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931B1 -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931B1
KR100965931B1 KR1020090056131A KR20090056131A KR100965931B1 KR 100965931 B1 KR100965931 B1 KR 100965931B1 KR 1020090056131 A KR1020090056131 A KR 1020090056131A KR 20090056131 A KR20090056131 A KR 20090056131A KR 100965931 B1 KR100965931 B1 KR 10096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ter
underwater structure
fountain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플러스파운틴(주)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파운틴(주), 김우진 filed Critical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to KR102009005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stopping water using buoyancy, a fountain and a fountain system therewith are provided to enable a worker to easily perform a maintenance work without folding and unfolding a water stop film. CONSTITUTION: A device for stopping water using buoyancy comprises a submerged structure(100), cutoff members(300,400), and a drain pump. The submerged structure is formed underwater, and has a space(110). The cutoff members prevent external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of the submerged structure. And the cutoff members form a film when air is supplied. The drain pump discharges water in the space to outside when a maintenance work of the submerged structure is performed.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본 발명은 분수용 수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수장치의 각 장치들을 유지보수 할 때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부력을 이용해 막을 자동으로 형성하여 수중구조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structure for fountain, and in particular, when maintaining the respective devices of the fountain device buoyancy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water inside the underwater structure by forming a membrane using buoyancy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d ordering device and a fountain and a fountain system having the ordering device.

일반적으로 분수용 수중구조물은 노즐을 통해 물줄기를 품어냄으로써, 물을 정화하는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 등을 수행함은 물론, 관람객이 여러 감각을 통해 정서적인 안정감, 시원한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조경시설이다.In general, a fountain underwater structure is a kind of landscaping facility that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purifying water and purifying air by injecting water through the nozzle, but also enables the viewer to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coolness through various senses. to be.

종래에는 분수에 빛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야간에도 아름다운 분수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주간뿐 아니라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도 아름답게 연출되는 분수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Conventionally, by installing a lighting device that can produce light in the fountain, it was possible to produce a beautiful fountain at night. This makes it possible to enjoy the fountains that are beautifully produced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when it is difficult to discern.

이러한, 종래의 분수용 수중구조물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10-789284호에 제시된 바 있다.Such a conventional water structure for fountains has been present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789284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노즐, 펌프, 밸브, 조명(LED) 및 배관들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water fountain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forms side walls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and nozzles, pumps, valves, lights (LEDs), and pipes are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또한, 본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된 노즐, 펌프, 밸브, 조명(LED) 및 배관들을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외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차수막을 설치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pect or maintain nozzles, pumps, valves, lights (LEDs), and pipe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a water barrier film is formed to form a boundary with the outside.

즉, 상기 차수막이 상부로 펼쳐질 경우에는 본체의 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가 되고, 차수막이 하부로 접힐 경우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That is, when the water curtain is unfolded to the upper portion, the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water curtain is folded downward,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본체의 측벽 높이보다 수위가 높기 때문에 차수막을 설치하거나 접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즉, 차수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용부에 수납된 차수막을 꺼낸 후 펼쳐 본체 내측의 차수봉(지지대)에 걸어주어야 하였고, 점검 및 유지보수가 다 끝난 후에는 작업자가 차수막을 직접 접어 수용부에 넣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fountain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because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was inconvenient to install or fold the water curtain.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stall the curtain, it was necessary to take out the curtain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n hang it on the curtain rod (support) inside the main body.After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the worker should fold the curtain in the receiving part. There was an in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수장치의 수중구조물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유지보수시, 에어 공급에 따른 부력을 이용해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막을 자동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차수막을 펼치거나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the maintenance of each device installed in the underwater structure of the fountain device, by automatically forming a film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air supp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oyancy order device and a fountain and a fountain system having the order devic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expand or fold the curtain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는,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 및,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oyancy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w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to form a space portion, and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hat the external water flows into the space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member which is expanded to the top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to form a film.

여기서, 차단부재는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수막 및, 상기 차수막의 상단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에어 공급 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차수막의 상단이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는 튜브형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중구조물은 측벽 상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차수막은 하단이 상기 수납부의 바닥 또는 벽부에 상기 차수막의 하단이 기밀성을 갖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locking member is an insulating film provided to have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submerged structure, and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ulating film, and floated to the surface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sulating film is upwards.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tubular buoyancy body which is to be unfolded. In addition, the underwater structure may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open upward on the sidewal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pellent membrane is fixed to the bottom or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pellent membrane has airtightness.

