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772A -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772A
KR20160039772A KR1020140132663A KR20140132663A KR20160039772A KR 20160039772 A KR20160039772 A KR 20160039772A KR 1020140132663 A KR1020140132663 A KR 1020140132663A KR 20140132663 A KR20140132663 A KR 20140132663A KR 20160039772 A KR20160039772 A KR 2016003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oundwater
underground dam
underground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811B1 (ko
Inventor
임용택
임아름
임슬기
Original Assignee
임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택 filed Critical 임용택
Priority to KR102014013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빗물 등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대수층에 다량의 지하수를 유입시키고, 지하댐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차수하여 지상으로 유출시키며 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함으로써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상수도 원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각종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한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대수층의 기반암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차수가 가능한 적층식 차수벽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고, 그에 따른 인건비와 설치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지하댐 구조물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지중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이 구비된 물 지중침투부와; 상기 물 지중침투부로부터 하류 지점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는 지하댐과; 상기 지하댐에 의해 상기 대수층으로 차수된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하댐은,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상부로 세워지며 벽체를 이루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방수하도록 점착되는 점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대수층의 지하수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유공관 매설 단계와; 하류 지점의 지면에서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표면까지 굴착하여 지하댐을 수직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멍 형성 단계와; 상기 유공관을 통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도록 상기 구멍에 다수의 조립식 PE패널을 적층시켜 차수벽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지하댐 시공 단계와; 상기 지하댐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의 표면 사이를 메우고 방수하는 지하댐 방수 단계와; 상기 지하댐 주변으로 점토질의 토사를 채워 상기 구멍을 굴착 전 상태로 매립하는 구멍 매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UNDERGROUND D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HAVING WATER PURIFICATION AND VIRUS STERILIZATON SYSTEM}
본 발명은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빗물 등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대수층에 다량의 지하수를 유입시키고, 지하댐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차수하여 지상으로 유출시키며 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함으로써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상수도 원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각종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한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대수층의 기반암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차수가 가능한 적층식 차수벽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고, 그에 따른 인건비와 설치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뭄 등의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물부족 국가들은 지표수를 확보하기 위한 댐을 지속적으로 건설하고 있는 등 지하수의 확보와 이용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즉, 비가 오면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땅속으로 쉽게 스며들지 못하며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암반을 굴착하여 대수층의 물을 취수하는 경우가 많아 지하수가 항상 부족한 실정이다.
도서지방 역시 적절한 빗물저장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빗물은 대부분 바다로 그대로 흘려보내고 있으며, 빗물저장시설은 건설시 상당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므로 막대한 공사비용이 들게 되어 이러한 빗물저장시설을 보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물은 댐이나 저수지에서 취수한 물을 정수하거나 암반 지하수를 개발하여 수돗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수돗물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돗물의 원수를 생산해내기 위한 수단이 딱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향후에는 상당한 물부족 현상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 먹는 물은 염소를 이용하여 살균을 하지 않는 반면, 우리나라는 염소 살균을 하고 있어 염소의 위해성이나 불쾌한 냄새로 인해 수돗물의 불신으로 수돗물을 음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염소제거용 정수기를 부착하거나 생수를 음용하고 있으며, 불순세력이 위해를 가할 목적으로 야산 등에 바이러스나 각종세균을 살포하거나 동물 사체 등에 의해 지하수로 유입된 바이러스는 염소 살균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국민의 위생과 국가적인 안보차원에서도 바이러스 살균시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지하수는 지반내의 투수층에 저유하여 종국에는 하천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이렇게 자연적으로 유하되어 하천으로 흘러가는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지하수를 저유시켜 지하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고, 최근에는 그 방편으로서 지하댐 구조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하댐 구조물은 안정적인 지하수량 확보를 위해서 지하수가 흐르는 대수층 내에 인공적인 차수벽을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상승시켜 취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지하댐 구조물이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된 지하댐 구조물(10)은 지표층(투수층:1)과 기반암(불투수층:2) 사이의 충적층으로 형성된 대수층(3)에 설치되어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지하수를 