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503A -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광학 존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 - Google Patents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광학 존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4503A KR20160044503A KR1020167006277A KR20167006277A KR20160044503A KR 20160044503 A KR20160044503 A KR 20160044503A KR 1020167006277 A KR1020167006277 A KR 1020167006277A KR 20167006277 A KR20167006277 A KR 20167006277A KR 20160044503 A KR20160044503 A KR 20160044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ones
- optical
- zone
- main
- le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7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or depth of fo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16—Pseudo-accommodative, e.g. multifocal or enabling monovision
- A61F2/1618—Multifocal le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37—Correcting aberrations caused by inhomogeneities; correcting intrinsic aberrations, e.g. of the cornea, of the surface of the natural lens, aspheric, cylindrical, toric lenses
- A61F2/1645—Toric le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circul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5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 렌즈(1)의 주 광학 축(A)의 방향으로 보아 제 1 광학 측(4)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5)을 가지며, 상기 주 광학 축(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6 내지 9) - 존(6 내지 9)은 적어도 하나의 주 하위 존(6a 내지 9a)을 각각 가짐 - 을 갖는, 광학 부품(2)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 렌즈의 주 광학 축의 방향으로 보아 제 1 광학 측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을 갖는 광학 부품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에 관한 것이다. 다초점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은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을 포함하고, 존은 적어도 하나의 주 하위 존을 각각 갖는다. 위상 편차는 방사 방향으로 인접하고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2개의 존 사이에서 형성된다.
다초점 렌즈는 DE 600 16 219 T2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 다초점 렌즈에 있어서, 주 광학 축을 완전히 둘러싸는 환형 존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된다. 각각의 존은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을 갖는다. 위상 편차는 방사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존 사이에 형성된다. 이 존은 일치하는 영역을 갖고 광학 스텝은 인접 존 사이에서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표면 설계가 연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것은 또한 렌즈 뒤의 파면이 연속하고, 즉, 그 광학 경로 길이 차 또는 광학 스텝이 렌즈 뒤의 파면의 부분 영역들 사이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 기술에서 또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간섭 문제가 위상 하위 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의 상이한 영역 또는 존으로부터의 부분 파동들 사이의 위상 이동 - 상기 위상 이동은 렌즈의 다초점방식(multifocality)에 대한 요건임 - 은 회절 렌즈에서 공통적인 광학 스텝에 의해서가 아닌 특정 굴절력을 갖는 위상 서브 존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므로, 환형 존의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으로의 이러한 분리를 갖는 렌즈의 이러한 구성 및 상응하는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이한 접근을 나타낸다.
더욱이, DE 10 2010 018 436 A1으로부터, 다초점 렌즈의 추가 구성이 알려져 있으며, 존이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을 갖는 환형 존의 원리가 또한 도시된다.
선행 기술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관계는 렌즈의 평균 굴절력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관계는, FAV는 정확하게 평균 굴절력이고, FG는 고려된 존의 주 서브 존의 굴절력이며, FS는 이러한 존의 위상 서브 존의 굴절력이며 p는 전체 존의 주 서브 존의 영역 부분인 것이 적용된다.
더욱이, 더 큰 굴절력(F2)(근거리 굴절력)과 더 작은 굴절력(F1)(원거리 굴절력) 사이의 차(F)는 또한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주 서브 존과 적어도 하나의 위상 존을 갖는 환형 존으로 구성된 적어도 이중초점 렌즈의 추가 굴절력으로부터 생성되고 이하와 같으며:
이러한 식(2)에서, λ는 설계 파장이고 이것은 예컨대 540nm에서 560nm 사이, 예컨대 546nm가 될 수 있다. N은 환형 존의 수이며 B는 환형 구역이 위치되는 렌즈의 직경 및 그러므로 특히 렌즈의 광학 부품의 직경이다.
이러한 알려진 다초점 렌즈는 상당히 우수한 이미징 특성을 갖는다.
DE 10 2005 028 933 A1으로부터, 난시 안구내 렌즈(astigmatic intraocular lens)가 알려지며, 그러므로 이것은 토릭(toric) 굴절 렌즈 표면을 갖는다.
그 비교적 복잡한 구성 및 그러므로 특히 또한 광학 이미징 및 또는 기타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하여 제공되는 부품으로 인하여, 사람의 눈은 상당히 상이한 시각적 결함에 시달릴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르게 표명되며(pronounced), 다른 한편으로는 복수의 상이한 시각적 결함이 또한 눈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결함 복잡도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아이 렌즈를 더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안구내 렌즈에서, 이러한 맥락으로, 수술 절차의 처리에 있어서, 소절개(small incision) 능력 및 그러므로 이러한 렌즈의 컴팩트니스(compactness)뿐만 아니라 가능한 눈에서의 절개를 통한 상응하게 접힌 안구내 렌즈의 도입은 필수적인 측면이며, 이것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요건을 고려하면, 이로써, 상응하는 작동성 요건은 부분적으로 처리되기 힘든 복수의 광학 요건과 함께 충족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초점 아이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그 광학적 이미징 특성에 있어서 더 개선된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에 따른 다초점 렌즈에 의해 해결된다.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다초점 아이 렌즈는 아이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징을 특징으로 하고 이것의 원인이 되는 광학 부품을 포함한다. 광학 부품은 아이 렌즈의 주 광학 축의 방향으로 볼 때 제 1 광학 측 및 반대 방향의 제 2 광학 측을 갖는다. 제 1 측은 광학 부품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측은 이로써 상보적인 후방 측 또는 전방 측이 될 수 있다. 주 광학 축은, 제 1 측과 제 2 측 사이에서, 특히 전방 측과 후방 측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된 아이 렌즈, 특히 광학 부품의 평면에 수직이므로 양 측은 주 축을 따라 볼 때 이러한 평면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더욱이, 아이 렌즈는,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을 포함하고, 존은 적어도 하나의 주 서브 존을 각각 갖는다. 제 1 측면에 있어서, 아이 렌즈는 환형 존에 더하여 표면 구조로서 나선형 와인딩을 가져서, 이러한 나선형 와인딩 역시 아이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성에 기여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필수 개념으로 고려될 것이다. 나선형 와인딩에 의해, 아이 렌즈의 굴절력은 축 둘레를 둘러싸는 방향으로 값이 달라지며, 나선형 와인딩은 광학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측 상에 형성된다. 다초점 아이 렌즈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초점의 깊이가 개선되므로 초점의 깊이는 적어도 2개의 초점에서 그리고 그러므로 분명한 시야와 더불어 아이 렌즈의 2개의 특정 굴절력에 있어서 개선된다. 이로써, 선행 기술로부터의 알려진 렌즈에 관한 상응하는 개선이 이러한 측면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다초점 아이 렌즈가 포함되고, 여기서 환형 광학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되므로 완전히 폐쇄된 고리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완전히 폐쇄된 환형 존이 될 수 있다.
특히, 굴절력 부분은 나선형 와인딩에 의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고, 이것은 광학 축 둘레의 둘러싸는 방향으로 값이 연속하여 증가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그러므로 방위 방향 방식으로 변화되며 그러므로 특히 나선형 와인딩의 와인딩 시작에서 와인딩 끝까지 값에 따라 증가하며, 특히 연속하여 증가한다. 특히, 이러한 굴절력 변화은 나선형 와인딩에 의해 기여되는 바와 같이, 광학 축 둘레에서 완전한 턴으로(in a complete turn) 중간 매체 없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존 및 나선형 와인딩이 공통의 측 상에 형성되고 중첩되는 것이 규정된다. 이것은 전방 측 또는 다른 후방 측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2개의 상이한 별도의 표면 구조 또는 표면 프로파일의 위치는 아주 정확하게 성취될 수 있다.
환형 존이 일 측 상에 형성되며 나선형 와인딩은 다른 측 상에 형성되는 것이 또한 규정될 수 있다. 그 안에, 환형 존이 전방 측 상에 형성되고 나선형 와인딩이 후방 측 상에 형성되거나, 나선형 와인딩이 전방 측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 존이 후방 측 상에 형성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개별 분리된 표면 구조 또는 표면 프로파일은 그 컨투어에서 아주 정확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인 구조는 이로써 매우 정확한 이미지 특징을 허용한다.
