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706A -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706A
KR20160041706A KR1020140136173A KR20140136173A KR20160041706A KR 20160041706 A KR20160041706 A KR 20160041706A KR 1020140136173 A KR1020140136173 A KR 1020140136173A KR 20140136173 A KR20140136173 A KR 20140136173A KR 20160041706 A KR20160041706 A KR 20160041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contact
turned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977B1 (ko
Inventor
이태중
이상훈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3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977B1/ko
Priority to EP15848457.6A priority patent/EP3118997B1/en
Priority to CN201580022267.3A priority patent/CN106464250B/zh
Priority to PL15848457T priority patent/PL3118997T3/pl
Priority to PCT/KR2015/010385 priority patent/WO2016056786A1/ko
Priority to US15/305,774 priority patent/US9699852B2/en
Publication of KR2016004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72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N junctions; having more than three electrodes; having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8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9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semiconductor switches with more than two PN-junctions, or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36Means reducing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와 같은 절연 스위치에 있어서 절연 스위치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상시에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고 이벤트 발생 시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여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절연 스위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solated switch}
본 발명은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와 같은 절연 스위치에 있어서 절연 스위치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상시에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고 이벤트 발생 시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여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절연 스위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간의 데이터나 신호 등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릴레이(relay)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간의 절연이 필요한 경우에는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와 같은 절연 스위치가 이용된다.
종래 포토 모스 릴레이를 이용하는 멀티 시스템에 있어서, 1차측 시스템으로부터 2차측 시스템으로 데이터나 신호 등의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보통 포토 모스 릴레이의 LED가 온(ON) 상태일 때, 2차측 시스템의 부하의 접점이 연결되어 있고, 비상 상황(Emergency)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여 부하의 접점을 끊어야 하는 경우에는, LED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 부하의 접점을 끊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시에는 절연 스위치에 포함된 LED가 발광 상태가 되고, 이벤트가 있을 경우 LED가 꺼진 상태가 되는 종래의 시스템은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낭비될 뿐 아니라, LED를 포함한 절연 스위치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절연 스위치가 포함된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차 전지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비상상황(Emergency) 시 정지(Stop) 기능을 갖춘 시스템에서는 절연 스위치의 LED를 상시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긴급 상황에서 온 상태로 제어하는 구조의 설계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642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와 같은 절연 스위치에 있어서 절연 스위치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상시에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고 이벤트 발생 시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여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절연 스위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는, 제1 전류원; 상시에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할 시 로우(LOW) 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전류원 및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가 되고 상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면 온 상태가 되는 절연 스위치; 및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접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 제어부는, 상기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전류원; 상기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이 인가되지 않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 상기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하고,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하는 부정 회로부;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접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스위치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일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은,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하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전류원 및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연결된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접점 제어부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저항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단계; 상기 저항에 연결된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된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로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접점 제어부가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된 저항에 흘러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저항에 연결된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된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스위치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일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와 같은 절연 스위치에 있어서 절연 스위치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상시에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고 이벤트 발생 시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LED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여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절연 스위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의 부하의 접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는 제1 전류원(11), 이벤트 신호 발생부(12), 트랜지스터 스위치(13), 저항(14), 절연 스위치(15) 및 접점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에서 제1 전류원(11)은 전류를 인가하고, 이벤트 신호 발생부(12)는 상시에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할 시 로우(LOW) 신호를 발생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NPN형 트랜지스터(13-1) 및 두 개의 저항(13-2, 1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반적인 NP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NP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동작 원리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동작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제1 전류원(11) 및 이벤트 신호 발생부(12)와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베이스가 이벤트 신호 발생부(12)와 연결되고, 컬렉터가 저항(14)을 거쳐 제1 전류원(11)과 연결되며, 이미터가 접지와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로부터 상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 상태가 된다.
절연 스위치(15)의 입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스위치(13)와 연결된다. 절연 스위치(15)는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를 때는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트랜지스터 스위치(15)가 오프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제1 전류원(11)으로부터의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오프 상태가 된다. 절연 스위치(15)는 LED(15-1)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일 수 있다.
접점 제어부(16)는 절연 스위치(15)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절연 스위치(15)가 온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15)가 오프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정리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상시 상태에서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가 하이 신호를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온 상태가 되어 저항(14)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절연 스위치(15)는 온 상태가 된다. 이 때, 절연 스위치(15)가 포토 모스 릴레이일 경우,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즉, 상시 상태에서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발광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접점 제어부(16)는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가 로우 신호를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 스위치(13)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저항(14)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절연 스위치(15)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때, 절연 스위치(15)가 포토 모스 릴레이일 경우,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꺼지게 된다. 즉,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꺼지게 된다. 그리고 접점 제어부(16)는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종래의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는 상시에는 절연 스위치(15)에 포함된 LED(15-1)가 발광 상태가 되고,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LED(15-1)가 꺼진 상태가 되므로, LED(15-1)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 LED(15-1)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낭비될 뿐 아니라, LED(15-1)를 포함한 절연 스위치(15)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0)는 제1 전류원(110),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 트랜지스터 스위치(130), 제1 저항(140), 절연 스위치(150) 및 접점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0)에서 제1 전류원(110)은 전류를 인가하고,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는 상시에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할 시 로우(LOW) 신호를 발생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PNP형 트랜지스터(131) 및 두 개의 저항(132, 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동작 원리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동작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제1 전류원(110) 및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베이스가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와 연결되고, 컬렉터가 제1 전류원(110)과 연결되며, 이미터가 절연 스위치(150)의 입력 단자를 거쳐 제1 저항(140)과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상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된다.
