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188A -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188A
KR20160043188A KR1020140136684A KR20140136684A KR20160043188A KR 20160043188 A KR20160043188 A KR 20160043188A KR 1020140136684 A KR1020140136684 A KR 1020140136684A KR 20140136684 A KR20140136684 A KR 20140136684A KR 20160043188 A KR20160043188 A KR 20160043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home
wearer
home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경
신인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3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188A/ko
Publication of KR2016004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슬리퍼 형태로 발에 착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집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SMART HOME WEARABL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활동 정보를 바탕으로 라이프패턴 학습형 스마트홈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가 발에 쉽게 착용 가능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은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게 되고, 특히 휴식과 재충전을 위한 주거 공간의 환경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최근의 스마트 기능을 가진 주택에서는 첨단의 오토메이션 기능을 통해 실내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가 외부 또는 내부에서 자신의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세대 내의 가전기기들의 상태를 조회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기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그 제공 기능들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건강도 체크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발에 슬리퍼 형태로 착용 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라이프패턴 학습형 스마트홈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슬리퍼 형태로 발에 착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집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자 정보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용자의 인식 정보,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홈 클라우드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상기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은 슬리퍼 형태로 발에 착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상기 착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자 정보와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는 홈 클라우드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상기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또는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 정보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용자의 인식 정보,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에 슬리퍼 형태로 착용 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라이프패턴 학습형 스마트홈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통한 스마트홈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과 스마트홈 객체 및 홈 클라우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명령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상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활동 정보를 바탕으로 라이프패턴 학습형 스마트홈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가 발에 쉽게 착용 가능한 슬리퍼의 형태를 가진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통한 스마트홈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플랫폼 내부에 센서, 통신 장치,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플랫폼(스마트폰, PC), 홈 클라우드,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 그리고 사용자 간의 데이터 흐름을 형성하여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발에 착용하는 형태로써 집안 내에서 사용자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체 상태 및 활동 정보 수집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홈 클라우드와의 직접 연결이 가능해서 클라우드와의 정보 동기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네트워크 및 데이터 저장 장치가 있어서 스마트홈 객체 및 기존 플랫폼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집이라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우면서도, 착용자의 위치, 자세, 움직임, 및 신체 상태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가능한 슬리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착용자 신체 및 활동 정보, 착용 상황, 사용자의 설정 등의 데이터를 각 객체로 송신하는 것을 통해, 착용자가 이를 신음으로써 스마트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수집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 그리고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부가적인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센서 및 장치들(일례로, 마이크, 디스플레이, 버튼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실행부가 추가될 수 있다.
수집부(310)는 슬리퍼 형태로 착용자의 발에 착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의 정보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착용자의 인식 정보, 착용자의 위치 정보, 착용자의 신체 정보,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수집부는 바이오센서, 압력 센서 등을 활용하여 착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압력 센서,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광센서 등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위치, 움직임, 자세(서있는지, 앉았는지, 걷는 중인지 등)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는 바이오센서 등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건강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을 이용한 간단한 입출력(발을 구름, 발 회전 등) 등에 의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 파악은 RFID, WiFi,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정보를 종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압력 센서, 광 센서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발의 접촉 상태 및 발의 온도, 압력의 분포 상태, 습도, 체지방량 등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양말을 신고 착용하는 신발과 달리 가정 내에서 슬리퍼를 착용할 경우 맨발로 착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존의 스마트 신발 등과 같은 기기에서 측정하는 운동량 및 발의 압력 분포 이외에 사용자의 심박수, 체질량지수, 체온 등 보다 다양한 생체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다.