환형 존이 하나의 측 그리고 반대 방향의 다른 측 모두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형성되는 것이 또한 규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그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나선형 와인딩은 하나의 측 상에 및 또는 반대 방향 측 상에 형성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나선형 와인딩은, 이들이 전체적으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대한 기여로서 나선형 와인딩의 전체 방위 방향 굴절력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양 측 중 단 하나의 측에 대한 나선형 와인딩의 적용에 비해, 이러한 분리는 굴절력 분포에 관한 광학 효과가 이로써 양 측으로 나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몇몇 존은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을 갖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선행 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스텝이 없는(stepless) 토포그래피는, 광학적 시야 및 그러므로 파면 코스에 관하여 다시 형성된다. 위상 서브 존의 중요성 및 기술적인 설계에 관하여, 상기 상술된 것이 참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평균 굴절력 및 특히 추가 굴절력에 대하여 상기 언급된 공식은 이로써 바람직하게 또한 적용된다.
그러나, 그에 반하여, 여기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은 이로써 방위 방향으로 변화되며 이하의 공식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i는 존 인덱스를 나타내며 는 방위각을 나타낸다. 상기 공식은 개별적으로 이중 초점 아이 렌즈의 양쪽에 유효하며 적어도 세초점 아이 렌즈에 적용가능하고 그에 대하여 변형가능하다. 제안된 일반적인 표시에서, 그러므로, 아이 렌즈의 평균 굴절력 및 특히 그러므로 또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은 방위 각()에 따라 그리고 특히 방사 방향으로 배열될 때 존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 서브 존의 굴절력의 변화, 위상 서브 존의 굴절력의 변화 및 이러한 방위각과 존 인덱스의 영역 부분의 변화은 상기 언급된 공식(3)에서 표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러한 방위 각 및 링 인덱스 또는 존 인덱스의 이러한 언급된 파라미터의 변화이 규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구현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컨대, 주 서브 존은 상응하는 변화의 대상이 되고 기타 파라미터는 이러한 변화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은 기타 파라미터의 변화 없이 위상 서브 존의 변화에 대하여 또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아이 렌즈의 방위각 의존 전체 굴절력은 이하의 공식에 따라 구성된다:
ρ = 광학 부품 상의 방사상 위치
Fges = 방위각 의존 전체 굴절력
FSpahre = 구면 굴절력
FCylinder = 방위각 의존 원통형 굴절력 부분
FHOA = 고차 수차(예컨대, 코마, 5 포일 결함 등)를 교정하기 위한 방위각 의존 굴절력 부분
FEDoF = 초점의 깊이에 영향을 주기 위한 방위각 의존 굴절력 부분
바람직하게, 존의 전체 영역의 주 서브 존의 영역 부분(p)은 ≥80%이다.
특히, 이하가 적용된다: Fges(α,ρ)=FAV(i,α).
구현은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며, 존, 특히 모든 존은 오직 개별적으로 주 서브 존을 가지며 위상 서브 존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키노폼(kinoform) 아이 렌즈의 실현을 허용하며, 이것은 이로서 또한 구체적으로 스텝들을 가지므로 위상 서브 존을 갖는 아이 렌즈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다초점 렌즈는 회절 렌즈로서 형성된다. 고리 밀도(ring density) rm(α) - 표준화 반경을 또한 나타내며 프리셋 반경 간격 당 다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 존을 기재므로 존의 라티스 상수를 실제적으로 선언함 - 에 있어서, 이것은 또한 다초점 렌즈의 추가 기재에 기여한다. 이로써, 동일한 것은 위상 편차()에 또한 적용되고, 이것은 방사 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존 사이에서의 유효한 오프셋을 실질적으로 기재한다. 그러므로, 위상 편차는 또한 회절 차수 사이의 에너지 분할을 결정한다. 고리 밀도는 회절 추가 굴절력의 값을 결정하며, 이것은 이것이 회절 차수의 각도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방위각, 개별적인 광학 측 상의 방사 위치 및 그 분포에 관한 존 인덱스에 의존하는 전체 굴절력에 대한 상기 언급된 공식과 결합하여, 특히, 상기 언급된 로컬 방위각 의존 고리 밀도, 위상 편차, 선택적으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파라미터 - 3초점 및 더 높은 초점의 구성을 위하여 특히 요구됨 - 와 결합하여, 아이 렌즈의 굴절력 분포의 완전한 일반적인 기재가 이뤄질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광선 트레이싱, 아이렌즈의 광학 부품의 구성의 파면 및/또는 토폴로지와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 서브 존에 의해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는 주 서브 존 굴절력은 주 축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하는 것이 규정된다. 이것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위상 서브 존에 의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는 위상 서브 존 굴절력은 주 축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될 경우 유리하다. 이것에 의해, 주 서브 존과 위상 서브 존을 갖는 이러한 특정 렌즈의 굴절력 분포는 상당히 개별적으로 그리고 정확히 영향받을 수 있으므로 아이 렌즈의 다수의 주 굴절력 및 그러므로 아이 렌즈의 다수의 초점에 의해 그의 초점의 깊이가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위상 편차에 의해, 구성이 실현되며, 이러한 위상 편차가 이러한 프레즈넬 렌즈에서의 다수의 설계의 파장이 되므로 프레즈넬 존을 갖는 스텝형 렌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특히, 존 및 존 천이는, 상기 언급된 정의에 있어서 스텝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아이 렌즈의 구성에서, 완전히 상이한 구성이 프레즈넬 렌즈에 관하여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위상 편차는 적어도 하나의 존에서, 특히 주 광학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측정된 밖을 향하는 내부 존에서 주 축 둘레로 방위 방향으로 일정한 것이 규정된다. 주 굴절력 - 상당히 그리고 특히 굴절력 스펙트럼의 강도 분포에서 기타 정점에 대하여 특히 수회 증가되는 굴절력 - 및 그러므로 초점은 본 명세서에서 그 강도 분포에서 임의의 길이 연장을 경험하지 않는다.
