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39A -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739A
KR20160043739A KR1020140138325A KR20140138325A KR20160043739A KR 20160043739 A KR20160043739 A KR 20160043739A KR 1020140138325 A KR1020140138325 A KR 1020140138325A KR 20140138325 A KR20140138325 A KR 20140138325A KR 20160043739 A KR20160043739 A KR 2016004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power supply
output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837B1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13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6Arrangements using end-cell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내구성이 높으며, 다양한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지를 리튬인산철로 제작함으로써, 긴 수명과 주기 및 내구성을 가지므로 다른 전원 공급장치의 충전지와 비교하여 경제적이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기존 배터리에 비해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강한 순간 출력이 가능한 한편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인화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폭발 위험이 없고, 독성 물질과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경량의 히트파이프를 냉각수단으로 구비하고 하우징을 밀폐시킴으로써, 방수성이 높음은 물론, 방열 효과가 우수한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Potable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내구성이 높으며 다양한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충전지를 리튬인산철로 제작함으로써, 긴 수명과 주기 및 내구성을 가지므로 다른 전원 공급장치의 충전지와 비교하여 경제적이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기존 배터리에 비해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강한 순간 출력이 가능한 한편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인화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폭발 위험이 없고, 독성 물질과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경량의 히트파이프를 냉각수단으로 구비하고, 하우징을 밀폐시킴으로써, 방수성이 높음은 물론, 방열 효과가 우수한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전자 기기들 중에는 휴대폰, 오디오 기기 등 야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휴대용 기기가 있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배터리는 그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휴대용 전기, 전자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전원 공급장치의 하우징(housing)에 액체형 연료 전지의 단위 셀들의 집합인 단극형 마이크로 연료전지로 이루어진 연료전지 스택이 내장되고,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는 압축형 연료 저장기가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연료전지 스택과 결합되며, 하우징 외부에 연료 전지의 전극 반응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외부 방출을 위한 가스 배출구와 전극 반응을 제어하는 반응 제어 스위치 및 전지에서 발생한 전기를 외부로 전달해 주는 전원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콜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대형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본체와 커버가 절첩구조로 구성됨으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된 후, 컨트롤러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값에 의해 다양한 커넥터가 적용되는 커넥팅 유니트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커버에 설치되는 집광판과 함께 커버에 절첩되는 보조 커버에 설치되는 보조 집광판의 적용을 통해 충전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중 특허문헌 1은 단극형 마이크로 액체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소형의 휴대형 전원 공급기를 2차 전지의 충전에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고정된 전기 공급원 유무 및 시간과 공간적 제약에 구애됨이 없이 2차전지에 의하여 동작되는 각종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허문헌 2는 본체와 커버가 절첩구조로 구성됨으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된 후, 컨트롤러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값에 의해 다양한 커넥터가 적용되는 커넥팅 유니트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 공급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기,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겁고, 충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392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내구성이 높으며, 다양한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정전압회로를 적용하여 보다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회로를 구비하여 과전류, 과방전, 과충전으로부터 충전지 및 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하였으며, 충전지의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교류 및 직류를 모두 출력할 수 있고,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충전지를 다수의 충전지셀로 구성하고, 각 충전지셀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원하는 용량으로 충전량과 장치 자체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한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차량의 DC전원을 입력받고 충전기연결포트가 출력단에 연결된 DC입력단과, 상용 전원이 입력되는 AC입력단으로 이루어진 전원입력부; 상기 DC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DC충전지와, AC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AC충전지로 이루어진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지셀에 저장된 전원을 정전압회로를 통해 직류로 출력하는 DC출력포트와, USB출력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USB출력포트와, 인버터에 의해 교류로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AC출력포트를 포함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와 출력부 사이에는 충전부에서 출력부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AC충전지의 출력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AC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AC스위치 및 DC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DC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DC충전지와 AC충전지는 다수의 충전지셀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하우징 일측은 개방되어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의 셀고정슬롯이 형성되어 