그리고 상기 차수막에는 부력 제거시 상기 부력체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막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다 단을 이루는 지그재그로 절첩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weight body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layer so that the buoyancy body may sink when the buoyancy is removed. In addition, the order film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zigzag forming a multi-stage to be folded or unfolded.

상기 수중구조물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부력체가 외력으로부터 지탱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차수봉이 구비되되, 상기 절첩부에는 접히는 단부들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수봉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복수의 체결링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bmerg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rder rod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buoyancy body is supported from the external force along the edg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olding ends,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order rods and slide up and down A plurality of fastening rings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에어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body is prefer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pump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그리고 상기 부력체는 에어 공급 및 배출시 수축 및 팽창되지 않도록 경도를 갖되, 상기 부력체에는 부력 제거시 자체중량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연결되어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물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buoyancy body has a hardness so as not to shrink and expand during air supply and discharge, so that the buoyancy body to sink by its own weight when removing the buoyanc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at leas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At least one pump and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부력체는 에어 공급시 수직으로 타원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부력체의 하부가 수중에 위치된 상기 수납부에 안착 위치되어 차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is to form an ellipse vertically when the air supply,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may be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located in the water to have a degree function.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되도록 하부에 연결된 상기 차수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차수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수직의 에어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to be integral with one surface or both sides of the order film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y form a vertical air column arrang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der fil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는,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과,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수중구조물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분수를 연출하도록 구동되는 분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ntain having a water-order device using the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water, and the water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wate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the outside water to the space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member which is expanded to the upper portion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the inflow to form a membrane, and the water fountain is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drive the founta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 시스템은,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과,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수중구조물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분수를 연출하도록 구동되는 분수장치 및, 상기 부력체의 에어 공급 및 배출과, 상기 분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ter fountain system having a buoyancy device using the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water, and the upper portion to form a space portion, the water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the outside water to the space portion Blocking member that is expanded to the upper portion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the inflow, and a water fountain device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drive the fountain, and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buoyancy body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ountain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력을 이용해 막을 형성하여 수중구조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부력 제거시에는 자체 중량에 의해 막이 자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막을 펼치거나 접는 불편함이 없이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brane is formed using buoyancy to discharge the water inside the underwater structure to the outside, and upon removal of the buoyancy, the membrane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by its own weight, without the operator having to unfold or fold the membra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수막에 중량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차수막에 절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부력체가 에어 공급시 수직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부력체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부력체에 에어기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시스템의 제어부가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gree of the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ight body is installed in the lin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the liner according to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 1 has a vertical ellipse shape when air is suppli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ir column is formed on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ntain having a degree device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has a degree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part of a fountain system controls a pump and a valv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는,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110)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100) 및,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300, 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유지보수시 상기 공간부(11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buoyanc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s provided in the water and forms the space portion 110 above, and the underwater 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300, 400) to expand to the upper portion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to the space 110 of the structure 100 to form a film. In addition, the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ump 200 for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space 110 to the outside.

상기 수중구조물(100)은 공원, 호수 및 하천 등의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분수를 연출할 수 있는 분수장치(7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상방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측벽(120)이 형성된다.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s to be installed in the water, such as parks, lakes and rivers,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fountain device 700 that can produce a fountain. In addition, a space 110 for accommodating water is formed above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and a sidewall 1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t an edge thereof.

상기 분수장치(700)에는 수중구조물(100)의 물을 분사하는 노즐(730)과, 상기 노즐(730)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720)와, 상기 펌프(720)와 노즐(7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730)로 분사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740) 및, 상기 노즐(730), 펌프(720) 및 밸브(740)를 연결하여 물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배관(7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즐(730)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빛을 조사하여 연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수중등: 750)과, 노즐구동모터(미도시) 등이 포함된다.The fountain device 700 includes a nozzle 730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a pump 720 for supplying water to the nozzle 730, and the pump 720 and the nozzle 730. A valve 740 installed between the valves 740 to control the water sprayed to the nozzle 730, and a pipe 710 connecting the nozzles 730, the pump 720, and the valve 740 to form a water transfer path.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light (water lamp: 750), the nozzle driving motor (not shown) and the like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directing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730.

그리고 측벽(120)의 상부 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부(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부(121)는 후술 될 부력체(400)와 차수막(30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120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121 that is open upward,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uoyancy body 400 and the order film 300 to be described later. do.