유리한 구현에 있어서, 위상 편차는 적어도 하나의 존, 특히 주 광학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카운팅된 제 1 존에서의 주 축 둘레로 방위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규정된다. 방위 방향의 위상 편차의 변화에 의해, 개별 주 굴절력 및 그러므로 강도 분포의 개별 초점의 폭 및 길이 연장이 성취될 수 있다. 이로써, 아이 렌즈의 개별 초점은 그 강도 분포에 관하여 매우 정확하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위상 편차는 스텝 없이 변화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위상 편차의 변화은 불연속 위상 편차 스텝이 주 광학 축 둘레로 완전한 한번의 턴으로 적어도 한번 형성되는 효과를 위하여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조정은 위상 편차에 의해, 0차 회절과 1차 회절 차수 사이에서 광이 나뉘어지지는 정도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구현에 있어서, 위상 편차()는 제 1 부분 방위각 간격에 대해 0과 동일하고 제 2 부분 방위각 간격에 대해서는 0과 동일하지 않은 것이 규정된다. 광학 축 둘레로 하나의 턴으로 적어도 한 회의 불연속 또는 연속하는 위상 편차 변화에 있어서, 상기 아이 렌즈의 원거리 굴절력과 근거리 굴절력 사이의 비는 제 1 부분 방위각 간격과 제 2 부분 방위각 간격 사이의 비에 따라 가변적인 것이 특히 규정된다. 이것은, 몫이 2개의 부분 방위각 간격 중 어떠한 각도 간격이 개별적으로 연장하는지에 따라 생성되고, 원거리 굴절력과 근거리 굴절력 사이의 분리 - 이는 아이 렌즈의 주 굴절력을 나타냄 - 가 이것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위상 편차는 방사 방향으로 변화하므로 제 1 위상 편차는 예컨대 2개의 방사상으로 연속하는 존 사이에서 형성되고 그와 상이한 제 2 위상 편차는 2개의 추가 방사방향 연속 존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또한 규정될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존 사이의 위상 편차가 방위각 방식으로 변화하지 않는 구현에서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위각 변화이 형성되지 않는 구현에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나선형 와인딩은 주 축을 한번 둘러싸서 형성되며, 점프형 천이(jump-like transition)는 와인딩 시작과 와인딩 끝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규정된다. 가능한 작게, 특히 20°미만의, 특히 10°미만의 각도범위에 대한 주 광학 축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능한 불연속적인 천이에 의해, 변화하는, 특히 연속하여 변화하는 굴절력 분포, 특히 와인딩 시작에서 와인딩 끝까지 연속하여 증가하는 굴절력 분포는 방위 방향으로 선호된다. 방위각으로 가능한 작은 천이에 의해, 아이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이 렌즈는 환형 존 및 나선형 와인딩에 더하여 토릭(toric) 굴절 표면 형상을 가지며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측 상에 형성되는 것이 규정된다. 토릭 굴절 표면 프로파일 또는 표면 형상을 보충함으로써, 난시 교정이 또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하나 또는 두 개의 측 상에서 분포되고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천이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의 플랫 주 자오선에 관하여 방위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이 규정된다. 특히, 점프형 천이는 20°에서 70°사이의, 특히 40°에서 50° 사이의 방위 방향으로 주 광학 축 둘레의 방위 위치에서 오프셋된다. 또한, 점프형 천이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의 플랫 주 자오선에 대해 200°에서 250°사이, 특히 220°에서 230°사이의 방위각으로 주 광학 축 둘레의 방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프형 천이와 플랫 주 자오선 사이의 방위 위치 이동은 사이이다. 이러한 특정 위치에서, 렌즈의 두께는 주 광학 축의 방향으로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최소화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소절개 능력이 증가되고, 이것은, 렌즈가 아주 작게 폴딩될 수 있으며 가능한 작게 눈의 절개를 통해 안구내 렌즈로서 눈으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방위각 오프셋은 한정된 폭에 대하여 방위각으로 형성하는 천이의 방위각 중심, 특히 주 광학 축에 수직인 평면 내로의 천이의 돌출부의 중심의 중심에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이 렌즈는 이중초점식으로 형성되므로 2개의 주 굴절력을 가지며, 이것은 원거리 굴절력 및 근거리 굴절력인 것이 규정된다. 그러므로, 아이 렌즈는 n≥2 초점을 가지며, 나선형 와인딩은 최대 n-1 초점이 나선형 와인딩에 의해 초점의 깊이에 있어서 증가되는 구현으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개별 초점의 이미징 특성의 그 특징화에 관하여 아이 렌즈의 개별 구성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아이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을 갖는 다초점 렌즈에 관한 것이다. 광학 부품은 아이 렌즈의 주 광학 축의 방향으로 볼 때 제 1 광학 측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을 갖는다. 더욱이, 광학 부품은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을 포함한다. 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주 서브 존을 갖고, 위상 편차는 2개의 인접한 존 사이에서 형성된다. 연속하고 방사 방향으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인접 존 사이의 이러한 위상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그러므로 주 광학 축 둘레의 둘러싸는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되는 것이 본 발명의 필수 개념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초점 아이 렌즈의 이미징 특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개별 주 굴절력 및 그러므로 이러한 아이 렌즈의 초점의 구성에 관한 가변성 및 유연성이 성취된다. 방위 방향으로 변화하는 위상 편차에 의해 개별적인 주 굴절력 및 그러므로 아이 렌즈의 초점이 개별적으로 영향받고 기타 초점에 관련 없이 특히 구성될 수 있으므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특정 초점의 강도 분포는 이러한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강도 분포의 확장은 본 명세서에서, 초점의 깊이가 이러한 특정 초점에서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뤄질 수 있다.
방위각 및/또는 방사상 방향으로 위상 편차의 변화의 유리한 구성은, 개별적으로 발생한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이미 언급되며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전체적으로 적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구성은 또한 다초점 아이 렌즈의 제 2 측면의 유리한 구현으로서 고려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존의 반경이 주 광학 축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되는 것이 추가 유리한 구성으로 고려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존이 또한 형성되며, 이 존은 정확하게 반경 및 그러므로 그 전체 방위각 길이에 대한 원형 아크 경로를 가지지 않되, 이것은 또한 예컨대, 다각형 부분 고리 또는 또한 완전한 다각형 고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존의 반경은 적어도 한번 방위 방향으로 변화되며 변화의 방위 위치는 다수의 존에서 일치하는 것이 규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방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존이 사실상 제공되고 이것은 그 방위각 컨투어 구성에 관하여 형상에 있어서 일치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케익 조각 형상인 제 1 표면 섹터 및 케익 조각 형상인 적어도 제 2 표면 섹터는 주 축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광학 부품의 측 상에 형성되며, 이것은 방위 방향의 중첩 없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된다. 바람직하게, 존의 존 수 및/또는 영역 크기가 적어도 2개의 섹터에서 상이한 것이 규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광학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측의 토포그래피는 개별적으로 구성되며 다초점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성은 구체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으므로, 특히 아이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초점의 깊이는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여기서 영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유리한 구현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유리한 구현이 또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아이 렌즈의 광학 이미징 특성을 특징으로하는 광학 부품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에 관한 것이다. 광학 부품은 아이 렌즈의 주 광학 축의 방향으로 볼 때 제 1 광학 측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을 갖는다. 광학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측에서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을 포함하고, 이 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주 서브 존을 가지며 위상 편차는 2개의 인접한 존 사이에서 형성된다. 존은 방사 방향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이 중간 매체 없이 주 축 둘레로 하나의 턴으로 방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3 측면의 필수 개념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는, 시작에서 전체 굴절력의 제 1 값으로부터 이러한 완전한 턴의 끝에서 전체 굴절력이 제 2 값으로의 광학 주 축 둘레의 단일 턴에서 이것이 증가하며 최소값이 그 사이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 매체를 갖지 않는 이러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초점 및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주 굴절력의 다초점 렌즈의 초점의 깊이의 상당히 개별적인 증가를 허용한다. 특히,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언급된 환형 존이 주 서브 존과 위상 서브 존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에서,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측면이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구현 및/또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구현은 본 발명의 제 3 측면의 유리한 구현으로서 고려될 것이다.
특히, 안구내 렌즈로서 아이 렌즈의 구성에서, 이것은 1.336의 그 굴절 인덱스(nmed)를 갖는, 침지 매체, 안방수(aqueous humor)를 갖는 눈에 배치된다.
존이 주 서브 존과 위상 서브 존으로 구성되는, 다초점 아이 렌즈의 구성에 있어서, 주 서브 존은 또한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다. 유사하게, 위상 서브 존은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 된다. 주 서브 존은 직접적으로 방사 방향의 고려된 존의 위상 서브 존에 접한다. 선별적으로, 이러한 존의 적어도 하나의 주 서브존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 존은 고려된 존의 전체 방사상 연장부가 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청구항, 도면 및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기재에서 상기 언급된 특징 및 특징 조합뿐만 아니라 도면의 기재에서 이하에서 언급된 특징 및 특징의 조합 및 또는 단독으로 도면에서 도시된 특징 및 특징의 조합은 개별적으로 명시된 조합에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기타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이용가능하다. 그러므로, 구현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고 개시되며, 이것은 도면에서 독점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설명된 구현으로부터의 분리된 특징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아이 렌즈의 실시예를 정의하기 위하여 본 문서에서 명시된 파라미터의 특정 값 및 파라미터의 비 또는 파라미터 값에 대한 표시는 예컨대 측정 오류, 시스템 오류, DIN 공차 등으로 인하여 편차의 권리범위 내에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며,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값 및 표시에 관한 설명은 그렇게 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략도를 기초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제 1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다른 아이 렌즈의 일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방위각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개략적인 3차원 표면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 이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실시예의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방위각에 따른 특정 파라미터 값 및 개별 파라미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다이어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파라미터 값의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 값은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측의 표면 프로파일의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파라미터 값이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되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추가 실시예의 도면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i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이 파라미터는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분이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이다.
