것이다. 또한, SIN-1A는 산화에 의해 일산화질소(NO)의 방출로 불활성의 SIN-1C(N-cyano-methylamino-morpholine)로 분해된다. SIN-1C는 번드 로센크란쯔(Bernd Rosenkranz)의 몰시도민의 임상적 약력학(Clinical Pharmacokinetics of Molsidomine), Clinical Pharmacokinet. 1996, May; 30(5)372-384 등의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간에서 그 스스로가 대사하게 된다.
몰시도민은 2mg 또는 4mg 복용량을 함유하는 가분의 타블렛 형태로 현재 시판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력에 따른 협심증의 치료에는 1일에 3회 투여되고, 휴식 협심증 또는 심각한 진력의 협심증 치료에는 1일에 4회 투여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하루에 2회 투여되는 8mg의 몰시도민의 신규 서방형(Controlled Released Type) 생약 제형이 협심증의 장기간 예방적 치료용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 제형에 있어, 몰시도민의 최대 혈장 농도는 투여 후 1∼3시간 사이에 관찰된다. 몰시도민은 일반적으로 4mg 복용량으로 4∼5시간 동안, 그리고 8mg 복용량으로는 10∼12시간 동안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관점에서 장시간의 치료적 효과를 갖는 생약의 제형이 유리한데, 이는 하루에 약물을 섭취해야 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환자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캅토 프릴, (captopril, 1-[(2S)-3-메르캅토-2-메틸 프로피오닐]-L-프롤린)은 경구용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활성 억제제로서 고혈압과 울혈성 심부전의 치료 등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경구 투여 후, 항 고혈압 작용의 지속 시간이 6-8 시간으로 임상적으로 38-75 mg씩 1일 3회의 투여가 필요하다. 또한, 그 효과와 용도로 인해 그 동안 캅토 프릴의 다양한 약물 방출 조절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살부타몰황산염(salbutamol sulfate)은 빠르게 반응하는 교감신경 β2수용체 작용제이며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기관지 경련을 가라앉히는 데에 사용된다.
오메프라졸(OMP)은 프로톤 펌프의 억제제로서 소화성 궤양, 식도염, 미란성 식도염, Zollinger-엘리슨 증후군, 십이지장궤양, 여러 내분비 선종, 소화 불량,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과 체계적인 비만 세포증 등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 된다. OMP는 물에 난용성으로, 이것이 낮은 용해 속도와 함께 이 약물의 생체 이용률이 낮은 이유가 된다. 오메프라졸의 더 큰 단점은 열, 광, 수분, 용매, UV 광, 각종 염, 금속 이온 및 산성 매체, 심지어 코팅 배합물에 노출 시 불안정한 물리 화학적 특성에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과 용해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사용하거나, 분무건조, 냉동건조, 물리 혼합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OMP는 난용성 약물이지만 그것의 용해도 및 반감기는 산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한편,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1891년 빌리어(Villier)에 의해 처음 발견된 포도당의 중합체로서, 6개 이상의 포도당이 알파-1,4-글루코사이드 결합(α-1,4-glucoside linkage)을 이룬 환상의 비환원성 말토올리고당이다. 특히, 6, 7, 8개의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것을, 각각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γ-cyclodextrin)이라고 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환상형의 도우넛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에 소수성 공동을 분자 외부에는 친수성을 갖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내측 공동에 각종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인식하여 우수한 물성의 포접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환경분야(문헌[Murai, S, et al., Environ. Sci. Technol., Vol. 32, pp. 782-787, 1998] 참조)에 이용되기도 하고, 소수성 항암제나 약물을 포접시켜서 약물 전달매체로서 약학분야([Hirayama, F., et al., Adv. Drug Del. Rev., Vol.36, pp.125-141, 1999] 참조)에 이용되기도 하며, 그 외에도 식품, 화장품, 농약 분야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문헌[Szejtli, J. et al., Comprehensive supramolecular chemistry, vol. 3, Cyclodextrins, Pergamon, 1996] 참조). 이러한 연구들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능을 이용하여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화하거나 용해도의 변화에 의한 용도 확대뿐 아니라, 특정 물질만을 인식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초임계이산화탄소는 단백질 추출, 생물량 변환반응(bioconversion)으로 유망하고, 고분자 합성, 및 의약품의 입자 공학에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임계이산화탄소내에서 퍼플루오로알킬 에스터 작용기를 작는 사이클로덱스트린(perfluoroalkyl ester functionalized cyclodextrin)과 약물의 포접체에 대한 연구(문헌 H.S. Ganapathy, M.Y. Lee, C. Park, K.T. Lim, J. Fluorine Chem. vol. 129 (2008) 1162-1166., H.S. Ganapathy, M.Y. Lee, M.H. Woo, Y.T. Jeong, K.T. Lim, Key Eng. Mater. Vol. 342 (2007) 493-496 참조)이 보고 된 바 있지만, 이 방법은 퍼플루오로알킬 에스터와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복잡한 제조과정을 포함하고, 불소계를 포함하므로 경구투여용으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초임계이산화탄소에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친수성 약물인 몰시도민의 약물포접체 제조에 대하여 알려진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한 제조과정으로, 약물포접체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괴상으로 밖에 만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초임계 유체에 용해된 물질을 급속팽창함으로서 미립자를 만드는 통상적인 방법은 RESS(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과 RESOLV(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 into a liquid solvent) 방식이 있다. RESS 방법은 가압된 초임계 용액을 대기상으로 급속 팽창하는 방식에 근거한다. RESOLV 방법은 가압된 초임계 용액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외부용액, 주로 물 속으로 급속 팽창하는 방식에 근거한다. 