충전지셀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전지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하우징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히트파이프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직류는 물론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SB포트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등을 충전할 수 있어 다양한 전기 장치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충전지를 다수의 충전지셀로 구성하고, 이를 착탈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충전 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지셀의 수를 조절함에 따라 충전장치 전체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하우징을 밀폐시키고, 하우징의 측벽에 다수의 히트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충정장치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효과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방열 효과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지를 리튬인산철로 제작함으로써, 안정된 정격 전압, 높은 에너지 저장 및 방전특성, 급속 충전, 긴 수명, 안전성, 넓은 사용온도 범위를 가진 매우 이상적이고 친환경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긴 수명 주기와 내구성을 가지므로 다른 전원 공급장치의 충전지와 비교하여 경제적이고, 자연 방전율이 매우 적고, 고온과 저온에서 작동효율이 좋으며, 급속충전이 가능하고, 빈번한 충전ㆍ방전에도 메모리 효과가 적고, 과방전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기존 배터리에 비해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강한 순간 출력이 가능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인화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폭발 위험이 없고, 독성 물질과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정전압회로의 일예로 5V 출력회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정전압회로의 일예로 12V 출력회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부 회로의 일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USB 출력회로의 일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또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히트파이프의 서로 다른 배치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에서 히트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에서 히트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내구성이 높으며 다양한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도면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DC전원을 입력받고 충전기연결포트(40c)가 출력단에 연결된 DC입력단(10d)과, 상용 전원이 입력되는 AC입력단(10a)으로 이루어진 전원입력부(10); 상기 DC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DC충전지(20d)와, AC입력단(10a)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AC충전지(20d)로 이루어진 충전부(20); 상기 충전부의 충전지셀에 저장된 전원을 정전압회로(42)를 통해 직류로 출력하는 DC출력포트(40d)와, USB출력회로(43)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USB출력포트(40u)와, 인버터(44)에 의해 교류로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AC출력포트(40a)를 포함하는 출력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입력부(10)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장치에 구비된 충전부(20)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20V의 상용전원(물론, 110V를 상용전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110V 상용전원이 될 수 있음)을 입력받는 AC입력단(20d)과 차량이나 다른 여타의 DC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DC입력단(10d)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용전원에 연결된 전원소켓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AC입력단(10A)에 연결되고, DC전원의 소켓에 접속되는 DC플러그가 DC입력단(10D)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입력부(10)의 후단에는 입력된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도면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입력부를 구성하는 AC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AC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AC충전지(20a)와, DC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DC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DC충전지(20d)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DC충전지(20d)의 출력단에는 외부의 충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충전기포트(40c)를 더 설치하여 본 발명의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의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충전부(20)에 충전된 전기를 다른 외부의 전기, 전자 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출력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출력부(40)는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의 전기, 전자 기기의 종류에 맞추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출력포트(40d, 40a, 40u)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출력포트(40d, 40a, 40u)들에는 직류를 사용하는 전기,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DC출력포트(40d)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DC출력포트(40d)는 도면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5V의 전원을 출력하는 포트와 DC12V를 출력하는 포트가 설치될 수 있고, 각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볼트미터(41)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전압이 몇 볼트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40)에는 교류를 출력하는 AC출력포트(40a)도 구비되어 있으며, 이 AC출력포트(40a)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20V(또는 100V)의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전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40)에는 최근 사용이 급증한 휴대폰의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USB포트(40u)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출력부(40)의 각 출력포트들은 출력되는 전원이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므로 충전부(20)의 전원이 해당 포트에 연결되는 전지, 전자 기기에서 요구하는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DC출력포트(40d)의 전단에는 정전압회로(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전압회로(42)는 다양한 종류의 정전압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일예로는 도면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2는 DC 5V 출력을 위한 정전압회로의 일예이고, 도면에서 도 3은 DC 12V 출력을 위한 정전압회로의 일예이다.