도 14a 내지 도 14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일치하거나 기능적으로 일치하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제 1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다른 아이 렌즈의 일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방위각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개략적인 3차원 표면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 이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실시예의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방위각에 따른 특정 파라미터 값 및 개별 파라미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다이어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파라미터 값의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 값은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측의 표면 프로파일의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파라미터 값이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되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추가 실시예의 도면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i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이 파라미터는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분이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일 측의 3차원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도면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이다.
도 14a 내지 도 14h는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다이어그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 - 파라미터는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표시됨 - 및 이러한 아이 렌즈의 광학 부품의 3차원 표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일치하거나 기능적으로 일치하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1a에서, 아이 렌즈(1)의 제 1 실시예는 투시도로 도시되며, 이것은 안구내 렌즈이다. 아이 렌즈(1)는 광학 부품(2) 및 그에 후속하는 햅틱(3)을 포함한다. 아이 렌즈(1)는 폴딩가능하며 소절개를 통해 눈으로 도입될 수 있다. 아이 렌즈(1)의 광학 이미징 특성에 필수적인 광학 부품(2)은 주 광학 축(A)을 포함한다. 더욱이, 광학 부품(2)은 이러한 주 광학 축(A)의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측일 수 있는 제 1 광학 면 또는 측(4) 및 후방 측일 수 있는 반대 방향의 제 2 광학 면 또는 측(5)을 갖는다. 예시적인 전방 측(4)은 눈의 아이 렌즈(1)의 이식 상태의 각막을 면하며, 후방 측은 이 각막으로부터 벗어나게 면한다.
도 1b에서, 안구내 렌즈로 형성되는 아이 렌즈(1)의 추가 실시예는 투시도로 도시된다. 이는 상이한 햅틱(3)에 의해 도 1a의 구현과 상이하다. 아이 렌즈(1)는 햅틱(3)에 의해 눈에 유지된다.
기본적으로, 다르게 형성되거나 구성된 햅틱(3)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2a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아이 렌즈의 일 실시예에 대한 파라미터 세트가 명시된다. 그 안에서, P0는 디옵터로 아이 렌즈의 기본 굴절력을 표시하고, ”add“는 추가 굴절력, 특히 회절 추가 굴절력을 나타내고, n1은 안구내 렌즈의 물질, 특히 광학 부품이 물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ct는 예시적으로 1mm인 축(A)를 따른 아이 렌즈의 중간 두께를 표시하며, λ는 예시적으로 546nm인 기본 설계 파장을 표시하며, λ는 방사상으로 인접한 존 사이의 위상 편차를 표시하며, k는 엔벨롭 비구면의 원추 상수를 표시하며, ”frac“는 개별적으로 고려된 존의 전체 영역의 주 서브 존의 영역 부분을 표시하며, rm은 광학 부품의 최대 반경을 밀리미터로 표시하며, smax는 이러한 기준 반경상의 광학 존의 존 수를 표시한다.
더욱이, ”cyl“ 또는 Fcyl은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FGes)의 원통형 굴절력 및 그러므로 굴절력 부분 - 토릭 굴절 표면 영역 또는 표면 형상에 의해 기여됨 - 을 표시한다. ”sph“ 또는 FSphare는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비례하여 기여하는 구면 굴절력을 표시한다. 더욱이, ”edof“ 또는 FEDof는 나선형 와인딩에 의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된 굴절력 부분을 표시한다. 더욱이, HOA1 및 HOA2 또는 FHOA1 및 FHOA2는 고차 수차의 교정에 기여하는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대한 굴절력 부분을 표시한다. 굴절력은 디옵터로 표시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다초점 아이 렌즈가 기재되고, 이것은 추가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존에 더하여 나선형 와인딩을 가지며, 이것의 존은 각각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을 가지며 이것은 주 광학 축(A)을 한번 둘러싼다. 그러므로, 도 2a 내지 도 2h에 따른 구성에서, 위상 편차()는 일정하다.
도 2b에서, 아이 렌즈(1)의 전체 굴절력(FGes)은 다이어그램에서 하나의 턴의 방위각에 따라 표시된다. 명백하게, 전체 굴절력은 계속해서 증가하며 더욱이 스텝이 없다.
도 2c에서, 반대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며, 여기서 방위각 굴절력(FEDof)은 방위각에 따라 표시된다. 이러한 굴절력 부분에 의해, 초점의 깊이는 구체적으로 조절되며 증가된다. 도 2c에 따른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연속하여 증가하는 코스가 여기서 또한 주어지고, 이것은 스텝이 없으며(stepless), 1 디옵터의 굴절력 차는 나선형 와인딩의 와인딩 시작과 와인딩 끝 사이에서의 점프형 천이에서 생성된다.
도 2c에 도시된 이러한 방위각 굴절력 분포의 코스에 의해, 단일 방위각 각도에서의 상이한 무게가 또한 성취된다. 와인딩 시작 및 와인딩 끝에서 존재하는 굴절력은 더욱 강하게 가중되는데, 이것은, 이들이 더 큰 각도 범위 위에서 존재하거나 그 사이에 위치된 각도 간격보다 더 낮은 변화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2d에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며, 광학 축(A)의 방향에 있어서 시상 높이(sagittal height)(S) 및 그러므로 높이가 광학 부품(2)의 반경에 따라 도시된다. 여기서, 광학 부품(2)의 측(4)의 부분 표시가 도시되며 전체 섹션형 컨투어의 절반만이 도시된다.
명백하게, 축(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환형 존은 본 명세서에서 형성되며 이것의 존(6 내지 9)은 오직 축(A)으로부터 외부에서 볼 때 내부에 위치되며 이것은 직접적으로 서로 방사상으로 이웃하며 명료함을 위하여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존(6)은 주 서브 존(6a) 및 위상 서브 존(6b)을 갖는다. 방사상으로 따르는 존(7)은 이로써 주 서브 존(7a) 및 위상 서브 존(7b)을 갖는다. 동일한 것은 존(8 및 9)에 적용되며, 이로써 또한 주 서브 존(8a 및 9a) 뿐만 아니라 위상 서브 존(8b 및 9b)을 갖는다.
엔벨롭(1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며, 이것은 선택적으로 추가 존재하는 위상 서브 존의 전부뿐만 아니라 위상 서브 존(6b 내지 9b)의 팁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존(6 내지 9)의 주 서브 존(6a 내지 9a)의 영역 부분은 개별적인 존(6 내지 9)의 전체 영역의 85%인 것이 규정된다.
이러한 영역 부분은 또한 더 클 수 있으며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상 서브 존의 영역 부분은 0과 동일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키노폼 렌즈가 이로써 실현된다.
도 2d에서, 더욱이, 위상 편차()가 또한 도시되며, 이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방사상으로 인접한 존(6 및 7) 사이에서 측정된다. 상응하게, 위상 편차는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2개의 기타 존 사이에서 또한 결정된다. 여기서, 위상 편차()는 바람직하게, 설계 파장(λ) 미만, 특히 0.3λ에서 0.6λ 사이의 값이다.
바람직하게, 도 2a 내지 도 2h에 따른 실시예에서, 원거리 초점과 근거리 초점의 상대적인 강도 분포는 65% 내지 35%인 것이 또한 규정된다. 안구내 렌즈로서 형성된 아이 렌즈(1)는 특히 또한 미러 대칭으로 구성되며 그 인벨로핑 토포그래피 및 그러므로 엔벨롭(10)에 관하여 수차 중립적 방식으로 비구면화된다.
도 2b에 도시된 전체 굴절력을 방위 방향으로 변화함으로써, 초점 값의 깊이가 증가되고, 특히 아이 렌즈(1)의 언급된 초점들 중 적어도 하나로 증가된다.
