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931A - Drillship - Google Patents

Drill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931A
KR20160043931A KR1020157032351A KR20157032351A KR20160043931A KR 20160043931 A KR20160043931 A KR 20160043931A KR 1020157032351 A KR1020157032351 A KR 1020157032351A KR 20157032351 A KR20157032351 A KR 20157032351A KR 20160043931 A KR20160043931 A KR 20160043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idors
ship
operating zone
zone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아니 셰를
Original Assignee
핀칸티에리 오일 앤드 가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핀칸티에리 오일 앤드 가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핀칸티에리 오일 앤드 가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4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9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7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시추선"
본 발명은 선수(3)와 선미(4) 사이의 종방향의 축(X)을 따라 뻗어있는 선체(2)를 포함하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선박(1)은 상기 축(X)을 따라 선수와 선미 사이에 분포된 적어도 세개의 분리된 작동 구역들: - 상기 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저장된, 선박 관리의 제1 작동 구역(10); - 시추의 제2 작동 구역(20); 및 - 발전의 제3 작동 구역(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작동 구역 및 제3 작동 구역은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에 의해 상기 제1 작동 구역에 연결되며, 주 갑판 아래 형성되고, 선박 측부(5, 6)의 옆에 뻗어있다.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복도들(41, 42)은, 상기 주 갑판 아래에서 각각 하나의 선박 측부로부터 다른 하나로 뻗어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에 의해 가로질러 서로 연결된다.
"Drill ship"
The invention relates to a drill string comprising a hull (2)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X) between a bow (3) and a stern (4). Such a vessel 1 comprises at least three separate operating zones distributed between the bow and stern along the axis X: a first operating zone 10 of the ship management, in which the safety and evacuation means are stored; A second working zone (20) of drilling; And a third working zone 30 of power generation. The second operating zone and the third operating zone are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zone by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and 42 and are formed below the main deck and are located on the sides of the ship sides 5 and 6 . The two longitudinal corridors 41, 42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ransversely by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53 extending from one ship side to the other one below the main deck do.

Figure P1020157032351
Figure P1020157032351

Description

시추선{DRILLSHIP}Drill {DRILLSHIP}

본 발명은 특히 탄화수소 또는 다른 에너지 및 광물자원들의 매장층을 탐사하고 개발하는 것에 국한된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directed to drilling lines dedicated to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buried layers of hydrocarbons or othe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은 특히 깊은(450m 이상의) 그리고 더-깊은(1,500m 이상의) 물에서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The drill rig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for operation in deep (over 450 m) and deeper (over 1,500 m) water.

시추선들은 해저 3000m 이상의 깊이에서 수중 유전들을 시추하는데 특화된 해상 설비의 한 종류이다. 그러한 설비들의 전형적인 운영 활동은 천연가스 및 원유의 생산에 특화된 다른 해상 설비들에 의해 미래에 사용하기 위한 유전들을 탐색하고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rill ships are a type of marine facility specialized in drilling underwater fields at depths above 3000 meters below sea level. Typical operational activities for such facilities consist of searching for and preparing for future use by natural gas and other offshore installations specialized in the production of crude oil.

일반적으로 시추선들은 선박 종방향의 연장 축을 따라 선수와 선미 사이에 분포되는 적어도 세개의 분리된 작동 구역들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drill rigs include at least three separate operating zones distributed between the bow and ster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ip longitudinal direction.

제1 작동 구역은 선박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보통 선수에 위치되는 이러한 영역은 승무원의 거주구역이 위치하는 장소이며, 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저장된다. The first operating zone is used for vessel management. These areas, which are usually located on the athlete, are the locations where the crew's residence is located, and safeguards and means of evacuation are stored.

제2 작동 구역은 시추 장치(drilling rig)를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시추탑이 설치되고, 선체를 통과하는 시추공(drilling aperutre)(전문용어로 문풀(moonpool)로 알려진)이 형성된다. 상기 시추탑은 드릴 스트링(drill string)들을 지지하고 전술한 선체의 구멍(aperture)을 통해 그들을 운용하도록 사용된다. 그러한 제2 작동 구역은 보통 선박 중앙부에 위치된다.The second operating zone is for a drilling rig. In particular, at least one drilling tower is installed in this area and a drilling aperture (known in the art as a moonpool) is formed through the hull. The drill tower is used to support drill strings and to operate them through the apertures of the hull described above. Such a second operating zone is usual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hip.

보통 선미에 위치하는 제3 작동구역은 선박의 추진을 위한 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모든 전기 발전 및 추진 시스템들은 이 세번째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A third working area, usually located at the stern, is used for power generation for propulsion of the ship. All electrical generation and propulsion systems are concentrated in this third area.