더욱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밴드 등의 기존의 플랫폼에 비해 착용자 위치 및 착용자 상태 정보 수집에 용이하며, 또한 가정 내 컨택스트 기반 사용자의 상태 추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침대 앞까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사용자가 착용한 것이 인식된 뒤, 사용자가 본 플랫폼을 벗었다면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것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데이터)와 네트워크로 전송된 스마트홈 객체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다른 저장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는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과 착용자의 신체 및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혹은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수집부와 저장부로부터 착용자 정보와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홈 객체는 가정 내에 속하며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모든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전 제품(조명, 가습기, 냉장고 등), 측정 기기(체중계, 혈당계, 혈압계 등), 설비(수도, 가스보일러 등) 등의 가정 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다수의 제품 및 기존 제품에 부착되어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홈 객체 정보는 현재 실내 온도, 수도량, 에어컨 작동 기록 등의 사용 히스토리, 각종 스마트홈 객체들의 배터리 잔량, 작동 유무 등 기기 정보, 커피머신의 비율, 선호하는 물의 온도 등 사용자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스마트홈 객체와 홈 클라우드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홈 클라우드와 무선통신하여 수집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이 홈 클라우드 통해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홈 클라우드를 동기화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홈 객체 및 기존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가 인터넷(또는 홈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블루투스 같은 단거리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 자연스러운 스마트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행부는 스마트홈 객체에서 요청된 정보 목록 중 저장된 정보를 각 객체로 전송하여 홈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도 일부 설정 사항(예를 들면, 근접시 전원 ON, 착용자 정보에 따른 화면 출력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과 스마트홈 객체 및 홈 클라우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홈 시스템은 스마트홈 객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그리고 홈 클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홈 객체는 가정 내에 속하며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모든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전 제품(조명, 가습기, 냉장고 등), 측정 기기(체중계, 혈당계, 혈압계 등), 설비(수도, 가스보일러 등) 등의 가정 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다수의 제품 및 기존 제품에 부착되어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과 착용자의 신체 및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혹은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홈 클라우드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에서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스마트 기기) 등에서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가 인터넷(또는 홈 클라우드) 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블루투스 같은 단거리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 자연스러운 스마트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마트홈 객체와 사용자간 인터랙션이 발생하는 경우, 그 객체의 인터랙션하는 방법은 본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맞춤화될 수 있다. 다수의 스마트홈 객체와 플랫폼 간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경우 플랫폼에 저장된 설정 정보 및 명령 등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스마트홈 객체로부터는 사용 정보 및 기기 상태 등의 객체 관련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된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메인 서버와 통신 가능 상태일 때 메인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명령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하고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510)에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은 슬리퍼 형태로 착용자의 발에 착용되어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홈 클라우드를 동기화를 할 수 있다.
센서는 슬리퍼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 정보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착용자의 인식 정보, 착용자의 위치 정보, 착용자의 신체 정보,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에서 측정한 착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제어부는 착용자 정보 및/ 또는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들을 조합하여 홈 클라우드에서 적어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는 무선통신을 통해 홈 클라우드에 착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수집한 정보를 홈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된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상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의 흐름이 점선으로 이어져 있는 경우에는 해당 플랫폼 혹은 클라우드에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로컬 네트워크 방식으로 홈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7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1)스마트홈 객체, (2)스마트 웨어러블 플랫폼, (3)홈 클라우드, (4)기존 플랫폼, (5)제 3자 서비스가 각각 생산하는 데이터와 본 시스템이 구성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데이터 흐름에 붙은 번호의 앞의 숫자는 데이터의 시작점(또는 생산점)에 해당하는 요소의 번호와 같다. (예를 들면, (1-1)객체 상태 정보는 (1)스마트홈 객체에서 출발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1)스마트홈 객체에서, (1-1)객체 상태 정보는 객체의 현재 상태(객체 On/Off 상황, 교체 부품의 상황 등)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거쳐 홈 클라우드로 전송되며, 이는 홈 클라우드 내에서 맞춤화 및 사용자가 기존 플랫폼으로 확인하기 위한 로깅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1-2)객체 측정은 다수의 측정 기기의 측정 정보(침대의 수면 퀄리티 측정, 혈압계의 혈압 정보, 정수기의 물 섭취량 등)가 객체 상태 정보와 마찬가지로 플랫폼을 거쳐 홈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로깅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1-3)요청 정보 목록은 스마트홈 객체의 설정으로 저장되어 있는 명령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플랫폼에 요청할 수 있다(근접 유무, 착용자 정보 등).
(2)스마트 웨어러블 플랫폼에서, (2-1)착용 여부, 착용자 정보는 착용/미착용 상황과 신체 데이터(압력 분포도, 체온 등)를 기반으로 한 착용자 인식 정보가 홈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로깅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2-2)신체, 활동, 위치 정보는 착용자의 신체 데이터(체온, 체중, 심박수 등), 활동 데이터(앉아있음, 걷고 있음, 서있음, 걸음수 등), 위치 데이터(거실: 00,00 좌표에 위치 또는 소파 앞에 위치) 등이 홈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로깅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2-3)요청된 정보는 객체에서 요청된 정보 목록 중 본 플랫폼에 저장된 정보를 각 객체로 전송하여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도 일부 설정 사항(근접시 전원 ON, 착용자 정보에 따른 화면 출력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3)홈 클라우드에서, (3-1)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는 홈 클라우드에 축적된 착용자의 로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프 패턴,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데이터(착용자 A에게 적정한 방의 온도, 적정 의자 높이, 적정 조도 등)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거쳐 각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스마트홈 객체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3-2)로깅데이터는 홈 클라우드 내 축적된 로깅 데이터를 사용자가 기존 플랫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3)허용된 로깅데이터는 홈 클라우드 내에서 데이터 가공을 할 수 없거나,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제 3자 서비스를 본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접근을 허용된 로깅데이터가 제 3가 서비스로 전달될 수 있다.
