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867A -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 Google Patents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867A
KR20160044867A KR1020140139884A KR20140139884A KR20160044867A KR 20160044867 A KR20160044867 A KR 20160044867A KR 1020140139884 A KR1020140139884 A KR 1020140139884A KR 20140139884 A KR20140139884 A KR 20140139884A KR 20160044867 A KR20160044867 A KR 2016004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eat insulating
adhesive layer
predetermined thickness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식
김학준
Original Assignee
김의식
김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식, 김학준 filed Critical 김의식
Priority to KR102014013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4867A/ko
Publication of KR2016004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1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벽체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보온재(단열재)와; 상기 각 보온재(단열재)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1 기밀실링테이프와; 상기 보온재(단열재)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2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와; 상기 각 내장재(석고보드)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2 기밀실링테이프와; 금속 및 비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온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를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시공한다. 이에 의해, 보온부재를 설치기 위한 보강재(가설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보강재를 사용치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외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제 1차 접착제 층의 일면에 보온부재(단열재)를 설치하고, 제 2 접착제 층의 일면에 내장재(석고보드)를 설치하되 이들 보온부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의 접촉 틈새를 제 1 및 제 2 실링테이프로 기밀 처리하는 것으로서 외기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single line secret rescue of the wall and that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에 있어서, 보강재가 필요없이, 공사기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저렴한 공사비로서도 내 외벽의 단열성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체 단열 구조는, 내벽 단열과 외벽 단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외 내벽 단열은 벽면에 금속 또는 목재로 형성된 보강재(틀 형태의 가설재)를 설치하고, 이에 스티로폼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보온재나 그라스울(유리섬유)를 설치하여 단열을 한다. 그러나 벽체의 외면에 전달되는 외기는 보강재에 그대로 전달되어 단열재 및 벽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단열재 성능은 많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사기간이 늘어나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재(틀 형태의 가설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의 과다지출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벽체의 단열·기밀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1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벽체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보온재(단열재)와; 상기 각 보온재(단열재)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1 기밀실링테이프와; 상기 보온재(단열재)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2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와; 상기 각 내장재(석고보드)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2 기밀실링테이프와; 금속 및 비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온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를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단열·기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벽체의 단열·기밀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1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벽체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층에 복수 개 이상의 보온부재(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보온부재(단열재)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을 제 1 기밀실링테이프로 기밀하는 단계; 상기 보온부재(단열재)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2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제 층에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내장재(석고보드)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을 제 2 기밀실링테이프로 기밀하는 단계; 상기 보온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를 다수의 고정핀으로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벽체의 단열·기밀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부재를 설치기 위한 보강재(가설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보강재를 사용치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외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제 1차 접착제 층의 일면에 보온부재(단열재)를 설치하고, 제 2 접착제 층의 일면에 내장재(석고보드)를 설치하되 이들 보온부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의 접촉 틈새를 제 1 및 제 2 실링테이프로 기밀 처리하는 것으로서 외기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단열·기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단열·기밀공법에 따른 공정순서를 보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단열·기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단열 기밀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른 벽체의 단열 기밀구조는,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벽체(10)에 시공된다.
본 발명은 벽체(10)의 내벽(10a) 또는 외벽(1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1 접착제 층(20)을 도포하는데, 여기서 접착제는 고성능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접착제 층(20)의 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복수 개 이상의 보온재(단열재)(30)를 부착하여 벽체(10)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단열재)(30)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31) 외면에는 제 1 기밀실링테이프(32)를 부착하여 접촉 틈새(31)를 기밀하여 접촉 틈새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외기를 차단한다.
한편, 보온재(단열재)(30)의 외면에는 제 2 접착제 층(40)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데, 여기서도 접착제는 접착성이 우수한 고성능 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접착제 층(40)의 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복수 개 의상의 내장재(석고보드)(50)를 부착하여 벽체(10)로 전달되는 외기가 보온재(단열재(30)로 전달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석고보드)(50)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51) 외면에는 제 2 실링테이프(52)를 부착하여 접촉 틈새(51)를 기밀하여 접촉틈새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외기를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고정핀(60)을 사용하여 보온재(단열재)(30)와 내장재(석고보드)(50)를 벽체(10)에 고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고정핀(60) 비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을 통한 외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온부재를 설치기 위한 보강재(가설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특히 보강재를 사용치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외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차 접착제 층의 일면에 보온부재(단열재)를 설치하고, 제 2 접착제 층의 일면에 내장재(석고보드)를 설치하되 이들 보온부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의 접촉 틈새를 제 1 및 제 2 실링테이프로 기밀 처리하는 것으로서 외기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단열·기밀공법은 도 2를 참고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벽체(10)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S 10)
2. 벽체(10)의 내벽(10a) 또는 외벽(1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1 접착제 층(20)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친다.(S 20)
3. 일정한 두께를 갖고 벽체(10)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 1 접착제 층(20)에 복수 개 이상의 보온부재(단열재)(30)를 부착한다.(S 30)
4. 각 보온부재(단열재)(30)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31) 외면을 제 1 기밀실링테이프(32)로 기밀하는 단계를 행한다.(S 40)
5. 보온부재(단열재)(30)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2 접착제 층(40)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친다.(S 50)
6. 일정한 두께를 갖고 제 2 접착제 층(40)에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50)를 부착한다.(S 60)
7. 각 내장재(석고보드)(50)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51) 외면을 제 2 기밀실링테이프(52)로 기밀하는 단계를 행한다.(S 70)
8. 보온재(단열재)(30)와 내장재(석고보드)(50)를 다수의 고정핀(60)으로 벽체(10)에 고정하는 단계를 거쳐 시공완료 한다.(S 8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온부재를 설치기 위한 보강재(가설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특히 보강재를 사용치 않으므로 보강재로 인한 외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차 접착제 층의 일면에 보온부재(단열재)를 설치하고, 제 2 접착제 층의 일면에 내장재(석고보드)를 설치하되 이들 보온부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의 접촉 틈새를 제 1 및 제 2 실링테이프로 기밀 처리하는 것으로서 외기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벽체
10a : 내벽
10b : 외벽
20 : 제 1 접착제 층
30 : (보온재(단열재)
31 : 접촉 틈새
32 : 제 1 실링테이프
40 : 제 2 접착제 층
50 : 내장재(석고보드)
51 : 접촉 틈새
52 : 제 2 실링테이프
60 : 고정핀