계획적인 관점에서, 기술 인력의 흐름은 선수의 승무원 거주구역으로부터 선박 중앙부의 시추 장치 및 웰(well) 시스템 및 선미 구역의 선박을 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의 제어실로 수평으로 전개된다.From a planned point of view, the flow of technical personnel is horizontally deployed from the crew accommodation area of the athlete to the control room of the system required to operate the drilling rig and well system in the central part of the ship and the ship in the stern area.

선박 시스템의 효율성과 관련하여, 사람 및 시설(plant) 구성요소들의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세개의 전술한 구역들을 연결하고, 기상(weather) 요소들로부터 보호되는 넓고 빠른 수평 연결 복도들은 매우 중요하다.With regard to the efficiency of the marine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connect the three aforementioned areas for the efficient transport of people and plant components, and the wide and fast horizontal connection corridors protected from the weather elements.

추가적으로, 선박 중앙부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인원의 최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시추 장치 구역에서 규제기관들은 제1 작동 구역에 저장된 퇴선 수단들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된 경로가 제공될 것을 요구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maximum safety of personnel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the central part of the ship, regulatory bodies in the drilling rig require that at least one protected path leading to the evacuation means stored in the first operating zone be provided.

시추선들은 주 갑판 아래에 형성되고 선박 측부 옆에 뻗어있는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두개의 복도들은 시추 구역 및 발전 구역을 제1 작동 구역에 연결하며, 선박 내에서 승무원의 이동성을 보장한다. 추가적으로, 시추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것들은 제1 작동 구역(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저장된)으로 향하는 두개의 전적으로 독립된 탈출 경로들이 된다.It is known that the drill rigs are formed under the main deck and hav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extending beside the ship side. The two corridors connect the drilling zone and the power generation zone to the first operating zone and ensure the mobility of the crew within the ship. Additional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the drilling area, they become two completely independent escape routes to the first operating zone (where the safety and evacuation means are stored).

상기 두개의 복도들의 독립은 장점 및 단점들을 갖는다. 장점은 상기 복도들의 하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사고 - 예를 들어 선박 중앙부의 시추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하나의 복도가 제1 작동 구역을 향해 인원의 대피를 허용하도록 이용가능하게 유지된다. 단점은 사고에 의해 영향을 받은 선박의 측부의 인원들은, 그 사고의 선미에서, 막힌 탈출 복도를 발견하고 가능한 빨리 선수의 제1 작동 구역에 도달하기 위해 (그들 자신을 위험에 노출시키는)갑판의 위로 나오도록 강요받거나, 또는 선미의 발전 구역에 도달한 다음 다른 종방향의 복도를 이용함에 따라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The independence of the two corridor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advantage is that the other corridor remains available to allow evacuation of the personnel towards the first operating zone, in the event of a serious accident affecting one of the corridors-for example in a drilling zone at the center of the ship .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personnel of the side of the ship affected by the accident are at the stern of the accident, finding the obstructed escape corridors and decking the decks (exposing themselves to danger) Is to be forced to come up, or to waste valuable time by reaching the stern 's development zone and then using other longitudinal corridors.

본 발명은 시추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자원을 탐사하고 개발하는 시추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rill rig,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drill rig to explore and develop resour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중앙부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승무원들을 선박의 제1 작동 구역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도달하게 하는 시추선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의 약점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줄이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or at least reduce the drawback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by allowing the crew to use the drill rig to quickly and safely reach the ship's first operating zon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the center of the ship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시 적어도 두개의 독립적인 탈출 경로들을 보장하는 시추선을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use of a drill rig to ensure at least two independent escape routes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건설 수단들에 의하여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추선을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use of drill rigs which make it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by means of simple construction means.

전술한 목적들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들은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내용들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으며, 그것의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부분적 단면인 측면도를 보여준다;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그 안에 나타낸 평면 II-II에 따른 주 갑판 아래의 평면 단면도를 보여준다;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일부의, 그 안에 나타낸 평면 III-III에 따른 횡단 단면도를 보여준다.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shows a side view which is a partial cross-section of a drill rig according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lan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p shown in Fig. 1 beneath the main deck in accordance with plane II-II shown therein;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vessel shown in Fig. 2 taken along plane III-III shown therein; Fig.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을 나타낸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ence numeral 1 generally designates a drill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여기 및 이후부터, 참조는 편의상 선박(1)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높은 또는 낮은 위치 또는 수평적 또는 수직적 방향의 참조들은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an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hereafter and hereinafter, the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vessel 1 for convenience. Therefore, references to high or low position or horizontal or vertical orient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sense.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라, 시추선(1; 즉, 선박)은 선수(3)와 선미(4) 사이의 종방향의 축(X)을 따라 뻗어있는 선체(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gener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ll ship 1 (i.e. a ship) comprises a hull 2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X between a bow 3 and a stern 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은 상기 축 X를 따라 선수와 선미 사이에 분포되는 적어도 세개의 분리된 작동 구역(10, 20, 30)을 포함하는데, 즉 상기 선박은:2, the vessel 1 comprises at least three separate working zones 10, 20, 30 distributed between the bow and stern along the axis X, i.e. the vessel comprises:

- 안전 및 퇴선 수단들(12)(구명보트들)이 저장된, 선박 관리의 제1 작동 구역(10);A first operating zone 10 of the ship management, in which safety and evacuation means 12 (lifeboats) are stored;

- 적어도 하나의 시추탑(21)이 설치되고 선체(2)를 관통하는 시추공(22)이 형성된, 시추를 위한 제2 작동 구역(20); 및- a second operating zone (20) for drilling, in which at least one drilling tower (21) is installed and a borehole (22) penetrating the hull (2) is formed; And

- 선박의 추진을 위한 발전의 제3 작동 구역(30)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세번째 구역에 모든 발전 및 추진 시스템들이 집중된다.- a third operating zone (30) of the power generation for propulsion of the ship, in particular all power generation and propulsion systems are concentrated in said third zone.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 구역(10)은 바람직하게 다양한 갑판들에 걸쳐 뻗어있는 선수 상부구조(11)를 포함한다. 특히 그러한 제1 작동 구역은 또한 승무원의 거주구역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first operating zone 10 preferably includes a bowed superstructure 11 extending over the various decks. In particular, such a first operating zone also includes a seating area of the cre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구역(20)(시추) 및 제3 작동 구역(30)(발전)은 선체의 두 측부(5, 6) 중 하나의 옆에 뻗어있는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에 의해 제1 작동 구역(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장비된)으로 연결된다.2,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drilling) and the third operating zone 30 (power generation) are arranged in two longitudinal directions extending next to one of the two sides 5, 6 of the hull (Equipped with safety and evacuation means) by the side corridors 41, 42 of the vehicle.

전술한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기상 요소들 또는 주 갑판 위에서 발생하는 어떤 사고들로부터 보호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주 갑판 아래에 형성된다. 표현 "주 갑판 아래에서"는 그러한 종방향의 복도들이 주 갑판 바로 아래의 제1 갑판에 형성되는 경우와 그러한 복도들이 더 아래의 갑판들에 형성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The longitudinal lateral side corridors 41, 42 are formed below the main deck to create a path that is protected from any accidents that occur on the weather elements or the main deck. The expression "below the main deck" is understood to include both the case where such longitudinal corridors are formed on the first deck just below the main deck and the case where such corridors are formed on further decks.

운영적으로, 그러한 두개의 복도들(41, 42)은 계획적인 관점에서 선수로부터 선미까지 선박 내부의 주 이송 경로들이 된다.Operatively, such two corridors 41 and 42 are the main transport paths within the ship from the forehead to the stern from a planned viewpoint.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복도들(41, 42)은 각각 선박의 하나의 측부로부터 다른 하나로 뻗어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에 의해 가로질러서 서로 연결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wo longitudinal corridors (41, 42) are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5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hip to the other, do.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은 또한 상기 요소들 또는 주 갑판 위에서 발생하는 어떤 사고들로부터 보호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주 갑판 아래에 형성된다. 표현 "주 갑판 아래에서"는 그러한 횡단 복도들이 주 갑판 바로 아래의 제1 갑판에 형성되는 경우와 그러한 복도들이 더 아래의 갑판들에 형성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Such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are also formed below the main deck to create a path protected from the elements or from any accidents occurring on the main deck. The expression "below the main deck" is understood to include both the case where such a transverse corridor is formed on the first deck just below the main deck and the case where such corridors are formed on further decks.

용어 "복도"는 이송을 위한 특별 전용의 연속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상기 공간을 따라서, 방수문들 또는 방화문들과 같이 해군식 디자인으로 제공되는 대부분의 문들을 제외하고, 장애물들이 없다.The term "corridor" is understood to mean a continuous dedicated space for transportation and there are no obstacles along the space, except for most doors provided with naval designs such as waterproof doors or fire doors.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은 그것들이 두개의 측면 복도들(41, 42)을 가로질러 직접 상호연결시키며, 인원이 구체적으로 이송을 의도하지 않은 영역들을 지나가는 것 및 그것에 의해 예상치 못한 장애물들을 조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선박 내부의 승무원의 이동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도들의 존재는 하나의 측면 종방향의 복도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더 빠른 이동을 허용한다.The one or more of the transverse corridors 51, 52 and 53 described above directly interconnects them across the two lateral corridors 41 and 42, and passes through areas for which personnel are not specifically intended to be transported And thereby avoiding encountering unexpected obstacles, increases the mobility of the crew within the vessel. Thus the presence of such one or more corridors allows for a faster movement from one lateral longitudinal corridor to the other.

