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71A -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71A
KR20160041871A KR1020160037195A KR20160037195A KR20160041871A KR 20160041871 A KR20160041871 A KR 20160041871A KR 1020160037195 A KR1020160037195 A KR 1020160037195A KR 20160037195 A KR20160037195 A KR 20160037195A KR 20160041871 A KR20160041871 A KR 2016004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aser
shape
module
si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행
유진창
윤태중
Original Assignee
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6003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871A/en
Publication of KR2016004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B22F3/1055
    • B29C67/0085
    • B29C6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22F2003/1056
    • B22F2003/1057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using the laser, wherein the device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reduces a repairing time by spraying the material with fluidity such as ink or powder when a substrate such as an FPD and a PCB is repaired using the material with fluidity and drying and sintering the sprayed material at the same time. The device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also repairs a failure which is difficult to be repaired, and applies the material with fluidity such as the ink or the powder to 3D printing. The device for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comprises: a spray module spraying the material; a laser source supplying a laser beam to dry and sinter the sprayed material; a beam control module controlling a shape of the laser beam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and an optical module radiating the laser beam in which the shape is controlled by the beam control module to the spra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device and the method for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the material can be sprayed, dried, and sintered at the same time during a process of repairing a failure, and does not require to pass through an additional drying and sintering process; thereby reducing a time of repairing the failure, and the device having a simple composition. Moreover, the failure, which cannot be repaired as an existing device uses a material with fluidity such as ink or powder, can be repaired; and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as the material with the fluidity which cannot be applied to an existing 3D printing is applied.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nd sintering material,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대상물을 소결성형하기 위해 잉크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소재를 기판 또는 대상물 등에 분사하고 분사된 소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건조시키거나 소결시키기 위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y-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or sintering a target by spraying a material made of ink or powder in the form of a substrate or an object, And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for drying and sintering.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 피씨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LCD, OLED와 같은 FPD를 채용한 TV의 점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FPD 및 PCB의 생산이 급증하고 있다.Recently, the spread of various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s grown rapidly, and FPDs and PCBs of various size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as the share of TVs adopting FPDs such as LCDs and OLEDs has increased.

FPD, PCB 등 회로배선이 형성된 기판은 다양한 공정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공정과정 중에 다양한 요인에 의해 회로배선 기판에 결함(defect)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함은 FPD, PCB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배선이 open/short되는 결함뿐만 아니라 FPD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칼라필터 등에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결함에 의해 양산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A substrate on which circuit wiring such as an FPD or a PCB is formed is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 steps, and defects are generated in the circuit wiring substrate due to various factors during the process. These defects occur not only in defects in which the driving circuit wiring for driving the FPD and the PCB are open / shorted but also in the color filters included in the display of the FP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is decreased due to such defects.

종래에는 이러한 결함의 개수에 기준을 두고 그 기준 이하면 양품으로 판정하여 출하하였으나 최근에는 회로배선 또는 구동소자가 open되거나 short되는 경우 그 부분을 cutting하거나 wiring함으로써 정상적인 제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기판 상의 결함을 검출하고 이를 수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양산수율을 높이고 있다.Conventionally, the number of such defects has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defects. However, if the circuit wiring or the driving element is short-circuited or short-circuited in recent years, it may be a normal product by cutting or wiring the part, And the mass production yield is increased by using a device for repairing it.

종래의 결함수리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short된 배선부분을 끊어주거나 분말 소재를 분사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open된 배선부분을 이어주는 방식이었으나 레이저에 의한 기판손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CVD 기술을 활용하여 결함을 수리하기 때문에 챔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상온에서는 결함을 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defect repair devices use a laser to break shorted wiring parts or spray powder material and then sinter using laser to connect the open wiring part. However, not only the problem of substrate damage due to laser but also CV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mber is indispensably require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efects can not be repaired at room temperature.