특히, 도 2c에서, 나선형 와인딩에 의해 기여하는 굴절력(FEDof)의 방위각 코스는 예시적으로 0.5의 주파수의 코사인 함수인 것이 규정된다. 그러나, 다수의 기타 구성이 굴절력(FEDof)의 곡선 코스에 대하여 가능하다.
도 2i에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며, 여기서 아이 렌즈의 곡률(rS)의 정점 반경은 방위각에 따라 제시된다. 광학 부품(2)의 정점(11)은 도 1a 및 도 1b에서 표시된다.
도 2f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시상 높이(S)는 실시예를 위한 반경(r)에 따라 도시된다. 여기서, 도 2d의 도시는 표면의 구조만을 나타내고 그 효과를 위한 주 서브 존(6a 내지 9a) 및 위상 서브 존(6b 내지 9b)의 배향뿐만 아니라 존(6 내지 9)의 구성을 명시하는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값에 있어서 정확한 표시는 도 2f에 따른 다이어그램에 표시된다.
도 2h에서, 측(4)의 3차원 표면 토포그래피가 개략도로 도시된다. 여기서, 환형 존(6 내지 9)이 명백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더욱이, 주 광학 축(A)을 한번 둘러싸는 나선형 와인딩(12)이 또한 명백하다. 이러한 나선형 와인딩(12)은 와인딩 시작(14)과 와인딩 끝(15)을 갖는다. 점프형 천이(13)는 와인딩 시작(14)과 와인딩 끝(15) 사이에서 구성된다. 이것은 가능한 낮은 방위각 범위를 가지므로 이것은 가능한 작게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최소화된다.
동시에, 와인딩 시작(14)은 천이(13)의 경계 에지를 표시하고, 동일한 것은 또한 와인딩 끝(15)에 적용된다. 실시예에서, 와인딩 시작(14)은 방사상 코스를 표시하고 와인딩 끝(15)의 방사상 코스보다 더 평평하다. 시상 높이(S)는 이하의 공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r
= 렌즈 표면상의 방사상 위치
r0
= 곡률의 중심 반경(r0 → rtarget = 표적 함수의 곡률의 반경(엔벨로핑 표면))
Q 또는 k
= 원추 상수.
시상 높이에 대한 이러한 식은 원추 비구면의 방사상 코스를 기재한다. 이것은 다항 계수의 추가에 의해 일반화될 수 있거나 예컨대 제르니케 시리즈, 다항식, 스플라인 또는 베이저 곡선에 의해 기타 형태의 재에 의해 일반화될 수 있다. 비구면성의 변화에 의해, 예컨대 원추 상수(Q 또는 k)의 변화에 의해, 방위각 의존 방사상 굴절력 코스가 영향받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면 수차에 의한 이미징 에러가 또한 보상될 수 있다. 각각의 방위 방향으로의 시상 높이(S)의 계산은 렌즈 표면의 엔벨로핑 3차원 토포그래피를 직접적으로 야기하며 굴절 표면을 계산하기 위한 표적 함수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엔벨로핑 표적 함수는 도 2d에서 엔벨롭(10)에 의해 표시된다.
와인딩 시작(14) 및 그에 연결된 굴절력 값으로부터 시작하는 나선형 와인딩(12)에 의해, 와인딩 끝(15)까지의 굴절력 값의 연속적인 증가가 성취되며, 이것은 도 2c의 예시적인 곡선 코스를 특징으로 한다.
먼저 명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동심의 그리고 회전적으로 대칭인 주 존(6a 내지 9a)은 방사 방향으로 양측에 인접한 그 주 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0.46λ의 위상 편차()를 갖는다. 특히, 이것은 이로써 원거리 초점과 근거리 초점 사이의 65%에서 35%의 상기 언급된 강도 분포를 야기한다.
도 2g에 있어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며, 여기서 초점 이동 및 그러므로 길이 연장 또는 와이드닝이 도시되며, 여기서 초점의 깊이는 또한 이러한 나선형 와인딩 없이 구성에 비해 원거리 초점과 근거리 초점의 증가에 있어서 인지될 수 있다.
도 2g로부터, 3.75 디옵터의 회절 추가 굴절력 및 광학 부품(2)의 최대 반경에 상응하는 3mm의 동공 크기를 갖고, 실질적으로 1.8 디옵터의 초점 범위의 깊이는 근거리 초점과 원거리 초점에 대하여 각각 나타나는 것이 명백하다.
선행 기술로부터의 렌즈에 관하여, 이것은 3mm의 동공을 갖는 약 85%의 초점의 깊이의 실질적인 증가(gain)에 상응한다. 이러한 초점의 깊이의 상당한 증가는 디포커싱 오류에 관한 광학 이미징 특성의 민감도를 줄인다.
도 3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의 파라미터 세트의 파라미터 값 표시가 다시 표시된다.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의 다이어그램에 있어서, 도 3a에 따른 파라미터 세트의 특정 파라미터는 방위각에 따라 늘어나는 것으로 표시된다(aging represent).
도 3f에서, 폭(BF)은 최대값의 절반에서의 완전한 폭의 표시를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드닝은 선행 기술의 또한 표시된 폭 값에 비해 명백하다.
도 3a 내지 도 3g에 따른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실시예가 도시되고, 이것은 도 2a 내지 도 2h의 실시예와 유사한 환형 존에 더하여 나선형 와인딩을 가지며 2개의 방사상으로 인접한 존 사이의 위상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일정하다.
도 3g에서, 이러한 예시의 측(4)의 개략적인 3차원 표면 토포그래피가 도시된다.
도 4a 내지 도 4e에서, 특정 파라미터 값 및 방위각 및 반경에 따른 파라미터의 코스를 갖는 추가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이 렌즈는 환형 존을 포함하고 2개의 방사상 인접한 존 사이의 위상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일정하다. 이것은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도 상응하게 존재한다. 더욱이, 도 4a 내지 도 4e에 따른 실시예에서,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이 추가로 존재한다. 도 4a 내지 도 4e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러나, 나선형 와인딩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또한 제공되며 예컨대 토릭 굴절 표면 프로파일 또는 표면 형상(16)과 한 측, 예컨대 측(4) 상의 환형 존(6 내지 9)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4e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은 수직 주 자오선(17a, 17b 및 18a, 18b)을 갖는다. 나선형 와인딩(12)의 중첩에 의해, 주 자오선 섹션(17a 및 17b)은 상이한 반경, 특히 곡률의 정점 반경을 갖는다. 동일한 것은 주 자오선 섹션(18a 및 18b)에 적용된다.
도시된 구현에서, 주 자오선(15a 및 15b)은 더 플랫한 섹션으로 도시되되 주 자오선(16a 및 16b)은 가파른 것으로 표시된다.
도 4a 내지 도 4e에서, 안구내 렌즈로서 형성되는 아이 렌즈(1)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도시에서, 나선형 와인딩(12) 및 토릭 굴절 표면 프로파일 또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이 환형 존에 더하여 존재하는 것이 규정된다. 여기서, 주 자오선은 서로 수직이며 주 자오선 섹션(17a 및 17b)은 주 자오선 섹션(18a 및 18b)에 관하여 더 플랫한 반경을 갖는다.
아래에서, 도 4b, 도 4c, 도 4d에 따른 다이어그램에 의해, 정점 반경(rS), 방위각에 따른 시상 높이(S) 및 반경이 개별적으로 다시 표시되며 초점 폭(BF)이 도시된다.
도 5a 내지 도 5f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렌즈(1)의 추가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은 환형 존에 더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인접한 존(6 내지 9) 사이의 위상 편차()는 또한 방위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일정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이 렌즈는 나선형 와인딩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구현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기본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나선형 와인딩을 가지며 파라미터 값 및/또는 파라미터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변화한다.