저유시켜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0410호(2003.04.18 공개) "다중 반응벽 지하댐을 이용한 지하수 확보 및 정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반응벽체로 구성된 지하댐을 다단계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지하수 저류량을 증대시키고, 각 지하댐에 필터부재를 구비한 복수의 정화모듈을 설치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오염된 지하수의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차수벽을 다단계로 설치한 후 정화모듈을 통하여 지하수를 여과 및 정화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히 지하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작용만이 이루어질 뿐 바이러스 및 세균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지하수를 이용한 생활용수의 사용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단계의 필터부재가 끼워진 정화모듈이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필터부재에 이물질 등이 축적된 경우 지하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 시 지중에 한번 설치된 지하댐은 유지,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막대한 공사비용을 들여 설치한 지하댐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의 기술과 같이 지하댐을 다단계로 설치한 경우 여름철 집중 호우 시 지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표수의 양이 증가하거나 지하수의 수위가 지하댐 구조물의 높이 보다 높아지게 되면 지하댐 구조물을 월류하여 하류로 유하하 되는데, 지하수가 월류한다고 하더라도 지하수의 수위가 신속히 저하되지 않아 높은 지하수 수위 상태가 오래 지속됨에 따라 강우시 홍수피해를 유발하거나 지하댐이 설치된 주변 지대의 식물과 생물의 생존이 어렵게 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상에서 빗물 등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대수층에 지하수를 저유하고, 저유된 지하수를 지상으로 유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함으로써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상수도 원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수층의 기반암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차수가 가능한 적층식 차수벽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고, 그에 따른 인건비와 설치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지하댐 구조물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지중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이 구비된 물 지중침투부와; 상기 물 지중침투부로부터 하류 지점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는 지하댐과; 상기 지하댐에 의해 상기 대수층으로 차수된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하댐은,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상부로 세워지며 벽체를 이루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방수하도록 점착되는 점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지하댐은, 상기 차수벽의 하단부 양측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메우도록 설치된 차수바닥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점착수단은, 상기 차수바닥시트의 바닥면과 상면 각각에 점착되며 상기 차수벽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방수하는 것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차수벽은, 상기 기반암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상기 차수벽의 하단부를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시트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차수바닥시트는, 국부적인 용접작업으로 상기 시트고정부에 부착 또는 융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차수벽은, 상기 기반암에서부터 수직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분할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은 이웃하는 분할패널끼리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의 돌출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호 이웃하는 분할패널 사이를 방수하도록 상기 분할패널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재가 충진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지하댐은, 이중벽을 이루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차수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차수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점착수단은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양수부는, 상기 대수층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양수하도록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양수관에 연결되어 지하수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살균하고 정화하기 위한 살균및정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살균및정화수단은, 상기 양수관으로 양수된 지하수를 광촉매 및 오존살균하는 바이러스살균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러스살균부로부터 살균작업이 이루어진 지하수를 집수하여 여과하는 여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대수층의 지하수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유공관 매설 단계와; 하류 지점의 지면에서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표면까지 굴착하여 지하댐을 수직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멍 형성 단계와; 상기 유공관을 통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도록 상기 구멍에 다수의 조립식 PE패널을 적층시켜 차수벽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지하댐 시공 단계와; 상기 지하댐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의 표면 사이를 메우고 방수하는 지하댐 방수 단계와; 상기 지하댐 주변으로 점토질의 토사를 채워 상기 구멍을 굴착 전 상태로 매립하는 구멍 매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는, 상기 차수벽을 일정 간격으로 이중 설치하고, 이중 설치된 한 쌍의 차수벽 사이를 연결보강바로 연결하여 상호 지탱하도록 하는 차수벽 이중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다수의 조립식 PE패널 사이에 방수재를 주입하는 방수재 주입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지하댐 방수 단계는, 상기 지하댐 주변의 상기 기반암의 표면에 점착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는 기초 방수 단계와; 상기 조립식 PE패널 중 최하층에 위치한 PE패널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점착제가 깔린 상부로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와; 상기 차수바닥시트 상단으로 점착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여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포설하는 시트 포설 단계와;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상기 