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86A -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86A
KR20160041886A KR1020160040485A KR20160040485A KR20160041886A KR 20160041886 A KR20160041886 A KR 20160041886A KR 1020160040485 A KR1020160040485 A KR 1020160040485A KR 20160040485 A KR20160040485 A KR 20160040485A KR 20160041886 A KR20160041886 A KR 2016004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binet
door frame
hing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321B1 (ko
Inventor
우세영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D06F2224/00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투입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프론트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된 패널 전력단자; 상기 패널 전력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전력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의 전송이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와 같은 세탁대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장치, 또는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각종 장치의 심미적인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도 심미적 기능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컨트롤패널이 캐비닛에 고정되어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자인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회전하는 도어에 컨트롤패널을 구비시킨 의류처리장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컨트롤패널과 같이 도어에 구비되며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전자장치들이 설치되는 경우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컨트롤패널을 비롯한 전자장치들이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를 도어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에 연결하여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와이어나 케이블 같은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본체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나 정보전달장치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거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에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심미감을 떨어뜨리거나 조립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의 좌측이나 우측에 힌지가 구비될 경우,
종래에는 이러한 전원연결장치 또는 정보전달장치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고 전원선 또는 통신선의 연결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본체에서 분리된 장치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향 변경이 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본체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투입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프론트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된 패널 전력단자; 상기 패널 전력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전력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력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1전력단자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력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2전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관통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된 패널 전력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한 전력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는 후크;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더 바디; 및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는 후크;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암;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암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힌지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를 상기 패널 전력단자로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더; 상기 도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제1힌지암과 상기 제2힌지암에 각각 고정된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더 바디; 및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바디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과 제어신호를 교환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프론트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는 패널 통신단자; 상기 패널 통신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통신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과 제어신호를 교환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는 패널 통신단자; 상기 패널 통신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통신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통신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통신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2통신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출력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전력과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캐비닛 커넥터;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연결하는 도어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도어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공급장치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cabinet power terminal); 상기 컨트롤패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연결하는 패널 전력단자;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연결하는 패널 통신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 커넥터가 고정되며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된 전력소켓,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된 통신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전력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플러그, 상기 통신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연결하는 통신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힌지바디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플러그와 상기 통신플러그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홈; 상기 커넥터 바디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력플러그 및 상기 통신플러그를 상기 컨트롤패널에 연결하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에 연통하는 가이더 바디; 상기 가이더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투입구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구비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은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가 결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안착면의 형상은 다른 하나의 안착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된 임의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제1커넥터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커넥터의 단면이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안착면의 형상은 다른 하나의 안착면이 투영점(상기 투입구의 중심점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투영된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제1커넥터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커넥터의 단면이 상기 투영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 각각에 착탈 가능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컨트롤패널에 연결된 패널 단자; 상기 커넥터 바디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컨트롤패널과 상기 패널 단자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암 및 제2암;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 가이더가 고정되는 가이더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바디의 형상은 상기 가이더 고정홈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axial symmetry)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컨트롤패널 및 상기 안착면이 구비된 아우터 프레임; 상기 와이어 가이더가 수용되는 가이더 수용홈, 상기 제1암이 수용되는 제1암 수용홈, 상기 제2암이 수용되는 제2암 수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인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 수용홈, 상기 제1암 수용홈 및 상기 제2암 수용홈은 상기 인너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가이더 수용홈 중 상기 와이어 가이더가 구비되지 않은 가이더 수용홈에 구비되는 후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체결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중 상기 도어 커넥터가 결합되지 않는 커넥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 상기 체결부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본체에서 분리된 장치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향 변경이 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본체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 및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프론트패널과 캐비닛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어 커넥터(장치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13)가 구비된 본체(1,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투입구(1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3),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구(13)를 개폐하며 컨트롤패널(53)이 구비된 도어(5)를 포함한다.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이 구비되고, 투입구(13)는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여 의류수용부(3)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13)를 통해 의류수용부(3)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의류수용부(3)에 저장된 세탁대상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며, 히터와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열풍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것이다.
드럼은 터브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며, 터브는 캐비닛(1)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과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장치(미도시)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게 된다.