또한,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차수봉(6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수봉(600)의 하단을 측벽(120) 상부 면에 형성된 대응 홈에 삽입하거나 일체로 매설하여 고정하며, 상기 차수봉(600)의 상단이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rder rods 600 are installed vertically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s provided. Here, the lower end of the order rod 600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0 or embedded integrally and fix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rder rod 6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배수펌프(200)는 상기 수중구조물(100)을 유지보수할 때 공간부(110) 내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배수펌프(200)를 이용해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는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에 들어가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 drain pump 200 is used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0 when the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the outside. That is, by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the outside using the drainage pump 200, the operator can easily enter the space portion 110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perform maintenance work. have.

차단부재(300, 400)는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수막(300) 및, 상기 차수막(300)의 상단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 결되며, 에어 공급 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차수막(300)의 상단이 상부로 펼쳐지도록 형상이 가변하는 튜브형 부력체(400)를 포함한다.The blocking members 300 and 400 are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order membrane 300 provided with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and the top of the order membrane 300, and are buoyant upon air supply. It includes a tubular buoyancy body 400 is variable in shape so as to rise to the surface by the top of the order film 300 is spread upward.

상기 차수막(300)은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펼쳐져 수중구조물(100)의 외부에 막을 형성하여 공간부(110)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하부로 접혀져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로 물이 유입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The water-repellent membrane 300 is extended from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form a membrane on the outsid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block the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110, or folded down to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Function to switch to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flows into the space 110 of the.

즉, 상기 차수막(300)이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술된 배수펌프(200)를 작동시켜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 내에 차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That is, by operating the above-mentioned drainage pump 200 in a state in which the order membrane 300 is spread upwar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water filled in the space 110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상기 차수막(300)은, 하단이 수중구조물(100)의 측벽(120)에 형성된 수납부(121)의 바닥 또는 벽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차수막(300)의 하단은 수중구조물 형성과정에서 수납부(121)의 내부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핀(50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As such, the order film 300 may have a lower end fixed to a bottom or wall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formed on the sidewall 120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order film 300 may form an underwater structure. In the housing 121 may be firmly fix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pins 500 inserted horizontally.

또한, 상기 차수막(300)의 하단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 별도의 방수용 실링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물이 상기 차수막(300)의 하단과 수납부(121)의 접촉 면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수막(300)의 하단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waterproofing sealant may be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300 to maintain airtightness. That is, the water may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order film 300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order film 300 from being corroded.

한편, 상기 차수막(300)의 두께 내부 또는 내, 외측 면에는 부력이 제거된 부력체(400)가 용이하게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의 비중보다 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33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r more weights 330 larg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rder layer 300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from which the buoyancy is removed can be easily settled.

여기서, 상기 중량체(330)는 차수막(300)과 같이 수중구조물(100)의 외곽을 두르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물보다 큰 비중을 갖고 부식되지 않는 금속제, 비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weight body 330 may have a rod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tructure 100, such as the water-repellent film 300, the material may be a metal, non-metal, etc. that has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and does not corrode. have.

아울러, 제2실시예로 상기 차수막(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다 단을 이루는 지그재그로 절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rder film 300 may be folded in a zigzag form a multi-stage to be folded or unfolded as shown in FIG.

상기 절첩부(310)에는 접히는 단부(310a)들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전술된 차수봉(600)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복수의 체결링(32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olding part 3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rings 32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olding end 310a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t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rod 600 and slides up and down.

따라서, 부력체(400)가 부력에 의해 승강시 차수막(300)이 상하로 용이하게 절첩됨과 동시에 수중구조물(100)의 수납부(121)에 정확하게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첩부(310)가 경사각을 갖기 때문에 소정의 강도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수막(300)이 상부로 펼쳐졌을 때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uoyancy body 400 is easily lifted up and down by the buoyancy while the buoyancy body 400 is easily folded up and down, it can be accuratel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and the folded portion 310 is It has a tilt angle to provide a certain strengt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order film 300 is spread upward.

부력체(400)는 차수막(300)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력체(400)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에어 공급 및 배출시 형상이 가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 공급시에는 팽창되고 에어 배출시에는 수축될 수 있다.The buoyancy body 4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order film 300, the buoyancy body 400 is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It can be us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That is, it may expand when air is supplied and contract when air is discharged.

