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350A -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 Google Patents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350A
KR20160038350A KR1020140131081A KR20140131081A KR20160038350A KR 20160038350 A KR20160038350 A KR 20160038350A KR 1020140131081 A KR1020140131081 A KR 1020140131081A KR 20140131081 A KR20140131081 A KR 20140131081A KR 20160038350 A KR20160038350 A KR 2016003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electromagnets
buoyancy
longitudinal dir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규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350A/ko
Publication of KR2016003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은, 해저에서 리프팅된 일단이 선체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외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다수의 제1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라이저와,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 결합되며, 내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상기 제1전자석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부력재 및, 상기 제1전자석들의 일 방향으로 전달시킨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반전시켜 상기 제2전자석이 상기 라이저를 따라 이동시킨 후, 전류의 흐름만을 이용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전자석들을 상기 제2전자석들의 고정구간에 부착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BUOYANCY DEVICE OF RISER AND LNG FPSO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저의 외주에 전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 및 고정적인 부착이 가능한 자기 이동형 부력재를 설치함으로써, 라이저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곡선 구간이 파손되거나 곡선 구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저(Riser)는 해저 바닥과 유정과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선 등의 사이에서 유체(원유, 가스 등)를 이동시키는 파이프를 말한다.
여기서, 라이저는 FPSO선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해저면에 놓여지며, FPSO선이 현장에 위치를 잡는 경우, 윈치(Winch) 등의 리프팅(Lifting) 장비를 이용해 라이저와 FPSO선의 연결부를 들어올린 후, 라이저의 일단과 FPSO선의 연결부를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라이저의 외부에는 일정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유체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라이저는 주어진 환경 조건과 외부에 결합된 부유체의 종류에 따라 단순 현수(Simple Catenary) 형상이나 레이지 웨이브(Lazy Wave) 형상 등이 고려된다.
이 중,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단순 현수 형상이 가장 경제적이고, 설치 면에서도 다른 형상에 비해서 용이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많이 적용되지만, 단순 현수 형상은 라이저와 해저면이 만나는 부분(Touch Down Zone)에서 부유체의 움직임에 의한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강도 측면과 피로 측면에서 붕괴나 파괴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라이저의 중간 부분에 부력재를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굴곡을 만들고, 굴곡이 만들어진 부분에서 부유체의 운동에 의한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하중이 직접적으로 라이저와 해저면이 만나는 부분(Touch Down Zone)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레이지 웨이브 형상이 적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부력재는 라이저에 설치하는 시간과 라이저를 올리고 내리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고, 부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라이저의 외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위험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FPSO선과 같은 해상 구조물은 해상에서 계류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파도와 해류의 방향에 의해 FPSO선이 유정과 근거리로 이동되는 경우, 라이저의 굴곡 부위에 압축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라이저의 굴곡 부위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라이저의 굴곡 부위가 심하게 휘어지는 경우, 라이저의 굴곡 부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될 수 있어 원유의 이동을 방해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피깅(Pigging) 작업이 수행되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원유 생산량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5713호(2008년 05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계류기능을 가진 라이저파이프를 이용한 해양 심층수취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저의 외주에 전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 및 고정적인 부착이 가능한 자기 이동형 부력재를 설치함으로써, 라이저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곡선 구간이 파손되거나 곡선 구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체 내에서 부력재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라이저의 리프팅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은, 해저에서 리프팅된 일단이 선체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외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다수의 제1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라이저와,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 결합되며, 내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상기 제1전자석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부력재 및, 상기 제1전자석들의 일 방향으로 전달시킨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반전시켜 상기 제2전자석이 상기 라이저를 따라 이동시킨 후, 전류의 흐름만을 이용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전자석들을 상기 제2전자석들의 고정구간에 부착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는 상기 제1전자석들이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외주에는 상기 제1전자석들이 동일 직경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자석들의 외주와 상기 제2전자석들의 외주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자석들과 상기 제2전자석들은 상기 라이저의 종 방향을 따라 동일 길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자석들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은 상기 제2전자석들의 전체 자력 구간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는 종 방향 양측에 위치 제한부재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재들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자석이 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재는 상기 라이저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며, 각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라이저의 종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선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력재의 