그러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물 포접체의 미립화 방법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무독성 초임계 이산화탄소 매질을 사용하여 초미립자 형태의 약물 포접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08-0097357
본 발명자들은 포접체 초미립자에 대해 탐색하던 중,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의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의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 또는 용액상으로 방출할 경우, 간단하고 경제적 방법으로 포접체 초미립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1)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접체 초미립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는 반응기 내의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반응기 내의 초임계이산화탄소는 6~45MPa의 압력 및 30~60℃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7MPa의 압력 및 45℃의 온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와 압력이 45℃에서 20.7MPa 이하일 경우 PAc-CD의 초임계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력이 포접체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은 퍼아세틸레이티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퍼아세틸레이티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퍼아세틸레이티드 감마-사이클로덱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임계이산화탄소 대비 0.1 내지 2O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잘 용해된다.
상기 약물은 PAc-CD에 포접되는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약물은 몰시도민, 살부타몰, 살부타몰황산염, 캅토프릴, 오메프라졸, 케토로락(Ketorolac), 염산 아젤라스틴(azelastine hydrochloride), 염산 오로파타딘(Olopatadine hydrochloride), 염산 옥시메타졸린(Oxymetazoline hydrochloride), 염산 키실로메타졸린(Xylometazoline hydrochloride), 염산페닐레프린(Phenylephrine hydrochloride), 모메타손(Mometasone), 부데소니드(Budesonide),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Fluticasone propionate),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Fluticasone furoate), 시클레소니드(Ciclesonide), 플루니솔라이드(Flunisolide),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hasone dipropionate), 및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Triamcinolone aceton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오메프라졸 또는 몰시도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PAc-CD와 약물을 혼합할 때, PAc-CD 대비 약물의 비는 0.1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약물은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용해되지 않지만 PAc-CD가 용해된 상태에서는 포접체가 형성되면서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용해되는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반응 시간은 1 분 내지 36 시간 동안 진행되며, 20 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는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의 PAc-CD 및 약물의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물은 빠르게 감압하여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RESS 방식) 또는 용액상(RESOLV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물 및 에틸렌글리콜의 혼합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 대비 에틸렌글리콜의 중량 비는 1:0.01 내지 1: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액은 0~20 wt%의 계면활성제 또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sulfonate, SDS),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플루로닉(Pluronic) F127, 플루로닉(Pluronic) F68,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Tween 80), 폴록사머(Poloxamer, Lutrol F68), 폴리에틸렌글리콜-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5-hydroxystearate, Solutol HS1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폴리(N-비닐-2-피롤리돈)(poly(N-vinyl-2-pyrrolidone, PVP), 실웨트(Silwet) L77,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 등일 수 있다.