조립식 PE패널 중 최하층에 위치한 PE패널에 용접하여 융착시키는 시트 고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점착제는,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초 방수 단계와 상기 시트 포설 단계에서 상기 차수바닥시트 하단과 상단 각각에 두께 20~100cm와, 폭 300~6000cm로 점착층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지상에서 빗물 등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대수층에 지하수를 저유하고, 저유된 지하수를 지상으로 유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함으로써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상수도 원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대수층의 기반암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차수가 가능한 적층식 차수벽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고, 그에 따른 인건비와 설치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에 사용되는 분할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살균및정화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전체적인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방수 단계에서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이하에서는 "지하댐 구조물"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에 사용되는 분할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살균및정화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은 강우 시 계곡의 하류나 해안지역의 대수층으로 지하수를 유도하도록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켜 대수층에 차수된 지하수를 지상으로 유출시켜 정화하고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살균하여 물사용지로 이송함으로써 상수도 원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은, 물 지중침투부(100)와, 지하댐(200)과, 양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 지중침투부(100)는 상기 계곡이나 해안지역의 상류 지점(H)에서 빗물 등의 지상수가 대수층(510)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 지중침투부(100)는 상기 대수층(510)이 존재하는 지역의 상류 지점(H)에서 지중에 수직으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공관(110)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빗물 등의 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지중으로 유출시켜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유공관(110)은 코아드릴 등으로 지중에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단부를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의 구성으로 지중에 간편하게 매립되어 빗물이 지중으로 침투하여 유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상의 물이 대수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유공관(110)은 별도의 개폐장치를 통해 빗물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으로, 별도로 마련될 수 있는 제어장치(도면미도시)를 통해 관리자가 수동 또는 원격으로 자동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유공관(110)에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유량이 많은 강우 시에만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지하댐(200)은 상기 대수층(510)으로 저류하는 지하수를 차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유공관(110)이 설치된 상류 지점(H)으로부터 하류 지점(L)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위치에서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지하댐(200)은 상기 물 지중침투부(100) 즉, 상기 유공관(110)을 통해 유입된 빗물과 상기 대수층(A)에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저류하는 지하수가 합류하고 있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질조사 등을 실시하여 많은 양의 지하수가 저수되어 있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 지하댐(200)은 차수벽(210)과, 점착수단(220)과, 차수바닥시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수벽(210)은 상기 대수층(510)의 기반암(520)까지 시공하게 되는데,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지중에 소정 공간을 이루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 내부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차수벽(210)은 상기 기반암(520)에서부터 수직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분할패널(2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은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분할패널끼리 상호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의 돌출부(211a) 및 오목부(211b)가 형성되어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수벽(210)은 방청 기능을 갖는 차수시트, 스테인레스(Stainless), 동판 등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수벽(210) 즉, 상기 분할패널(211)이 조립식 PE패널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립식 PE패널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 소재를 내부식성 기능으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고온 접합시킨 샌드위치 구조의 특수 판넬로서, 경량이면서 가공성, 방수성, 내부식성, 내구성이 뛰어나 저가의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시공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에,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은 상기 대수층(510)의 기반암(520) 상부로 수직하게 적층되도록 조립 시공된다.
상기 점착수단(220)은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520) 사이를 차폐하여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차수벽(210)을 이루도록 적층 시공된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 중 최하층에 위치한 분할패널(211')의 하단부에 점착시켜 상기 기반암(520)에 의해 발생된 틈새를 메우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점착수단(220)이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벤토나이트는 독소, 불순물, 중금속을 흡착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지하수의 수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점착성이 뛰어나 상기 차수벽(210)의 방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수바닥시트(230)는 상기 차수벽(210)과 상기 점착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하댐(200)의 차수 기능과 내구성의 향상을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수바닥시트(230)는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 양측 즉, 상기 최하층에 위치한 분할패널(211')과 상기 기반암(520)의 표면 사이를 메우도록 "┛┗" 형태로 부착된다.