따라서 종래의 선박들과 비교하면, 전술한 횡단 복도들 덕분에, 기상 요소들 및 주 갑판 위의 어떤 사고들로부터 보호되는 2차적인 이송 경로들이 생성된다.Thus, compared to conventional ships, thanks to the transverse corridors described above, secondary transport paths are created that are protected from meteorological elements and from any accidents on the main deck.

이러한 증가된 이동성은 선박 상에서 안전을 크게 향상시키며, 제2 작동 구역(20)(시추) 및 제3 작동 구역(30)(발전)에서 제1 작동 구역(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장비된)으로 대피 동작을 상당히 촉진시킨다.This increased mobility significantly improves safety on board and can be avoided by evacuating the first operating zone (equipped with safety and evacuation means) in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drilling) and the third operating zone 30 It greatly facilitates the operation.

두개의 측면 종방향의 복도들 중의 하나에 영향을 미치는 선박 중앙부에서의 심각한 사고, 예를 들면 화재의 경우에 막힌 제1 작동 구역으로 향하는 탈출 복도를 발견한 사고에 의해 영향을 받은 선박의 측부의 인원은 제1 횡단 복도를 이용함에 따라 다른 측면 종방향의 복도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다. 종래의 시추선들과는 달리, 횡단 복도들(51, 52, 53)의 덕분에 전술한 응급 상황들에 있는 인원이 주 갑판 위로 나오거나(그들 자신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또는 다른 종방향의 복도에 도달하기 위해 선박의 또 다른 작동 구역(또한 대피 대상인)을 지나가도록 더 이상 강요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덕분에 특히 인원이 구체적으로 이송 목적이 아닌 영역들을 향해 가고 지나가도록 강요받는 것이 피해지며, 교통 정체를 방지한다. 따라서 대피 시간은 크게 감소된다.In the event of a serious accident at the center of the ship affecting one of the two longitudinal longitudinal corrido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re, the side of the ship affected by the accident, Personnel can safely reach corridors on other side longitudinal corridors using the first transverse corridor. Unlike conventional drill rigs, the transverse corridors 51, 52 and 53 allow personnel in the above-mentioned emergencies to land on the main deck (exposing themselves to danger) or reach other longitudinal corridors The ship is no longer forced to pass through another operating area of the ship (and also to be evacuated). Thanks to the invention, it is avoided that persons are forced to pass through areas that are not specifically targeted for transport, and prevent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the evacuation time is greatly reduced.

전술한 횡단 복도들의 존재는 선박의 일반적인 작동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사실 그러한 횡단 복도들의 덕분에 선수 및 선미의 끝 구역들 및 주 갑판 아래 위치한 운영실들 및 기술적 사무실들에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다. The presence of the aforementioned transverse corridors significantly improves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ship. In fact, thanks to such transverse corridors, the end areas of the athlete and the stern and the operational and technical offices located below the main deck can be reached sooner.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적어도 세개의 작동 구역들은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t least three working zone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as follows.

- 제1 작동 구역(10)(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장비된)은 선수에 위치한다;The first operating zone 10 (equipped with safety and evacuation means) is located at the bow;

- 제2 작동 구역(20)(시추)은 선박 중앙부에 위치한다; 그리고The second operating zone 20 (drilling)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hip; And

- 제3 작동 구역(30)(발전)은 선미에 위치한다.The third operating zone 30 (power generation) is located at the stern.

제1 작동 구역(10)의 선수에 대한 배치는 사고의 대상인 구역들로부터 가능한 멀리 안전 및 퇴선 수단들을 장비하는 구역을 갖도록 기능한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operating zone 10 on the bow functions to have a zone which equips the safety and evacuation means as far as possible from the zones which are the subject of the accident.

시추의 제2 작동 구역(20)의 선박 중앙부에 대한 배치는 시추 장치의 작동 및 선박 자체의 안정성을 위해 기능한다.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of the drilling rig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p serves for the operation of the drilling rig and the stability of the ship itself.

발전의 제3 작동 구역의 선미에 대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선미에 있는 추진 장치들의 위치와 관련된다.The arrangement of the third working zone of the power station with respect to the stern is generally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propulsion units in the stern.