한편,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배수장치(미도시)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대상물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3)는 터브 및 드럼으로 구비되고, 캐비닛(1) 내부에는 구동장치, 열풍공급장치, 급수장치 및 배수장치가 모두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구동장치, 열풍공급장치, 급수장치, 배수장치를 비롯한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자장치들은 전력공급장치(전원, 19, 도 6 참고)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력공급장치(19)는 정보처리장치(컨트롤러, 18, 도 6 참고)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각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전력공급장치(19)를 비롯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전자장치들은 정보처리장치(18)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는 투입구(13)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5)는 컨트롤패널(53)이 구비되는 도어프레임(51), 도어프레임(51)을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55)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53, 제어대상장치)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이다. 즉, 컨트롤패널(53)은 전력공급장치(1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교환이 요구되는 전자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과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19) 및 정보처리장치(1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커넥터, C)이 필요한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51)은 아우터프레임(511) 및 인너프레임(51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인너프레임(515)은 프론트패널(11)에 접촉하는 도어(5)의 일면을 형성하는데, 인너프레임(515)에는 인너프레임(515)을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516)이 구비된다.
아우터프레임(511)은 인너프레임(515)과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 일부를 형성하며, 컨트롤패널(53, 도 1 참고)은 아우터프레임(511)에 고정된다.
아우터프레임(511)에는 도어글래스(52)가 고정되는데, 도어글래스(52)는 프레임 관통홀(516)을 통해 투입구(13)에 삽입된다. 도어글래스(52)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프레임(511)에는 힌지부(55)가 결합되는 안착면(5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면(512)은 아우터프레임(5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에도 고정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51)의 우측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힌지부(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좌우대칭 및 상하대칭)인 경우, 아우터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과 아우터프레임의 왼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프레임(511) 내부에 위치한 임의의 기준점 지나는 직선에 대한 선대칭(axial symmetry)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힌지부(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이 아니라면, 아우터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과 아우터프레임의 왼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프레임(511) 내부에 위치한 임의의 기준점에 대한 점대칭(point symmetry)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안착면의 형상은 다른 하나의 안착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된 임의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안착면(512)이 도어글래스(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이 경우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입구(13)의 중심점이 도어프레임(51)에 투영된 투영점(P)을 기준으로 점대칭이 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어의 좌측에 구비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의 우측에 구비된 안착면(512)이 상기 투영점(P)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안착면(512)의 형상에 관한 특징은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투입구(13)를 개폐하는 도어(5)의 회전방향을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힌지부(55)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힌지바디(555), 힌지바디(555)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556a, 556b)이 구비된다.
힌지바디(555)에는 후술할 커넥터(C)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더 고정홈(555a, 도 4 참고) 또는 가이더 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된다.
힌지바디(555)는 상하좌우가 대칭이 되는 형상(예: 사각형상의 판(board))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힌지바디(555)의 일면이 투입구(13)의 원주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암은 가이더 고정홈(555a)의 상부에 위치된 제1암(556a)과 가이더 고정홈(555a)의 하부에 위치된 제2암(556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더 고정홈(555a)은 제1암(556a)과 제2암(556b)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암(556a)과 제2암(556b)은 상기 가이더 고정홈(555a)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각 암(556a, 556b)은 휨 없이 힌지바디(555)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바디(555)에서 연장된 뒤 도어(5)가 투입구(13)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힌지바디(5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상하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각 암(556a, 556b)이 휨 없이 구비될 경우, 앞서 설명한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영점(P)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선대칭이 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힌지바디(5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각 암(556a, 556b)이 휜 형상인 경우,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영점(P)에 대해 점대칭이 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각 암(556a, 556b)에는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556c)가 구비된다.
각 암(556a, 556b)에 구비된 돌기(556c)는 안착면(512)에 구비된 돌기수용홈(미도시)을 통해 도어프레임(51)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돌기(556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서포터(551) 및 서포터 커버(553)를 통해 도어프레임(5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힌지 서포터(551)는 안착면(512)에 고정되며 돌기(556c)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부(5511)를 포함한다. 서포터 커버(553)는 힌지 서포터(551)에 결합하여 돌기(556c)가 돌기 수용부(55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포터 커버(553)에는 힌지암(556a, 556b)이 관통하는 커버 암 수용홈(553a), 후술할 와이어 가이더(73)가 관통하는 커버 가이더 수용홈(553b)이 구비된다.