상기 염은 NaCl, KCl, NaOH, Na2SO3, Na2CO3, NaHCO2, 및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등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의 PAc-CD 및 약물의 혼합물은 모세관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초미립자를 형성할 있다. 모세관 현상이라 함은 폭이 좁은 관에서 액체 분자 간의 인력과 상기 액체의 표면과 관의 표면 사이에 작용하는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 모세관 노즐은 폭이 좁은 관 형태로서, 금속, 유리, 석영(Quartz), 테플론(Teflon) 및 내화학성 재질의 중합체(polymer)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구경은 25 내지 1000 μm일 수 있고, 모세관의 길이 대비 구경의 비는 1 내지 50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접체 초미립자를 제공한다.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직경은 10~1000 nm일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라, 대기상(RESS 방식)에 방출시는 50~300 nm일 수 있고, 용액상(RESOLV 방식)에 방출시는 50~600 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 조성물이라 함은, 상기 Pac-CD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용 약제 조성물은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액체 또 는 고체 담체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부형제, 붕해제, 유동화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만니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30> 밀전분, 프리젤라티나이즈드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덱스트린, 인산일수소칼슘, 인산이수소칼슘, 탄산칼슘, 폴라크릴린칼륨, 아세트산, 탄산암모늄, 인산암모늄, 붕산, 젖산, 구연산,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젖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및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전체 약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6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및 크로스포비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전체 약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2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로는 콜로이드성실리카무수물, 실리카디옥사이드침전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전체 약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활석,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탈크, 실리콘디옥사이드, 및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약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약제 조성물의 제형은 고체형태의 제제, 액상 제제 등을 포함하며,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환제, 건조 시럽제 등의 경구 투여용 고형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에 적합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이다.
바람직한 약학적 제제는 단위 투약형태이다. 그러한 형태에서, 제제는 적당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위 투여형태로 세분된다. 단위 투약형태는 제제의 분리된 양을 함유하는 포장된 제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이알 또는 앰플 내의 포장된 정제, 캡슐 또는 분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 및 캡슐제의 형태이며 유효 투여량은 1일 160mg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접체 초미립자는,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의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의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 또는 용액상으로 방출하여 제조됨으로써, 간단하고, 경제적 방법으로 포접체 초미립자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는 포접율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경구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퍼아세틸레이티드-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PAc-β-CD)의 분자구조 모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물 포접체 의 제조장비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1: 고압주입펌프, 2: 체크밸브, 3: 저장셀, 4: 압력계, 5: 반응셀, 6: 교반기, 7: 마그네틱바, 8: on/off 밸브, 9: 필터, 10: 유량 조절 밸브, 11: 항온시스템, 12: 유량측정계, 13: 노즐, 14: 포집용기, 15: 배기를 나타낸다.
도 3은 RESS 방식으로 포집한 약물 포접체 초미립자의 광학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RESS 방식으로 제조된 약물 포접체 초미립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RESOLV 방식으로 제조된 약물 포접체 초미립자의 평균입자지름(DLS)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오일 현탁된 포접체 초미립자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몰시도민, (▼)오메프라졸, (■)PAc-β-CD/몰시도민 포접체 초미립자 (RESS 방식), 및 (●)PAc-β-CD/오메프라졸 포접체 초미립자 (RESOLV 방식)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ESS 방식을 이용한 포접체 초미립자 의 제조
1-1. PAc-β-CD/오메프라졸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50mL 고압 반응기 셀(5) 내부에 PAc-β-CD(도1 참조) 100mg과 오메프라졸 18mg을 첨가하고, 이산화탄소 실린더(1)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고압 실린지 펌프(2)를 거쳐 20.7MPa 압력으로 주입한다. 이후 항온기(6)를 이용하여 온도를 45℃로 유지하며 교반기(11)와 마그네틱 바(4)를 이용하여 교반시킨다. PAc-β-CD는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잘 용해되지만 오메프라졸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녹지 않는 고형물이 존재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것은 분명하게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오메프라졸이 포접체가 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상기 PAc-CD와 오메프라졸-이산화탄소 혼합용액을 20시간동안 방치한 뒤 100 μm 구경 (L/D = 2)의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으로 빠르게 방출(12)하여 포접체 초미립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크기를 광학 현미경과 FE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약 100 nm로 측정되었다.