더 자세하게는, 위에 상세히 설명한 세개의 작동 구역들의 구체적인 배치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은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을 포함하는데, 즉 상기 선박은: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specific arrangement of the three operating zones detailed above, as shown in FIG. 2, the vessel 1 comprises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52, :

제1 작동 구역(10)과 제2 작동 구역(20)의 사이에 위치된 제1 끝 복도(51);A first end corridor 51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zone 10 and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제2 작동 구역(20)과 제3 작동 구역(30) 사이에 위치된 제2 끝 복도(52);를 포함한다.And a second end corridor (52) located between the second working zone (20) and the third working zone (30).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적어도 선박 중앙부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시추 작동 구역(20)으로 구성된 작동 구역의 전체의 종방향의 연장만큼 뻗어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2, each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are located at least at the ship's center and preferably comprise a second drilling operation zone 20, Extends as much as the entire longitudinal extent of the section.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은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을 선수(41a, 42a) 및 선미(41b, 42b)에 있는 그것들의 각각의 끝단에서 루프 경로(loop path)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은 두개의 다른 작동 구역들 사이에 그것들을 지나가지 않고 위치된다.2, the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and 52 hav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and 42 connected to the bow 41a and 42a and the sterns 41b and 4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loop path at their respective ends. The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52) are positioned between two different working zones without passing over them.

그러므로 연속 경로는 승무원들에 의해 편리하게 사용되도록 생성되고, 주 갑판 아래에 위치하는 선박의 다른 작동 구역들에 대한 침입을 구조적으로 감소시킨다.Therefore, the continuous path is created to be conveniently used by the crew and structurally reduces the intrusion to other working areas of the ship located below the main deck.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 따라,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끝 횡단 복도들(51, 52)를 넘어 선미 및 선수에 있는 작동 구역들 내에서 종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ich is not shown,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can extend longitudinally within the working areas in the stern and bow beyond the end transverse corridors 51, 52 .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술한 세개의 작동 구역들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는 상기 세번째 작동 구역(30)(발전)이 선박 중앙부에 및 제2 작동 구역(20)(시추)이 선미에 위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lternative embodiments, the three aforementioned operating zones (not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arranged differently. In particular,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third operating zone 30 (power genera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hip and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drilling) is located at the stern.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은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의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를 포함한다.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는 선박 중앙부에 위치된 작동 구역을 지나가며, 이것의 위치는 인원의 이동을 위한 전략이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vessel 1 comprises at least one central transverse corridor 53 located between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52. Such at least one central transverse corridor (53) passes through a working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ssel, the location of which is a strategy for personnel movement.

유리하게는, 선박 중앙부에 위치된 작동 구역이 시추의 제2 작동 구역(20)인 경우,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는 특별히 전략적인 성격으로 추정한다. 심각한 사고들의 발생의 위험도의 관점에서, 상기 제2 작동 구역(20)(시추)은 처리되는 물질들(탄화수소)의 위험성을 고려하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된다. Advantageously, if the operating zon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ssel is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of the borehole, such at least one central transverse corridor 53 is assumed to be of a particularly strategic nature. In view of the risk of occurrence of serious accidents,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drilling)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angerous considering the risk of the materials (hydrocarbons) to be treated.

그러므로,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는 선박 중앙부에 위치된 작동 구역을 서브 구역들로 나누는 2차적인 이송 경로들을 생성한다. 이것은 인원이 선박의 이 중앙부의 하나의 측면 종방향의 복도와 다른 하나 사이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가능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Thus, the one or more central transverse corridors 53 described above create secondary transport paths that divide the operating area located at the ship's center into sub-areas. Thi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personnel will safely move between one lateral longitudinal corridor of the ship's central portion and the other.

