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579A -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 Google Patents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579A
KR20160042579A KR1020140136691A KR20140136691A KR20160042579A KR 20160042579 A KR20160042579 A KR 20160042579A KR 1020140136691 A KR1020140136691 A KR 1020140136691A KR 20140136691 A KR20140136691 A KR 20140136691A KR 20160042579 A KR20160042579 A KR 2016004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buried
flo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희
Original Assignee
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희 filed Critical 정상희
Priority to KR10201401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579A/en
Publication of KR2016004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device for a floor fountain. The nozzle device for a floor fountain includes a buried module unit constructed together with a floor to bury the floor fountain in the floor and connected to a pipe buried below the floor; and a detachable module unit detachably attached to a buried container and coupled to the buried module unit after constructing the floor such that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 is injected to the upward side of th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is modularized so that the nozzle is divided into a buried unit buried in the floor fountain and a separation unit easily coupled to the buried unit. Thus, the nozzle device is easily installed in an initial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separa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buried unit to be separately managed during the season for which the floor fountain is not operated, so that the nozzle device may be easily installed an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blocked due to the negligence for a long time.

Description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본 발명은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 fountain nozzl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om fountain nozzle apparatus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최근 공원이나 광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물놀이 시설로서 바닥에 분사 노즐이 매립된 바닥분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 Floating fountains with injection nozzles on the floor have become popular as water facilities available in recent parks and squares.

이러한 바닥분수에는 수조와 배관 및 노즐이 바닥분수의 바닥면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서 등록특허 10-1008354호(바닥분수, 2011년 1월 7일 등록)를 들 수 있다.
These floor fountains are provided with a water tank, piping and nozzles beneath the floor of the floor fountain. An example of this is Registration No. 10-1008354 (Floor Fountain, Registered Jan. 7, 2011).

상기 등록특허의 기재 내용에 따르면 분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를 갖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조를 덮으며 철근 콘크리트로 마련되는 슬라브와, 슬라브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atent, a water tank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a fractional device can be installed, a sla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ub to cover the water tub and provided with reinforced concrete, and a reinforcing fram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lab .

즉, 놀이 공간의 바닥면 하부에 수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수조에 담수된 물을 상부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구조이다.
That is, a water tank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of the play space, and the water is sprayed through a nozzl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이때, 수조의 물을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 및 펌핑 수단들도 모두 수조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조의 내부 공간은 매우 협소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iping and the pumping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nozzle are all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tank becomes very narrow.

특히 바닥분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수조의 깊이를 깊게 설계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조의 담수량이 과도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통상 수조의 깊이를 약 1.3m 정도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조는 그 깊이가 성인 작업자의 키보다 작은 공간이 되고, 그 내부에 배관과 펌핑 수단, 밸브 등 제어장치 등이 모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조를 직접 청소하고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구조이다.
Particularly, when the depth of the water tank is designed to be deep because the area of the bottom water is wide, the water volume of the water tank is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the depth of the water tank is generally set to about 1.3 m. Accordingly, the depth of the water tank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adult worker, and the piping, the pumping means, the valve, and other control devices must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clean the water tank manually, Structure.