이에, 상기 점착수단(220)인 점토 또는 벤토나이트는 상기 차수바닥시트(230)의 바닥면과 상면 각각에 점착되도록 시공됨으로써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520) 사이를 방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211')은 상기 분할패널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재가 충진되기 위한 삽입홀(2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211c)은 상기 차수벽(210)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211')이 적층 시공된 경우, 상호 이웃하는 분할패널 사이의 틈새로 실리콘 등의 방수재를 주입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수벽(210)은 상기 기반암(520)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를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시트고정부(21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고정부(211d)는 상기 차수벽(210)을 이루는 다수의 분할패널(211,211') 중 최하층에 위치한 분할패널(21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분할패널(211')의 양측 하단부에 부착된 상기 차수바닥시트(230)를 상기 시트고정부(211d)에 국부적인 용접작업으로 부착 또는 융착시킬 수 있어 상기 차수바닥시트(230)가 수압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함에 따라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520)의 표면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지하댐(200)은, 이중벽을 이루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차수벽(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하댐(200)은 상기 한 쌍의 차수벽(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바(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하댐(200)은 일정 규모 이상의 대규모 댐의 건설시 지하수 차수에 따른 구조적인 견고성을 더욱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차수벽(210)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차수벽(210)은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211')로 적층 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보강바(240)는 상기 한 쌍의 차수벽(210) 내측 사이를 연결하여 지탱함으로써 상기 지하댐(200)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압 또는 토압에 의해 지하댐(200)의 균형이 무너지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 양수부(300)는, 상기 대수층(510)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양수하도록 설치된 양수관(310)과, 상기 양수관(310)에 연결되어 지하수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살균하고 정화하기 위한 살균및정화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수부(300)는 상기 지하댐(200)에 의해 차수된 상태의 지하수를 취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양수관(310)으로 펌프를 연결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대수층(510)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펌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양수관(310)을 통해 지상으로 취수되거나 저장된 지하수는 상기 양수부(300)를 거쳐 각종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의 물사용지(400)로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은, 상기 살균및정화수단(320)은, 상기 양수관(310)으로 양수된 지하수를 광촉매 및 오존살균하기 위한 바이러스살균부(321)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로부터 살균된 지하수를 집수하여 여과하는 여과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 및 상기 여과부(322)는 살균 및 정화 작업이 반복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는 오존살균관(321a), 오존발생기(321b), 산소발생기(321c), 광촉매(321d), 오존램프(321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존살균관(321a)은 상기 양수관(310)으로부터 취수되는 지하수 원수가 배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일정 길이로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상기 지하수 원수가 유입되고, 타측이 상기 여과부(322)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존발생기(321b)는 상기 오존살균관(321a)으로 연결하는 공급관(321d)을 통해 상기 오존살균관(321a)으로 지하수 원수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존살균관(321a)에 기체 상태의 오존을 발생시키며, 상기 산소발생기(331c)는 배관을 통해 상기 오존발생기(321b)와 연통되도록 하여 오존이 산소와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존살균관(321a)은 내주면에 광촉매(321d)가 코팅 처리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존램프(321e)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데, 상기 오존살균관(321a)은 상기 오존램프(321e)의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플랜지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322)는 살균조(322a), 여과재(322b), 스트레이너(322c), 정수유출관(322d), 수위조절관(322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322)는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를 통해 살균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상기 살균조(322a)에 저장되는데, 상기 살균조(322a) 내부에는 이온수지, 흡착여과제, 활성탄 등의 여과재(322b)를 충진하고, 상기 살균조(322a)의 내부 바닥에는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한 스트레이너(322c)를 설치하며, 상기 살균조(322a)에 저장된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하는 수위조절관(322e)을 설치한다.