한편, 상기 부력체(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공급시 수직으로 타원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부력체(400)의 하부가 수중에 위치된 상기 수납 부(121)에 안착 위치되어 차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부력체(400)가 차수막(300)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차수봉(600)이 없어도 되는 장점과, 차단부재(300, 400)의 구조를 단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body 400, as shown in Figure 4, to form an ellipse vertically during air supply,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4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is located in the water It can have a degree function.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buoyancy body 400 to function as the ordering film 300,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ordering rod 600, and the structure of the blocking member (300, 400) can be simplified.

이뿐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0)에는 연통 되도록 하부로 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수막(3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체로 에어기둥(4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기둥(410)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수막(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air buoy 41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order film 300 by extending downward in a column sha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uoyancy body 400. In this case, the air pillars 410 are formed vertically and are arrang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der layer 300.

이와 같은 상기 에어기둥(410)은, 부력체(400)의 내부에 에어 공급될 때 상기 부력체(400)와 연통 연결되어 있어 차수막(300)과 함께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상기 에어기둥(410)에는 에어(Air)가 차 있기 때문에, 부력체(400) 및 차수막(300)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column 41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400 when the ai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buoyancy body 400 is to be vertically unfolded along with the order film (300). That is, since air is filled in the air column 410, the buoyancy body 400 and the order film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기 부력체(400)에는 연통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에어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uoyancy body 400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pump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체(400)에 연통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공급튜브(420a) 및 에어배출튜브(420b)와, 상기 에어공급튜브(420a)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에어공급펌프(440a) 및 에어배출펌프(440b)를 구비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air supply tube 420a and air discharge tube 420b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400 and an air supp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 tube 420a to supply or discharge air A pump 440a and an air discharge pump 440b are provided.

또한, 에어공급튜브(420a)와 에어공급펌프(440a) 사이에 연결되어 개폐를 이루는 에어공급밸브(430a)와, 상기 에어배출튜브(420b)와 에어배출펌프(440b) 사이에 연결되어 개폐를 이루는 에어배출밸브(430b)를 구비한다.In addition, an air supply valve 430a connected between the air supply tube 420a and the air supply pump 440a to open and close, and connected between the air discharge tube 420b and the air discharge pump 440b to open and close. An air discharge valve 430b is formed.

이때, 공급 측과 배출 측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에어펌프와 에어튜브 및 에어밸브에 의해 공급과 배출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side and the discharge side can be distinguished, it is possible to control both the supply and discharge by one air pump and air tube and air valve.

이와 같은 상기 부력체(400)는,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부력체(400)가 차수막(300)을 상부로 펼치면서 수면으로 부상한다. 이때, 상기 차수막(300)이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에 막을 형성하게 되어 외부의 물이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When the air is supplied into the buoyancy body 400, the buoyancy body 400 floats to the surface while the water-repellent membrane 300 extends upward. At this time, the order film 300 forms a film at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so that external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pace 110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이 상태에서, 전술된 배수펌프(200)를 구동시켜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에 차있는 물을 외부로 모두 배출한 후, 물이 모두 배출된 수중구조물(100)의 공간부(110)로 작업자가 들어가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is state, by driving the above-described drainage pump 200 to discharge all the water filled in the space portion 110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to the outside, the space por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n which all the water is discharged The operator can enter the 110 to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한편, 상기 부력체(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공급 및 배출시 수축 및 팽창되지 않도록 경도를 갖되, 상기 부력체(400)가 부력 제거시 자체중량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body 400 has a hardness so as not to shrink and expand during air supply and discharge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can sink by its own weight when the buoyancy is removed have.

즉, 부력체(400)는 중량을 갖도록 물보다 높은 비중을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마련되고, 자체부력을 가질 수 있게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That is, the buoyancy body 400 is provided with a metal or nonmetal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water to have a weight,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therein to have its own buoyancy.

