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413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413A
KR20160042413A KR1020160040487A KR20160040487A KR20160042413A KR 20160042413 A KR20160042413 A KR 20160042413A KR 1020160040487 A KR1020160040487 A KR 1020160040487A KR 20160040487 A KR20160040487 A KR 20160040487A KR 20160042413 A KR20160042413 A KR 2016004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input unit
frame
drum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하영수
서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413A/ko
Publication of KR2016004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06F39/00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D06F2216/00
    • D06F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캐비닛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개구부를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패널이 제공하는 영역 중 상기 입력부가 위치된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거나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세탁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세탁장치는 크게 교반식과 와류식 및 드럼타입 세탁장치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타입은 드럼의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종래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타입 세탁장치는 세탁장치의 전방에 도어와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세탁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내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별도의 컨트롤패널을 제작하여 세탁장치의 전방에 구비시키는 종래 세탁장치는 제작비용의 증가 및 심미감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에 컨트롤러가 구비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미감이 향상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캐비닛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개구부를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패널이 제공하는 영역 중 상기 입력부가 위치된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거나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도어패널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입력부는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패널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힌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드럼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투광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투명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내역이 표시되며,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와 와이어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캐비닛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캐비닛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세탁장치의 제어내역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드럼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투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투광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세탁코스에 설정되어 있는 세탁단계를 진행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세탁과정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되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부를 무선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컨트롤패널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심미감이 향상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과 2를 통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세탁장치를 포함하며, 나아가 보조세탁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메인세탁장치와 보조세탁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 세탁장치는 세탁수 및 소비전력의 절감이 가능하다.
즉, 상기 메인세탁장치의 세탁용량이 보조세탁장치의 세탁용량에보다 더 크도록 구비한다면 의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세탁장치를 통해 세탁하고, 일정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조세탁장치를 통해 세탁가능할 것이므로 일정량 미만의 의류를 메인세탁장치를 통해 세탁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세탁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의 저장 및 배수가 가능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도어(7)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세탁장치(9)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캐비닛 개구부(11)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 개구부와 연통하는 터브 개구부(31)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개구부 및 캐비닛 개구부에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51)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을 원하는 경우 상기 캐비닛 개구부(11)를 통해 드럼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게 되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기계적 마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13)와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킬 수 있는 선반(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13)와 선반(15)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7)가 열린 경우에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종래 세탁장치는 세탁장치의 일면에 세제공급부가 항상 노출되는 방식으로 세제공급부를 구비하였는데, 이는 세제공급부가 세탁 시에만 필요한 장치라는 점, 사용자가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기기를 인테리어 소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자인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 한 세제공급부가 세탁장치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도어가 캐비닛에 안착되는 위치에 세제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세탁장치에 비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선반(15)은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에 투입하거나 드럼에서 인출할 때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7)가 캐비닛 개구부(11)를 개방한 때 사용자가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비시킨 것은 세탁장치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1)은 삭스파인더(S, socks find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삭스파인더(S)는 양말의 세탁 (또는 건조) 시 세탁이 완료되었음에도 드럼 내부에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삭스파인더(S)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드럼은 적어도 반바퀴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데, 이는 세탁완료 후 양말과 같이 가벼운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기 힘든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드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7)는 상기 캐빈닛 개구부(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731) 결합되며, 앞서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가 캐비닛 개구부를 폐쇄한 때 상기 세제공급부(13) 및 선반(15)이 세탁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보조세탁장치(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탁장치(100)는 세탁수 및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해 상기 터브와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공간(편의상 메인세탁장치라고 칭함)과 구별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세탁하는 보조세탁장치(9)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세탁장치의 세탁용량보다 보조세탁장치(9)의 세탁용량을 더 작게 구비시키면, 의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세탁장치를 통해 세탁하고, 일정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조세탁장치(9)를 통해 세탁가능할 것이므로 일정량 미만의 의류를 메인세탁장치를 통해 세탁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될 것이다.