이 경우, 인너프레임(515)에는 힌지암(556a, 556b)이 관통하는 암 수용홈(517), 와이어 가이더(73)가 관통하는 가이더 수용홈(518)이 구비된다. 힌지암(556a, 556b) 및 와이어 가이더(73)에 의해 도어(5)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암 수용홈(517)과 가이더 수용홈(518)은 인너프레임(515)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은 물론 우측에도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도어(5)의 심미감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는 암 수용홈(517)과 가이더 수용홈(518)에는 수용홈 커버(519, 도 2 참고)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55)는 도어프레임(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안착면(512) 중 어디에나 고정될 수 있는데, 두 개의 안착면(512) 중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는 안착면(512)에는 안착면 커버(513)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 커버(553)에 의한 인너프레임(515)과 아우터프레임(511) 사이의 간격을 안착면 커버(513)가 보상함으로써 아우터프레임(511)과 인너프레임(51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55)는 제1암(556a)과 제2암(556b) 사이에 구비되어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51)은 힌지암(556a, 556b)에 구비된 돌기(556c)만으로도 힌지바디(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557)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힌지부(55)에 회전축(557)이 더 구비되면 도어프레임(51)과 힌지바디(555)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고, 회전축(557)에 탄성부재나 각도조절부대를 구비시키면 도어프레임(51)의 회전속도 조절이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힌지부(55)에 회전축(557)이 더 구비될 경우, 각 암(556a, 556b)에는 회전축(557)이 수용되는 축수용부(556d)가 더 구비되고, 아우터프레임(511)에는 힌지 서포터(55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557)이 수용되는 축지지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수용부(556d)는 제1암(556a)과 제2암(556b)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회전축(557)은 각 축수용부(556d)에 삽입되어 힌지바디(551)에 고정된다.
상술한 회전축(557) 및 축지지부(514) 역시 힌지서 포터(551)와 서포터 커버(553)가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51)을 프론트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7)는 가이더 수용홈(518)에 고정되는 후크(571, 도 3 참고),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후크 체결부(573, 도 5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571)는 인너프레임(515)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가이더 수용홈(518) 중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은 가이더 수용홈(518)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가이더 수용홈(518)에 수용홈 커버(519)가 구비될 경우, 후크(571)는 수용홈 커버(519)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53)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컨트롤패널(53)에는 제어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 및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컨트롤패널(53)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컨트롤패널(53)은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1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이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나 정보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C)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커넥터(C)는 힌지부(55)에 고정되어 컨트롤패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전력공급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캐비닛 커넥터(8, 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커넥터는 투입구(1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커넥터(8) 및 제2커넥터(9)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8)는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홀(15)에 구비되어 프론트패널(11)의 노출되고, 제2커넥터(9)는 제2관통홀(17)에 구비되어 프론트패널(11)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1관통홀(15)과 제2관통홀(17)은 투입구(13)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8)는 프론트패널(11)의 배면에 제1관통홀(15)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공급장치(19)와 정보처리장치(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캐비닛 단자(87, 8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캐비닛 단자가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87)와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89)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87) 및 캐비닛 통신단자(89)의 형상은 후술할 패널 단자(75, 77)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비닛 단자(87, 89)는 소켓(socket)의 구조로 구비되고, 패널 단자(75, 77)는 플러그(plug)의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즉, 캐비닛 전력단자는 전력와이어(C2)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전력소켓(87)으로 구비되고, 캐비닛 통신단자는 통신와이어(C1)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통신소켓(8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소켓(87)과 통신소켓(89)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높이 방향(제1관통홀의 높이 방향) 또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너비방향(제1관통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전력소켓(87)과 통신소켓(89)이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하부에서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소켓(89)에는 도어 커넥터에 구비된 통신단자 체결부(772, 도 9 참고)가 수용되는 체결부 수용홈(84), 상기 체결부 수용홈(84) 내부에 구비되며 통신와이어(C1)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
전력소켓(87)은 통신소켓(89)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즉, 전력소켓(87) 역시 전력와이어(C2)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미도시), 상기 고정핀 결합부가 수용되며 도어 커넥터의 전력단자 체결부(752, 도 9 참고)가 수용되는 체결부 수용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관통홀(17)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9)는 제1커넥터(8)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9)는 제2관통홀(17)을 감싸도록 프론트패널(11)의 배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91), 캐비닛 커넥터 바디(91)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닛 전력단자(97, 전력소켓) 및 캐비닛 통신단자(99, 통신소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커넥터(9)는 통신소켓(99)이 캐비닛 커넥터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력소켓(97)은 캐비닛 커넥터 바디(9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힌지부(55)는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고, 도어 커넥터(7)는 힌지부(55)에 고정되므로 힌지부(55)의 위치변경을 위해서는 힌지바디(555) 및 도어 커넥터(7)가 투영점(P, 도 3)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2커넥터에 구비된 통신소켓(99) 및 전력소켓(98)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커넥터에 구비된 통신소켓(89) 및 전력소켓(87)과 동일하다.