물론, 상기 USB포트(40u)의 전단에는 충전부의 전원을 USB포트에 연결되는 휴대폰에서 요구하는 전원으로 변환하고, 휴대폰의 USB포트에 대향되도록 배선된 USB출력회로(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AC출력포트(40a)의 전단에는 AC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전기, 전자 기기가 요구하는 전압으로 변압하기 위한 인버터(44)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 5에는 USB 출력회로의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USB출력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부(20)의 전원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하였고, 이렇게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해 스위칭부(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부(30)는 도면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의 출력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메인스위치(30m), DC출력포트(40d)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DC스위치(30d) 및 AC출력포트(40a)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AC스위치(30a)를 포한한다. 이러한 스위칭부의 회로는 도면에서 도 4에 그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이 또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C충전지(20a)의 출력단에 보호회로(11)와 배터리잔량표시기(2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호회로(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과전류, 과방전, 과충전으로부터 충전지 및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배터리잔량표시기(21)는 충전부에 구비된 충전지들의 잔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원의 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는 충전부(20)를 구성하는 충전지(20a, 20d)를 각각 하나의 충전지셀로 구성할 수 있으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전지셀(90)로 구성하고, 각 충전지셀(90)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일측벽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에 도어(70)를 설치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셀(90)을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50)은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게 하였고, 도어(70)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였으며, 내부에는 셀고정슬롯(50s)을 형성하여 충전지셀(90)이 안정적으로 탈착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50)의 외부에는 손잡이(50h)를 설치하여 이동시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손잡이(50h)는 하우징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보관이나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가 접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는 입출력패널(50p)을 설치하여 상기한 전원입력부(10), 출력부(40)를 구성하는 소켓이나 플러그가 설치되고, 도면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잔량표시기(21)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는 하우징(5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히트파이프(80)를 더 설치하여 하우징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방열이 잘 될 수 있게 하였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를 고전압용으로 사용할 경우, 자체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며, 이 열을 방출하기 위해 냉각팬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밀폐할 수 없어 우천시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합선을 일으키는 등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하우징(50)을 밀폐시키고, 히트파이프(80)를 설치하여 방열 효율을 높임으로써, 방열은 충분히 이루어지되 누수에 의해 내부의 구성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히트파이프(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히트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히트파이프의 원리에 대하여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에서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히트파이프(80)를 배열하였으며, 그 예는 도면에서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면에서 도 9a와 도 9c는 하우징의 여러 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히트파이프를 하나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 9a는 각 면에 주관을 설치하고, 주관과 수직을 이루도록 다수의 분기관을 설치한 것이고, 도면에서 도 9c는 하나의 히트파이프를 미엔더(meander) 구조로 구불구불하게 배열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도 9b 및 도 9d는 하우징의 각 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히트파이프(80)를 설치한 것의 서로 다른 예로서, 도면에서 도 9b는 각 면에 주관을 설치하고, 주관과 수직을 이루도록 다수의 분기관을 설치한 것이고, 도면에서 도 9d는 각 면에 하나의 히트파이프를 미엔더(meander) 구조로 구불구불하게 배열한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도 10과 도 11은 히트파이프(80)의 설치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하우징(50)의 측면에 히트파이프(80)와 대응하는 형태로 홀(50a)을 형성하고, 상기 홀(50a)에 히트파이프(80)를 끼워 삽입한 다음, 상기 홀(50a)의 둘레와 히트파이프(80) 사이에 패킹(50b)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하우징(50)을 밀폐시켜 방수기능을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하우징(50)의 홀(50a)에 히트파이프(80)를 끼워 설치함에 따라 히트파이프(80)가 하우징(5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방열효과를 높이는 한편 하우징(50)의 기밀성을 높이며, 상기 히트파이프(50)에서 열을 흡열하는 부분은 인버터(44)나 충전지셀(9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온으로 발생하는 열을 흡열하여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80)를 이용한 방열 수단의 배열을 도시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도면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0: 전원입력부 10d: DC입력단
10a: AC입력단 11: 보호회로
20: 충전부 20d: DC충전지
20a: AC충전지 21: 배터리잔량표시기
30: 스위칭부 30m: 메인스위치
30d: DC스위치 30a: AC스위치
40: 출력부 40d: DC출력포트
40a: AC출력포트 40u: USB출력포트
40c: 충전기연결포트 41: 볼트미터
42: 정전압회로 43: USB출력회로
44: 인버터 50: 하우징
70: 도어 80: 히트파이프
90: 충전지셀

Claims (6)

  1. 차량의 DC전원을 입력받고 충전기연결포트(40c)가 출력단에 연결된 DC입력단(10d)과, 상용 전원이 입력되는 AC입력단(10a)으로 이루어진 전원입력부(10);
    상기 DC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DC충전지(20d)와, AC입력단(10a)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AC충전지(20d)로 이루어진 충전부(20); 및
