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245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245A
KR20160042245A KR1020140135110A KR20140135110A KR20160042245A KR 20160042245 A KR20160042245 A KR 20160042245A KR 1020140135110 A KR1020140135110 A KR 1020140135110A KR 20140135110 A KR20140135110 A KR 20140135110A KR 20160042245 A KR20160042245 A KR 2016004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case
surface portion
cap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642B1 (ko
Inventor
박상균
서용철
곽승호
김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642B1/ko
Priority to US14/732,511 priority patent/US10454076B2/en
Priority to EP15178456.8A priority patent/EP3007246B1/en
Priority to BR102015020745-0A priority patent/BR102015020745B1/pt
Publication of KR2016004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코팅부와 무지부를 가지는 전극을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고 무지부홀을 통하여 상기 무지부를 인출하는 절연 케이스, 상기 절연 케이스를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지부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단자홀로 인출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케이스 내에서 전극 조립체를 절연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는 충전 및 방전 작용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전극 조립체를 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바닥과 측벽에 절연 테이프를 구비하고, 전극 조립체의 외주에 절연 테이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차 전지는 절연을 위하여 많은 개수의 부품을 사용하고, 부품에 따라 별도로 치수를 관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코팅부와 무지부를 가지는 전극을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고 무지부홀을 통하여 상기 무지부를 인출하는 절연 케이스, 상기 절연 케이스를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지부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단자홀로 인출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캡 플레이트로 설정되는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과 측벽들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무지부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무지부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에서 상기 단자홀을 통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 외면에서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는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나 또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2개로 형성되어 동일 극성의 무지부가 서로 마주하여 하나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마주하는 상기 무지부홀을 구비하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면에 마주하는 제2면부와 제3면부, 상기 제2면부와 상기 제3면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과 상기 무지부의 반대측에 마주하는 제4면부, 제5면부 및 제6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면부, 제5면부 및 제6면부는 상기 제2면부 및 상기 제3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접합되는 플랜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절연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벤트홀에 대응하는 내부 벤트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전해액 주입구에 대응하는 내부 전해액 주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부품의 개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절연 케이스의 치수를 관리하므로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치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극 조립체에 절연 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적용된 절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절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절연 케이스(20), 절연 케이스(20)를 내장하는 케이스(30), 및 케이스(30)의 개구에 결합되어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는 전기 절연재인 세퍼레이터(13)의 양측에 제1전극(11, 예를 들면, 음극)과 제2전극(12, 예를 들면 양극)을 구비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권취하여 형성된다.
전극 조립체(1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미도시) 본 실시예에서는 2개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조립체(10)는 케이스(3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타원형 양단(도 4의 상단과 하단)을 가지고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 양극(11, 12)은 각각 금속박(예를 들면, Cu, Al 포일)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1, 121),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2, 122)를 포함한다. 무지부(112, 122)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10)의 일단 및 전극 조립체(10)의 1회 권취 범위(T)에서 거리(D)를 두고 서로 배치된다.
즉 음극(11)의 무지부(112)는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10)의 일단에서 일측에 배치되고, 양극(12)의 무지부(122)는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10)의 일단에서 거리(D)를 두고 서로 배치된다.
따라서 음극(11)과 양극(12)이 권취될 때, 음극(11)의 무지부(112)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된 일단(도 4의 상단)에서 좌측에 배치되고, 양극(12)의 무지부(122)는 전극 조립체(10)의 동일 단(도 4의 상단)에서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음, 양극(11, 12)에서 코팅부(111, 121)의 면적이 최대로 넓어지고, 무지부(112, 122)의 면적이 최소로 좁아짐에 따라 전극 조립체(10)의 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전극 조립체에 절연 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전극 조립체(10)는 병렬로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즉 2개의 전극 조립체(10)에서, 일측 음극(11)의 무지부(112)는 다른 음극(11)의 무지부(112)와 마주하여 서로 연결되고, 일측 양극(12)의 무지부(122)는 다른 양극(12)의 무지부(122)와 마주하여 서로 연결된다.
절연 케이스(20)는 무지부홀(201, 202)을 구비하여, 무지부홀(201, 202)을 통하여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0)의 무지부(112, 122)를 절연 케이스(20)의 외부로 각각 인출한다.