절연 스위치(150)의 입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스위치(130)와 연결된다. 절연 스위치(150)는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트랜지스터 스위치(150)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제1 전류원(110)으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면 온 상태가 된다. 절연 스위치(150)는 LED(151)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일 수 있다.
접점 제어부(160)는 절연 스위치(15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절연 스위치(160)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150)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접점 제어부(160)는 제2 전류원(161), 제2 저항(162), 부정 회로부(163) 및 접점 연결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접점 제어부(16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제2 전류원(161)은 절연 스위치(150)의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한다.
제2 저항(162)은 절연 스위치(150)의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되고, 절연 스위치(150)가 오프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이 인가되지 않다가, 절연 스위치(150)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제2 전류원(161)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전압이 인가된다.
부정 회로부(163)는 제2 저항(162)에 연결되고, 제2 저항(162)에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 신호로 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부정 회로부(163)는 제2 저항(16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하고, 제2 저항(162)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한다.
접점 연결부(164)는 부정 회로부(163)에 연결되고, 부정 회로부(163)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부정 회로부(163)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를 통해, 접점 제어부(160)는 절연 스위치(160)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150)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정리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상시 상태에서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가 하이 신호를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제1 저항(140)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절연 스위치(15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때, 절연 스위치(150)가 포토 모스 릴레이일 경우,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흐르지 않아 발광하지 않는다. 즉, 상시 상태에서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꺼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접점 제어부(160)는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120)가 로우 신호를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 스위치(130)는 온 상태가 되어 제1 저항(140)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절연 스위치(150)는 온 상태가 된다. 이 때, 절연 스위치(150)가 포토 모스 릴레이일 경우,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즉,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포토 모스 릴레이에 포함된 LED(151)는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접점 제어부(160)는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100)는 상시에는 절연 스위치(150)에 포함된 LED(151)가 꺼진 상태가 되고,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LED(151)가 발광 상태가 되므로, LED(151)가 발광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여 LED를 발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LED(151)를 포함한 절연 스위치(150)의 수명을 향상시켜 절연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1100).
단계(S1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즉 상시인 경우,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고(S1200), 제1 전류원 및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 상태가 된다(S1300).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연결된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S1400).
그리고 나서,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접점 제어부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한다(S1500).
단계(S1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로우(LOW) 신호를 발생하고(S1600),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된다(S1700).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다(S1800).
그리고 나서,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접점 제어부가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190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접점 제어부가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의 부하의 접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의 부하의 접점 제어 과정이 시작되면, 먼저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100).
단계(S2100)에서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저항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유지된다(S2200).
그리고 상기 저항에 연결된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한다(S2300).
그리고 나서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된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S2400).
단계(S2100)에서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된 저항에 흘러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된다(S2500).
그리고 상기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한다(S2600).
그리고 나서 상기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2700).
전술한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110: 제1 전류원
120: 이벤트 신호 발생부
130: 트랜지스터 스위치
140: 제1 저항
150: 절연 스위치
160: 접점 제어부
161: 제2 전류원
162: 제2 저항
163: 부정 회로부
164: 접점 연결부

Claims (10)

  1. 제1 전류원;
    상시에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할 시 로우(LOW) 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전류원 및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가 되고 상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면 온 상태가 되는 절연 스위치; 및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접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제어부는,
    상기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전류원;
    상기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이 인가되지 않다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
    상기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하고,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하는 부정 회로부;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접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위치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5.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하이(HIGH)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전류원 및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연결된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접점 제어부가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절연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저항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단계;
    상기 저항에 연결된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0을 입력 신호로 받아 1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된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1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가 로우(LOW)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상기 이벤트 신호 발생부로부터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온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절연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흘러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접점 제어부가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출력 단자의 타측에 연결된 저항에 흘러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저항에 연결된 부정 회로부가 상기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면 1을 입력 신호로 받아 0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 회로부에 연결된 접점 연결부가 상기 부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0을 입력 신호로 받으면 상기 부하의 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위치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스위치 제어 방법.