또한, 바닥분수에 사용되는 노즐의 예로는 등록특허 10-1278287호(바닥분수용 노즐고정구, 2013년 6월 18일 등록)가 있다. 이 등록특허에는 노즐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노즐지지판을 바닥으로 사용되는 대리석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도 노즐어셈블리를 견고한 고정상태로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바닥분수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과 설치상태에서의 외관성 향상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노즐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n example of a nozzle used in a floor fountain is the registered patent 10-1278287 (bottom nozzle receiving nozzle fixture, registered on June 18, 2013). This patent allows the nozzle assembly to be firmly fixed without fixing the nozzl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nozzle assembly directly to the marble used as the floo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due to installation of the floor fountain, So that the nozzle fixture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그러나 이와 같은 노즐고정구는 바닥분수의 바닥면의 시공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바닥면의 시공과정에서 노즐이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이물이 노즐로 유입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구성에서는 노즐을 바닥면의 시공 후에 시공하는 구조가 있으나 바닥면에 마련된 좁은 홀 내에 공구를 넣어 조립을 해야하기 때문에 노즐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nozzle fixture is required to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fountain,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nozzle may be damag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surface, and foreign mat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nozzle. In another conventional structure,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nozzle is installed after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nozzle because the tool must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tool in a narrow hole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또한 위의 종래 노즐고정구는 한번 설치가 되면 노즐을 분리할 수 없거나, 분리가 매우 어려운 구성이며, 따라서 바닥분수가 운용되지 않는 겨울철에도 노즐이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손상될 수 있으며, 다음의 바닥분수 운용 계절에 다시 점검과 정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nozzle fixture described above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nozzle once it is installed, or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nozzle fixture. Therefore, the nozzle fixture may be damaged in the winter when the floor fountain is not operated, Fountain manag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again in the seas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공사가 완료된 후 노즐을 개별 설치할 수 있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 nozzle unit capable of separately installing nozzles after floor constructio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바닥분수의 비운용 계절에는 노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 fractionation nozzle device in which a nozzle can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during a non-operating season of a bottom fraction.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설치가 용이한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 fountain nozzle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바닥분수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시공과 함께 시공되며, 상기 바닥면 하부에 매립된 배관부에 연결되는 매립모듈부와, 상기 매립함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바닥면의 시공 후 상기 매립모듈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분출하는 탈부착모듈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ttom fountain nozzle apparatus comprising: a floor module including a bottom part and a bottom part, And a detachable module unit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embedding body unit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buried module uni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unit to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노즐을 모듈화하여 바닥분수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그 매립부와는 쉽게 체결이 가능한 분리부를 나누어 구성하여, 최초 설치시 설치가 용이하며, 바닥분수장치를 운용하지 않는 계절에는 분리부를 분리하여 별도 관리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며, 노즐의 장기간 방치에 의한 손상이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ottom floatation nozz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ndfill portion which is modularized by nozzles and which is embedded in the bottom fraction and a separating portion which is easily fastened to the landfill portion so as to be easily installed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separating part during the season when the nozzle is not used,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clogging caused by long-term storage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립부와 분리부의 결합위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joining position of the buried portion and the separating portion, they can be easily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개폐조절부가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wder receiving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of the bottom powder receiving nozzl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respectively.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receiv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wder receiving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바닥분수의 바닥면(1)에 매립설치되는 매립모듈부(100)와, 상기 매립모듈부(100)와 탈부착이 가능한 탈부착모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bottom nozzle un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art 1, a bottom part 1 and a bottom part 2, And a removable attachment / detachment module unit 200.

상기 매립모듈부(100)는, 상기 바닥면(1)의 시공과 함께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바닥면(1) 내에 매립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매립함체부(110)와, 상기 매립함체부(110)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물을 공급하는 배관부(2)에 연결되는 개폐조절부(120)와, 상기 매립함체부(110)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폐조절부(12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andfill module unit 100 includes a landfill unit 110 installed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surface 1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space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1,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art 12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connected to a piping part 2 for supplying water and a control part 120 housed in the buried container part 110 and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art 120 And a flow rate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water.

또한 탈부착모듈부(200)는, 상기 매립모듈부(100)의 유량조절부(130)에 결합되는 유동결합부(210)와, 상기 유동결합부(21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공급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220)과, 상기 노즐(220)의 분사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매립함체부(110)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230)와, 덮개부(230)의 하부측면에 마련되어 빛을 방출하는 조명연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etachable module unit 200 further includes a flow coupling unit 210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130 of the embedding module unit 100 and a water supply unit 210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w coupling unit 210, A lid 230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embedding body 110 to expose an injection port of the nozzle 220 and a lid 23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30, And an illumination direction unit 240 for emitting ligh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bottom nozz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바닥분수의 바닥면(1)은 대리석 등의 석재로 시공되며, 이때 석재의 취급으로 인하여 석재 분말 등 이물이 발생하기 쉽고, 무게가 상당한 자재과 시공도구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처럼 노즐과 바닥면(1)을 동시에 시공하는 경우 노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First, the bottom surface (1) of the floor fountain is constructed of stone such as marble. Since stone material such as stone powder is easily generated due to the handling of stone, and heavy materials and construction tools are 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zzle may be damaged when the bottom surface 1 is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면(1)의 시공시 그 바닥면(1)의 일부에 상기 매립모듈부(100)를 매립 설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ied module unit 100 is embedded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1 of the bottom surface 1 when the bottom surface 1 is constructed.