바람직한 경우에서, 선박 중앙부에 위치한 작동 구역은 시추의 제2 작동 구역(20)이며,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는 시추공(22)에 대해 선수 또는 선미에 위치된다.In the preferred case, the operating zon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ssel is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of the drilling, and at least one such transverse corridor 53 is located at the bow or stern relative to the borehole 22.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은 제2 작동 구역(20) 내부에 드릴 스트링을 위한 선창(23;hold)을 포함한다. 상기 선창(23)은 시추공(22)과 제1 작동 구역(10)의 사이에 형성된다. 선창(23)은 제1 작동 구역(10)(특히, 선박의 안전 및 퇴선 수단들(12)이 저장된)과 시추의 제2 작동 구역(20)의 심장부(그것은 시추탑(21)라고 불린다) 사이에 안전 구역을 생성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the vessel 1 includes a hold 23 for a drill string inside a second working zone 20. The hold (23) is formed between the borehole (22) and the first operating zone (10). The dock 23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zone 10 (in particular the vessel safety and evacuation means 12) and the heart of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which is referred to as the drilling tower 21) Thereby creating a safe zone between the two.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가 시추공(22)과 홀더(23)의 사이에 형성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transverse corridor 53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etween the borehole 22 and the holder 23.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시추공(22)의 선수 뿐만 아니라 선미에도, 선박(1)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중앙의 횡단 복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lternative embodiments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essel 1 may include two or more central transverse aisles, as well as aft of the borehole 22.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끝(51, 52) 또는 중앙의(53) 각 횡단 복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화문들(54)을 제공받는다. 방화문들의 존재는 화재의 경우에 횡단 복도들에 의해 연결되는 두개의 측면 종방향의 복도들(41, 42)의 단락을 방지한다. 방화문들(54)은 횡단 복도들을 가로막고, 이에 따라, 화재 및 연기발생의 경우에, 측면 종방향의 복도들(41, 42)의 전체의 독립을 보장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end corridor 51, 52 or central 53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ire doors 54. The presence of fire doors prevents shorting of two side longitudinal corridors (41, 42) connected by transverse corridors in case of fire. The fire doors 54 intercept the transverse corridors and thus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entire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in the case of fire and smoke generation.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동일한 갑판에 있다. Preferably,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are on the same deck.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은 완전한 수준의 탈출 및 이송 경로를 생성하도록,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의 동일한 갑판에 있다.Preferably, the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53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on the same deck of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to produce a complete level of escape and transport path have.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41, 42)는 다른 갑판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계단들에 의해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갑판들에 걸쳐 뻗어있는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lternative embodiments,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located on other decks and may be located on two or more decks May be connected by one or more of the transverse aisles 51, 52, 53 described above.

실시예들은 동일한 갑판에 위치되는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계단들에 의해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갑판들에 걸쳐 뻗어있는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Embodiments may be provided for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located on the same deck, and may be provided by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crossings extending over two or more decks by the stairways And may be connected by the corridors 51, 52 and 53.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선박(1)은 각 선박 측부(5, 6)상의 측면 틈들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적 장벽을 형성하는 이중 선체 구조를 규정하도록 제1 선체(2) 내부에 위치되는 제2 선체(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선박의 안쪽의 측부 상에 제2 선체(200)를 따라 종방향으로 나란히 뻗어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essel 1 is provided with a first hull 2 to define a double hull structure forming a structural barrier for protecting the side gaps on each ship side 5, And a second hull (200) located inside the hull. As shown in Fig. 2, the two longitudinal lateral side corridors 41, 42 extend longitudinally along the second hull 200 on the inner side of the ship.

유리하게는, 이중 선체 및 그에 따라 측면 틈들로부터 선박 측부들을 보호하는 구조적 장벽의 존재는 -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을 따라 - 각 수밀 격벽에 대응하는 수밀 구획 문들을 없애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것에 의해 선박을 따라 그러한 복도들 내의 이송에 대한 장애물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각 종방향의 복도(41, 42)는 방수문들로 구성된 중간 장벽들 없이 연속 경로를 규정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presence of structural barriers protecting the ship sides from the double hull and, therefore, the side gaps, makes it possible to eliminate watertight compartments corresponding to each watertight bulkhead along the longitudinal side corridor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obstacles to transport within such corridors. Each longitudinal corridor 41, 42 may define a continuous path without intermediate barriers comprising watertight doors.

본 발명은 일부의 이미 설명된 다수의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some of the many previously described advantages.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은 사고의 경우에 인원이 안전 및 퇴선 수단들이 저장된 선박의 제1 작동 구역에 종래의 시추선들보다 더 빨리 그리고 더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drill rig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in case of an accident the personnel can reach the first operating zone of the vessel in which the safety and evacuation means are stored faster and more safely than the conventional drill rigs.

본 발명에 따른 복도 구조는 전체적인 기술적인/해군의 유닛의 동작 구역의(시추 및 생산 동작 구역들), 사람 및 기술적인 물질들의 빠르고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서비스 및 위험시에 작동 구역들로부터 구명보트들로 모든 사람들의 운송을 위한 신속하고 여유가 있는 탈출의 이중적 기능을 갖는, 주 이송 및 탈출 순회로(circuit)를 규정한다.The corrid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vide services for fast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of human and technical materials (drilling and production operating zones) of the operating area of the overall technical / navy unit, and lifting boats To define a main transfer and escape circuit with a dual function of fast and affordable escape for all persons to be transport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은, 측면 종방향의 복도들 사이에 직접 상호연결을 제공하면서, 그러한 탈출 경로들이 화재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임을 계속하여 보장한다.In particular, the drill rig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tinue to ensure that such escape route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the case of fire, while providing direct interconnections between corridors in the lateral longitudinal direction.