그리고 상기 부력체(400)에는 연통 연결되어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물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buoyancy body 400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pump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and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또한, 부력체(400)에 에어를 공급하여 자체 부력을 갖도록 중공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펌프(440a)와, 상기 에어공급펌프(440a)와 중공부를 연결하는 에어공급튜브(420a)와, 상기 에어공급튜브(420a)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에어를 제어하 는 에어공급밸브(430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pump 440a for supplying air to the buoyancy body 400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ortion to have its own buoyancy, and the air supply tube 420a for connecting the air supply pump 440a and the hollow portion; , An air supply valve 430a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by being connected to the air supply tube 420a.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체(400)에 연통 연결되어 자체중량을 갖도록 부력체(400)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튜브(450)와, 상기 워터튜브(450)로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워터펌프(470)와, 상기 워터튜브(450)와 워터펌프(470) 사이에 연결되어 물 공급을 개폐하는 워터밸브(460)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ater tube 45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400 to supply water to the buoyancy body 400 to have its own weight, and the water pump to supply or discharge the water to the water tube 450 470 and a water valve 460 connected between the water tube 450 and the water pump 470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한편, 수중구조물 또는 분수장치(700)에 풍 우량계(미도시)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바람이 많이 불거나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분수장치(7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rain gauge (not shown) separately in the underwater structure or fountain device 700, when the wind is a lot of rain or rain can be stopped the operation of the fountain device 70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00)의 에어 공급 및 배출과, 상기 분수장치(7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800 controls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buoyancy body 400 and driving of the fountain apparatus 700.

상기 제어부(800)는 PC(미도시)와, 상기 PC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공급부(제어반: 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may include a PC (not shown) and a power supply unit (control panel: not shown) driven by a control signal of the PC.

상기 PC는 화면을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수장치의 펌프(720), 밸브(740) 및 조명(750)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PC에는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Software)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를 분수장치로 인가할 수 있도록 통신카드(Interface)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PC functions to control the pump 720, the valve 740 and the lighting 750 of the fountain device automatically or manually through the screen. The PC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oftware, and a communication card may be further provided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fountain device.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800)는, 전술된 에어공급밸브(430a), 에어배출밸브(430b), 에어공급펌프(440a), 에어배출펌프(440b), 워터밸브(460) 및, 워터펌프(470)의 동작을 제어하여 부력체(400)의 내부로 에어 또는 물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unit 800 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y valve 430a, the air discharge valve 430b, the air supply pump 440a, the air discharge pump 440b, the water valve 460, and the water pump 47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s to supply or discharge air or water into the buoyancy body (400).

이하, 본 발명의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에 따른 작업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work order according to a water order device using a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ountain and a fountain system having the order device as follows.

먼저,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에어공급펌프(440a)와 에어공급밸브(430a)를 작동시켜 부력체(400)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에어가 공급된 부력체(400)가 부력을 갖게 되어 수면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부력체(400)와 연결된 차수막(300)이 상부로 펼쳐지면서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에 막을 형성하게 된다. First, during maintenance, the operator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rates the air supply pump 440a and the air supply valve 430a to supply air to the buoyancy body 400. 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400 supplied with air has buoyancy and rises to the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membrane 300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400 is expanded to form a film at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do.

따라서, 작업자가 수중의 수중구조물에 설치된 차수막을 직접 펼쳐야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the operator to directly unfold the water curtain installed in the underwater structure.

다음으로, 수중구조물(100)의 내부 수리 또는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진공펌프(450)를 작동시켜 부력체(400)의 에어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킨다. 이때 부력체(400)가 수축되면서 수중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차수막(300)이 하부로 접혀 수중구조물(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막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Next, when the internal repair or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is completed, the vacuum pump 450 is operated to force the air of the buoyancy body 40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400 is contracted and descends into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order film 300 is folded downward to remove the film formed at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100.

필요에 따라, 상기 차수막(300)에 중량체(330)를 설치하여 상기 부력체(400)가 자체중량에 의해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워터펌프(480)를 작동시켜 부력체(4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력체(400)가 자체중량에 의해 수중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weight body 330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barrier film 300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descends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water pump 480 to supply water into the buoyancy body 400,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can be lowered into the water by its own weight.

결과적으로, 에어 공급에 따른 부력을 이용해 막을 형성하거나, 에어 배출에 따른 부력 제거로 막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전환함으로써, 작업자가 번거롭게 막을 펼치거나 접는 불편함이 없이 용이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As a result, by forming a film by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air supply, or by switching to release the film automatically by removing the buoyancy due to the air discharge,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unfolding or folding the membrane.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apparatus for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ntain having the apparatus and the fountain system having the apparatu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gree order device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수막에 중량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ight body is installed in the water shield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따른 차수막에 절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d portion is formed in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FIG. 1.

도 4는 도 1에 따른 부력체가 에어 공급시 수직의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 1 has a vertical ellipse shape when air is supplied.