1-2. PAc-β-CD/몰시도민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50mL 고압 반응기 셀(5) 내부에 PAc-β-CD(도1 참조) 100mg과 몰시도민 12mg을 첨가하고, 이산화탄소 실린더(1)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고압 실린지 펌프(2)를 거쳐 20.7MPa 압력으로 주입한다. 이후 항온기(6)를 이용하여 온도를 45℃로 유지하며 교반기(11)와 마그네틱 바(4)를 이용하여 교반시킨다. PAc-β-CD는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잘 용해되지만 몰시도민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녹지 않는 고형물이 존재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것은 분명하게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몰시도민이 포접체가 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상기 PAc-CD와 몰시도민-이산화탄소 혼합용액을 20시간동안 방치한 뒤 100 μm 구경 (L/D = 2)의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대기상으로 빠르게 방출(12)하여 포접체 초미립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크기를 광학 현미경과 FE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약 90 nm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실험조건에 따른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S.No PAc--CD
(wt %)
Capillary Internal diameter
(m)
Capillary length
(mm)
Spray length
(cm)
Average
Particle size
(optical microscope)
(m)
Average
Particle size (SEM)
(nm)
1 0.5 50 20 1-2 6.4 -
2 0.5 50 10 2-3 5.1 -
3(2) 0.5 50 10 2-3 4.4
-
4 0.25 50 20 1-2 4.4 -
5 0.25 50 10 1-2 3.3 -
6 0.25 50 10 2-3 3.5 -
7 0.25 50 10 5-6 2.5 50
8 0.25 50 50 5-6 3.3 125
9 0.25 100 0.2 5-6 3.0 90~100
실시예 2. RESOLV 방식을 이용한 포접체 초미립자 의 제조
2-1. PAc-β-CD/오메프라졸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50mL 고압 반응기 셀(5) 내부에 PAc-β-CD(도1 참조) 40mg과 오메프라졸 7mg을 첨가하고 이산화탄소 실린더(1)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고압 실린지 펌프(2)를 거쳐 20.7MPa 압력으로 주입한다. 이후 항온기(6)를 이용하여 온도를 45℃로 유지하며 교반기(11)와 마그네틱 바(4)를 이용하여 교반시킨다. 상기 PAc-CD와 오메프라졸-이산화탄소 혼합용액을 20시간동안 방치한 뒤 100 μm 구경 (L/D = 200)의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sulfonate, SDS) 1 wt%가 포함된 수용액상으로 빠르게 방출(12)하여 포접체 초미립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크기를 광학 현미경과 FE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약 170 nm 로 측정되었다.
2-2. PAc-β-CD/몰시도민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50mL 고압 반응기 셀(5) 내부에 PAc-β-CD(도1 참조) 40mg과 몰시도민 5mg을 첨가하고 이산화탄소 실린더(1)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고압 실린지 펌프(2)를 거쳐 20.7MPa 압력으로 주입한다. 이후 항온기(6)를 이용하여 온도를 45℃로 유지하며 교반기(11)와 마그네틱 바(4)를 이용하여 교반시킨다. 상기 PAc-CD와 몰시도민-이산화탄소 혼합용액을 20시간동안 방치한 뒤 100 μm 구경 (L/D = 200)의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sulfonate, SDS) 1 wt%가 포함된 수용액상으로 빠르게 방출(12)하여 포접체 초미립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크기를 광학 현미경과 FE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약 150 nm 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실험조건에 따른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S.No PAc--CD
(wt %)
Capillary Internal diameter
(m)
Capillary length
(mm)
압력
(bar)
계면활성제 Average
Particle size
(m)
1 0.1 50 20 350 SDS 1.0
2 0.1 100 20 350 SDS 1.7
3 0.1 100 20 200 SDS 0.15~0.17
4 0.1 150 20 350 Ethylene glycol(water, 1:1) 3.2
5 0.1 150 20 350 SDS -
6 0.1 150 20 350 Ethylene glycol(water, 1:1) -
7 0.1 150 40 350 SDS 0.76
8 0.1 100 20 350 Ethylene glycol(water, 1:1) -
9 0.1 50 20 200 SDS 1.3
10 0.1 50 20 200 Ethylene glycol(water, 1:1) 3.2
11 0.1 50 10 200 SDS 0.25
12 0.1 100 20 200 SDS 1.6
13 0.1 50 5 200 SDS 1.1
14 0.1 100 5 200 SDS -
15 0.1 25 5 200 SDS 1.0
16 0.1 50 40 200 SDS 0.18
실험예 1. 포접체 초미립자 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2 및 2-1에서 제조한 포접체 초미립자의 오일 현탁액(oily suspension)으로부터 약물의 생체외(in-vitro) 방출 속도(release rate)는 일본 파마코포이아(Japanese Pharmacopoeia) XIV에 설명된 용해 시험의 패들법(paddle method)에 따라서 측정한다.