특히, 선박 중앙부에 위치된 작동 구역을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의 존재는 그러한 작동 구역을 - 인원의 이동을 위한 전략적인 - 서브 구역들로 나누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인원이 선박의 이 중앙의 부분에서 하나의 측면 종방향의 복도와 다른 하나 사이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가능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central transverse corridor 53 passing through the operating zon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ssel makes it possible to divide such operating zones into strategic sub-zones for the movement of personnel. Thi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personnel will safely move between one side-longitudinal corridor and the other at this central portion of the ship.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단순한 건설 수단들에 의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 종방향의 복도들 사이의 횡단 연결 복도들은 사실 작동 구조들에 대해 침입하지 않으며, 선박의 지형에 대한 급격한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vess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by means of simple construction means. The transverse corridors between the lateral longitudinal corridors do not actually penetrate the actuating structures and do not require abrupt changes to the topography of the vessel.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것에 의해 나타난 목적들을 달성했다고 생각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at it accomplishes the purposes indicated by it.

분명히, 이것의 실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면서 설명된 것과 다른 형태 및 구성을 가정할 수 있다.Obviously, the actual embodiments thereof may assume other forms and configur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모든 부분들은 기술적인 장비 부분들 및 치수들이 변할 수 있으며 형상 및 사용되는 재료들이 요구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ll parts can be varied in terms of technical equipment parts and dimensions, and the shapes and materials used can be varied on demand.

Claims (11)

선수(3)와 선미(4) 사이의 종방향의 축(X)을 따라 뻗어있는 선체(2)를 포함하는 시추선과 같은, 상기 축(X)을 따라 선수와 선미 사이에 분포된 적어도 세개의 작동 구역들(10, 20, 30)을 포함하는 선박(1)으로서, 상기 선박은:
- 안전 및 퇴선 수단들(12)이 저장된, 선박 관리의 제1 작동 구역(10);
- 적어도 하나의 시추탑(21)이 설치되고 상기 선체(2)를 관통하는 시추공(22)이 형성된, 시추를 위한 제2 구역(20); 및
- 상기 선박의 추진을 위한 발전의 제3 작동 구역(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 구역(20) 및 제3 작동 구역(30)은, 주 갑판 아래에 형성되고 각각 선박 측부(5, 6)의 옆에 뻗어있는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에 의해 상기 제1 작동 구역에 연결되며,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복도들(41, 42)은, 상기 주 갑판 아래에서 각각 하나의 선박 측부로부터 다른 하나로 뻗어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에 의해,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t least three (3) and at least three (3) longitudinally distributed distributions between the bow and aft along the axis X, such as a drill string comprising a hull 2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X between the bow 3 and the stern 4, A vessel (1) comprising working zones (10, 20, 30), said vessel comprising:
- a first operating zone (10) of the ship management, in which safety and evacuation means (12) are stored;
- a second zone (20) for drilling, in which at least one drilling tower (21) is installed and a borehole (22) penetrating the hull (2) is formed; And
And a third operating zone 30 of power generation for propulsion of the ship, wherein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and the third operating zone 30 are formed below the main deck, , 6),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zone by means of two longitudinal lateral side corridors (41, 42)
The two longitudinal corridors 41 and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and 53 extending from one ship side to the other one below the main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shi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구역(10)은 상기 선수에, 상기 제2 작동 구역(20)은 선박 중앙부에, 상기 제3 작동 구역(30)은 상기 선미에 위치하고, 상기 선박은, 하나의 복도(51)가 상기 제1 작동 구역(10)과 제2 작동 구역(20) 사이에 위치되며, 하나의 복도(52)가 상기 제2 작동 구역(20)과 상기 제3 작동 구역(30) 사이에 위치되는,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을 포함하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rating zone 10 is located at the bow,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is at the center of the vessel, the third operating zone 30 is at the ster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zone 10 and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and one corridor 52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operating zone 20 and the third operating zone 30 , And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5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 각각은 상기 제2 작동 구역(20)의 전체 종방향의 연장에 걸쳐 뻗어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extends over an entire longitudinal extent of the second operating area (20).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은 상기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을 그것들의 각각의 끝들(41a, 41b; 42a, 42b)에서 서로 연결하여, 루프 경로를 형성하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and 52 connect the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and 42 to each other at their respective ends 41a and 41b and 42a and 42b to form a loop path , Ship.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전 청구항들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횡단 끝 복도들(51, 5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작동 구역(20)을 가로지르며, 시추공(22)에 대해 선수 또는 선미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를 포함하는, 선박.
In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claims,
At least one central transverse corridor (53) located between the two transverse end corridors (51, 52) and transverse to the second operating area (20) and located at the bow or stern relative to the borehole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구역(20) 내에 드릴 스트링을 위한 선창(23)을 포함하며, 상기 선창(23)은 상기 시추공(22) 및 제1 작동 구역(1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의 횡단 복도(53)는 상기 시추공(22)과 상기 선창(23) 사이에 형성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ail (23) for a drill string in the second working zone (20), the pail (23) being formed between the borehole (22) and the first working zone (10) Is formed between the borehole (22) and the holds (2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전 청구항들에 있어서,
각 횡단 복도(51, 52, 5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화문들(54)을 갖는, 선박.
In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claims,
Each transverse corridor (51,52, 53) having one or more fire doors (54).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전 청구항들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동일한 갑판상에 있는, 선박.
In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two longitudinal side corridors (41, 42) are on the same deck.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단 복도들(51, 52, 53)은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복도들(41, 42)과 동일한 갑판에 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ne or more transverse corridors (51, 52, 53) are on the same deck as the two longitudinal corridors (41, 4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전 청구항들에 있어서,
각 선박 측부(5, 6)의 측면 틈들을 보호하기 위해 구조적 장벽을 형성하는 이중 선체 구조를 규정하도록 제1 선체(2) 내부에 위치한 제2 선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종방향의 측면 복도들(41, 42)은 상기 선박의 내측의 상기 제2 선체(200)에 나란히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선박.
In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claims,
And a second hull (200) located inside the first hull (2) to define a double hull structure forming a structural barrier to protect the side gaps of each ship side (5, 6) Wherein the side corridors (41, 42) of the ship extend longitudinally in parallel to the second hull (200) on the inside of the ship.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종방향의 복도(41, 42)는 방수문들로 구성된 중간 장벽들 없이 연속 경로를 규정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0,
Each longitudinal corridor (41, 42) defining a continuous path without intermediate barriers comprising watertight doors.
KR1020157032351A 2013-04-12 2014-03-21 Drillship KR2016004393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PD2013A000093 2013-04-12
IT000093A ITPD20130093A1 (en) 2013-04-12 2013-04-12 SHIP FOR BORING
PCT/IB2014/060031 WO2014167438A1 (en) 2013-04-12 2014-03-21 Drill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931A true KR20160043931A (en) 2016-04-22

