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806A - Multi-functional helmet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helm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806A
KR20160043806A KR1020140138490A KR20140138490A KR20160043806A KR 20160043806 A KR20160043806 A KR 20160043806A KR 1020140138490 A KR1020140138490 A KR 1020140138490A KR 20140138490 A KR20140138490 A KR 20140138490A KR 20160043806 A KR20160043806 A KR 2016004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lmet
photographing
control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9175B1 (en
Inventor
권경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175B1/en
Publication of KR2016004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42B3/303Communication between rid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elmet comprising: a communications unit; a display unit;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rear side of the helmet; a shock sensor for sensing shoc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o be treated and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determining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us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a shock value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and transmitting site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s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ation.

Description

다기능 헬멧{Multi-functional helmet}Multi-functional helmet

본 발명은 다기능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주행 중 후방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기능 헬멧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elm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helmet having a display unit in front of the helmet to provide a user with a rear image during driving.

통상적으로 헬멧(helmet)은 주로 사용자의 머리,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는데, 모터 바이크, 싸이클, 경주용 차량, 각종 야외 활동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helmet is worn for protecting a user's head and face, and is used for a motorbike, a cycle, a racing vehicle, and various outdoor activities.

헬멧은 좌우 및 후방이 막혀 있는 형태로써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에 개폐 가능한 투명 쉴딩부를 두어 사용자가 착용시 외부의 바람, 이물질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전방의 환경을 주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elmet has a closed front and rear side and a transparent shielding par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protect the user from external winds and foreign matter when the user wears it Consists of.

이러한 헬멧은 통상적으로 단순히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기본적인 두부의 보호뿐만이 아닌,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 카메라를 통해 현장의 기록을 촬영하는 보호 헬멧, 보호 헬멧 착용자가 외부에 음성 및 영상을 통해 외부와 교신이 가능한 보호 헬멧 등 위험사고 발생시 이를 빠른 시간에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헬멧이 개발되고 있다.Such a helmet is usually used merely a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tofu, but in recent years, not only a basic tofu protection, but also a protective helmet that installs a camera and records a scene on the scene through the camera, A variety of helmet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detect dam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event of a danger such as a protective helme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use of the helmet.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보호 헬멧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사고의 증거물로 활용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 특히 후방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대처하기에는 다소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Meanwhile, the protective helmet provided with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designed to stor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to use it as evidence of various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order to do this,

또한, 스키, 스케이트 등의 이동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 범위를 벗어난 상태 즉, 사용자의 후방에 대한 정보는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대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어 더욱 큰 인명사고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moving means such as skiing or ska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out-of-sight range,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ar of the user is inevitably fragile, There was a problem caused by human accidents.

또한, 자전거, 오토바이 등 기본적인 미러 등을 이용하여 후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숙달된 운전자가 아니라면 전방만을 주시하면서 운전을 하기 때문에 후방에 대한 정보 습득이 미약할 수밖에 없어 후방에 대한 안전사고에는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In addi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check information on the rear side by using a basic mirror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if the driver is not a mastered driver, driving is performed while observing only the front side. It was very vulnerable.

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제1,092,222호: 헬멧Prior Art 1: Korea Patent No. 1,092,222: Helmet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주행 중 후방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기능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elmet having a display unit in front of a helmet to provide a rear image to a user while driv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사고 현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elmet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an accident site when an accident occurs, so that accident handling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토바이 운전자 또는 후방 차의 운전자 모두 충돌 사고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게 하여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elmet capable of preventing a collision by making a driver of a motorcycle or a driver of a rear car have a warning against collis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헬멧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을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현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정의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rear of a helmet,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and transmits the site information to the predefin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helmet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상기 헬멧은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후방의 차량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비컨부, 빛 또는 소리로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컨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를 근거로 상기 경고 발생부에서 경고를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helmet further includes a beacon unit for emitting an ultrasonic signal, a beac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a warning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with light or soun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ignal from the beacon unit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and control the warning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warning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또한, 헬멧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상기 현장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helme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and the controller may transmit the current position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to the external device by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in the field information.

상기 현장정보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시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el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a time, and a loc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주행 중 후방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elmet to provide a user with a rear image during driving.