약물 전달체로 사용되는 것을 실험하기 위하여 1:1 몰 농도의 포접체 초미립자(몰시도민: 1mg, PAc-β-CD: 8mg; 및 오메프라졸: 1mg, PAc-β-CD: 6mg)는 10mL 피넛오일에 현탁된다. 이후 상기 오일 현탁액에 중성(몰시도민) 또는 pH 4(오메프라졸)의 30mL 수용액이 첨가되고, 37℃에서 혼합물은 60rpm으로 교반하면서 유지된다. 시료 용액(0.3mL)은 솜마개(cotton plug)로 drawn되고 물에 희석된다. 오일 상에서 약물의 방출 속도를 스펙트로메타(Lambda 40 UV-Vis spectrometer, Perkin Elmer)로 측정한다.
오일 현탁된 포접체 초미립자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몰시도민, (▼)오메프라졸, (■)PAc-β-CD/몰시도민 포접체 초미립자 (RESS 방식), 및 (●)PAc-β-CD/오메프라졸 포접체 초미립자 (RESOLV 방식)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수한 약물은 측정과 동시에 30%가 방출되고, 1시간 이내에 100% 방출되지만, RESS 방식으로 제조된 몰시도민 포접체는 15 내지 20%가 1시간 후 방출되고, 35 내지 40%가 3시간 후 방출되고, 65 내지 70%가 5시간 후 방출되며, >95%이 8시간 후 방출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또한, RESOLV 방식으로 제조된 오메프라졸 포접체는 25 내지 30%가 1시간 후 방출되고, 30 내지 35%가 3시간 후 방출되고, 40 내지 45%가 5시간 후 방출되며, >95%이 12시간 후 방출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 결과들은 본 발명에 의한 포접체 초미립자의 우수한 방출 제어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Claims (17)

  1. (1)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PAc-CD) 및 약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이산화탄소는 6~45MPa의 압력 및 30~60℃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퍼아세틸레이티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퍼아세틸레이티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퍼아세틸레이티드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초임계이산화탄소 대비 0.1 내지 2Ow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몰시도민, 살부타몰, 살부타몰황산염, 캅토프릴, 오메프라졸, 케토로락(Ketorolac), 염산 아젤라스틴(azelastine hydrochloride), 염산 오로파타딘(Olopatadine hydrochloride), 염산 옥시메타졸린(Oxymetazoline hydrochloride), 염산 키실로메타졸린(Xylometazoline hydrochloride), 염산페닐레프린(Phenylephrine hydrochloride), 모메타손(Mometasone), 부데소니드(Budesonide),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Fluticasone propionate),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Fluticasone furoate), 시클레소니드(Ciclesonide), 플루니솔라이드(Flunisolide),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hasone dipropionate), 및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Triamcinolone aceton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대비 약물의 비는 0.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혼합물을 대기상 또는 용액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물 및 에틸렌글리콜의 혼합용액이며, 물 대비 에틸렌글리콜의 중량 비는 1:0.01 내지 1: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0~20 wt%의 계면활성제 또는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sulfonate, SDS),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플루로닉(Pluronic) F127, 플루로닉(Pluronic) F68,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Tween 80), 폴록사머(Poloxamer, Lutrol F68), 폴리에틸렌글리콜-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5-hydroxystearate, Solutol HS1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폴리(N-비닐-2-피롤리돈)(poly(N-vinyl-2-pyrrolidone, PVP), 실웨트(Silwet) L77,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NaCl, KCl, NaOH, Na2SO3, Na2CO3, NaHCO2, 및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노즐의 구경은 25 내지 10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노즐의 길이 대비 구경의 비는 1 내지 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접체 초미립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체 초미립자의 직경은 10~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체 초미립자.