이러한 종래 결함수리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잉크소재를 분사한 후 분사된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사된 소재를 건조 또는 소결시켜 결함을 수리하는 방식이 최근 보급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잉크소재를 분사한 후 별도의 공정과정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시킴에 따라 결함을 수리하는 시간이 길고 수리하고자 하는 배선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잉크소재가 유동성이 있는 액체상태이므로 분사 후 별도 공정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흘러내리므로 일정 높이 이상으로 배선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uch a conventional defect repairing apparatus, a method of repairing defects by drying or sintering a jetted material by irradiating a laser beam onto the jetted material after jetting the ink material has recently become popular. In this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repairing defects is long and the height of the wiring to be repaired is limited due to drying and sintering of the sprayed material by irradiating a laser in a separate process step. That is, since the ink material is in a liquid state with fluidity, it is difficult to form the wiring at a certain height or more since it flows down dur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separate process after injection.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3D Printing의 경우 3차원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해서 성형되는 단면을 지지하기 위해 support 구조가 필수적이어서 잉크나 분말 등 분사 후 유동성이 있는 물질을 적용하기 어려운 난점이 있고 이 때문에 플라스틱 등 제한적인 소재만이 적용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3D printing in recent years, a support structure is necessary to support a section to be molded in order to fo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applying materials having fluidity after injection such as ink or powder.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limited material is applied.

JPJP 2007-2814352007-281435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나 분말 등 유동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FPD, PCB 등의 기판을 수리하는 경우 분사와 동시에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하여 수리시간을 단축하고 수리가 어려운 결함을 수리할 수 있으며 3D Printing에 잉크나 분말 등 유동성이 있는 소재를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pairing a substrate such as an FPD or a PCB by using a fluid material such as ink or pow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laser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and repairing defects that are difficult to repair and applying a fluid material such as ink or powder to 3D prin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를 분사하는 분사모듈과, 상기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레이저소스와, 상기 레이저소스로부터 공급된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빔조절모듈과, 상기 빔조절모듈에서 조절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의 주위로 조사하는 광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분사모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의 주위에 조사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로 이동시킨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the apparatus comprising: a spray module movably installed to spray the material; a laser source for supplying a laser beam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sprayed material; An optical module for irradiating an annular laser beam adjusted by the beam adjusting module around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And the optical module moves the laser beam of the annular shape irradiat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injection module.

또한, 상기 빔조절모듈은 원추형상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상의 렌즈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Also, the beam adjusting module may include a conical lens, and the shape of the laser beam may be adjusted to an annular shape using the conical lens.

또한, 상기 빔조절모듈은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속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환형형태의 레이저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beam adjus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ocusing lens, and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size of the annular laser beam.

또한, 상기 빔조절모듈은 환형 형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이용하여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adjusting module includes an annular slit, and the shape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to an annular shape using the slit.

또한, 상기 분사모듈은 잉크형태의 소재를 분사하는 잉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module may include an ink nozzle for ejecting an ink-like material.

또한, 상기 잉크 노즐에서 잉크형태의 소재는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분사될 수 있다.Further, in the ink nozzle, the ink-like material can be injected using electrohydraulic.

또한, 상기 분사모듈은 분말형태의 소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module may include a spray nozzle for spraying a powdery materi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은 상기 소재를 분사모듈을 이용하여 분사 위치에 분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하기 위하여 레이저소스를 통해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모양이 조절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광학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분사된 분사 위치의 주위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모듈을 이동하여 상기 분사 위치의 주위에 조사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분사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the method comprising: spraying the material onto an injection position using an injection module; Supplying a laser beam through a laser source to dry and sinter the sprayed material;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o an annular shape; Irradiating the laser beam of the annular shape having the shape adjusted to the periphery of the injection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using the optical module; And moving the injection module to move an annular laser beam irradiated around the injection position to the injection position.

또한, 상기 소재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재는 잉크형태의 소재이고, 전기 수력학을 이용하여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spraying the material, the material is an ink-like material and can be sprayed using electrohydraulics.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급된 레이저빔을 원추형상의 렌즈를 포함한 빔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형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Also,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he shape of the laser beam may be adjusted in an annular shape using the beam adjusting module including the conical lens.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빔조절모듈에는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속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he beam adjus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ocusing lens,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annular laser beam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급된 레이저빔을 슬릿을 포함한 빔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형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Also,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he shape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in an annular shape using the beam adjusting module including the slit.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결함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분사와 동시에 소재를 건조 소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n effect that the material can be dried and sintered simultaneously with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 the process of repairing defects.

또한, 별도로 건조 소결하는 공정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결함을 수리하는 시간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process of drying and sintering separately, the time for repairing defects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of the equipment can be simplified.