또한, 헬멧에 충격센서를 설치하고,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 또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 현장 정보를 기 정의된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n impact sensor is installed on the helme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or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f an accident occurs, the si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defined external device , Accident handling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또한, 헬멧에 비컨부를 설치하여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거리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므로, 오토바이 운전자 또는 후방 차의 운전자 모두 충돌 사고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게 하여 충돌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beacon unit is installed in the helmet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and a warn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so that the driver of the motorbike or the driver of the rear car can be alerted to a collision acciden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헬멧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헬멧의 블록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functional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헬멧'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implemented by the schematic drawings to easi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each constituent unit described below is on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other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solely by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lso,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gether by one hardware or software.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Also, the expression " comprising " is intended to merely denote that such elements are present as an expression of " open ",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additional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헬멧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functional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헬멧(100)은 후방 영상의 촬영을 위한 촬영부(106)가 내장되며 전방에 디스플레이부(104)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multifunctional helmet 100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6 for photographing a rear image, and a display unit 104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ultifunctional helmet 10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촬영부(106)는 사용자가 헬멧(100)을 착용하였을 경우, 후방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헬멧(100)의 후방, 상부 등에 장착된다. 촬영부(106)는 예컨대, 카메라일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helmet 100, the photographing unit 106 is mounted on the rear, upper, or the like of the helmet 100 to enable photographing of the backward image. The photographing unit 106 may be, for example, a camera.

촬영부(106)는 소형으로써, 렌즈 부분을 제외하고는 헬멧(100)에 내장될 수 있다. 촬영부(10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 좌, 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공지의 구동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6)는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하거나, 일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평형 유지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The shooting section 106 is small and can be embedded in the helmet 100 except for the lens sec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6 may include known driving means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up, down, left, and right by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6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maintaining driving unit that can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or maintain one direction.

디스플레이부(104)는 전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4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obscure the front view, and may be formed in a foldable manner so as to confirm the rearward image.

디스플레이부(104)는 평상시에는 외측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후방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스위치부를 온(On) 상태로 변경하면, 디스플레이부(104)가 내려와 착용자의 시야 범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104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outer cover, and when the switch unit is turned on to check the rear image, the display unit 104 is lowered to be positioned in the field of view of the wearer.

여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4)를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04)는 시스루(see through) 디스플레이로 형성하여, 촬영부(106)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헬멧(100)의 전방을 겹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시스루 디스플레이는 한 쪽면에서 다른 면이 보이는 디스플레이다. 사용자는 시스루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후방 영상과 헬멧(100)의 전방을 동시에 볼 수 있으며, 후방 영상과 헬멧(100)의 전방을 겹쳐서 봄으로써, 전방 및 후방에 대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4 is formed as a see through display so that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front of the helmet 100 So that they can be overlapped. The see-through display is a display with one side to the other. The user can see both the rear image outputted to the see-through display and the front of the helmet 100 and can directly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front and rear by overlapping the rear image and the front of the helmet 100. [

이러한 헬멧(100)은 모터 바이크, 싸이클, 경주용 차량, 야외 레저용으로 착용하기 위한 각종 다양한 헬멧에 적용 가능하다.
The helmet 100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helmets to be worn for motorbikes, cycles, racing vehicles, and outdoor leisur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헬멧의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 헬멧(100)은 통신부(102), 디스플레이부(104)0, 촬영부(106), 충격센서(108), 비컨(beacon)부(110), 경고 발생부(112), 제어부(114), 위치 측정부(116), 스위치부(118), 마이크(120), 스피커(122), 저장부(124), 배터리(126)를 포함한다. 2, the multifunctional helmet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2, a display unit 104, a photographing unit 106, an impact sensor 108, a beacon unit 110, an alarm generating unit 112 A control unit 114, a position measuring unit 116, a switch unit 118, a microphone 120, a speaker 122, a storage unit 124, and a battery 126.

통신부(102)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외부 장치는 경찰서, 소방서 등과 같은 기관에 설치된 서버, 사용자 단말장치(예컨대, 스마트폰 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server installed in an institu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etc., a user terminal device (e.g., a smart phone), and the like.

통신부(102)는 헬멧(100)과 외부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2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terconnects the helmet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02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or satellite communication,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Internet, Modules,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 영상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가 이동단말인 경우 외부 장치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또는 음성 통화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음성 통화를 위하여 스피커(122) 및 마이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22)는 헬멧(100)을 착용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귀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스피커(122)는 음악 청취를 위하여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스테레오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헬멧(100)을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입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120), 스피커(122)는 헬멧(100)에 내장될 것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n external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transmit or receive an audi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or a voice cal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termi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122 and a microphone 120 for voice communication of an audio signal. The speaker 122 may be installed near the user's ear when the helmet 100 is worn. Preferably, at least two speakers 122 are provided for listening to music and may have a stereo function. The microphone 120 may be installed near the mouth when the user wears the helmet 100. The microphone 120 and the speaker 122 will be embedded in the helmet 100.

