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117A - 포팅 장치 - Google Patents

포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117A
KR20160039117A KR1020140132110A KR20140132110A KR20160039117A KR 20160039117 A KR20160039117 A KR 20160039117A KR 1020140132110 A KR1020140132110 A KR 1020140132110A KR 20140132110 A KR20140132110 A KR 20140132110A KR 20160039117 A KR20160039117 A KR 2016003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ing
flow channel
cap
pin
pot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531B1 (ko
Inventor
허미
박진신
오재환
이지원
김진홍
호요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4013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2Encapsulating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2Adhesives or g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2Details of membrane prepar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0Fibre reinforced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갖는 포팅 캡 및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을 갖는 제1 부재와 유동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포팅 캡에 마련되는 포팅 핀을 포함하는 포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팅 장치{Po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층 구조를 갖는 포팅부를 형성할 수 있는 포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절감, 공간 절약, 전력 절약 및 수질 개선과 같은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분리 막에 의해 물을 여과시키는 막 여과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분리막 기술은 막의 기공크기, 기공분포 및 막 표면 전하에 따라 처리수 중에 존재하는 처리 대상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분리 제거하기 위한 고도의 분리기술로서, 수처리 분야에 있어서는 양질의 음용수 및 공업용수의 생산, 하/폐수 처리 및 재이용, 무방류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청정생산공정 등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21세기에 주목 받게 될 핵심기술의 하나로서 자리잡고 있다.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은 단위 부피당 큰 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화학적 정제, 살균 여과 및 정화와 같은 다양한 유체 처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처리 모듈에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중공사막 어레이가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수처리 모듈에서는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중공사막 어레이를 거치는 과정에서 여과가 일어나며, 여과된 원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중공사막 어레이의 종단부는 접착 수지로 형성되는 포팅부를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포팅 공정은 중공사막 어레이가 일부 영역으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포팅 핀이 마련된 포팅 캡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중공사막 어레이를 포팅 캡에 배치시키고, 경화성 수지를 주입하며, 상기 수지를 경화시킴에 따라 포팅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경화가 완료된 포팅부를 포팅 핀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포팅부가 포팅 핀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지 않은 경우, 포팅부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포팅부의 유동에 따라 중공사막 어레이와 포팅부의 경계 영역에서 중공사막의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포팅부를 형성할 수 있는 포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가 상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포팅부를 형성할 수 있는 포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어레이와 포팅부의 경계 영역에서 중공사막 어레이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포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갖는 포팅 캡; 및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을 갖는 제1 부재와 유동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포팅 캡에 마련되는 포팅 핀을 포함하는 포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2 부재는 유동 채널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가 유동 채널에 삽입되면 유동 채널이 닫히고, 제2 부재가 유동 채널로부터 분리되면 유동 채널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유동 채널의 유출홀과 주입홀은 포팅 캡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공사막 어레이의 포팅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 장치로서,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갖는 포팅 캡;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을 갖는 제1 부재와 유동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포팅 캡에 마련되는 포팅 핀; 및 주입홀 또는 유동 채널을 통해 포팅재가 주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어부는 주입홀을 통해 제1 포팅재를 주입하고, 유동 채널을 통해 제1 포팅재와 다른 제2 포팅재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주입홀을 통한 제1 포팅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유동 채널을 통한 제2 포팅재의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를 갖고, 제2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동 채널의 유출홀과 주입홀은 포팅 캡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포팅 장치는 제1 부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 및 중공사막의 포팅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포팅부와 중공사막 어레이의 경계영역에서 중공사막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팅 핀을 가열하여 포팅 핀과 접촉된 포팅부 영역을 부분 용융시킴으로써 포팅 핀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포팅 핀의 분리를 위한 이형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처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중공사막의 포팅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구성하는 포팅 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은 중공사막 어레이와 포팅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팅 장치 및 중공사막의 포팅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처리 모듈(1)의 구성도이다.
상기 수처리 모듈(1)은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유닛(30)과 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바디 (10) 및 바디(10)을 통과한 정수 및 농축수가 각각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 유닛(50)을 포함한다.