또한, 종래 잉크나 분말 등 유동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수리할 수 없었던 결함을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pairing defects that could not be repaired using a fluid material such as conventional ink or powder.

또한, 종래 3D Printing에서 적용할 수 없었던 유동성이 있는 소재를 적용하여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by applying a material having fluidity that could not be applied in conventional 3D prin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에서 빔조절모듈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에서 빔조절모듈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의 분사 후 건조 소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에서 환형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embodiment of a beam adjusting module in a dry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eam adjusting module in the material sintering apparatus using the las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ost-spray drying and sintering process of a dry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size of an annular beam in a dry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the las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ying and sintering a work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는 FPD, PCB 등의 결함을 수리하기 위해 적합한 소재를 분사하는 분사모듈(100)과, 분사모듈(100)에서 분사된 소재를 건조 또는 소결(sintering)하기 위한 열을 얻기 위해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레이저소스(200)와,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빔조절모듈(300)과, 빔조절모듈(300)에서 조절된 레이저빔을 분사된 소재쪽으로 조사하여 분사된 소재가 건조 소결되도록 하는 광학모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ay module for spraying a material suitable for repairing defects such as FPD, A laser source 200 for supplying a laser beam to obtain heat for drying or sintering the materia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module 100; And an optical module 400 for irradiating the laser beam adjusted by 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to the sprayed material so that the sprayed material is dried and sintered.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는 주로 고온에서 건조 소결되는 금속재질의 소재를 활용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FPD, PCB 등과 같이 전자부품을 구동시키는 회로소자와 각 회로소자를 연결하는 배선패턴(15)이 형성된 기판(10)의 결함을 수리하거나 소재를 분사한 후 건조 소결시켜 3차원 구조물을 적층 성형하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The material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the la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pplied to an apparatus utilizing a metal material which is dried and sintered at a high temperature, and it includes circuit elements for driv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FPD and PCB,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repairing defects of a substrate 10 on which a substrate 15 is formed or spraying a material and drying and sintering the substrate 10 to fo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배선패턴(15)이 형성된 기판(10)에 발생한 결함은 제조공정 중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주로 공정 중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기판(10)에 형성된 배선이 open되거나 short되는 결함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손상된 배선에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회로배선을 형성하게 된다. Defects occurring in the substrate 10 on which the wiring patterns 15 are formed are caused by various facto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foreign materials are mainly removed from the defects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during the process and the wirings formed on the substrate 10 are opened or shorted Conductive material is used for the damaged wiring to form a normal circuit wiring.

전도성을 가진 물질은 주로 금속재질로서 잉크 또는 분말형태로 분사하는 경우 잉크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켜 분사된 소재 중 금속재질의 소재만 남긴 후 배선으로 형성하기 위해 소결하여 굳히는 과정이 필요하다. 분말소재를 분사하는 경우에도 잉크와 달리 건조하는 과정은 필요 없겠지만 배선으로 형성하기 위한 소결과정은 필수적이다.When a conductive material is sprayed in the form of ink or powder, it is necessary to evaporate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ink and to sinter and solidify the sprayed material in order to form a wiring. Even when spraying the powder material, the drying process is not necessary unlike the ink, but the sintering process for forming the wiring is essenti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잉크 등의 소재로 기판(10)에 형성된 배선을 수리하는 경우 잉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소재를 분사하고 이를 건조 소결하기 위해 스테이지를 이동하여 분사된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결함을 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잉크 등의 형태가 유동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두꺼운 배선과 같이 수리가 불가능한 결함이 있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repairing a wiring formed on a substrate 10 using a material such as ink, a material made of ink or the like is sprayed, and the stage is moved for drying and sinter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defect such as thick wiring that can not be repaired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air the defect and the shape of ink or the like has fluidity.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는 소재의 분사와 동시에 레이저를 분사된 소재에 조사하여 건조 또는 소결시킴에 따라 결함을 수리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종래 유동성이 있는 소재로 수리가 불가능한 결함도 정상적으로 수리할 수 있고,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3D Printing에서 다양한 소재를 잉크 또는 분말형태로 만든 후 대상물에 분사와 동시에 건조 소결시킴으로서 소재의 제한 없이 다양한 소재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rying and sintering apparatus using the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matically reduce the time required to repair defects by irradiating the laser to the sprayed material and drying or sintering the material simultaneously with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3D printing, which is capable of repairing defects normally, can be made in ink or powder form in 3D printing to produce 3D structures, and then dried and sintered at the same time as spraying on the object. .