도 5g에서, 광학 부품(2)의 측(4)의 표면 기하학적 형상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 다시 도시되며, 모든 프로파일 부분이 마찬가지로 이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주 자오선, 플랫 주 자오선(17) 및 가파른 주 자오선(18)은 각각 주 광학 축(A)의 좌측과 우측 상에서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의 상이한 반경 특히 곡률의 정점 반경을 갖는 섹션이 표시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g에서, 아이 렌즈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아이 렌즈(1)는 도 6c에 다른 코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편차()를 갖는다. 도 6a의 리스팅에 따른 기본 파라미터 값은 도 6b 내지 도 6f의 다이어그램에 따른 그래프에서 특정 파라미터를 갖고 표시된다.
본 구성에서, 위상 편차는 도 6c의 곡선 코스에 따라 변화하며 그러므로 연속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시작은 방위 방향에 있어서 특정 시작이다.
도 6a 내지 도 6g의 실시예에서, 원형 존(6 내지 9)만이 형성되되, 그렇지 않으면 나선형 와인딩 또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추가적으로 형성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현이 또한 제공되며 나선형 와인딩 및/또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또한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도 6f에서, 특히 이중초점 렌즈의 초점의 초점 와이드닝이 다시 도시된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3초점, 4초점 또는 그 이상의 다초점 아이 렌즈는 또한 모든 구현에서 또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언급될 것이다.
반경(r)에 따른 시상 높이(S)의 코스가 도 6e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도시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3차원 표면 토포그래피의 개략도가 도 6g에서 도시된다. 모든 추가 존에 대한 참조 번호가 오직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존(6 내지 9) 사이의 방위각 시작(19)에서, 0의 최소 위상 편차가 형성되며 이것은 실시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축(A) 둘레를 연장하며 연속하여 증가하므로 끝(20)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러한 위상 편차는 존(6 내지 9)의 주 서브 존과 위상 서브 존 양쪽에서 일치하게 형성된다. 이것은 특히 아이 렌즈(1)의 제 1 내부 존에, 특히 아이 렌즈(1)의 모든 존에 적용된다.
추가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i에 도시되며, 여기서, 위상 편차()의 변화은 도 6a 내지 도 6g에 따른 구성과 다르게 상이하다. 더욱이, 기본 굴절력(P0), 구면 굴절력(FShpare) 및 표준 반경(rmmax 및 rmmin(모두 밀리미터로 표시됨))의 파라미터 값은 또한 도 6a 내지 도 6g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변화된다. 도 6a 및 도 7a에서, ”phasemin“ 및 ”phasemax“은 축(A) 둘레를 돌아 최소 위상 편차() 및 최대 위상 편차()를 표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가 다시 도시되고 위상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변화하되 나선형 와인딩 및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그렇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위상 편차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위 간격에서 불연속적으로 구성된다. 방위 위치 및 위상 편차의 높이는 오직 예시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최대 위상 편차가 발생하는 방위각 간격의 폭은 오직 예시적인 것이다. 예시적인 3차원 표면 토포그래피가 도 8g에 도시되는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구조의 케익의 조각의 모양의 표면 섹터의 구성이 또한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케익의 모양의 형상의 표면 섹터(21)가 실현되고, 여기서 존(6 내지 9)은 약 120°의 각도 인터벌에 대하여 연장한다. 더욱이, 도 8g로부터 명백하듯이, 측(4)의 남아있는 표면은 비구조적이므로 스무스하게 형성된다.
도 8e에서, 도 8g의 토포그래피의 부분도가 도시되고, 시상 높이가 그 안에서 반경에 따라 도시되며 그 안에서 반경(22)을 따라 연장한다. 여기서, 역시 존은 각각 하나의 주 서브 존 및 하나의 위상 서브 존을 갖고 형성되고, 주 서브 존(6a) 및 위상 서브 존(6b)을 갖는 최내측 존(6)만이 도 8a에서 표시된다.
도 8b 내지 도 8g에서, 방위각에 대한 그 특징적인 코스를 갖는 특정 파라미터는 다시 도시된다.
도 8f에서, 실시예의 초점 와이드닝(BF)은 다시 위상 편차의 이러한 변화 없이 구성에 관하여 도시된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2개의 초점은 그 폭에 있어서 증가되므로 초점의 증가된 깊이 또한 개별적인 초점에서 존재한다.
위상 편차가 0이고 위상 편차가 0 미만이 되는 각도 간격 사이의 비율 형성에 의해, 원거리 초점과 근거리 초점 사이의 강도 분포가 또한 조절될 수 있다. 근거리 초점은 특히 영역을 특징으로 하고, 위상 편차()는 0 이상이므로 케익의 조각의 형상인 표면 섹터(22)를 특징으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h에 따른 실시예에서, 아이 렌즈(1)는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은 추가로 또한 환형 존에 대한 위상 편차()의 변화에 더하여 형성된다.
도 9a 내지 9f의 방위각에 따른 파라미터의 예시적인 파라미터 값 및 예시적인 코스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9h에 3차원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주 특정한 표면 토포그래피가 여기서 성취된다. 도 9c의 코스에 따른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에 의해 및/또는 도 9d에 도시된 위상 편차의 동일한 곡선 코스에 의해 전체 굴절력에 대하여 기여되는 바와 같은 원통형 굴절력, 도 9b의 전체 굴절력의 특정 굴절력 코스가 성취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위상 편차는 주 자오선(17)의 영역에서 0과 동일하고, 이것은 플랫 주 자오선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여기서, 토포그래피는 스무스하며 오직 그에 상응하게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존에 관한 구조이다.
도 10a 내지 도 10g에서, 도 9a 내지 도 9h의 구성과 유사한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고, 위상 편차의 방위각 변화은 각각의 하나의 주 서브 존 및 하나의 위상 서브 존을 갖는 환형 존의 구성에 더하여 이뤄지며 더욱이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이 도 10g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첩된다.
나선형 와인딩은 여기에 마찬가지로 형성되지 않되 여기서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h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비교적 작은 위상 편차()는 도 10g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위 방향으로 다시 실현된다. 방위각에 따른 전체 굴절력의 코스는 도 10b에서 도시된다.
도 10c에서, 회절 구조를 위한 표준화 반경의 방위각 코스가 도시되며 이것은 예시적으로 벨리 및 피크를 갖는 코스를 갖는다.
최소 표준 반경(rmmin)은 여기서 3mm이며 최대 표준 반경(rmmax)은 여기서 4.5mm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이 또한 특징이 된다.
주 자오선(17)에 의해, 플랫 주 자오선이 도시되며 그에 수직인 주 자오선(18)은 가파른 자오선을 나타낸다.
도 10e 및 도 10f에 있어서, 시상 높이에 대한 곡률의 정점 반경은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개별적으로 표시된다.
도 11a 내지 도 11h에 따른 실시예에서, 아이 렌즈가 도시되고, 여기서 위상 편차가 다시 방위 방향으로 변화된다. 더욱이, 나선형 와인딩 및 토릭 반사 표면 형상은 여기서 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환형 존의 반경은 적어도 한번 방위 방향으로 변하는 것이 규정된다.
도 11a에서, 일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파라미터 값 세트는 다시 표시된다. 도 11a 내지 도 11f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개별적으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른 특정 파라미터가 다시 도시된다. 특히, 도 11d에서, 방위각 반경 변화은 이러한 맥락으로 도시되고, 이것은 여기서 밸리 및 피크를 갖는 곡선 코스와 대칭으로 닮는다. 이러한 코스는, 내부 존이 동일한 방위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방위 방향으으로 개별적인 상이한 반경을 갖도록 실시예에서 적어도 내부 존에 대한 기본으로 취해질 것이다.
도 11g에서, 렌즈의 초점의 폭이 다시 도시된다.