바디(10)는 중공사막 어레이(hollow fiber membrane array)(11) 및 중공사막 어레이(11)를 둘러싸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바디(10)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면, 원수는 중공사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수 처리될 수 있다. 중공사막은 유체의 정수 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은 중공사(hollow fiber)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사막이라 함은 정수 처리를 위한 중공사의 기능을 고려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중공사막 어레이(11)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복수 개의 중공사막은 하우징(12) 내부에 임의의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사막 어레이(11)는 중공사막이 다수 개로 묶어진 번들(bundle)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공사막 어레이(11)는 하우징(12)의 길이방향(C)으로 길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유닛(30)은 원수 유입배관(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유닛(30)은 중공사막 어레이(11)의 세척을 위한 공기 분사 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 유닛(50)은 농축수 유출 배관(51) 및 정수 유출 배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디(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납된 중공사막 어레이(11)의 양 종단부에는 각각 포팅부(60)가 마련된다. 상기 포팅부(60)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등의 열경화성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포팅부(60)를 형성하는 원료 수지 및 각종 첨가제를 설명의 편의상 포팅재로 지칭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 포팅부(60)라고 함은 포팅재의 경화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장치(100)는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111)을 갖는 포팅 캡(110) 및 포팅 캡(110)에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포팅 핀(200) 및 포팅 핀(30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포팅 캡(110)은 용기 형상을 가지며, 포팅재가 충진되기 위한 포팅 영역(1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주입홀(111)은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으로부터 점차 포팅재의 레벨이 증가하는 방향을 포팅 캡(110)의 높이 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포팅 핀(2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포팅 핀(200)은 포팅 캡(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포팅 핀(200)은 포팅 캡(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포팅 핀(200)은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는 포팅 핀(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팅 핀(200)은 상기 장착 돌기에 나선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포팅 핀(200)은 상기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팅 장치(100)는 상기 주입홀(111)로 포팅재를 공급하기 위한 포팅재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팅 장치(100)는 포팅재 공급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130)은 포팅 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포팅 핀(2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팅 핀(200)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경우, 포팅 핀(2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포팅 핀(200)을 가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재질의 포팅 핀(200)에 전류가 인가되면, 포팅 핀(200)은 저항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포팅 핀(200)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포팅 핀(200)은 전체 영역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포팅재와 접촉하는 외주면 영역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전원 공급부(130)를 통해 포팅 핀(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포팅 핀(200)을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포팅 핀(200)의 요구 가열 온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30)와 포팅 핀(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은 포팅 핀(200)의 내부를 통해 포팅 캡(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포팅 공정에서 주입되는 포팅재 및 포팅부(6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포팅 핀(20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포팅 핀(200)은 포팅부(60)에 관통홀(63, 도 7 참조)을 형성하며, 이러한 관통홀(63)은 유체의 이동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포팅 핀(200)의 외주면에 나선부(211)를 형성하게 되면, 포팅부(60)의 관통홀(63)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부(211)에 대응하는 나선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나선부는 유체가 관통홀(63)을 통과하는 경우 선회 방향 속도 성분을 부여함에 따라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부(211)는 포팅부(6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중공사막의 포팅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중공사막 어레이의 포팅방법은 중공사막 및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포팅 핀(200)이 배치된 영역에 포팅재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S101)과 포팅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102) 및 포팅 핀(200)을 가열하는 가열 단계(S103)를 포함한다.