즉 절연 케이스(20)는 수용된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30)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 무지부홀(201, 202)을 통하여 무지부(112, 122)와 제1, 제2전극단자(51, 52, 예를 들면, 음, 양극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30)는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절연 케이스(20)를 내장하며, 이차 전지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차 전지에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케이스(30)는 플레이트 모양의 전극 조립체(10)를 1개 또는 2개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3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전극 조립체(10)를 삽입하도록 그 일측에 사각형 개구(31)를 구비하고, 개구(31)의 반대측에 개구(31)에 대응하는 바닥(36)을 구비하고, 개구(31)와 바닥(36) 사이에서 설정되는 2개의 광폭 측벽(32, 33)과 2개의 협폭 측벽(34, 35)을 구비한다.
캡 플레이트(40)는 케이스(30)의 개구(31)에 결합되어 케이스(30)를 밀폐하고, 2개의 단자홀(H1, H2)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단자홀(H1, H2)에는 음, 양극 단자(51, 52)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30)와 캡 플레이트(4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개구(31)에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40)는 벤트홀(41)과 전해액 주입구(42)를 더 구비한다. 벤트홀(41)은 전극 조립체(10)의 충전 및 방전 작용에 의하여 이차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벤트 플레이트(411)로 밀폐된다.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벤트 플레이트(411)가 절개되어 벤트홀(41)을 개방하여 가스 및 내부 압력을 배출한다. 벤트 플레이트(411)는 절개를 유도하는 노치(412)를 가진다.
전해액 주입구(42)는 케이스(30)에 캡 플레이트(40)를 결합 및 용접한 후, 케이스(30)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42)는 밀봉 마개(421)로 밀봉된다.
도 6은 도 2의 전극 조립체에 절연 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 양극 단자(51, 52)는 전극 조립체(10)의 무지부(112, 122)에 각각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거나 전극 조립체(10)에 전류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절연 케이스(20)는 케이스(30)와 캡 플레이트(40)로 설정되는 내부 공간에서, 케이스(30)의 바닥(36)과 광폭 측벽들(32, 33)과 협폭 측벽들(34, 35) 및 캡 플레이트(40)의 내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한다.
도 7은 도 6에 적용된 절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절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절연 케이스(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다.
즉 절연 케이스(20)는 전기 절연재로 사출 성형 후 절곡되어, 전극 조립체(10)의 외곽과 케이스(30)의 육면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0)와 케이스(3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예를 들면, 절연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제1면부(21, 제2면부(22), 제3면부(23), 제4면부(24), 제5면부(25) 및 제6면부(26)를 포함한다. 제1면부(21)는 캡 플레이트(40)에 마주하는 무지부홀(201, 202)을 구비한다. 제2, 제3면부(22, 23)는 제1면부(21)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넓은 양면에 마주하고, 또한 케이스(30)의 광폭 측벽(32, 33)에 마주한다.
제4면부(24), 제5면부(25) 및 제6면부(26)는 제2면부(22)와 제3면부(23)의 외곽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면부(21)에서 제2, 제3면부(22, 23) 절곡시, 서로 부착된다.
양측에서 서로 부착된 제4면부(24), 제5면부(25) 및 제6면부(26)는 전극 조립체(10)의 측면과 무지부(112, 122)의 반대측에 마주하고, 케이스(30)의 협폭 측벽(34, 35)와 바닥(36)에 마주한다. 따라서 절연 케이스(20)는 6면에서 전극 조립체(10)를 캡 플레이트(40) 및 케이스(3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제5, 제6면부(24, 25, 26)는 제2면부(22) 및 제3면부(23)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접합되는 플랜지(241, 151, 261)를 구비한다. 케이스(30) 내에서 절연 케이스(20)가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한 상태에서, 플랜지(241, 251, 261)는 케이스(30)의 바닥(36) 및 협폭 측벽(34, 35)에 지지된다.
즉 절연 케이스(20) 및 플랜지(241, 251, 261)는 케이스(30)의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여, 외부 충격 및 하중을 흡수하므로 전극 조립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케이스(20)는 내부 벤트홀(27)를 구비한다. 내부 벤트홀(27)은 캡 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 벤트홀(41)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전극 조립체(10)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상승되는 내부 압력을 벤트홀(41)로 전달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절연 케이스(20)는 내부 전해액 주입구(28)를 구비한다. 내부 전해액 주입구(28)는 캡 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 전해액 주입구(42)에 대응하여, 전해액 주입구(42)를 통하여 주입되는 전해액을 절연 케이스(2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 양극 단자(51, 52)는 캡 플레이트(40)의 단자홀(H1, H2)에 설치되고, 무지부(112, 122)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무지부(112, 122)는 무지부홀(201, 202)을 통하여 절연 케이스(20)의 외부로 인출되고, 외부에서 음, 양극 단자(51, 52)에 연결된다.