도 11h의 3차원 이미지에서, 실시예의 표면 토포그래피가 도시된다. 방위 방향의 개별 존의 코스가 명백하며, 이것은 축(A)을 따르는 시야에 의해 구성되므로 존(6 내지 9)이 다각형 고리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선형 와인딩 및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형성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마찬가지로, 토릭 반사 표면 형상이 또한 예컨대 1 디옵터와 3디옵터 사이의, 특히 2 디옵터의 굴절력 부분을 갖고 존재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값은 기타 실시예에서 또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토릭 표면 형상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경우에 지금까지 토릭 표면 형상 없이 기재되는 기타의 구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g에서, 아이 렌즈(1)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고, 여기서 최대 표준 반경(rmmax)이 도 11a의 구현에 비해 더 크다. 더욱이, 이러한 표준화 반경의 코스는 도 12d에 도시되며, 다수의 밸리 및 피크를 갖는 코스를 가지지 않되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도 12b, 도 12c, 도 12e 및 도 12f에서, 특정 파라미터에 대한 특정 곡선 코스는 방위각 및 반경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시 도시된다.
도 12g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대한 3차원 표면 토포그래피는 예시적으로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3a 내지 도 13g의 실시예에서, 도 11a 내지 도 11h 및 도 12a 내지 도 12g의 구현과는 대조적으로, 최대 표준 반경(rmmax)은 다시 증가되며 도 13c의 도시에 따른 방위각 곡선 코스는 도 12d의 코스와 유사하다. 추가 다이어그램은 이로써 다시 초점 폭의 도시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방위각 및 반경에 따른 특정 파라미터의 표시를 개별적으로 도시한다.
최종 예시는 도 14a 내지 도 14h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위상 편차()의 방위각 변화이 다시 규정된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다시 예컨대 각각 주 서브 존 및 위상 서브 존을 갖는 환형 존에 더하여, 나선형 와인딩 및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은 광학 이미징 특성에 기여하는 추가 구조로서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마찬가지로, 광학 축(A)을 한번 둘러싸는 나선형 와인딩 및/또는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이 형성되거나 중첩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4b의 도시에 있어서, 방위각에 따른 전체 굴절력의 일정한 코스가 또한 다시 표시된다.
여기서, 도 1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반경의 코스는 즉 스텝형 불연속 프로파일에 의해 상당히 구체적이다. 다수의 스텝핑은, 도 14h의 표면 토포그래피의 3차원 표시에 따라, 케익의 조각의 모양의 다수의 표면 섹터(21a 내지 21k)가 형성되는 것을 야기한다. 특정 코스 규격에 따라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 섹터(21a 내지 21k)는 각각 동일한 방위각 각도 범위에 대하여 연장한다. 더욱이, 특히 이러한 표면 섹터(21a 내지 21k)는, 개별적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존의 수 및/또는 이러한 존의 방사상 폭 및/또는 이러한 존의 영역 크기 및/또는 이러한 존의 위상 편차에 있어서 상이하다. 특히, 이것은 도 14d의 코스에 의해 위상 편차에 관하여 또한 도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정 구성에 의해, 아이 렌즈에 대한 상당히 개별적인 표면 토폴로지가 생성되고, 이것은 섹터별로 개별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기타 섹터와 관련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당히 개별적인 이미징 특성이 성취될 수 있다.
특정 수치 값을 갖는 기재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값은 개별적으로 변화되고 및/또는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곡선 코스는 다르게 구성된다. 개별적인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에서, 주 서브 존의 수 및/또는 위상 서브 존의 수에 관한 및/또는 주 서브 존 및/또는 위상 존의 영역 부분에 관한 존 구성이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선형 와인딩을 가지지 않는 구현에서 이러한 나선형 와인딩이 또한 포함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토릭 굴절 표면 형상을 갖지 않는 구현에서, 이러한 것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상 편차는 방위 방향으로 일정한 구현에서, 방위 방향의 변화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추가 실시예는가 또한 개시된 것으로 고려될 것이며, 이것은 파라미터 및/또는 표면 토포그래피의 상기 언급된 변화에 의해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발생한다.
매우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아이 렌즈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는 부분 프로파일의 분할은 또한 양측(4 및 5)에 분포될 수 있고 및/또는 개별적인 프로파일은 상이한 측(4 및 5)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Claims (21)
- 다초점 아이 렌즈(eye lens)(1)의 주 광학 축(A)의 방향으로 보아 제 1 광학 측(4)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5)을 가지며, 상기 주 광학 축(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optical zone)(6 내지 9) - 존(6 내지 9)은 적어도 하나의 주 하위 존(6a 내지 9a)을 각각 가짐 - 을 갖는, 광학 부품(2)을 갖는 상기 다초점 아이 렌즈(1)로서, 상기 아이 렌즈(1)는 상기 환형 존(6 내지 9)에 더하여 표면 구조로서 나선형 와인딩(12)을 갖고, 상기 아이 렌즈(1)의 굴절력은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에 의해 상기 주 축(A) 둘레를 둘러싸는 방향으로 값이 달라지며,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은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형 존(6 내지 9) 및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은 공통의 측(4, 5)상에 형성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형 존(6 내지 9)은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은 다른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몇 존(6 내지 9)은 주 서브 존(6a 내지 9a) 및 위상 서브 존(6b 내지 9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존(6 내지 9)의 전체 영역의 주 하위 존(6a 내지 9a)의 영역 부분은 80%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 서브 존(6a 내지 9a)에 의해 상기 아이 렌즈(1)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는 주 서브 존 굴절력은 상기 주 축(A)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되며 및/ 또는 상기 위상 서브 존(6b 내지 9b)에 의해 상기 아이 렌즈(1)의 전체 굴절력에 기여하는 위상 서브 존 굴절력은 상기 주 축(A)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렌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은 상기 주 축(A)을 한번 둘러싸서 형성되며, 점프형 천이(jump-like transition)(13)가 와인딩 시작(14)과 와인딩 끝(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렌즈(1)는 상기 환형 존(6 내지 9) 및 나선형 와인딩(12)에 더하여 토릭(toric) 굴절 표면 형상(16)을 가지며 상기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은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천이(13)는 상기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의 플랫 주 자오선(flat main meridian)(17, 17a, 17b)에 관하여 방위 방향으로 오프셋되며, 특히, 상기 점프형 천이(13)는 상기 주 광학 축(A) 둘레의 방위 위치의 토릭 굴절 표면 형상(16)의 플랫 주 자오선(17, 17a, 17b)에 대해 20°에서 70° 사이, 특히, 40°에서 50°사이 또는 200°에서 250°사이, 특히 220°에서 230°사이의 방위 방향으로 형성되며, 특히 오프셋은 사이 또는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렌즈는 n≥2 초점을 가지며,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은 최대 n-1 초점이 상기 나선형 와인딩(12)에 의해 초점의 깊이에 있어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다초점 아이 렌즈(1)의 주 광학 축(A)의 방향으로 보아 제 1 광학 측(4)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5)을 가지며, 상기 주 광학 축(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6 내지 9) - 존(6 내지 9)은 적어도 하나의 주 하위 존(6a 내지 9a)을 각각 가지며, 위상 편차()가 두 개의 인접한 존(6 내지 9) 사이에 형성됨 - 을 갖는, 광학 부품(2)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1)로서, 상기 위상 편차()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존(6 내지 9) 사이의 방위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존(6 내지 9)의 반경은 상기 주 광학 축(A)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8에 있어서, 다수의 존(6 내지 9)의 반경은 적어도 한번 방위 방향으로 변화되며 상기 변화의 방위 위치는 상기 다수의 존(6 내지 9)에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익 조각 모양인 제 1 표면 섹터(21, 21a 내지 21k) 및 케익 조각 모양인 적어도 제 2 표면 섹터(21, 21a 내지 21k)가 상기 주 축(A) 둘레의 방위 방향으로 측(4, 5) 상에 형성되며, 존의 수 및/또는 상기 존의 영역 크기는 표면 섹터(21, 21a 내지 21k)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 다초점 아이 렌즈(1)의 주 광학 축(A)의 방향으로 보아 제 1 광학 측(4) 및 반대 방향 제 2 광학 측(5)을 가지며, 상기 주 광학 축(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측(4, 5)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광학 존(6 내지 9) - 존(6 내지 9)은 적어도 하나의 주 하위 존(6a 내지 9a)을 각각 가지며, 위상 편차()가 2개의 인접한 존(6 내지 9) 사이에 형성됨 - 을 갖는, 광학 부품(2)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1)로서, 상기 아이 렌즈(1)의 전체 굴절력이 중간 매체 없이 상기 주 축(A) 둘레를 돌아 방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아이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3216015.1A DE102013216015B4 (de) | 2013-08-13 | 2013-08-13 | Multifokale Augenlinse mit zumindest teilweise um eine optische Hauptachse umlaufenden optischen Zonen |