이에, 상기 살균조(322a) 내부에서 정화된 처리수는 상기 정수유출관(322d)을 통해 상기 물사용지(400)에서 상수도 원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이송되며, 살균 및 정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한 처리수는 별도의 드레인관을 통해 상기 살균조(322a)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관(322e)은 상기 살균조(322a)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여과를 위해 선단부에 별도의 스트레이너가 설치될 수 있을 것으로, 상기 드레인관으로 연결되어 수위센서 등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전자밸브의 자동 개폐를 통해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대수층(510)으로 순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오존살균관(321a) 또는 상기 살균조(322a)의 일측에는 각 배관에 연결될 수 있는 밸브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323)가 구비되어 상기 오존살균관(321a) 및 상기 살균조(322a)로 유입 및 유출되는 지하수 원수 및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지하댐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는 상기 양수관(310)으로부터 취수된 지하수 원수가 배관을 통해 상기 오존살균관(321a)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오존살균관(321a)에는 상기 오존발생기(321b), 산소발생기(321c)를 통해 오존이 산소와 함께 공급되어 산소에 의한 기포를 형성함과 동시에 오존에 의한 지하수 원수의 살균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살균이 이루어지는 처리수는 상기 오존살균관(321a)의 내주면에 광촉매(321d)가 코팅 처리되어 상기 오존램프(321e)의 점등 시 처리수의 근접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광촉매(321d)는 상기 오존램프(321e)가 조사되면 여기상태 즉, 활성상태가 되며, 전자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을 만들고, 정공은 수산기와 결합하여 하이드록시 라디칼(radical)을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된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같은 세균 등 강력한 유기물질들을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 분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322)는 상기 바이러스살균부(321)를 통해 1차적으로 살균 작업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상기 살균조(322a)로 집수되며, 상기 여과재(322b) 및 스트레이너(322c)에 의한 정화 작업이 연속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원수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과 미생물의 살균 처리와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질정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댐 구조물은 하기의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하에서는 "지하댐의 시공 방법"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전체적인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의 지하댐 방수 단계에서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댐의 시공 방법은 대수층의 지하수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유공관 매설 단계(S100), 구멍 형성 단계(S200), 지하댐 시공 단계(S300), 지하댐 방수 단계(S400), 구멍 매립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공관 매설 단계(S100)는 대수층(510)이 존재하는 계곡의 하단과 해안가의 상류 지점에서 강우 시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켜 하류 지점으로 유하하도록 함으로써 대수층으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에, 상기 유공관 매설 단계(S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110)을 일정 간격으로 지중에 매설하는 단계로서, 지상에서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여 상기 유공관(110)을 삽입하고 천공된 구멍에 토사를 채워 매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구멍 형성 단계(S200)는 상기 유공관(110)이 매설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하류 지점의 지면에서 지하댐(200)을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로서,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대수층(510)의 기반암(520) 표면 부분까지 굴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S300)는 상기 구멍 형성 단계(S200)를 통해 형성된 구멍에 조립식 PE패널로 이루어진 다수의 분할패널(211)을 적층시켜 차수벽(210)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공관(110)을 통해 상기 대수층(510)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댐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S300)는 차수벽 이중 설치 단계(S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차수벽 이중 설치 단계(S310)는 상기 차수벽(210)을 일정 간격으로 이중 설치하고, 이중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차수벽(210) 사이를 연결보강바(240)로 연결하여 상호 지탱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S300)는 방수재 주입 단계(S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방수재 주입 단계(S320)는 실리콘 등의 방수 재질을 갖는 액상 물질을 상호 이웃하는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211) 사이의 틈새로 주입하여 차수성을 높이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하댐 방수 단계(S400)는 상기 지하댐(200) 즉,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520)의 표면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방수하는 단계이다.