Family

ID=4857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351A KR20160043931A (en) 2013-04-12 2014-03-21 Drillship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83979B1 (en)
KR (1) KR20160043931A (en)
HR (1) HRP20171241T1 (en)
IT (1) ITPD20130093A1 (en)
SG (1) SG11201508368SA (en)
WO (1) WO2014167438A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5851A (en) * 1996-05-03 2000-07-11 Transocean Offshore Inc. Multi-activity offshore exploration and/or development drill method and apparatus
EP2088075A4 (en) * 2006-10-31 2013-01-02 Nobuyoshi Morimoto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EP2347953A1 (en) * 2010-01-20 2011-07-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Vessel with a modified pip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171241T1 (en) 2017-10-20
SG11201508368SA (en) 2015-11-27
EP2983979A1 (en) 2016-02-17
WO2014167438A1 (en) 2014-10-16
ITPD20130093A1 (en) 2014-10-13
EP2983979B1 (en)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419B1 (en) Floating structure
NO20110483A1 (en) escape route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BR112015003746B1 (en) Semi-submersible platform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Bogalecka et al. Shipping critical infrastructure network
KR101282120B1 (en) Vessel
KR20160043931A (en) Drillship
KR20130051311A (en)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Timco et al. Ice damage zone around the Molikpaq: Implications for evacuation systems
KR101623114B1 (en) Drillship
RU2533376C1 (en) Self-moving drilling ship for operation in arctic conditions
RU137539U1 (en) ICE-RESISTANT FLOATING DRILLING RIG FOR THE SHELF OF THE ARCTIC SEAS
KR20160009239A (en) Drillship having an emergency stairway trunk
Price The Ocean Ranger Disaster
KR101714679B1 (en) Semi-submersible rig
Jones et al. Icebreaking drillship for offshore exploratory drilling in the Arctic
Jones et al. Ice Breaking Drilling Ship for Offshore Exploratory Drilling In the Arctic
Wallin An introduction to the offshore basics: fire safety of a drillship, Drilling Rig Unit (DRU)
House Emergencies
Serck-Hanssen IMR in Subsea 7 for Statoil, past and future, the new IMR vessel “Seven Viking”
KR20140147741A (en) Configuration of living quarters on a production vessel
RU2519162C2 (en) Method for providing ship floatability
Verbitsky et al. The Arctic ship shape platform for well maintenance, survey and workover
Simões Ré Escape-evacuation-rescue response in ice-covered regions
Brotzman et al. Student Design of a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System for the Gulf of Mex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