이때, 무지부(112, 122)는 캡 플레이트(40)를 향하여 무지부홀(201, 202)을 관통하고, 관통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40)와 평행한 상태로 절곡되어 음, 양극 단자(51, 52)에 용접된다.
음, 양극 단자(51, 52)는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 양극 단자(51, 52)는 내부 플레이트(511, 521)와 기둥부(512, 522) 및 외부 플레이트(513, 523)를 포함한다.
내부 플레이트(511, 521)는 기둥부(512, 522)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무지부(112, 122)에 넓은 면적으로 용접되고, 캡 플레이트(4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2개의 전극 조립체(10)에서 무지부(112, 112; 122, 122)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절곡되어 내부 플레이트(511, 521)에 용접된다.
기둥부(512, 522)는 내부 플레이트(511, 521)에서 단자홀(H1, H2)을 통하여 캡 플레이트(40) 외부로 돌출된다. 외부 플레이트(513, 523)는 캡 플레이트(40) 외면에서 기둥부(512, 5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무지부(112, 122) 및 음, 양극 단자(51, 52)를 통하여 케이스(3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12, 122)가 음, 양극 단자(51, 52)에 직접 연결되므로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30) 외부로 인출하는 구조가 간단해진다.
한편, 음, 양극 단자(51, 52)와 캡 플레이트(40)의 내면 사이에 내부 절연부재(611, 612)와 개스킷(621, 622)이 개재되어, 음, 양극 단자(51, 52)와 캡 플레이트(4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내부 절연부재(611, 612)는 일측으로 캡 플레이트(40)에 밀착되고 다른 일측으로 음, 양극 단자(51, 52)의 내부 플레이트(511, 521)와 기둥부(512, 522) 일부를 감싸므로 음, 양극 단자(51, 52)와 무지부(112, 122)의 연결 구조를 안정시킨다.
개스킷(621, 622)은 음, 양극 단자(51, 52)의 기둥부(512, 522)와 캡 플레이트(40)의 단자홀(H1, H2)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기둥부(512, 522)와 캡 플레이트(40)의 단자홀(H1, H2) 사이를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개스킷(621, 622)은 내부 절연부재(611, 612)와 캡 플레이트(40)의 내면 사이에 더 연장 설치되어, 내부 절연부재(611, 612)와 캡 플레이트(40) 사이를 더 실링한다.
즉 개스킷(621, 622)은 캡 플레이트(40)에 음, 양극 단자(51, 52)를 설치하는 구조에서 단자홀(H1, H2)을 통하여 전해액이 새는 것(leak)을 방지한다. 또한, 개스킷(621, 622)은 외부 절연부재(631, 632)와 기둥부(512, 522) 사이로 더 연장되어 더 실링 작용할 수 있다.
개스킷(621, 622)을 개재하여 기둥부(512, 522)를 단자홀(H1, H2)에 삽입하고, 외부 절연부재(631, 632)를 개재하여 외부 플레이트(513, 523)의 결합홀(514, 524)에 삽입한 후, 결합홀(514, 524)의 주위를 코킹(caulking) 또는 용접함으로써, 기둥부(512, 522)가 외부 플레이트(513, 523)에 고정된다. 이로써 음, 양극 단자(51, 52)가 캡 플레이트(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전극 조립체 11, 12: 제1, 제2전극(음, 양극)
13: 세퍼레이터 20: 절연 케이스
21, 22, 23: 제1, 제2, 제3면부 24, 25, 26: 제4, 제5, 제6면부
27: 내부 벤트홀 28: 내부 전해액 주입구
30: 케이스 31: 개구
32, 33: 광폭 측벽 34, 35: 협폭 측벽
36: 바닥 40: 캡 플레이트
41: 벤트홀 42: 전해액 주입구
51, 52: 제1, 제2전극(음, 양극) 단자
111, 121: 코팅부 112, 122: 무지부
201, 202: 무지부홀 241, 151, 261: 플랜지
411: 벤트 플레이트 412: 노치
421: 밀봉 마개 514, 524: 결합홀
511, 521: 내부 플레이트 512, 522: 기둥부
513, 523: 외부 플레이트 611, 612: 내부 절연부재
621, 622: 개스킷 631, 632: 외부 절연부재
D: 거리 H1, H2: 단자홀
T: 1회 권취 범위

Claims (12)

  1. 코팅부와 무지부를 가지는 전극을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고 무지부홀을 통하여 상기 무지부를 인출하는 절연 케이스;
    상기 절연 케이스를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지부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단자홀로 인출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캡 플레이트로 설정되는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과 측벽들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이차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무지부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에서 상기 단자홀을 통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 외면에서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는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나 또는 2개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2개로 형성되어 동일 극성의 무지부가 서로 마주하여 하나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절곡되는 이차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마주하는 상기 무지부홀을 구비하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면에 마주하는 제2면부와 제3면부,
    상기 제2면부와 상기 제3면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과 상기 무지부의 반대측에 마주하는 제4면부, 제5면부 및 제6면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면부, 제5면부 및 제6면부는,
    상기 제2면부 및 상기 제3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접합되는 플랜지를 더 구비하는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절연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이차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벤트홀에 대응하는 내부 벤트홀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전해액 주입구에 대응하는 내부 전해액 주입구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20140135110A 2014-10-07 2014-10-07 이차 전지 KR10227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110A KR102273642B1 (ko) 2014-10-07 2014-10-07 이차 전지
US14/732,511 US10454076B2 (en) 2014-10-07 2015-06-05 Rechargeable battery
EP15178456.8A EP3007246B1 (en) 2014-10-07 2015-07-27 Rechargeable battery