또한, 가열 단계(S103)는 포팅 핀(2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가열 단계(S103)는 경화 단계(S102)가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고, 가열 단계(S103)에서, 경화된 포팅재로부터 포팅 핀(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가열 단계(S103)를 통해 경화된 포팅재를 일부 용융시킴으로써 포팅 핀(200)을 포팅부(6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구성하는 포팅 핀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또한, 도 7은 중공사막 어레이와 포팅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관련된 포팅 장치(100)는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111)을 갖는 포팅 캡(11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주입홀(111)은 포팅재가 수용되는 포팅 공간(112)을 형성하는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포팅재는 포팅 캡(110)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포팅 공간(112)으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포팅 장치(100)는 포팅 캡(11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포팅 핀(20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팅 핀(200)은 포팅 캡(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팅 핀(220)은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212)을 갖는 제1 부재(210)와 유동 채널(21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2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팅 장치(100)에서는 포팅재가 주입홀(111)을 통해서 포팅 영역(112)으로 주입될 수도 있고, 제1 부재(210)의 유동 채널(212)을 통해 포팅 영역(112)으로 주입될 수도 있다. 또한, 유동 채널(212)의 종단부에는 포팅재가 상기 포팅 영역(112)으로 주입되는 유출홀(213)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유동 채널(212)의 상기 유출홀(213)과 주입홀(111)은 포팅 캡(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포팅 캡(110)의 포팅 영역(112)에 대한 포팅재의 주입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포팅 캡(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동 채널(212)과 연통되는 주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210)의 유동 채널(212)을 통해 포팅재를 주입하는 경우, 포팅 캡(110)의 바닥면을 통해 유동 채널(212)로 포팅재가 유입된 후, 유동 채널(2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이후 포팅 캡(110)의 소정 높이에서 포팅 영역(112)으로 포팅재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부재(220)가 유동 채널(212)에 삽입되면, 유동 채널(212)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제2 부재(220)가 제1 부재(210) 내부에 삽입된 경우, 유동 채널(212)을 통해 포팅재를 포팅 영역(112)으로 공급할 수 없다. 이와는 다르게, 제2 부재(220)가 유동 채널(212)로부터 분리되면, 유동 채널(212)이 개방된다. 따라서, 유동 채널(212)을 통해 포팅재를 포팅 영역(11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부재(220)는 유동 채널(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221)이 제1 부재(2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20)의 길이는 제1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10)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부재(220)의 일부 영역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부재(210) 외부로 돌출된 제2 부재(220)의 일부 영역(2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10)의 자유 단부는 상기 제2 부재(220)의 일부 영역(221)을 둘러싸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포팅 장치(100)는 주입홀(111) 또는 유동 채널(212)을 통해 포팅재가 포팅 영역(112)으로 주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주입홀(111)을 통해 제1 포팅재를 주입하고, 유동 채널(212)을 통해 제1 포팅재와 다른 제2 포팅재를 주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팅 장치(110)는 포팅 캡(110)으로 제1 포팅재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포팅재 공급부 및 포팅 캡(110)으로 제2 포팅재를 공급하기 위한 제2 포팅재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각 포팅재 공급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20)는 주입홀(111)을 통한 제1 포팅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유동 채널(212)을 통한 제2 포팅재의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120)는 주입홀(111)을 통한 제1 포팅재가 주입되고, 제1 포팅재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유동 채널(212)을 통한 제2 포팅재의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포팅재가 주입홀(111)을 통해 포팅 영역(112)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제2 부재(220)는 제1 부재(210)에 삽입된 상태이다. 한편, 경화가 완료된 제1 포팅재를 제1 포팅층(61)이라 지칭할 수 있고, 경화가 완료된 제2 포팅재를 제2 포팅층(62)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20)를 제1 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키고, 유동 채널(212)을 개방시킨 후, 제1 포팅층(61) 상에 유동 채널(212)을 통해 제2 포팅재를 주입 및 경화시킴으로써 제2 포팅층(6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팅 장치(100)를 통해 다층 구조를 갖는 포팅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를 갖고, 제2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포팅부(60)와 중공사막 어레이(11)의 경계 영역의 제2 포팅층(62)는 제1 포팅층(61)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포팅부(60)와 중공사막 어레이(11)의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공사막 어레이(11)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팅 장치(100)는 제1 부재(2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부재(210)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경우, 제1 부재(2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제1 부재(210)를 가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재질의 제1 부재(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포팅 핀(200)은 저항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제1 부재(210)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팅층(61)과 제2 포팅층(62)을 부분 용융하여 포팅부(60)를 포팅 핀(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2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포팅 핀(200)은 포팅부(60)에 관통홀(63)을 형성하며, 이러한 관통홀(63)은 수처리 모듈(1)에서 유체의 이동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부재(210)의 외주면에 나선부(211)를 형성하게 되면, 포팅부(60)의 관통홀(63)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부(211)에 대응하는 나선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나선부는 유체(예를 들어, 원수 또는 정수)가 관통홀(63)을 통과하는 경우 선회 방향 속도 성분을 부여함에 따라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부(211)는 포팅부(6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수처리 모듈
60: 포팅부
100: 포팅 장치
110: 포팅 캡
120: 제어부
130: 전원 공급부
200: 포팅 핀
210: 제1 부재
211: 나선부
212: 유동 채널
220: 제2 부재

Claims (11)

  1.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갖는 포팅 캡; 및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을 갖는 제1 부재와 유동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포팅 캡에 마련되는 포팅 핀을 포함하는 포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유동 채널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부재의 외부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부재가 유동 채널에 삽입되면 유동 채널이 닫히고, 제2 부재가 유동 채널로부터 분리되면 유동 채널이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 채널의 유출홀과 주입홀은 포팅 캡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6. 중공사막 어레이의 포팅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 장치로서,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갖는 포팅 캡;
    포팅재가 주입되기 위한 유동 채널을 갖는 제1 부재와 유동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포팅 캡에 마련되는 포팅 핀; 및
    주입홀 또는 유동 채널을 통해 포팅재가 주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입홀을 통해 제1 포팅재를 주입하고, 유동 채널을 통해 제1 포팅재와 다른 제2 포팅재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입홀을 통한 제1 포팅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유동 채널을 통한 제2 포팅재의 주입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제1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를 갖고, 제2 포팅재는 경화 후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유동 채널의 유출홀과 주입홀은 포팅 캡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부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팅 장치.