도 5는 도 1에 따른 부력체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 1.

도 6은 도 1에 따른 부력체에 에어기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ir column is formed on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ntain having a degree order device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시스템의 제어부가 펌프와 밸브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of the fountain system having a buoyancy order using a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ump and the valv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수중구조물 110: 공간부100: underwater structure 110: space part

120: 측벽 121: 수납부120: side wall 121: housing portion

200: 배수펌프 300: 차수막200: drain pump 300: water curtain

310: 절첩부 310a: 단부310: folded portion 310a: end

320: 체결링 330: 중량체320: fastening ring 330: weight

400: 부력체 410: 에어기둥400: buoyant body 410: air column

420a: 에어공급튜브 420b: 에어배출튜브420a: air supply tube 420b: air discharge tube

430a: 에어공급밸브 430b: 에어배출밸브430a: air supply valve 430b: air discharge valve

440a: 에어공급펌프 440b: 에어배출펌프440a: air supply pump 440b: air discharge pump

450: 워터튜브 460: 워터밸브450: water tube 460: water valve

470: 워터펌프 500: 체결핀470: water pump 500: fastening pin

600: 차수봉 700: 분수장치600: water rod 700: water fountain

800: 제어부800: control unit

Claims (12)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 및,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Underwater structure provided in the water, forming a space above, and the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expand to the top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space to form a membrane Including,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수막 및, 상기 차수막의 상단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에어 공급 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차수막의 상단이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며, 에어 배출시 가라앉아 상기 차수막이 접혀지도록 하는 튜브형 부력체를 포함하며,The blocking member is an insulating film provided to have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and floated to the surface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is unfolded upwards. And it includes a tubular buoyancy body that sinks during air discharge to fold the water curtain, 상기 차수막에는 외곽을 두르도록 설치되며, 부력 제거시 상기 부력체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order film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buoyancy, the buoyancy device using a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weight body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e water is provided so that the buoyancy body can sin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중구조물은 측벽 상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하되,The underwater structure forms a receiving portion opened upwards on the side wall, 상기 차수막은 하단이 상기 수납부의 바닥 또는 벽부에 상기 차수막의 하단이 기밀성을 갖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order curtain is a buoyancy device using a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or wall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have the airtight airtightn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수막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다 단을 이루는 지그재그로 절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order film is a buoyancy device using a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 zigzag forming a multi-stage to be folded or unfold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중구조물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부력체가 외력으로부터 지탱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차수봉이 구비되되,The underwater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rder rods installed vertically to support the buoyancy body from the external force along the edge, 상기 절첩부에는 접히는 단부들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수봉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복수의 체결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olding end portion of the folding portion, the other side is a buoyancy device using a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order rod slides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에어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buoyancy body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ump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the buoyancy apparatus using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력체는 에어 공급 및 배출시 수축 및 팽창되지 않도록 경도를 갖되,The buoyancy body has a hardness so as not to shrink and expand during air supply and discharge, 상기 부력체에는 부력 제거시 자체중량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연결되어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의 물 공급 및 배출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buoyancy body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so as to sink by its own weight when the buoyancy is removed, at least one pump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and at least on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pump Ordering device using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부력체는 에어 공급시 수직으로 타원을 이루도록 하되,The buoyancy body to form an ellipse vertically when supplying air, 상기 부력체의 하부가 수중에 위치된 상기 수납부에 안착 위치되어 차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body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located in the water position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egree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력체에는 연통 되도록 하부에 연결된 상기 차수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차수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수직의 에어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The buoyancy body extends downward to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order film connected to the bottom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forms a vertical air column arrang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der film. Ordering device.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과,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수중구조물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분수를 연출하도록 구동되는 분수장치를 포함하되,An underwater structure provided in the water and forming a space above, and a blocking member installed at an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expand upward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external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And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includes a fountain device driven to produce a fountain,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수막 및, 상기 차수막의 상단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에어 공급 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차수막의 상단이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며, 에어 배출시 가라앉아 상기 차수막이 접혀지도록 하는 튜브형 부력체를 포함하며,The blocking member is an insulating film provided to have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and floated to the surface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is unfolded upwards. And it includes a tubular buoyancy body that sinks during air discharge to fold the water curtain, 상기 차수막에는 외곽을 두르도록 설치되며, 부력 제거시 상기 부력체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The water curtain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water fountain, and at least one weight body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e water so that the buoyancy body is settled when the buoyancy is rem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ntain with a buoyancy device. 수중에 구비되며, 상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중구조물과,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에어 공급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펼쳐져 막을 형성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수중구조물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분수를 연출하도록 구동되는 분수장치 및, 상기 차단부재의 에어 공급 및 배출과, 상기 분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 underwater structure provided in the water and forming a space above, and a blocking member installed at an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to expand upward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to block external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And a water fountain device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driven to produce a fountai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ir supply and discharge of the blocking member and driving of the water fountain device.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중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수막 및, 상기 차수막의 상단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에어 공급 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차수막의 상단이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며, 에어 배출시 가라앉아 상기 차수막이 접혀지도록 하여 상기 수중구조물의 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튜브형 부력체를 포함하며,The blocking member is an insulating film provided to have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and floated to the surface by buoyancy during air supp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sulating film is unfolded upwards. It includes a tubular buoyancy body that sinks during air discharge so that the water curtain is folded to convert the water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상기 차수막에는 외곽을 두르도록 설치되며, 부력 제거시 상기 부력체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 시스템.The water curtain system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water curtain, and at least one weight body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so that the buoyancy body is settled when the buoyancy is rem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buoy system using a buoyancy.
KR1020090056131A 2009-06-23 2009-06-23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KR100965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31A KR100965931B1 (en) 2009-06-23 2009-06-23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31A KR100965931B1 (en) 2009-06-23 2009-06-23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31B1 true KR100965931B1 (en) 2010-06-24