한편, 잠금부(57)에 구비되는 후크 체결부(573)는 프론트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573a), 바디(573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크(571)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후크 수용홈(57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73a)는 후크(57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관통홀(15, 17)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부(55)가 제1관통홀(15) 방향에 고정되면 바디(573a)는 제2관통홀(17)을 폐쇄하여 제2커넥터(9)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힌지부(55)가 제2관통홀(17) 방향에 고정되면 바디(573a)는 제1관통홀(15)을 폐쇄하여 제1커넥터(8)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71), 와이어 가이더(73), 패널 단자(장치 단자, 75, 77)를 포함한다.
커넥터 바디(71)는 힌지바디(555)에 고정되어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9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패널 단자(75, 77)는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되어 컨트롤패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커넥터 바디(71)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91)에 삽입되면, 상기 패널 단자(75, 77)는 캐비닛 단자(87, 89, 97, 99)와 연결됨으로써 컨트롤패널(53)이 전력공급장치(19) 및 정보처리장치(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와이어 가이더(73)는 커넥터 바디(71)에서 도어(5)를 향해 연장되며 힌지바디(555)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커넥터 바디(71)는 와이어 가이더(73)가 힌지바디(555)에 구비된 가이더 고정홈(555a)에 삽입됨으로써 힌지바디(555)에 고정될 수도 있고, 바디고정부를 통해 힌지바디(555)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고정부는 힌지바디(555)에 구비된 슬롯(581) 및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된 슬롯돌기(58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패널 단자(75, 77)가 수용되는 수용홈(711)이 구비된다.
수용홈(711)의 내부에는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Z축 방향,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S)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715)가 구비된다.
플랜지 가이더(715)는 수용홈(711)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플랜지 가이더(715)는 수용홈(711)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수용홈(711) 내부에는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 및 플랜지 제2지지부(7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패널 단자(75, 7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한다(패널 단자에 구비된 플랜지(757, 777)를 지지한다).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플랜지 제2지지부(717)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패널 단자에 구비된 플랜지(757, 777)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 사이에 형성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수용홈(711)의 바닥면에서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고정부(719a), 고정부(719a)의 끝에서 수용홈(7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719b), 절곡부(719b)의 끝에서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연장부(719c)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절곡부(719b)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패널 단자(75, 77)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지지되는 패널 단자(75, 77)는 캐비닛 커넥터(8, 9)의 단면(S)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플랜지 제1지지부(719)의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다른 구조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커넥터 바디(71)의 길이방향(X축 방향,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S)의 길이방향)과 커넥터 바디(71)의 너비방향(Y축 방향, 단면(S)의 너비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패널 단자(75, 7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플랜지 가이더(715)에서 수용홈(7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플랜지 제2지지부(717)에는 패널 단자의 플랜지(757, 777)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717a)이 구비된다.
커넥터 바디(71)의 외주면에는 경사면(713)이 구비되는데, 상기 경사면(713)은 커넥터 바디(71)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에 삽입될 때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에 구비된 경사면 가이더(85)에 결합하여 패널 단자(75, 77)가 캐비닛 단자(87, 89, 97, 99)과 결합되는 것을 돕는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에는 수용홈(711)을 커넥터 바디(7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인출부(716)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부(716)는 커넥터 바디(71)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 바디(71)가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수용홈(711)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널 단자는 캐비닛 전력단자(87, 9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전력단자(75), 캐비닛 통신단자(89, 9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통신단자(77)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캐비닛 전력단자(87, 97) 및 캐비닛 통신단자(89, 99)가 소켓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패널 전력단자는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되는 전력플러그(75)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통신단자는 통신소켓(89, 99)에 결합되는 통신플러그(77)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플러그(75)는 수용홈(711)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 전력단자 바디), 커넥터 바디(71)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757),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전력단자 체결부(752)로 구비될 수 있다.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력단자 체결부(752)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의 상부면에 다수 개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력단자 체결부(752)는 전력플러그(75)가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될 때 전력소켓(87, 97)에 구비된 체결부 수용홈(84)에 삽입된다.