BR102015020745-0A BR102015020745B1 (pt) 2014-10-07 2015-08-27 Bateria recarregá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110A KR102273642B1 (ko) 2014-10-07 2014-10-07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45A true KR20160042245A (ko) 2016-04-19
KR102273642B1 KR102273642B1 (ko) 2021-07-07

Family

ID=5375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110A KR102273642B1 (ko) 2014-10-07 2014-10-07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54076B2 (ko)
EP (1) EP3007246B1 (ko)
KR (1) KR102273642B1 (ko)
BR (1) BR1020150207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65A (ko) * 2016-09-06 2018-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80044088A (ko) * 2016-10-21 2018-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20180088202A (ko) * 2017-01-26 2018-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245150B2 (en) 2017-02-10 2022-02-0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6259B (zh) * 2016-12-19 2020-10-16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液态电池连接模块及电池装置
EP3451415B1 (en) * 2017-08-31 2020-03-2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2371196B1 (ko) * 2017-08-31 2022-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90024619A (ko) 2017-08-31 2019-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734629B2 (en) 2018-02-23 2020-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interconnect assembly for vehicle traction battery
CN215989141U (zh) * 2021-05-27 2022-03-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DE102022202292A1 (de) 2022-03-08 2023-09-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atteriezelle sowie eine Batteriezel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89B1 (ko) * 2010-01-27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절연 백을 갖는 이차전지
KR20120020565A (ko) * 2010-08-30 2012-03-0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20037815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4002647A1 (ja) * 2012-06-26 2014-01-03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77B1 (ko) 2010-02-03 2012-02-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38706A (ja) 2012-08-10 2014-02-27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89B1 (ko) * 2010-01-27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절연 백을 갖는 이차전지
KR20120020565A (ko) * 2010-08-30 2012-03-0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20037815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4002647A1 (ja) * 2012-06-26 2014-01-03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65A (ko) * 2016-09-06 2018-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8048159A1 (ko) * 2016-09-06 2018-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482757B2 (en) 2016-09-06 2022-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80044088A (ko) * 2016-10-21 2018-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US11437642B2 (en) 2016-10-21 2022-09-0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KR20180088202A (ko) * 2017-01-26 2018-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245150B2 (en) 2017-02-10 2022-02-0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642B1 (ko) 2021-07-07
BR102015020745B1 (pt) 2022-01-11
US10454076B2 (en) 2019-10-22
US20160099440A1 (en) 2016-04-07
EP3007246B1 (en) 2018-07-18
EP3007246A1 (en) 2016-04-13
BR102015020745A2 (pt)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643B1 (ko) 이차 전지
KR102284572B1 (ko) 이차 전지
KR20160042245A (ko) 이차 전지
KR101627631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101265213B1 (ko) 실링 구조를 가지는 이차 전지
KR101084056B1 (ko) 이차 전지
KR102299244B1 (ko) 이차 전지 및 그 팩
KR102439847B1 (ko) 이차 전지
US9819002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67002B1 (ko) 이차 전지
KR102246736B1 (ko) 이차 전지
JP2015005505A (ja) 二次電池
KR20130036989A (ko) 이차 전지
KR101683199B1 (ko) 이차 전지
KR20140066929A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2017000913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60150405A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20160103453A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101256060B1 (ko) 이차 전지
KR20150007744A (ko) 이차 전지 팩
KR20160125141A (ko) 이차 전지
KR20160034094A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119048B1 (ko) 이차 전지
KR20150115510A (ko) 이차 전지
KR20150105849A (ko)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