본 발명의 분사모듈(100)은 기판(10)의 결함을 수리하거나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에 해당 소재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분사모듈(100)은 다양한 소재를 각기 적합한 방식으로 분사시키는데 잉크형태의 소재를 분사하는 경우 공압을 이용하거나 히팅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사모듈(100)은 잉크형태의 소재를 분사하기만 하면 되므로 소재에 적합한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지 무관하다. 다만 정밀도의 측면에서 전도성 잉크를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토출하는 분사방식이 본 발명의 건조 소결장치에 적합하다.The injection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spraying the material when repairing defects of the substrate 10 or fabrica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injection module 100 injects a variety of materials in a suitable manner. When injecting an ink-like material, pneumatic pressure may be used, or heating or a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used. Since the jett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jet the ink-like material, any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suitable for the material. However, a spraying method in which conductive ink is discharged by using electrohydraulics is suitable for the dry sint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precision.

또한, 분사모듈(100)은 분말형태의 소재를 토출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분말 상호간에 일시적인 접착이 유지되도록 분말을 코팅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고, 분말소재의 분사와 동시에 소결될 수 있도록 분사모듈(100)의 주위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는 잉크형태에 비해 분말의 경우 분사와 동시에 흘러내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injection module 100 may be a method of discharging a powdery material. In this case, it may be necessary to coat the powder so that the temporary adhesion between the powders is maintained, or the powdery material may be sintered at the same time It may be necessary to reduce the size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around the firing module 100.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powder, compared to the ink form, there is a possibility of flowing simultaneously with the spraying.

본 발명의 레이저소스(200)는 분사모듈(100)에서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을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하는 레이저빔은 분사되는 소재에 따라 적절한 파장대 및 출력대를 취사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통상 산업용 레이저로 고출력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물론 소재에 따라 저출력이 필요할 수도 있고, 특정 파장대에 흡수율이 우수한 경우 해당 파장대의 레이저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laser sour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a laser beam for supplying heat required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module 100. The laser beam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200 can be selected and applied to an appropriate wavelength band and an output band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jetted, and it is usually convenient to use a carbon dioxide laser capable of high output as an industrial las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material, it may be necessary to use a low output power, or if the absorption rate is excellent at a specific wavelength band, the laser of the corresponding wavelength band may be used.

본 발명의 빔조절모듈(300)은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210)의 모양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도 2a, 2b는 빔조절모듈(3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본 발명의 빔조절모듈(300)은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210)을 분사모듈(100)에서 분사된 소재를 분사와 동시에 건조 소결할 수 있도록 레이저빔(210)의 모양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모듈(100)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던지 간에 분사된 소재를 환형 형태의 레이저빔이 지나가기 때문이다. 물론 분사와 동시에 건조 소결하기 위해서는 분사된 위치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조사된 레이저빔 때문에 분사된 소재가 비산하거나 모양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하는 모양으로 소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분사와 동시에 건조 소결이 가능하고 분사모듈(100)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든 건조 소결에 문제가 없음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좌에서 우로 분사모듈(100)이 움직이는 경우 포인트 또는 라인 형태의 레이저빔을 분사모듈(100)의 뒤에서 조사한다면 직선으로 움직일 때는 상관없지만 직각으로 꺽이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곡선형태로 움직이는 경우 분사된 소재에 레이저빔을 정확하게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분사모듈(100)에서 소재를 분사하는 노즐(150) 주위를 감싸듯이 환형 형태의 레이저빔(310)을 조사하는 경우 분사모듈(100)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든 분사된 소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210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200.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eam adjustment module 300. The beam adjustment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m adjustment module 300 for modifying the laser beam 210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200, And changes the shape of the laser beam 210 so that the sprayed material can be dried and sintered simultaneously with spraying.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n an annular shape because the laser beam of an annular shape passes through the sprayed materi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injection module 100 . Of course, in order to dry and sinter simultaneously with spraying,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the sprayed position, but in this case, since the sprayed material is scattered due to the irradiated laser beam or the shape thereof is likely to be disturbed, .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explained that dry sinter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as jetting, and there is no problem in drying and sintering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jetting module 100. For example, when the jetting module 100 moves from left to right, Shaped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rear of the injection module 1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ser beam can not be accurately irradiated to the sprayed material when moving in a straight direction or moving in a curved shape. In contrast, when the annular laser beam 310 is irradiated to surround the nozzle 150 for spraying the material in the injection module 100, the laser beam is applied to the injected materi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injection module 100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을 환형 형태로 조절하기 위해 빔조절모듈(300)의 제1실시예를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추형상의 렌즈(320)으로 레이저빔이 입사되면 원추형상의 렌즈(320)를 통과하면서 원추형상의 렌즈(320) 때문에 레이저빔이 환형을 변하게 된다. 도 2a에는 원추형상의 렌즈(320) 두 개를 이용하여 환형 형태의 레이저빔을 만들었지만 이는 평행한 환형빔을 만들어 빔조절모듈(300)의 높이에 따라 환형빔의 크기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환형빔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상관없거나 빔조절모듈(300)의 높이가 일정한 경우 원추형상의 렌즈(320)를 하나만 사용해도 무관하다.Referring to FIG. 2A, a first embodiment of the beam adjustment module 300 for adjusting the laser beam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200 into an annular shape will be described. When a laser beam is incident on the conical lens 320, The laser beam is changed into an annular shape due to the conical lens 320 passing through the lens 320. 2A, an annular laser beam is produced by using two conical lenses 320.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ize of the annular beam from varyin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by forming a parallel annular beam,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conical lens 320 when the height of 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is constant.