전력단자 체결부(752)에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체결부 바디(754), 체결부 바디(75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 관통홀(753), 체결부 관통홀(753) 내부에 고정되며 패널 전력와이어(W2)를 통해 컨트롤패널(53)에 연결되는 전력선 고정핀(755, 도체)이 구비된다.
전력선 고정핀(755)은 전력단자 체결부(752)가 체결부 수용홈(84)에 삽입된 때 전력와이어(C2)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83)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플러그(75)가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되기만 하면 전력선 고정핀(755)이 고정핀 결합부(83)에 연결되므로 전력공급장치(19)와 컨트롤패널(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757)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플랜지(757)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757)의 너비(L1)는 하나의 플랜지 가이더(715)와 다른 하나의 플랜지 가이더(715) 사이의 거리(L2)보다 작게 구비된다.
따라서, 플랜지 가이더(7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플랜지(757)를 삽입시킴으로써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수용홈(71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수용홈(711) 내부에 위치된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플랜지(757)를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 사이의 공간에 삽입시킴으로써 커넥터 바디(71)에 고정될 수 있다.
전력 플러그 바디(751)가 커넥터 바디(71)에 고정되면, 플랜지(757)의 하부면은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지지되고, 플랜지(757)의 상부면은 플랜지 수용홈(717a)에 삽입된다.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M1)는 플랜지(757)가 플랜지 수용홈(717a)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M2)는 플랜지(757)가 플랜지 수용홈(717a)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된다.
따라서, 전력플러그(75)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Z축을 따라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 제2지지부(717)를 통해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력플러그(75)가 X축, Y축 및 Z을 따라 수용홈(7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은 전력플러그(75)를 전력소켓(87)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든 기계장치에는 공차(Tolerance)가 존재하는데,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캐비닛 커넥터(8, 9)의 위치나 형상이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에도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가 캐비닛 커넥터(8, 9)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한편,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되는 통신플러그(77)는 상술한 전력플러그(75)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플러그(77)는 수용홈(711) 내부에 위치되는 통신 플러그 바디(771, 통신단자 바디), 통신 플러그 바디(77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777), 통신 플러그 바디(771)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통신단자 체결부(772)로 구비된다.
통신단자 체결부(772) 역시 전력단자 체결부(752)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통신단자 체결부(772)에도 체결부 바디(774), 체결부 관통홀(773), 체결부 관통홀(미도시) 내부에 고정되며 패널 통신 와이어(W1)를 통해 컨트롤패널(53)에 연결되는 통신선 고정핀(775)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플러그(77)를 통신소켓(89, 99)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통신선 고정핀(775)이 고정핀 결합부(83)에 연결되므로 정보처리장치(18)와 컨트롤패널(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더(73)는 커넥터 바디(71)에서 연장되는 가이더 바디(731),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와이어(W1, W2)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735)를 포함한다.
가이더 바디(731)는 가이더 고정홈(555a)을 통해 힌지바디(555)를 관통하게 되며, 가이더 바디(731)의 일단(자유단)은 도어프레임(5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어프레임(51)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더 바디(7331)의 일단에는 회전축(557)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축 지지부(7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수용부(735)는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된 인출부(716)를 통해 수용홈(711)에서 인출된 와이어(W1, W2)를 도어프레임(51)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와이어(W1, W2)는 힌지부(55)에 간섭되지 않고 패널 단자(장치 단자, 75, 77)와 컨트롤패널(53)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힌지부(55)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5)의 회전방향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힌지부(55)를 투입구(13)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곳에 설치하더라도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은 커넥터(C)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정보처리장치(18) 및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다.