디스플레이부(104)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후방 영상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04 displays the backwar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4.

촬영부(106)는 헬멧(100)의 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106 photographs the back of the helmet 100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114. [

충격센서(108)는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When an impact is detected, the impact sensor 108 detects the impact value and transmits the impact value to the control unit 114.

충격 센서(108)로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일정 주기로 측정되는 값을 제어부(114)에서 모니터링하다가, 일정 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이것을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충격 센서(108)로는 위 센서들 이외에 충격을 검출해낼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impact sensor 108, one of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may be used. The controller 114 monitors a value measured at a certain period in the geomagnetic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and determines that the impact is applied when the value is changed over a predetermined value. As the impact sensor 108,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impact other than the above sensors can be used.

비컨부(110)는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후방의 차량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비컨부(110)는 예컨대,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acon unit 110 emits an ultrasonic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4, which is returned to the rear vehicle. The beacon unit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경고 발생부(112)는 제어부(114)에 제어에 따라 빛 또는 소리로 경고를 발생한다. 경고 발생부(112)는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rning generating unit 112 generates a warning with light or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4. [ The warning generating unit 112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generates light, a speaker that transmits sound, and the like.

위치 측정부(116)는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 측정부(116)는 예를 들면, GPS 모듈일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116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16 may be, for example, a GPS module.

제어부(114)는 주행이 시작되면 촬영부(106)를 작동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부(106)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24)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14 activates the photographing unit 106 to photograph the image when traveling starts and stores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6 in the storage unit 124. [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4)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에서 출력 가능한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4)에 출력시킨다. The control unit 114 process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04 to output the processed image. That is, the control unit 114 convert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into a video signal that can be outputted from the display unit 104, and outputs the converte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04. [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충격센서(108)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을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현장정보를 통신부(102)를 통해 기 정의된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현장정보는 현장의 영상, 시간,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4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or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108 and transmits the fiel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0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2 To the predefined external device. The fiel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image, time, location, etc. of the site.

즉,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후방 차량이 기 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 정방향이 아닌 경우, 후방 차량과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 등을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그 영상을 현장정보로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4)는 충격 센서(108)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그때의 영상을 현장정보로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과 충격센서(108)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을 조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영상을 현장정보로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14 analyz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When the rear vehicle is not in the for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n the backward vehicle and the vehicle aboard the user coexist,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as the scene information. If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108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114 determines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transmits the image at that time to the external device as the scen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14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and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108.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통신부(102)가 근거리 통신만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14)는 현장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는 현장정보를 기 정의된 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02 is capable of only local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14 transmits the si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transmit the site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predefined institution.

제어부(114)는 비컨부(11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경고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14)는 비컨부(110)로부터 초음파 신호가 방사되면 방사된 초음파 신호가 장애물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에코 신호로부터 시간차에 기반하여 거리를 산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14)는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 만약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보다 작으면, 제어부(114)는 경고 발생부(112)를 통해 알람을 발생한다. 즉, 오토바이로부터 후방의 차까지의 거리가 이미 설정된 임계거리보다 작으면 충돌 사고의 확률이 증가하므로, 이를 오토바이 운전자에게 통지할 필요할 있다.Upon receiving the ultrasonic signal from the beacon unit 110, the control unit 114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 and generates a warn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ance. That is, the control unit 114 calculates the distance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echo signal, which is emitted when the ultrasonic signal is emitted from the beacon unit 110, and the ultrasonic signal is reflected back from the obstacle. Then, the control unit 114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the control unit 114 generates an alarm through the alarm generating unit 112. That is, if the distance from the motorcycle to the rear vehicl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the probability of a collision increases, and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notify the driver of the motorcycle.

제어부(114)는 경고 발생부(112)의 발광부를 통해 빛을 발광함으로써 후방의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후방의 차와의 거리에 따라 발광부를 다른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경고 발생부(112)의 스피커를 통해 오토바이의 운전자 또는 후방의 차의 운전자에게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토바이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경고는 후방의 차와 근접하므로, 조심하라는 경고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후방의 차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경고는 알람 소리와 같은 경고 소리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emit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warning generating unit 112 to provide a warning to the driver driving the rear vehic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4 may emit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4 may provide a sound to the driver of the motorcycle or the driver of the rear car through the speaker of the warning generating unit 112. [ In this case, the warning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motorcycle may be a caution message because it is close to the rear vehicle. Or the driver of the rear car may be a warning sound such as an alarm sound.