KR1020140136173A 2014-10-08 2014-10-08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9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73A KR101696977B1 (ko) 2014-10-08 2014-10-08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EP15848457.6A EP3118997B1 (en) 2014-10-08 2015-10-0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ulation switch
CN201580022267.3A CN106464250B (zh) 2014-10-08 2015-10-01 用于控制隔离开关的设备和方法
PL15848457T PL3118997T3 (pl) 2014-10-08 2015-10-01 Urządzenie i sposób do sterowania izolowanym przełącznikiem
PCT/KR2015/010385 WO2016056786A1 (ko) 2014-10-08 2015-10-01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5/305,774 US9699852B2 (en) 2014-10-08 2015-10-0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ulati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73A KR101696977B1 (ko) 2014-10-08 2014-10-08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706A true KR20160041706A (ko) 2016-04-18
KR101696977B1 KR101696977B1 (ko) 2017-01-16

Family

ID=5565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173A KR101696977B1 (ko) 2014-10-08 2014-10-08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9852B2 (ko)
EP (1) EP3118997B1 (ko)
KR (1) KR101696977B1 (ko)
CN (1) CN106464250B (ko)
PL (1) PL3118997T3 (ko)
WO (1) WO2016056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5007B (zh) * 2019-11-29 2021-11-16 北京航天长征飞行器研究所 一种隔离型高低压转换自保持电路
CN111756361A (zh) * 2020-07-06 2020-10-09 北京星际荣耀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运载火箭的时标产生电路及时标分发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270A (ko) 1996-12-18 1998-10-07 칼루자마이클이. 다성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조성물
KR20050120173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포스콘 실시간으로 출력 채널의 출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진단능력을 가진 plc 출력 모듈
KR100567245B1 (ko) * 2003-07-30 2006-04-03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자기 차단회로
KR20110058846A (ko) * 2008-09-25 2011-06-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릴레이 및 제어 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539A (en) * 1973-01-31 1974-05-28 Rohm & Haas Electro-optical coupler unit
US4347445A (en) * 1979-12-31 1982-08-31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Floating hybrid switch
KR900000310B1 (en) * 1985-02-20 1990-01-25 Takamisawa Electric Co Hybrid relay circuit having electromagnetic relay for switching ac power supply
JPH02188020A (ja) * 1989-01-17 1990-07-24 Fuji Electric Co Ltd ホトカプラ回路および電力用半導体素子の駆動用ホトカプラ回路
US5485341A (en) * 1992-09-21 1996-01-16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transistor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DE10356089B4 (de) * 2003-12-01 2005-11-03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induktiven Verbrauchers
EP1594021B1 (de) * 2004-05-05 2010-10-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Testen von Relaisschaltkontakten einer digitalen Ausgangsschaltung
CN101517878B (zh) * 2006-10-02 2012-02-0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双端绝缘型dc-dc转换器
WO2010035082A2 (en) 2008-09-25 2010-04-0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JP4803262B2 (ja) * 2009-01-27 2011-10-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214935B2 (en) * 2012-05-17 2015-12-1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Output module for industrial control with sink and source capability and low heat dissip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270A (ko) 1996-12-18 1998-10-07 칼루자마이클이. 다성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조성물
KR100567245B1 (ko) * 2003-07-30 2006-04-03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자기 차단회로
KR20050120173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포스콘 실시간으로 출력 채널의 출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진단능력을 가진 plc 출력 모듈
KR20110058846A (ko) * 2008-09-25 2011-06-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릴레이 및 제어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4250A (zh) 2017-02-22
EP3118997A1 (en) 2017-01-18
CN106464250B (zh) 2019-06-18
US9699852B2 (en) 2017-07-04
US20170048942A1 (en) 2017-02-16
EP3118997A4 (en) 2017-11-08
EP3118997B1 (en) 2020-12-02
WO2016056786A1 (ko) 2016-04-14
PL3118997T3 (pl) 2021-04-19
KR101696977B1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3236A3 (en) Power efficient laser diode driver circuit and method
WO2016104282A1 (ja) 光源点灯回路、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
KR20150050122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696977B1 (ko) 절연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7469578B2 (ja) 適応型電圧クランプ及び関連方法
TR201907406T4 (tr) Aydınlatma cihazı ve söz konusu aydınlatma cihazını içeren otomotiv ışığı.
TW200723666A (en) Fan system and brake method thereof
WO2011148259A3 (en) A light source for motor vehicles
US8258971B2 (en) Low voltage warning circuit
US20120176040A1 (en) Indicator drive circuit
US20120032591A1 (en) Light source lighting circuit and lamp system for vehicle
US20140354174A1 (en) Infrared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
EP2881284A1 (en) Direction-indication device
TWI717999B (zh) 燈光系統
WO2014199382A3 (en) Laser driver system and method
CN105393644A (zh) 用于独立控制串联发光二极管的电路和方法
KR20130056085A (ko) 발광소자부 쇼트 보호 회로
JP2014179451A (ja) 発光装置
EP2822179B1 (en) Light projecting device drive circuit and photoelectric sensor
CN106664084B (zh) 对于开关泄漏电流的被动泄漏管理电路
KR101512556B1 (ko) 포락선 트랙킹 전원 장치
US10462863B2 (en) Dimmer interfa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WO2015092863A1 (ja) Ledドライバ回路、および、ledドライバ回路の制御方法
US20140097770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with rotational speed limitation function and fan apparatus with rotational speed limitation function
JP6221807B2 (ja) Led点灯回路と、それを用いた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