    상기 충전부의 충전지셀에 저장된 전원을 정전압회로(42)를 통해 직류로 출력하는 DC출력포트(40d)와, USB출력회로(43)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USB출력포트(40u)와, 인버터(44)에 의해 교류로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AC출력포트(40a)를 포함하는 출력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부(20)와 출력부(40) 사이에는 충전부에서 출력부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칭부(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30)는,
    상기 AC충전지(20a)의 출력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30m)와, AC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AC스위치(30a) 및 DC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DC스위치(30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AC충전지(20a)의 출력단에는 보호회로(11)와 배터리잔량표시기(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DC충전지(20d)와 AC충전지(20d)는 다수의 충전지셀(90)을 병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하우징(50) 일측은 개방되어 도어(7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다수의 셀고정슬롯(50s)이 형성되어 충전지셀(9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전지(20d, 20a)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장치의 하우징(50)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히트파이프(8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50)의 측면에 히트파이프(80)와 대응하는 형태로 홀(50a)을 형성하고, 상기 홀(50a)에 히트파이프(80)를 끼워 삽입한 다음, 상기 홀(50a)의 둘레와 히트파이프(80) 사이에 패킹(50b)을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1020140138325A 2014-10-14 2014-10-14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10163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25A KR101633837B1 (ko) 2014-10-14 2014-10-14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25A KR101633837B1 (ko) 2014-10-14 2014-10-14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39A true KR20160043739A (ko) 2016-04-22
KR101633837B1 KR101633837B1 (ko) 2016-07-08

Family

ID=5591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325A KR101633837B1 (ko) 2014-10-14 2014-10-14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1044A (zh) * 2017-03-31 2017-07-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防otg误触发的方法
KR101868091B1 (ko) * 2017-03-24 2018-06-19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전원 공급 장치
CN112959907A (zh) * 2021-04-13 2021-06-15 东营科技职业学院 一种汽车新能源便携式充电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917B1 (ko) 2018-12-24 2020-01-16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392B1 (ko) 1999-11-08 2002-07-15 손재익 알콜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대형 전원 공급장치
KR20120000788U (ko) * 2010-07-22 2012-02-02 정국진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KR101197243B1 (ko) * 2011-09-16 2012-11-05 이관용 휴대용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
KR20130066651A (ko) * 2010-12-28 2013-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수납장치, 배터리 모듈 온도조절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20130102964A (ko)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메가베스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셀 카트리지
KR101326234B1 (ko) 2012-05-02 2013-11-11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392B1 (ko) 1999-11-08 2002-07-15 손재익 알콜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대형 전원 공급장치
KR20120000788U (ko) * 2010-07-22 2012-02-02 정국진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KR20130066651A (ko) * 2010-12-28 2013-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수납장치, 배터리 모듈 온도조절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1197243B1 (ko) * 2011-09-16 2012-11-05 이관용 휴대용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
KR20130102964A (ko)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메가베스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셀 카트리지
KR101326234B1 (ko) 2012-05-02 2013-11-11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91B1 (ko) * 2017-03-24 2018-06-19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전원 공급 장치
CN106961044A (zh) * 2017-03-31 2017-07-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防otg误触发的方法
CN112959907A (zh) * 2021-04-13 2021-06-15 东营科技职业学院 一种汽车新能源便携式充电枪
CN112959907B (zh) * 2021-04-13 2022-03-18 东营科技职业学院 一种汽车新能源便携式充电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837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837B1 (ko)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US10586972B2 (en) Battery pack
CN103368222A (zh) 便携式电力系统
KR101632339B1 (ko)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1867765B1 (ko) 이동형 에너지 저장 장치
RU2005104545A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с внутренней самозащитой для подземных горных работ
AR120379A1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electricidad nivelador de carga para fracturación hidráulica eléctrica
EP2512002A2 (en) Solar energy portable power bank
KR200465609Y1 (ko)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WO2018170501A1 (en) Power pack
MY170641A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499930B1 (ko) 배터리팩 케이스
KR101190089B1 (ko) 휴대용 다기능 충전장치
CN204794269U (zh) 一种手提式移动电源
KR200363322Y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외부 전원장치
WO2002041465A3 (en) High capacity compact power source and control features
KR10148028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터리팩 모듈
KR20100043757A (ko) 축전지 캐리어
TWM464918U (zh) 二次電池的主動式平衡充放電控制裝置
KR20140037346A (ko) 태양전지 이용 휴대단말기 충전 거치대
CN204615459U (zh) 一种分拆式电源箱
CN201025379Y (zh) 低压蓄能电热炉
CN206271770U (zh) 12v锂电模块充放电保护电路
GR1009796B (el) Μεταφερομενο υβριδικο συστημα παροχης ενεργειας
CN216213637U (zh) 一种具有安全性高的快速散热锂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