Family

ID=4237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31A KR100965931B1 (en) 2009-06-23 2009-06-23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3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58B1 (en) 2012-08-25 2014-05-27 (주) 대력에프에이에스 Air tube a floodgate
CN107354920A (en) * 2017-07-20 2017-11-17 山东大学 Combination against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culverts and water gates
KR101911497B1 (en) * 2018-03-12 2018-10-24 한국수자원공사 Non-electric water immersion prevention device
KR101950401B1 (en)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Levitation water fountain apparatus using dr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84B1 (en) * 2006-07-28 2008-01-02 플러스파운틴(주) Under water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84B1 (en) * 2006-07-28 2008-01-02 플러스파운틴(주) Under water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58B1 (en) 2012-08-25 2014-05-27 (주) 대력에프에이에스 Air tube a floodgate
CN107354920A (en) * 2017-07-20 2017-11-17 山东大学 Combination against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culverts and water gates
CN107354920B (en) * 2017-07-20 2019-09-27 山东大学 Combination against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culverts and water gates
KR101911497B1 (en) * 2018-03-12 2018-10-24 한국수자원공사 Non-electric water immersion prevention device
WO2019177322A1 (en) * 2018-03-12 2019-09-19 한국수자원공사 Non-powered flood prevention apparatus
KR101950401B1 (en)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Levitation water fountain apparatus using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931B1 (en) Apparatus for closing water using buoyancy having the fountain and fountain system
US9017548B2 (en) Oil collecting apparatus
CN110654505A (en) Navigation mark lamp shade cleaning mechanism
KR101405016B1 (en) Floating Dam
JP2016501994A5 (en)
KR101632287B1 (en) Non-motorized rainwater catchment device and portable toilet
KR101480510B1 (en) Fountain with a water tank of the dual structure
KR100789284B1 (en) Under water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CN104846847A (en) Ground base improving apparatus and ground base improving method by utilizing apparatus
KR102278525B1 (en) Pool structure
CN103074926A (en) Double-control mode deodorizing drain valve
JP5645141B2 (en) Water intake equipment
US9447593B2 (en) Skimmer device
US4151617A (en) Swimming pool cover
JP4068586B2 (en)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diffused gas in an aeration tank
KR100957839B1 (en) Support automatic lift system
KR101453693B1 (en) A Buoyancy Function Apparatus of Facilities
KR101014377B1 (en) Bridge elevator support pit structure
JP6946022B2 (en) Sewage drainage facility
KR101064748B1 (en) Floating fountain
KR20150086063A (en) Trench
KR20050077178A (en) Buoyancy rising floodgate and oil-water separated system of using it
LT4612B (en) Equipment for carrying out works on underwater parts of hydraulic structures
KR200428985Y1 (en) Under water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JP6439110B2 (en) Negative pressure drive for ground improvement using ejector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