다만, 상기 보조세탁장치(9)는 메인세탁장치와 같이 도어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세탁장치(9)가 캐비닛(1)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 상기 보조세탁장치(9)의 전방면은 상기 도어(7)의 전방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세탁장치의 심미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만을 위한 세탁장치의 경우 세탁수의 저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건조 기능만을 제공하는 세탁장치의 경우 상술한 터브는 배제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도어의 단면도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에 대한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도어(7)는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패널(71)과, 상기 도어패널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3)은 힌지(731, 도2참고)를 통해 캐비닛(1)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닛 개구부(11)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73)은 도어의 외부에서 드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캐비닛 개구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투광부(73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도어패널(71)은 상기 투광부(733)를 통해 드럼 내부를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어패널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7)는 세탁코스와 같은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7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령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7)가 상기 도어패널(71)과 프레임(73)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종래 세탁장치는 캐비닛의 전방면에 도어와 별도로 컨트롤패널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입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세탁장치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컨트롤패널을 도어와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별도의 컨트롤패널 비용이 발생하고, 세탁장치의 외관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입력부(75)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7)를 도어(7) 내부에 구비시키면 별도의 컨트롤패널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장치의 총칭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세탁수의 가열을 위해 제공되는 히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77)는 상기 구동부와 유선 또는 무선(wireless)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유선으로 컨트롤러가 구동부와 연결될 경우 와이어는 도어(7)와 캐비닛(1)을 이어주는 힌지(7341) 등에 가려지도록 구비됨이 와이어의 내구성 및 세탁장치의 심미감을 위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입력부(75)도 상기 도어패널(71)과 프레임(7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75)는 도어패널(71)의 표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세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입력부의 내구성 및 세탁장치의 심미감을 고려할 때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panel screen)의 형태로 상기 도어패널과 프레임 사이에 구비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75)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비될 경우, 입력부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75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75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패널(71)을 통해 터치스크린(753)을 가압 또는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751)에 표시된 제어명령 중 원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7)는 세탁장치의 제어내역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표시부(79)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79)는 도어패널(71)과 투광부(73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79)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코스,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세부설정 내용(세탁수의 온도, 세제량 등), 선택된 세탁코스의 시간 등을 표시하는 세탁정보 표시부(793)와, 각 세탁코스에 구비된 세탁단계를 표시하는 세탁과정 표시부(7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과정 표시부(793)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세탁과정 표시부(793)는 각 세탁코스에 설정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과 같은 각 단계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세탁코스가 선택되면 컨트롤러(77)는 선택된 세탁코스의 진행단계를 상기 세탁과정 표시부(793)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세탁과정 표시부(793)는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세탁코스에 구비된 세탁단계(세탁, 헹굼, 탈수 등)를 모두 표시하되 현재 진행 중인 단계만을 밝게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과 달리 진행 중인 단계만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은 상기 세탁과정 표시부(791)와 세탁정보 표시부(793)이 상호 독립적인 패널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패널에 세탁과정과 세탁정보를 나누어 표시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3: 터브 5: 드럼
7: 도어 71:도어패널 73: 프레임
75: 입력부 77: 컨트롤러 79: 표시부
791: 세탁과정 표시부 793: 세탁정보 표시부 9: 보조 세탁장치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캐비닛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개구부를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패널이 제공하는 영역 중 상기 입력부가 위치된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거나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도어패널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입력부는 와이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패널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힌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부와 무선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드럼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투광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투명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내역이 표시되며,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와 와이어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60040487A 2016-04-01 2016-04-01 세탁장치 KR20160042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7A KR20160042413A (ko) 2016-04-01 2016-04-01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7A KR20160042413A (ko) 2016-04-01 2016-04-01 세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551A Division KR101830733B1 (ko) 2010-05-27 2010-05-27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413A true KR20160042413A (ko) 2016-04-19

Family

ID=5591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87A KR20160042413A (ko) 2016-04-01 2016-04-01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24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733B1 (ko) 세탁장치
US20120036900A1 (en) Washing machine
CA2535106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having a door
KR1019997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8093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9173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633093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2398759B1 (ko) 세탁기
KR2022007854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25091B2 (ja) 操作装置及び電気機器
EP402380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42413A (ko) 세탁장치
JP6021537B2 (ja) 電気機器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KR102426582B1 (ko) 세탁기
KR10242350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99918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