도 2b는 원추형상의 렌즈(320) 사이에 포커스렌즈(330)을 배치하고 포커스렌즈(330)를 좌우로 움직여 우측 원추형상의 렌즈(320)로 입사되는 환형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모듈(100) 주위로 조사되는 환형빔의 사이즈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포커스렌즈(330) 원추형상의 렌즈(320) 사이가 아니라 우측 렌즈 끝단에 위치하여도 환형빔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FIG.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cus lens 330 is disposed between the conical lenses 320 and the focus lens 330 is moved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size of the annular beam incident on the right conical lens 320, The size of the annular beam irradiated around the beam spot can be simply controlled. Of course, the size of the annular beam can be adjusted even if the focus lens 330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ight lens, not between the lenses 320 of the conical shape.

도 3은 빔조절모듈(3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원하는 형상으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기 위해 원하는 형상만 뚫려 있는 슬릿(350)을 이용하는 방식인데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을 슬릿(350)에 조사하면 슬릿(350)에 뚫려 있는 형상으로 레이저빔이 통과하므로 레이저빔을 원하는 모양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빔이 슬릿(350)을 통과하고난 후 포커스렌즈(330)를 배치하여 분사모듈(100) 주위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도 있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eam adjustment module 300. In order to adjust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n a desired shape, a slit 350 having a desired shape is used.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slit 350,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slit 350, so that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shape. After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slit 350, the focus lens 330 may be disposed to adjust the size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around the injection module 100.

도 5는 모양이 조절된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다른 방식을 도시한 도면인데 중간에 빔스플리터(360)을 배치하고 상하에 오목 또는 볼록의 원추형상 미러(370)를 배치한 후 입사된 레이저빔이 빔스플리터(360)을 통과 반사하면서 환형 형태로 변한 레이저빔이 출사하면 그 끝단에 포커스렌즈(330)를 배치하여 포커스렌즈(330)을 좌우로 이동시켜 환형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빔스플리터(360)이 특정 편광된 빛만 통과/반사하는 경우 원추형상 미러(370) 앞단에 편광방향을 조절하는 편광판(380)을 배치할 수도 있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laser beam whose shape is adjusted. In the middle of the laser beam, a beam splitter 360 is disposed, a concave or convex conical mirror 370 is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hen the beam is reflected by the beam splitter 360 and emitted into the annular shape, the focus lens 33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laser beam to move the focus lens 330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size of the annular beam . When the beam splitter 360 passes / reflects only the specific polarized light, a polarizing plate 38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ical mirror 370 to adjust the polariz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빔조절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형상으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식이든 상관이 없지만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환형 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것이 분사모듈(100)의 이동방향 및 형태와 상관없이 분사된 소재를 분사와 거의 동시에 건조 소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but may be of any type as long as it can adjust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o a desired shape. Howev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prayed material can be dried and sinter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spraying regardless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injection module 100. [