한편, 도어 커넥터(7)는 힌지부(55)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캐비닛 커넥터(8, 9)는 힌지부(55)가 결합 가능한 투입구(1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힌지부(55)를 프론트패널(11)에 조립할 때 도어 커넥터(7)와 캐비닛 커넥터(8, 9)가 결합되므로 의류처리장치(100)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5: 도어 51: 도어프레임 511: 아우터프레임
512: 안착면 513: 안착면 커버 514: 축지지부
515: 인너프레임 517: 암 수용홈 518: 가이더 수용홈
519: 수용홈 커버 52: 도어글래스 53: 컨트롤패널
55: 힌지부 551: 힌지 서포터 5511: 돌기 수용부
553: 서포터 커버 555: 힌지바디 556a, 556b: 힌지암
556c: 돌기 557: 회전축 57: 잠금부
C: 커넥터 7: 도어 커넥터(장치 커넥터)
71: 커넥터 바디 711: 수용홈 715: 플랜지 가이더
716: 인출부 717: 플랜지 제2지지부 719: 플랜지 제1지지부
73: 와이어 가이더 731: 가이더 바디 733: 회전축 지지부
735: 와이어 수용부 75: 전력플러그(패널 전력단자)
751: 전력 플러그 바디(전력단자 바디) 752: 전력단자 체결부
757: 플랜지 77: 통신플러그(패널 통신단자)
771: 통신 플러그 바디(통신단자 바디) 772: 통신단자 체결부
777: 플랜지 8: 제1커넥터 81: 캐비닛 커넥터 바디
87: 전력소켓(캐비닛 전력단자) 89: 통신소켓(캐비닛 통신단자)

Claims (23)

  1. 투입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프론트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된 패널 전력단자;
    상기 패널 전력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전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력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1전력단자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력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2전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된 패널 전력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에 착탈 가능한 전력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는 후크;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더 바디; 및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및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는 후크;
    상기 프레임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바디;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암;
    자유단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암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힌지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를 상기 패널 전력단자로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더;
    상기 도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제1힌지암과 상기 제2힌지암에 각각 고정된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더 바디; 및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전력와이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 바디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과 제어신호를 교환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프론트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는 패널 통신단자;
    상기 패널 통신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통신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과 제어신호를 교환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는 패널 통신단자;
    상기 패널 통신단자와 상기 컨트롤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 통신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통신단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통신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1통신단자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통신단자가 착탈 가능한 제2통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85A 2016-04-01 2016-04-01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5A KR101988321B1 (ko) 2016-04-01 2016-04-01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5A KR101988321B1 (ko) 2016-04-01 2016-04-01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966A Division KR102158689B1 (ko) 2013-11-04 2013-11-04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86A true KR20160041886A (ko) 2016-04-18
KR101988321B1 KR101988321B1 (ko) 2019-06-12

Family

ID=5591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85A KR101988321B1 (ko) 2016-04-01 2016-04-01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21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6945A (zh) * 2018-12-27 2019-04-05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语音开门控制装置
WO2020045892A1 (ko) * 2018-08-26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RU2726684C1 (ru) * 2019-02-01 2020-07-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WO2021149931A1 (ko) * 2020-01-22 202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248332B2 (en) 2019-02-0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5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6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1371B2 (en) 2019-02-01 2022-08-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7952B2 (en) 2019-02-01 2022-08-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99262B2 (en) 2019-02-01 2022-11-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25206B2 (en) 2019-02-0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0668B2 (en) 2019-02-0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802365B2 (en) 2019-02-01 2023-10-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2006619B2 (en) 2019-08-21 2024-06-11 Lg Electronics Inc. Clothes-process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918A (ko) * 2004-04-23 200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스위치와 커넥터 연결구조
KR20110012307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10067886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3087774A1 (en) * 2011-12-16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and a power consumption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918A (ko) * 2004-04-23 200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스위치와 커넥터 연결구조
KR20110012307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10067886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3087774A1 (en) * 2011-12-16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and a power consumption modul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9198A (zh) * 2018-08-26 2021-04-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WO2020045892A1 (ko) * 2018-08-26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2639198B (zh) * 2018-08-26 2023-09-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N109576945A (zh) * 2018-12-27 2019-04-05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语音开门控制装置
US11384476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248332B2 (en) 2019-02-0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5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726686C1 (ru) * 2019-02-01 2020-07-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1421371B2 (en) 2019-02-01 2022-08-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7952B2 (en) 2019-02-01 2022-08-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99262B2 (en) 2019-02-01 2022-11-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25206B2 (en) 2019-02-0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0668B2 (en) 2019-02-0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726684C1 (ru) * 2019-02-01 2020-07-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1802365B2 (en) 2019-02-01 2023-10-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2006619B2 (en) 2019-08-21 2024-06-11 Lg Electronics Inc. Clothes-processing device
WO2021149931A1 (ko) * 2020-01-22 202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321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321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50051465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50051466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US10612296B2 (en) Appliance door assembly
US1069710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875663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US20180340285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239613B2 (en) Power cord and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KR2017008146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044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220146946A (ko) 세탁기용 커넥터
KR20140142653A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6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05

Effective date: 2019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