이에, 상기 지하댐 방수 단계(S400)는 기초 방수 단계(S410), 시트 부착 단계(S420), 시트 포설 단계(S430), 시트 고정 단계(S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 방수 단계(S410)는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에 차수바닥시트(230)를 깔기 위해 점토질의 점착제를 상기 차수벽(210)의 주변에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트 부착 단계(S420)는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520)의 표면 사이로 발생된 틈새를 메우도록 상기 기초 방수 단계(S410)에서 깔린 점착제의 상부로 차수바닥시트(230)를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차수바닥시트(230)는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 양측 틈새를 메우도록 "┛┗" 자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포설 단계(S430)는 상기 기초 방수 단계(S4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차수바닥시트(230) 상단에 점착제를 다시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여 상기 차수바닥시트(230)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트 고정 단계(S440)는 상기 시트 포설 단계(S430)를 통해 상기 기반암(520)의 표면에 깔린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단계로써, 상기 조립식 PE패널로 이루어진 다수의 분할패널(211) 중 최하층에 위치한 분할패널(211')에 용접하여 융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최하층의 분할패널(211') 하단부에는 상기와 같은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분할패널(211')의 하단부를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시트고정부(211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초 방수 단계(S410) 및 상기 시트 포설 단계(S430)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는,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와 그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점토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점착제는 상기 차수벽(210)의 하단부 주변에 포설된 상기 차수바닥시트(230)의 하단과 상단 각각에 두께 20~100cm와, 폭 300~6000cm로 점착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 매립 단계(S5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하댐 방수 단계(S400)가 완료된 후, 상기 구멍 형성 단계(S100)를 통해 형성된 구멍을 매립하는 단계로써, 상기 지하댐(200) 주변으로 점토질의 토사를 채워 상기 구멍을 굴착 전 상태로 매립하여 복원하는 단계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지하수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물 지중침투부 110 유공관
200 지하댐 210 차수벽
211 다수의 분할패널 211a 돌출부
211b 오목부 211c 삽입홀
220 점착수단 230 차수바닥시트
240 연결보강바 300 양수부
310 양수관 320 살균및정화수단
321 바이러스살균부 321a 오존살균관
321b 오존발생기 321c 산소발생기
321d 광촉매 321e 오존램프
322 여과부 322a 살균조
322b 여과재 322c 스트레이너
322d 정수유출관 322e 수위조절관
323 컨트롤러 400 물사용지
510 대수층 520 기반암

Claims (12)

  1. 지하댐 구조물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지중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이 구비된 물 지중침투부와;
    상기 물 지중침투부로부터 하류 지점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는 지하댐과;
    상기 지하댐에 의해 상기 대수층으로 차수된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하댐은,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상부로 세워지며 벽체를 이루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방수하도록 점착되는 점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은, 상기 차수벽의 하단부 양측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메우도록 설치된 차수바닥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점착수단은, 상기 차수바닥시트의 바닥면과 상면 각각에 점착되며 상기 차수벽의 하단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방수하는 것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은, 상기 기반암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상기 차수벽의 하단부를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시트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차수바닥시트는, 국부적인 용접작업으로 상기 시트고정부에 부착 또는 융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은, 상기 기반암에서부터 수직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분할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할패널은 이웃하는 분할패널끼리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의 돌출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호 이웃하는 분할패널 사이를 방수하도록 상기 분할패널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재가 충진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은, 이중벽을 이루도록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차수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차수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수단은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부는, 상기 대수층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양수하도록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양수관에 연결되어 지하수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살균하고 정화하기 위한 살균및정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살균및정화수단은, 상기 양수관으로 양수된 지하수를 광촉매 및 오존살균하는 바이러스살균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러스살균부로부터 살균작업이 이루어진 지하수를 집수하여 여과하는 여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
  8. 대수층의 지하수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류 지점에서의 지상의 물을 대수층으로 침투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공관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유공관 매설 단계와;
    하류 지점의 지면에서 상기 대수층의 기반암 표면까지 굴착하여 지하댐을 수직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멍 형성 단계와;