(4)기존 플랫폼에서, (4-1)설정 변경 정보는 기존 플랫폼을 통해 변경한 스마트 홈 객체의 설정 변경 정보가 홈 클라우드, 플랫폼을 거쳐 각 스마트홈 객체로 전송될 수 있고, (5) 제 3자 서비스에서, (5-1)부가 설정 및 데이터는 허용된 로깅데이터(3-3)을 기반으로 생성된 부가 설정 및 데이터를 홈 클라우드로 전송해 사용자가 제 3자 서비스를 스마트홈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스마트홈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착용자가 혈압계가 놓여 있는 책상에 가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의자에 앉을 경우, 혈압계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간 네트워크가 연결된다. 착용자의 위치(혈압계 앞)와 자세(앉아있음)를 감지한 뒤, 그 정보가 혈압계로 전송된다. 혈압계에 혈압계의 전원이 켜지며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준비 모드가 실행되는 등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대로 셋팅된다.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에서 감지된 착용자 정보가 혈압계로 전송되고, 그에 따라 혈압계 디스플레이에서 착용자의 이전 혈압 측정 시간과 기록을 보여준다. 혈압을 측정하고 나면 혈압계에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거쳐 홈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로깅 데이터로 저장된다.
(실시예 2)
아침에 일어나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착용하면, 수면 정보 측정이 가능한 침대에서 밤에 측정되었던 수면 데이터가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거쳐 홈 클라우드로 전송된다. 홈 클라우드에서는 기존 로깅 데이터 및 오늘의 수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 물의 온도 데이터를 생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마트 슬리퍼를 신고 정수기에 가까이 오자 홈 클라우드에서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을 거쳐 정수기로 적정 물의 온도가 전송되어 알맞은 온도의 물을 준비한다. 또한, 오늘의 수면 데이터를 기존의 수면 데이터와 비교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기상 직후 커튼이 열리도록 설정하면, 홈 클라우드와 플랫폼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커튼에 가까이 다가가서 플랫폼과 커튼 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커튼으로 업데이트된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에 슬리퍼 형태로 착용 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라이프패턴 학습형 스마트홈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슬리퍼 형태로 발에 착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집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 정보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용자의 인식 정보,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홈 클라우드를 동기화하고,
    상기 홈 클라우드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홈 클라우드 통해 상기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4. 슬리퍼 형태로 발에 착용되어, 센서를 통해 착용자 정보를 측정하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홈 클라우드를 동기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홈 객체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홈 클라우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무선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자 정보를 홈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전달된 상기 스마트홈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홈 클라우드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또는 상기 스마트홈 객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 정보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용자의 인식 정보,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제어 방법.
KR1020140136684A 2014-10-10 2014-10-10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KR20160043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84A KR20160043188A (ko) 2014-10-10 2014-10-10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84A KR20160043188A (ko) 2014-10-10 2014-10-10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88A true KR20160043188A (ko) 2016-04-21

Family

ID=5591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84A KR20160043188A (ko) 2014-10-10 2014-10-10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1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3911A (zh) * 2020-12-25 2021-04-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用户行为分析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3911A (zh) * 2020-12-25 2021-04-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用户行为分析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486B2 (en) Dynamic control of smart home using wearable device
US8747312B2 (en)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1277039B2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powerless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164951A (zh) 关联广播设备数据和用户账户
KR20170001699A (ko) 보행 자세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736579B2 (en) Baby tracker
WO2022160831A1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控制系统
KR102594947B1 (ko) 명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967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tress relief by same
EP3267555A1 (en) Electronic device driving unpowered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364877A1 (en) Monitoring a physical or mental capability of a person
JP2013196041A (ja) 健康アドバイスシステム、同プログラム
KR20160043188A (ko) 스마트홈 웨어러블 플랫폼 및 제어 방법
US10736541B2 (en) Monitoring liquid and/or food consumption of a person
KR20160103571A (ko)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0205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JP2015099423A (ja) 機器設定装置、機器設定システム及び機器設定方法
EP2687152A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gatew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3711657A1 (en) Walking aid recommendations
CN106502108A (zh) 浴室电器系统以及基于浴室电器系统的数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