광학모듈(400)은 빔조절모듈(300)에서 모양이 조절된 레이저빔의 광경로를 조절하여 분사모듈(100) 주위로 조사하는 구성이다. 광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광학모듈(400)은 스캐너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구동가능한 렌즈와 미러를 조합하여 모양이 조절된 레이저빔의 광경로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레이저빔의 광경로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떤 방식을 채용하던 무관하다.The optical module 400 controls the optical path of the laser beam whose shape is controlled by the beam adjusting module 300 and irradiates the optical path around the injection module 100. In order to adjust the optical path in a desired direction, the optical module 400 may use a scanner, but a driver lens and a mirror may be combined to control the optical path of the laser beam whose shape is adjusted. That is, it is irrelevant to adopt any method as long as the optical path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as desired.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인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the las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the las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은 패턴(15) 상의 결함을 수리하거나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소재를 기판(10) 또는 대상물에 분사한다.(S100) 소재가 분사된 후 분사된 소재의 건조 소결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레이저소스(200)를 통해 공급한다.(S110) 레이저소스(200)에서 공급된 레이저빔을 빔조절모듈(300)을 통해 분사모듈(100) 주위로 조사될 수 있도록 모양을 조절한다.(S120) 모양이 조절된 레이저빔을 광학모듈(400)을 이용하여 광경로를 조절하여 분사모듈(100) 주위로 조사한다.(S130) 이렇게 분사모듈(100) 주위로 레이저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소재의 분사와 거의 동시에 건조 소결되도록 하여 종래 수리가 어려운 결함을 수리하거나 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First, the method of drying and sintering a material using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airs defects on a pattern 15 or ejects a material onto a substrate 10 or an object to manufactur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100) A laser beam for supplying heat required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material is supplied through a laser source 200. S110 The laser beam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200 is supplied to a jetting module (S120) The laser beam whose shape is adjusted is irradiated around the injection module 100 by adjusting the optical path using the optical module 400 (S130).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so that the laser beam can be irradiated around the injection module 100, so that it can be dried and sintered almost at the same time as the injection of the material,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air defects that are difficult to repair in the pas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one material.

기판 : 10 분사모듈 : 100
레이저소스 : 200 빔조절모듈 : 300
광학모듈 : 400
Substrate: 10 Injection module: 100
Laser source: 200 beam adjustment module: 300
Optical module: 400