DE102013216015.1 | 2013-08-13 | ||
PCT/EP2014/066704 WO2015022218A1 (de) | 2013-08-13 | 2014-08-04 | Multifokale augenlinse mit zumindest teilweise um eine optische hauptachse umlaufenden optischen zon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503A true KR20160044503A (ko) | 2016-04-25 |
KR101900578B1 KR101900578B1 (ko) | 2018-09-19 |
Family
ID=5126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6277A KR101900578B1 (ko) | 2013-08-13 | 2014-08-04 |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광학 존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278809B2 (ko) |
EP (1) | EP3033649B1 (ko) |
KR (1) | KR101900578B1 (ko) |
CN (1) | CN105593743B (ko) |
AU (1) | AU2014308014B2 (ko) |
DE (1) | DE102013216015B4 (ko) |
WO (1) | WO20150222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13952A (zh) | 2012-08-31 | 2018-05-11 | Amo格罗宁根私人有限公司 | 用于扩展焦深的多环晶状体、系统和方法 |
DE102016117504B4 (de) | 2016-09-16 | 2018-05-30 | Carl Zeiss Meditec Ag | Multifokale Augenlinse mit Ringzonen mit definiert unterschiedlichen gemittelten Brechkräften |
US11497599B2 (en) | 2017-03-17 | 2022-11-15 | Amo Groningen B.V. |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for extended range of vision |
US11523897B2 (en) | 2017-06-23 | 2022-12-13 | Amo Groningen B.V. |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
EP3646110A1 (en) | 2017-06-28 | 2020-05-06 | Amo Groningen B.V. | Diffractive lens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
AU2018292030B2 (en) | 2017-06-28 | 2024-02-08 | Amo Groningen B.V. | Extended range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
US11327210B2 (en) | 2017-06-30 | 2022-05-10 | Amo Groningen B.V. | Non-repeating echelett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
EP4220284A1 (en) * | 2017-07-24 | 2023-08-02 | Alcon Inc. | Ophthalmic lens having morphed sinusoidal phase shift structures |
DE102018212774B3 (de) | 2018-07-31 | 2019-10-31 | Carl Zeiss Meditec Ag | Akkomodative Intraokularlinse |
CN109363802B (zh) * | 2018-11-02 | 2020-06-16 | 无锡蕾明视康科技有限公司 | 一种轴向球差渐进调制型非球面人工晶状体 |
FR3097980B1 (fr) * | 2019-06-28 | 2022-08-19 | Laurent Galinier | Lentille multifocale à aberration de coma |
DE102019134178B3 (de) * | 2019-12-12 | 2020-12-31 | Carl Zeiss Meditec Ag | Intraokularlinse mit Seilen oder Federn zum Deformieren der Haptik |
CA3166308A1 (en) | 2019-12-30 | 2021-07-08 | Amo Groningen B.V. | Lenses having diffractive profiles with irregular width for vision treatment |
US11762220B2 (en) | 2020-04-30 | 2023-09-19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and related methods |
AU2021283398A1 (en) | 2020-06-01 | 2023-01-05 | Icares Medicus, Inc. |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
US20230338137A1 (en) * | 2021-03-02 | 2023-10-26 | Joao Marcelo DE ALMEIDA GUSMAO LYRA | Intraocular lens with focal performance tailored to pupil size deploying refractive power modification along spiral track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45079A1 (de) * | 2011-09-29 | 2013-04-04 | Carl Zeiss Ag | Linse mit einem erweiterten fokusbereich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61934A (en) * | 1996-05-06 | 1999-01-19 | Innotech, Inc. | Refractive index gradient lens |
US6536899B1 (en) | 1999-07-14 | 2003-03-25 | Bifocon Optics Gmbh | Multifocal lens exhibiting diffractive and refractive powers |
DE102005028933A1 (de) | 2005-06-22 | 2006-12-28 | Acri.Tec Gesellschaft für ophthalmologische Produkte mbH | Astigmatische Intraokularlinse |
US20100238400A1 (en) * | 2006-10-25 | 2010-09-23 | Volk Donald A | Multi-layered gradient index progressive lens |
EP2089755A2 (en) * | 2006-10-25 | 2009-08-19 | Donald A. Volk | Multi-layered gradient index progressive lens |
US20090164008A1 (en) * | 2007-12-21 | 2009-06-25 | Xin Hong | Lens surface with combined diffractive, toric, and aspheric components |
KR101422503B1 (ko) * | 2008-05-09 | 2014-07-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장된 초점 심도를 갖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시스템 |
JP5342244B2 (ja) | 2009-01-06 | 2013-11-13 | 株式会社メニコン | 無水晶体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
EP2537061B1 (en) | 2010-02-17 | 2017-12-20 | Akkolens International B.V. | Adjustable chiral ophthalmic lens |
DE102010018436B4 (de) | 2010-04-27 | 2017-02-09 | Carl Zeiss Meditec Ag | Multifokale Augenlinse |
DE102011101899A1 (de) | 2011-05-18 | 2012-11-22 | Carl Zeiss Ag | Linse mit einem erweiterten Fokusbereich |
-
2013
- 2013-08-13 DE DE102013216015.1A patent/DE102013216015B4/de active Active
-
2014
- 2014-08-04 WO PCT/EP2014/066704 patent/WO2015022218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8-04 EP EP14747378.9A patent/EP3033649B1/de active Active
- 2014-08-04 CN CN201480054380.5A patent/CN105593743B/zh active Active
- 2014-08-04 AU AU2014308014A patent/AU2014308014B2/en active Active
- 2014-08-04 KR KR1020167006277A patent/KR101900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2-16 US US15/045,103 patent/US1027880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45079A1 (de) * | 2011-09-29 | 2013-04-04 | Carl Zeiss Ag | Linse mit einem erweiterten fokusberei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278809B2 (en) | 2019-05-07 |
WO2015022218A1 (de) | 2015-02-19 |
CN105593743B (zh) | 2018-07-17 |
US20160220350A1 (en) | 2016-08-04 |
AU2014308014A1 (en) | 2016-03-17 |
EP3033649B1 (de) | 2021-03-03 |
DE102013216015A1 (de) | 2015-02-19 |
KR101900578B1 (ko) | 2018-09-19 |
AU2014308014B2 (en) | 2016-11-17 |
CN105593743A (zh) | 2016-05-18 |
DE102013216015B4 (de) | 2021-01-28 |
EP3033649A1 (de) | 2016-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0578B1 (ko) | 주 광학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광학 존을 갖는 다초점 아이 렌즈 | |
US7481532B2 (en) | Pseudo-accommodative IOL having multiple diffractive patterns | |
CN101416096B (zh) | 具有面积不同的衍射区的伪调节眼内透镜 | |
US8747466B2 (en) | Intraocular lens having extended depth of focus | |
KR101630260B1 (ko) | 동공 역학을 이용함으로써 가조절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된 초점 심도 〔edof〕 렌즈 | |
AU2010258640B2 (en) | Toric intraocular lens with modified power characteristics | |
US8444267B2 (en) | Ophthalmic lens, systems and methods with angular varying phase delay | |
JPH0926560A (ja) | 同心非球面多焦点型レンズデザインおよびその設計方法 | |
WO2013118177A1 (ja) | 回折型多焦点眼用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 |
US20230367138A1 (en) | Optimized Multifocal Wavefronts for Presbyopia Correction | |
AU2013202083B2 (en) | Pseudo-accomodative iol having diffractive zones with varying areas | |
JP2023534079A (ja) | 多焦点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