매립모듈부(100)를 이루는 매립함체부(110), 개폐조절부(120), 유량조절부(130)는 모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1)과 함께 시공된다. 시공시 상기 매립함체부(110)의 상부는 덮개로 덮어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embedding housing unit 110,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20, and the flow control unit 130 constituting the embedding module unit 100 are all assembled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 upper part of the embedding body 110 is covered with a li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구체적으로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배관부(2)에 연결되어 배관부(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매립함체부(110) 내에 마련된 유량조절부(13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20 serves to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part 2 to the flow control part 130 provided in the embedding body part 110, which is connected to the piping part 2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배관부(2)에 연결되는 외관(121)과, 상기 외관내에 고정설치되는 내관(122)과, 상기 유량조절부(130)에 결합되며 상기 내관(122)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내관(122)과의 사이의 틈을 개폐조절하는 이동관(123)과, 상기 이동관(123)을 원복시키는 스프링(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20 includes an outer tube 121 connected to the piping unit 2, an inner tube 122 fixedly installed in the outer tube, A moving tube 123 which is vertically movable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122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p between the inner tube 122 and the inner tube 122 and a spring 124 which rotates the moving tube 123 .

상기 이동관(123)은 하부 측면일부가 오픈되고, 저면은 막힌 구성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이동관(12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내관(122)의 하부로 노출되는 이동관(123)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측면에 마련된 오픈 영역을 통해 물이 급수되기 때문에 개폐조절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부(2)을 물을 상기 매립함체부(110) 내에 마련된 유량조절부(13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moving pipe 123 has a lower side portion opened and a lower side closed structure. That is, the length of the moving pipe 123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ipe 122 can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pe 123, and since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open are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ving pipe 123,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low control unit 130 provided in the embedding body unit 110 using the piping unit 2.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개폐조절부가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조절부(120)의 유동관(123)의 위치에 따라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2A and 2B are sectional structural views showing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of the bottom powder receiving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w pipe 123 of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120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open or clos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매립모듈부(100)를 바닥면(1)과 함께 시공하게 되면, 노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물의 유입에 따라 노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공시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물이 배관부(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buried module unit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 nozzl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nozz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nflow of the foreign matter.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20 may be closed so that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piping part 2.

상기 유량조절부(130)는 전자식 밸브 또는 수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유량조절부(130)의 역할은 노즐(220)에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여 연출 설정에 따라 노즐(220)에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분수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The flow rate regulator 130 may be an electronic valve or a manual valve. The flow rate regulator 130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jetted from the nozzle 220 according to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nozzle 220 The supply of water to the nozzles 22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tting, and various fractions can be produced.

유량조절부(130)가 수동 밸브인 경우에는 정해진 하나의 형태를 갖는 분수를 제공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flow rate regulator 130 is a manual valve, it provides a fra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operator can adjust the flow rate if necessar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매립모듈부(100)를 바닥면(1)과 함께 시공한 후에, 작업자는 각 매립함체부(110)의 덮개를 열고 탈부착모듈부(200)를 장착한다.After the buried module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 operator opens the lid of each embedding body unit 110 and mounts the detachable module unit 200 thereon.

상기 탈부착모듈부(200)는 덮개부(230), 노즐(220) 및 유동결합부(210)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위치하도록 결합된 것이며, 상기 덮개부(230)가 매립모듈부(100)의 매립함체부(110)의 상부에 치합될 때 상기 노즐(220)의 위치와 상기 유량조절부(130)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위치 차이에 의해 노즐(220)의 결합이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결합부(210)를 사용한다.
The lid part 230 is coupled to the lid part 230, the nozzle 220, and the flow coupling part 210 so that the lid part 230, the nozzle 220,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nozzle 220 and the position of the flow control unit 130 when the nozzle 220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mbedding housing unit 110, The flow coupling portion 210 is used.

상기 유동결합부(210)는 관형 케이스(211)와, 관형 케이스(211)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유량조절부(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물이 상기 노즐(2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공(213)이 마련된 볼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형 케이스(211)의 상기 볼부(212)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부를 닫는 하부덮개(21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덮개(215)와 관형 케이스(211)의 내측에는 상기 볼부(212)에 접하여 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214)이 마련되어 있다.The flow coupling part 210 is rotatab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tubular case 211 and one end of the flow control part 130 is inserted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nozzle 220 And a ball portion 212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13 so that the through hole 213 can be formed. A lower cover 215 is provided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case 211 in a state where the ball portion 212 is engaged with the lower cover 215 and the ball portion 21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ver 215 and the tubular case 211, A packing 214 for preventing leakage of water is provided.