    상기 유공관을 통해 상기 대수층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차수하도록 상기 구멍에 다수의 조립식 PE패널을 적층시켜 차수벽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지하댐 시공 단계와;
    상기 지하댐의 하단부와 상기 기반암의 표면 사이를 메우고 방수하는 지하댐 방수 단계와;
    상기 지하댐 주변으로 점토질의 토사를 채워 상기 구멍을 굴착 전 상태로 매립하는 구멍 매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는,
    상기 차수벽을 일정 간격으로 이중 설치하고, 이중 설치된 한 쌍의 차수벽 사이를 연결보강바로 연결하여 상호 지탱하도록 하는 차수벽 이중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 시공 단계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다수의 조립식 PE패널 사이에 방수재를 주입하는 방수재 주입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 방수 단계는,
    상기 지하댐 주변의 상기 기반암의 표면에 점착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는 기초 방수 단계와;
    상기 조립식 PE패널 중 최하층에 위치한 PE패널과 상기 기반암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점착제가 깔린 상부로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와;
    상기 차수바닥시트 상단으로 점착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다짐하여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포설하는 시트 포설 단계와;
    상기 차수바닥시트를 상기 조립식 PE패널 중 최하층에 위치한 PE패널에 용접하여 융착시키는 시트 고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점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황토, 시멘트, 백시멘트 석회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초 방수 단계와 상기 시트 포설 단계에서 상기 차수바닥시트 하단과 상단 각각에 두께 20~100cm와, 폭 300~6000cm로 점착층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40132663A 2014-10-01 2014-10-01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4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663A KR101648811B1 (ko) 2014-10-01 2014-10-01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663A KR101648811B1 (ko) 2014-10-01 2014-10-01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72A true KR20160039772A (ko) 2016-04-12
KR101648811B1 KR101648811B1 (ko) 2016-08-18

Family

ID=5580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663A KR101648811B1 (ko) 2014-10-01 2014-10-01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39B1 (ko) * 2019-07-17 2020-05-19 주식회사 현진기업 산불예방을 위한 방화수 생산 기능의 사방댐 시스템
CN113322904A (zh) * 2021-06-04 2021-08-3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覆盖层地基混凝土坝的高喷防渗墙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610B1 (ko) 2021-05-27 2023-02-24 (주)인텔리지오 투수성 채움재 모듈 및 이를 갖는 공기 역세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89Y1 (ko) * 2002-12-24 2003-04-18 김동규 댐이나 하천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JP2010090566A (ja) * 2008-10-06 2010-04-22 Shimizu Corp 地下水取水施設
KR101090162B1 (ko) * 2011-02-28 2011-12-06 주식회사 지지케이 폐공을 활용한 지하수 정화 및 재활용장치
KR20130051260A (ko) * 2011-11-09 2013-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 및 그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89Y1 (ko) * 2002-12-24 2003-04-18 김동규 댐이나 하천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JP2010090566A (ja) * 2008-10-06 2010-04-22 Shimizu Corp 地下水取水施設
KR101090162B1 (ko) * 2011-02-28 2011-12-06 주식회사 지지케이 폐공을 활용한 지하수 정화 및 재활용장치
KR20130051260A (ko) * 2011-11-09 2013-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 및 그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39B1 (ko) * 2019-07-17 2020-05-19 주식회사 현진기업 산불예방을 위한 방화수 생산 기능의 사방댐 시스템
CN113322904A (zh) * 2021-06-04 2021-08-3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覆盖层地基混凝土坝的高喷防渗墙及其施工方法
CN113322904B (zh) * 2021-06-04 2022-08-19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覆盖层地基混凝土坝的高喷防渗墙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11B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RU2567927C2 (ru) Подзем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водой для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1881491B1 (ko) 태양광 자동 관개 시스템을 갖춘 조립식 물탱크
KR101648811B1 (ko) 수질정화 및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갖는 지하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CN109851165A (zh) 一种小型废水处理回用一体化绿化装置及方法
JP5356115B2 (ja) 貯水施設、給水用貯水施設および給水用貯水施設の構築方法
JP2012132227A (ja) 筒状濾過槽構成用の濾過槽本体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筒状濾過槽並びに雨水処理装置
JP2000186351A (ja) 浸透式取水方法
US20230407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derground storage of storm and other water sources
WO2015088258A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JP2008208521A (ja) 雨水貯水施設
KR100895623B1 (ko) 우수정화시스템
JP2008144525A (ja) 海水の浸透取水システム及び海水の浸透取水方法
JP2007144265A (ja) 雨水濾過調整システム
KR101145836B1 (ko) 하상 취수 수평, 수직 터널 장치 및 방법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0964741B1 (ko)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CN213572245U (zh) 一种基于lid技术的矿区雨水净化排蓄系统
KR20150068885A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PL176565B1 (pl) Budowla przenośna z elementów prefabrykowanych z żelbetu lub z materiału zastępczego
KR101072407B1 (ko) 강변여과수의 여과층 조성 및 집수장치 설치방법
KR101053877B1 (ko) 수중펌프 및 수중펌프용 취수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