이에 따라, 오토바이 운전자 또는 후방 차의 운전자 모두 충돌 사고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게 되어 충돌 사고의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비컨부(110)가 헬멧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 차량과의 충돌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컨부(110)는 헬멧의 우측 및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오토바이 운전자는 오토바이의 우측 및 좌측에 있는 차들에 대해서도 충돌 사고에 대한 경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motorcycle or the driver of the rear car has a vigilance against a collision accident, and the risk of collision can be reduced. Here, the beacon unit 110 is provided behind the helmet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rear vehicle, but the beacon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elmet. In this case, the motorcycle driver can be provided with a warning of a collision accident with respect to the car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torcycle.

제어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unit, which may be a gener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grammable device device (CPLD, FPGA) that is suitably implemented for a specific purpose,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스위치부(118)는 촬영부(106), 디스플레이부(104)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고,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버튼과 전원 차단버튼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14)와 연동하여 전원 공급버튼 선택시, 제어부(114)는 배터리(126)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 차단버튼 선택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The switch unit 118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not shown) of the photographing unit 106 and the display unit 104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button and the power- When the power supply button is sel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14, the control unit 114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126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off button is selected.

스위치부(118)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4)는 마이크(120)를 이용한 음성 명령 인식을 통해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switch unit 118 is not provided, the control unit 114 can perform power supply or power off through voice command recognition using the microphone 120.

제어부(114)는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으로 압축 및 복원하여 저장부(124)로 전송함으로써,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4 convert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into a digital signal, compresses and restores the digital image into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storage unit 124, .

저장부(124)는 제어부(114)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한 번 기록된 디지털 신호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 카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는 인터페이스 슬롯(Slot)의 두께로 구분되는 CF 메모리 카드(Compact Flash Memory Card), CF 메모리 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MMC(Multi Media Card), 호환성이 높으며,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집적도가 높은 SD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등이 사용된다.The storage unit 124 is preferably a memory card in which compresse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controller 114 and the digital signal once recorded is not erased. It is similar in size to a CF memory card (Compact Flash Memory Card) and a CF memory card, but has a remarkably small MMC (Multi Media Card). It is highly compatible, has a relatively small size, An SD memory card (Secure Digital Memory Card) or the like is used.

이와 같은 저장부(124)는 착용자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컴퓨터 등과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외측 커버에 연결 소켓(미도시)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124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socket (not shown) on the outer cover so that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4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uter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ored image data from the outside.

배터리(126)는 충전식 내장형 또는 착탈식 배터리 팩이 적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126 may be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or a removable battery pack.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헬멧(100)은 헬멧 착용자가 스위치부(118)의 전원 공급버튼을 선택하거나 전원 공급 음성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4)는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04)의 구동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부(104)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로 전송하여 착용자가 후방에 대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helmet 100 constructed as above, when the helmet wearer selects a power supply button of the switch unit 118 or inputs a power supply voice command, the controller 114 senses the power supply button, The display unit 104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104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4 so that the wearer can check the image of the rear side.

또한, 헬멧(100)을 착용한 착용자가 스위치부(118)의 전원 차단버튼을 선택하거나 전원 차단 음성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4)는 디스플레이부(104)의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부(104)가 평상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124)에 저장하도록 한다.When the wearer wearing the helmet 100 selects a power cutoff button of the switch unit 118 or inputs a power off voice command, the controller 114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of the display unit 104 So that the display unit 104 is placed in a normal stat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4.

이처럼 헬멧(100)의 후방에 촬영부(106)를 설치하고, 헬멧(100)의 전방에 촬영부(106)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04)를 설치하여 이 헬멧 착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후방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켜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manner, a photographing unit 106 is provided behind the helmet 100, and a display unit 104, which output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6,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elmet 1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mage of the rear side through the unit 104 in real time,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cope with safety accidents and minimize human accid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헬멧 102 : 통신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6 : 촬영부
108 : 충격센서 110 : 비컨(beacon)부
112 : 경고 발생부 114 : 제어부
116 : 위치 측정부 118 : 스위치부
120 : 마이크 122 : 스피커
124 : 저장부 126 : 배터리
100: helmet 102: communication unit
104: display unit 106: photographing unit
108: impact sensor 110: beacon unit
112: warning generating unit 114:
116: position measuring unit 118: switch unit
120: microphone 122: speaker
124: storage unit 126: battery