상기 패킹(214)은 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볼부(212)가 용이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packing 214 serve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and to allow the ball 212 to move freely.

상기 유동결합부(210)의 사용에 의하여 상기 노즐(220)과 유량조절부(130)의 평면상의 위치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노즐(22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nozzle 220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f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position on the plane between the nozzle 220 and the flow control unit 130 by using the flow coupling unit 210.

상기 노즐(220)의 상부측에는 상기 매립함체부(110)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덮개부(230)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 상기 덮개부(230)의 내측 둘레에 조명을 부가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다.A lid 2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nozzle 22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mbedment body 110 and to allow the water injected from the nozzle 2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Generally, various kinds of directing can be performed by adding illumination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lid part 230.

상기 덮개부(230)와 상기 매립함체부(110)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과 골을 포함하고 있어, 서로 회전 결합된다. The lid part 230 and the embedding body part 110 include threads and valley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ionally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그 회전의 정도에 따라 덮개부(230)가 매립함체부(110)에 설치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즉, 덮개부(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유동결합부(210)에 의해 노즐(220)과 유량조절부(130)가 서로 결합될 때 그 위치의 차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한다.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rotation, the position of the lid part 230 installed in the embedding body part 110 is determined. That is, the height of the lid part 23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220 and the flow control part 130 when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low coupling part 210 do.

상기 덮개부(230)의 측면 하부에는 엘이디 등의 조명 수단인 조명부연출(2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을 소정의 색상으로 조명 연출하게 된다.
The lighting unit directing unit 240, which is an illumination unit such as an LED,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lid unit 230 to direct water jetted from the nozzle 220 to a predetermined colo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바닥분수가 운용되지 않은 겨울철에는 작업자가 상기 탈부착모듈부(200)를 상기 매립모듈부(100)에서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계에 관리 부주의 또는 방치로 인한 노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loor fountain is not operated, the operator removes the detachable module unit 200 from the embedding module unit 100 and can separately store the detachable module unit 200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nozzle due to carelessness or neglect to the wintertim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receiv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다른 구성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나, 상기 유동결합부(210)에 노즐(220)에 결합되는 제1볼부(216)와, 상기 제1볼부(216)를 고정하는 상부덮개(217)와, 상기 제1볼부(216)에 접하도록 상기 상부덮개(217)와 관형케이스(211)의 내측에 마련된 제1패킹(2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bottom nozz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except that the nozzle unit 220 is coupled to the flow coupling unit 210 The upper cover 217 and the tubular case 211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ase 217 and the tubular case 2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ll 216, And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packing 218 pro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는, 상기 노즐(220)과 유량조절부(130)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bottom nozz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220 and the flow rate controller 130 is large, the bottom nozzle can be easily combin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0:매립모듈부 110:매립함체부
120:개폐조절부 121:외관
122:내관 123:유동관
130:유량조절부 200:탈부착모듈부
210:유동결합부 211:관형 케이스
212:볼부 213:통공
214:패킹 215:하부덮개
216:제1볼부 217:상부덮개
218:제1패킹 220:노즐
230:덮개부 240:조명연출부
100: embedding module unit 110:
120: opening / closing control section 121: appearance
122: inner pipe 123:
130: flow rate regulator 200: detachable module part
210: fluid coupling portion 211: tubular case
212: ball portion 213: through hole
214: packing 215: bottom cover
216: first ball portion 217: upper cover
218: first packing 220: nozzle
230: lid part 240: illumination drawing part

Claims (7)