  16. 제 14항의 포접체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부형제, 붕해제, 유동화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 조성물.
KR1020140140036A 2014-10-16 2014-10-16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70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36A KR101701203B1 (ko) 2014-10-16 2014-10-16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36A KR101701203B1 (ko) 2014-10-16 2014-10-16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25A true KR20160044925A (ko) 2016-04-26
KR101701203B1 KR101701203B1 (ko) 2017-02-01

Family

ID=5591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36A KR101701203B1 (ko) 2014-10-16 2014-10-16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3288A (zh) * 2019-10-21 2022-09-02 埃索拉特有限责任公司 超细化合物及其生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612A (ko) * 2003-12-19 2006-12-19 에스씨에프 테크놀로지스 에이/에스 미세 입자들 및 다른 물질들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20080097357A (ko) 2007-05-01 2008-11-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광주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96189A (ko) * 2010-02-22 2011-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의해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수용성 약물 포접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30047232A (ko) * 2011-10-31 2013-05-08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서방형 약물 함유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612A (ko) * 2003-12-19 2006-12-19 에스씨에프 테크놀로지스 에이/에스 미세 입자들 및 다른 물질들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20080097357A (ko) 2007-05-01 2008-11-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광주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96189A (ko) * 2010-02-22 2011-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의해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수용성 약물 포접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30047232A (ko) * 2011-10-31 2013-05-08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서방형 약물 함유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3288A (zh) * 2019-10-21 2022-09-02 埃索拉特有限责任公司 超细化合物及其生产
EP4048242A4 (en) * 2019-10-21 2024-05-22 Esolate Ltd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FINE COMPOUNDS AND THEIR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203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231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stable, amorphous hybrid nanoparticles comprising at least one protein kinase inhibitor and at least one polymeric stabilizing and matrix- forming component.
EP2477608B1 (en) Oral solid dosage form containing nanoparticles and process of formulating the same using fish gelatin
ES2398564T3 (es) Formulaciones farmacéuticas gastrorresistentes que contienen rifaximina
EP1982702B1 (en) Sirolimus formulation
JP4334869B2 (ja) 溶解性または経口吸収性の改善された組成物
AU2015215000B2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drogen receptor antagonists
KR101434334B1 (ko) 화학 물질의 마이셀 나노입자
US20050158386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harmaceutical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a poorly soluble drug
KR20140011300A (ko) 데페라시록스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MXPA06009991A (es)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estable que comprende un farmaco labil acido.
KR20130076818A (ko) 약학 조성물
US20110027361A1 (en) Extended release dosage form of paliperidone
SG1769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olubility
EP1018340B1 (en) Inclusion aminoacid salts compounds of benzimidazole derivatives with cyclodextrin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CA259198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morphous benzimidazole compounds
JP6666352B2 (ja) デュタステリド含有固体分散体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EP2266541A1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ivaroxaban
JP2017048174A (ja) 化学的に安定な原薬含有被覆粒子を含む口腔内崩壊錠剤
EP4079295A1 (e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olaparib
KR101701203B1 (ko)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퍼아세틸레이티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약물의 포접체 초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10044780A (ko) 안정화된 의약 조성물
WO2014193528A1 (en) Amorphous dosage forms and methods
AU2002214524B2 (en) Capsule of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HPMC containing benzimidazole derivatives such as omeprazole
JP2009517460A (ja) プラミペキソールの安定化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20156A1 (e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