Claims (2)

  1. 벽체의 단열·기밀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1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벽체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보온재(단열재)와;
    상기 각 보온재(단열재)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1 기밀실링테이프와;
    상기 보온재(단열재)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제 2 접착제 층과;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제 층에 부착된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와;
    상기 각 내장재(석고보드)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 틈새를 기밀하는 제 2 기밀실링테이프와;
    금속 및 비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온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를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2. 벽체의 단열·기밀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1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벽체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층에 복수 개 이상의 보온부재(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보온부재(단열재)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을 제 1 기밀실링테이프로 기밀하는 단계;
    상기 보온부재(단열재)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제 2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제 층에 복수 개 이상의 내장재(석고보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내장재(석고보드)의 상·하 ·좌·우면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틈새 외면을 제 2 기밀실링테이프로 기밀하는 단계;
    상기 보온재(단열재)와 내장재(석고보드)를 다수의 고정핀으로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벽체의 단열·기밀공법.
KR1020140139884A 2014-10-16 2014-10-16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KR20160044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84A KR20160044867A (ko) 2014-10-16 2014-10-16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84A KR20160044867A (ko) 2014-10-16 2014-10-16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67A true KR20160044867A (ko) 2016-04-26

Family

ID=5591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884A KR20160044867A (ko) 2014-10-16 2014-10-16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9987A (zh) * 2020-09-14 2021-11-19 现代木伟斯株式会社 冷冻仓库的隔热壁体结构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9987A (zh) * 2020-09-14 2021-11-19 现代木伟斯株式会社 冷冻仓库的隔热壁体结构物
KR20220035652A (ko) * 2020-09-14 2022-03-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냉동 창고의 단열 벽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2237A3 (en) Methods of forming laminated glass structures
GB2566188A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structures
WO2015035409A3 (en) Insulated concrete slip form and method of accelerating concrete curing using same
WO2018200599A3 (en) Water draining spandrel assembly and insulated panel window walls
DK2146024T3 (da) Gulvplader med tætningsmidler
WO2020012484A3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wall assembly
NZ734719A (en) Vacuum insulation panel and process of manufacture
BR112019001380A2 (pt) painel de duto
EP4061632C0 (en) THERMAL INSULATION BOARD WITH AT LEAST ONE AIRGEL COMPOSITE FOR THERMAL INSULATION OF BUILDINGS
FI20125602A (fi) Energiatehokas seinä- tai kattorakenne ja rakennuspaneeli sekä elastisen tiivistemateriaalin käyttö
KR20160044867A (ko) 벽체의 단열·기밀구조 및 그 공법
NZ709978A (en) Method of insulating a building
KR102206071B1 (ko) 창호 시공용 폼 가스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JP2014040773A (ja) 外壁構造
FI20165992L (fi) Eristelaatt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DE50211173D1 (de) Dämmplatte für Gebäudefassaden
KR20130112336A (ko) 진공 단열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3902B1 (ko) 커튼 월 창틀용 지지구 및 커튼 월 창틀용 지지구를 이용한 커튼월 부착 방법
CN104847220A (zh) 一种节能窗
CN206769095U (zh) 发泡混凝土板外保温系统
KR200352169Y1 (ko) 단차형상을 가지는 건식벽체 마감패널의 이음구조
FR3091306B1 (fr) Elément de revêtement de façade pour rénovation énergétique
JP2018053497A5 (ko)
KR20140137082A (ko) 건축물의 단열구조 및 단열재 시공방법
IL298778B1 (en) Integral gypsum building block with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s for its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