바닥분수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시공과 함께 시공되며, 상기 바닥면 하부에 매립된 배관부에 연결되는 매립모듈부; 및
상기 매립함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바닥면의 시공 후 상기 매립모듈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분출하는 탈부착모듈부를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A buried module unit, which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fountain, and connected to the piping unit buried i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detachable module unit coupled to the buried module unit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uried container unit and spray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 unit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모듈부는,
상기 바닥면 내에 매립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매립함체부;
상기 매립함체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물을 공급하는 상기 배관부에 연결되며,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 및
상기 매립함체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폐조절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bedding module unit,
An embedding body portion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buried enclosure unit and connected to the piping unit for supplying water,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And
And a flow rate adjusting unit that is accommodated in the buried container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to adjust a flow rate of water to be suppli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배관부에 연결되는 외관;
상기 외관 내에 고정설치되는 내관; 및
하부 측면 일부가 개방되는 관이며, 상기 유량조절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관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내관과의 사이의 틈을 개폐조절하는 이동관을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
An outer pipe connected to the pipe portion;
An inner tube fixedly installed in the outer tube; And
And a moving pipe connect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ipe to open and close a gap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inner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모듈부는,
상기 매립모듈부의 유량조절부에 결합되는 유동결합부;
상기 유동결합부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공급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분사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매립함체부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측면에 마련되어 소정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조명연출부를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tachment /
A flow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low control part of the embedding module;
A nozzl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w coupling part and spraying the supplied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 lid part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embedment body part so that an injection port of the nozzle is exposed; And
And a lighting direction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o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결합부는,
관형 케이스;
상기 관형 케이스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유량조절부의 일단이 삽입되어 물이 상기 노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공이 마련된 볼부;
상기 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형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상기 관형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에 접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low-
Tubular case;
A ball portion rotatab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tubular case and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one end of the flow rate control portion is inserted an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nozzle;
A lower cover fixed to the tubular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portion is inserted to prevent the ball portion from being released; And
And a packing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tubular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ball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결합부는,
상기 관형 케이스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노즐의 일단이 삽입되어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통공이 마련된 제1볼부;
상기 제1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형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1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관형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볼부에 접하는 제1패킹을 더 포함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w-
A first ball portion rotat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tubular case and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one end of the nozzle is inserted and water can b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An upper cover fixed to the tubular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ll portion is inserted to prevent the first ball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And a first packing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and the tubular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ball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매립합체부의 내측과 회전결합되며,
상기 회전결합의 회전 정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d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with an inner side of the embedded body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bottom wal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coupling.
KR1020140136691A 2014-10-10 2014-10-10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KR201600425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91A KR20160042579A (en) 2014-10-10 2014-10-10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91A KR20160042579A (en) 2014-10-10 2014-10-10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79A true KR20160042579A (en) 2016-04-20

Family

ID=559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91A KR20160042579A (en) 2014-10-10 2014-10-10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25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50B1 (en) * 2016-10-05 2018-05-31 이인용 Bottom fountain system for easy management
KR200490798Y1 (en) * 2019-02-12 2020-02-11 이선주 Embedded jet type sprinkl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50B1 (en) * 2016-10-05 2018-05-31 이인용 Bottom fountain system for easy management
KR200490798Y1 (en) * 2019-02-12 2020-02-11 이선주 Embedded jet type sprink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0130A1 (en) Floor drain with drain field
KR100678613B1 (en) Paving fountain
US7934517B2 (en) Water level control system
US10215177B2 (en) Fluid pump for dispensing a fluid to a setting or work environment
US10464096B2 (en) Energized fluid nozzles for splash pads
JPWO2008023512A1 (en) Aquarium overflow device
CA2879050C (en) Multi-purpose hand washing station
US20140117107A1 (en) Lighted waterfall device
US20070278144A1 (en) Automatic lifting level controller for the discharge of foam
KR20160042579A (en) Nozzle device for floor fountain
US10357427B1 (en) Air massage device for pedicure spa and method
US8261695B2 (en) Birdbath with integrated automated maintenance
KR101510191B1 (en)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ter-quality
KR101598150B1 (en) A Separating type of aquarium
KR200407577Y1 (en) Floor fountain
KR101462560B1 (en) Having a dual structure cistern fountain
JP2013021939A (en) Air suction valve for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supply device
KR101261217B1 (en) Resin supply apparatus for dispenser
KR101480510B1 (en) Fountain with a water tank of the dual structure
KR100965931B1 (en)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US9585372B2 (en) Water inlet system for an aquarium, a siphon stopper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system to an aquarium
KR20160042577A (en) Floor fountain equipment for easy maintenace
KR100963261B1 (en) Changeable representation induction device for fountain and nozzle and lighting fixtures using the same
KR101863450B1 (en) Bottom fountain system for easy management
KR102003120B1 (en) A Sand Reduction System From Water Getting Undergroun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