Claims (12)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를 분사하는 분사모듈과,
상기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레이저소스와,
상기 레이저소스로부터 공급된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빔조절모듈과,
상기 빔조절모듈에서 조절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의 주위로 조사하는 광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분사모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의 주위에 조사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소재가 분사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a dry sintering apparatus using a laser,
A spray module movably installed to spray the material,
A laser source for supplying a laser beam for drying and sintering the sprayed material,
A beam adjusting module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supplied from the laser source in an annular shape,
And an optical module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of an annular shape adjusted in the beam adjusting module around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Wherein the optical module moves an annular laser beam irradiated around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to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injection module.
청구항 1에서,
상기 빔조절모듈은 원추형상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상의 렌즈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beam conditioning module comprises a conical lens,
Wherein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to an annular shape by using the conical lens.
청구항 1에서,
상기 빔조절모듈은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속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환형형태의 레이저빔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beam condition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focusing lens,
Wherein the laser beam size of the annular shap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청구항 1에서,
상기 빔조절모듈은 환형 형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이용하여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beam adjustment module includes an annular slit,
Wherein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to an annular shape using the slit.
청구항 1에서,
상기 분사모듈은 잉크형태의 소재를 분사하는 잉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jetting module includes an ink nozzle for jetting an ink-like material.
청구항 5에서,
상기 잉크 노즐에서 잉크형태의 소재는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5,
Wherein the ink-like material in the ink nozzle is sprayed using an electrohydraulic method.
청구항 1에서,
상기 분사모듈은 분말형태의 소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 건조 소결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spray module includes a spray nozzle for spraying a powdery material.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를 건조 소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재를 분사모듈을 이용하여 분사 위치에 분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된 소재를 건조 소결하기 위하여 레이저소스를 통해 레이저빔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환형형태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모양이 조절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광학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분사된 분사 위치의 주위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모듈을 이동하여 상기 분사 위치의 주위에 조사된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을 상기 분사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
A method of dry-sintering a material using a laser,
Spraying the material onto an injection position using an injection module;
Supplying a laser beam through a laser source to dry and sinter the sprayed material;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to an annular shape;
Irradiating the laser beam of the annular shape having the shape adjusted to the periphery of the injection position where the material is injected using the optical module;
And moving the injection module to move an annular laser beam irradiated around the injection position to the injection position.
청구항 8에서,
상기 소재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재는 잉크형태의 소재이고, 전기 수력학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
In claim 8,
In the step of spraying the material,
Wherein the material is an ink-like material and is sprayed using an electrohydraulic method.
청구항 8에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급된 레이저빔을 원추형상의 렌즈를 포함한 빔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형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
In claim 8,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Wherein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in an annular shape by using the beam adjusting module including the conical lens.
청구항 10에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빔조절모듈에는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속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환형형태의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
In claim 10,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Wherein the beam adjus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focusing lens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annular laser beam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lens.
청구항 8에서,
상기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급된 레이저빔을 슬릿을 포함한 빔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형형태로 레이저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방법.
In claim 8,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beam,
Wherein the shap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in an annular shape using the beam adjustment module including the slit.
KR1020160037195A 2016-03-28 2016-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KR201600418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95A KR20160041871A (en) 2016-03-28 2016-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95A KR20160041871A (en) 2016-03-28 2016-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072A Division KR20150138964A (en) 2014-05-30 2014-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71A true KR20160041871A (en) 2016-04-18

Family

ID=5591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95A KR20160041871A (en) 2016-03-28 2016-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87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176A (en) * 2016-04-26 2016-07-27 广东汉邦激光科技有限公司 Laser output device and 3D printer
KR20180117235A (en) 2017-04-18 2018-10-29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supplying powder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shapes
KR20190049429A (en) 2017-11-01 2019-05-09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Sinte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ve material using laser
US11322405B2 (en) 2019-11-2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trate dicing metho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chip fabricated by th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176A (en) * 2016-04-26 2016-07-27 广东汉邦激光科技有限公司 Laser output device and 3D printer
CN105799176B (en) * 2016-04-26 2018-01-02 广东汉邦激光科技有限公司 laser output device and 3D printer
KR20180117235A (en) 2017-04-18 2018-10-29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supplying powder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shapes
KR20190049429A (en) 2017-11-01 2019-05-09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Sinte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ve material using laser
US11322405B2 (en) 2019-11-2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trate dicing metho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chip fabricated by them
US11854892B2 (en) 2019-11-25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trate dicing metho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chip fabricated by th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8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US11396128B2 (en) Stack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ack formation
CN106238906B (en) Prosthetic device and restorative procedure
TWI466733B (en) Laser decal transfer of electronic materials
US10914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melt pool monitoring system of an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JP2003181668A (en) Pico-second laser micro-machining system, system for controlling intensity of beam of light, method of laser milling cutting, method of controlling intensity distribution of beam of light, method of designing micro- filter, method of rectifying angle of reflection, method of correcting hysteresis effect, and method of operating scanning mirror
KR201501389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or sintering material
KR101535207B1 (en) Ink ejection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line by electrohydrodynamics and forming method of pattern by electrohydrodynamics
CN108723364B (en) Powder supply device for 3D shape manufacturing
JP7443236B2 (en) LIFT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86211B1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US9649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tructure on a substrate
CN111319358A (e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apparatus
KR201401132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line by electrohydrodynamics
TW201722607A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method
WO2019203050A1 (en) Wiring correction device and wiring correction method
CN102653850A (en) Spray deposition-laser remelting combined forming process and equipment
KR200900069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substrate using uv laser
KR101819654B1 (en)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KR20180040361A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80839B1 (en) Laser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336611A (en) Laser device for manufacture
KR102112271B1 (en) Apparatus for printing electrode and method for printing electrode
KR102263394B1 (en) Nozzle Monitor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Fine Ink
US202002306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work 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