KR1020140132110A 2014-09-30 2014-09-30 포팅 장치 KR10164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110A KR101643531B1 (ko) 2014-09-30 2014-09-30 포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110A KR101643531B1 (ko) 2014-09-30 2014-09-30 포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117A true KR20160039117A (ko) 2016-04-08
KR101643531B1 KR101643531B1 (ko) 2016-07-29

Family

ID=5590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110A KR101643531B1 (ko) 2014-09-30 2014-09-30 포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74A (ko)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2종 이상의 포팅액을 이용한 중공사 포팅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452A (en) * 1995-04-21 1998-03-31 Pall Corporation Filter and end cap assembly including a porous layer for sealing with a pot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assembly
KR0136835B1 (ko) * 1994-09-30 1998-04-25 후루카 타케시 중공사형 필터
KR20030064827A (ko) * 2000-12-18 2003-08-02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중공사막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용 하우징
KR20050093885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파라 분리막 모듈용 멀티 포팅캡, 이를 이용한 원심 포팅 장치및 이로부터 분리막 모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835B1 (ko) * 1994-09-30 1998-04-25 후루카 타케시 중공사형 필터
US5733452A (en) * 1995-04-21 1998-03-31 Pall Corporation Filter and end cap assembly including a porous layer for sealing with a pot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assembly
KR20030064827A (ko) * 2000-12-18 2003-08-02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중공사막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용 하우징
KR20050093885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파라 분리막 모듈용 멀티 포팅캡, 이를 이용한 원심 포팅 장치및 이로부터 분리막 모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74A (ko)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2종 이상의 포팅액을 이용한 중공사 포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31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4966A (zh) 中空丝膜模组
KR101643531B1 (ko) 포팅 장치
KR101621904B1 (ko) 포팅 장치 및 중공사막의 포팅방법
KR101434825B1 (ko)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CN105829251A (zh) 散气管以及散气管的清洗方法
CN204170502U (zh) 一种滤芯结构、净水滤芯组件及净水机
KR20160039112A (ko) 수처리 모듈
KR101674734B1 (ko) 수처리 모듈
JP5590998B2 (ja) 金属除去装置及び混練された材料の金属除去方法
KR101674729B1 (ko) 수처리 모듈
KR101694801B1 (ko) 수처리 모듈
KR101667851B1 (ko) 수처리 모듈
EP2563722A1 (en) Method for sanitizing an electrodeionization device
KR101674732B1 (ko) 수처리 모듈
CN104258626A (zh) 一种滤芯结构、净水滤芯组件及净水机
KR101757516B1 (ko) 수처리 모듈
KR101674728B1 (ko) 수처리 모듈
JP4362432B2 (ja) 中空糸型モジュール
KR101674727B1 (ko) 수처리 모듈
KR101621900B1 (ko) 수처리 모듈
KR101621902B1 (ko) 수처리 모듈
KR101644558B1 (ko) 수처리 모듈
KR101674735B1 (ko) 수처리 모듈
CN201760236U (zh) 中空纤维膜组件
KR101674733B1 (ko) 수처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