Claims (4)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헬멧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값을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현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정의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헬멧.
A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rear of the helmet;
A shock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picked up by the photographing unit so as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the impact value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ite information to a predefin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multifunctional helmet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후방의 차량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비컨부; 및
빛 또는 소리로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컨부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를 근거로 상기 경고 발생부에서 경고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멧.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acon unit which emits an ultrasonic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And an alarm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warning with light or sound,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based on a signal from the beacon unit, and controls the warning unit to generate a warning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상기 현장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멧.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current position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in the fiel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to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정보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시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멧.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el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a time, and a loc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KR1020140138490A 2014-10-14 2014-10-14 Multi-functional helmet KR101629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90A KR101629175B1 (en) 2014-10-14 2014-10-14 Multi-functional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90A KR101629175B1 (en) 2014-10-14 2014-10-14 Multi-functional helm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06A true KR20160043806A (en) 2016-04-22
KR101629175B1 KR101629175B1 (en) 2016-06-13

Family

ID=5591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90A KR101629175B1 (en) 2014-10-14 2014-10-14 Multi-functional helm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175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52B1 (en) * 2018-02-20 2019-07-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ace shiel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63881B1 (en)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accident-preventing helme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77591A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CN114359805A (en) * 2022-01-04 2022-04-15 济南昊影电子科技有限公司 Riding state acquisition and accident analysis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53814A (en) * 2020-10-23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uto clamp device
KR20220068818A (en)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detachable AR device
KR20220077554A (en)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KR102413482B1 (en) * 2021-08-30 2022-06-28 부성스틸(주) Smart helmet with multipurpose safety structure
KR102436805B1 (en) * 2021-05-12 2022-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isk alert unit and Risk alert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415A (en) * 2007-12-21 2009-06-25 휴롭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helmet
KR20120035383A (en) * 2010-10-05 2012-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lmet provid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91091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venting motorcycle crash and helmet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415A (en) * 2007-12-21 2009-06-25 휴롭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helmet
KR20120035383A (en) * 2010-10-05 2012-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lmet provid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91091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venting motorcycle crash and helmet apparatus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제1,092,222호: 헬멧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52B1 (en) * 2018-02-20 2019-07-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ace shiel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63881B1 (en)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accident-preventing helme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77591A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KR20210101182A (en) 2019-12-17 2021-08-18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KR20220053814A (en) * 2020-10-23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uto clamp device
KR20220068818A (en)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detachable AR device
KR20220077554A (en)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KR102436805B1 (en) * 2021-05-12 2022-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isk alert unit and Risk alert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13482B1 (en) * 2021-08-30 2022-06-28 부성스틸(주) Smart helmet with multipurpose safety structure
CN114359805A (en) * 2022-01-04 2022-04-15 济南昊影电子科技有限公司 Riding state acquisition and accident analysis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175B1 (en)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175B1 (en) Multi-functional helmet
US10219571B1 (en) In helmet sensors providing blind spot awareness
US9247779B1 (en) Enhance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ased functionality for helmets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CN104771132B (en) Detection visual neglect is assembled based on eyes
US9445639B1 (en) Embedding intelligent electronics within a motorcyle helmet
JP2010081480A (en) Portable suspicious individual detecting apparatus, suspicious individual detecting method, and program
US9833031B2 (en) Safety accessory with situational awareness and data retention
JP2016186786A (en) Wearable smart device for hazard detection and warning based on image and audio data
KR101092222B1 (en) Helmet
US10088911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elmet
KR101941904B1 (en) Multi function Smart Helmet
JP2010185155A (en) Helmet with index-projecting means
KR20150106091A (en) Smart Helmet of Laser HUD method
KR20190036703A (en) Smart cane
JP2013008307A (en) Surroundings monitoring device for pedestrian
KR20170116895A (en) Head up display device attachable or detachable goggles or helmet
KR20150058866A (en) Smart black box Helme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black box service using that smart blackbox Helmet
KR20130123117A (en) Smart helmet
KR20160011342A (en) System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of two-wheeled vehicle, and method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366349B1 (en) Guard equipment with video system
NL2013234B1 (en) Head mounted display assembly comprising a sensor assembly having a rear view sensing area direction.
KR101848473B1 (en) Helmet for delivery system
US11533961B1 (en) Multi-functional vehicle helmet
JP6766403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