부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구간이 기설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부력재가 상기 고정구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감지센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라이저의 각 구간과 상기 부력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부력재의 위치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이저의 외주에 전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 및 고정적인 부착이 가능한 자기 이동형 부력재를 설치함으로써, 라이저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곡선 구간이 파손되거나 곡선 구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선체 내에서 부력재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라이저의 리프팅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에서 부력재가 라이저를 따라 이동하는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에서 부력재가 라이저의 고정구간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를 LNG FPSO선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를 LNG FPSO선에 설치한 상태에서 선체의 위치 변경과 동시에 부력재가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에 감지 센서를 더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에서 부력재가 라이저를 따라 이동하는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에서 부력재가 라이저의 고정구간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를 LNG FPSO선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를 LNG FPSO선에 설치한 상태에서 선체의 위치 변경과 동시에 부력재가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은 라이저(100)와, 부력재(200) 및,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30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라이저(100)는 시추된 유정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LNG FPSO선이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해저(1)면에 미리 높여지고, LNG FPSO선이 위치를 잡으면, 리프팅 장비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여기서, 상기 라이저(100)는 해저(1)에서 리프팅된 일단이 선체(10)의 연결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라이저(100)는 다수가 해저(1)면에 놓여진 상태로 일단이 일괄적으로 선체(1)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이저(100)의 외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다수의 제1전자석(1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저(100)의 외주에는 제1전자석(110)들이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결합홈(12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0)의 외주에는, 후술 될 제2전자석(210)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1전자석(110)들이 동일 직경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전자석(110)은, 도 1에서처럼 상기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제1전자석(110)들은 다수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하나의 극(S 또는 N)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자석(110)은 후술 될 전원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자석(110)은 전원 공급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자력을 형성하여, 후술 될 제2전자석(210)을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부력재(200)는, 부력을 이용해 라이저(100)의 일부분에 굴곡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력재(200)는 라이저(100)의 종 방향 일부분에 설치되며, 자체적인 부력을 이용해 상기 라이저(100)를 해저에 일정 높이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재(200)는 라이저(100)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부력재(200)의 내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1전자석(110)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전자석(2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전자석(210)들은, 제1전자석(110)과의 자기력 형성에 의한 인력(引力) 및 척력(斥力)에 의해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동일 길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자석(210)들은 도 1에서처럼 제1전자석(110)과의 자기력 형성(N극과 S극의 밀어주거나 당기는 힘)을 통해 부력재(200)를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전자석(210)들의 내주와 전술한 제1전자석(110)들의 외주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자석(210)들은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동일 길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자석(210)들은 도 1에서처럼 하나의 몸체가 하다수가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제1전자석(110)들과 달리, 하나의 몸체로 하나의 극(S 또는 N)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자석(210)들은 다수가 하나의 극(S 또는 N)을 이루는 제1전자석(110)과 하나의 몸체로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전자석들(210)들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은 전술한 제1전자석(110)들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라이저(100)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재(200)들은 각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부력재(200)들은 각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라이저(100)의 종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으므로, 라이저(100)의 곡선 구간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0)는, 선체(10)에 설치된 상태로 라이저(100)의 내부를 통해 제1전자석(11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제1전자석(110)들의 일 방향으로 전달시킨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반전시켜 제2전자석(210)이 라이저(100)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전류의 흐름만을 발생시켜 제1전자석(110)들이 척력(斥力)에 의해 제2전자석(210)들의 고정구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간은, 라이저(100)의 중앙 부분에 해당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구간은 라이저(100)의 굴곡을 인위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구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도 3과 도 4에서처럼 선체(10)의 위치에 따라 부력재(200)의 부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처럼 LNG FPSO선이 해저(1)의 유정으로 근접하게 이동 위치되는 경우, 라이저(100)가 일정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라이저(100)의 상방으로 이동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저(100)가 일정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지 않게 되므로, 라이저(100)의 휘어진 굴곡 부위에 피로가 커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저(100)의 굴곡 부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다.
반대로, 도 3에서처럼 LNG FPSO선이 해저(1)의 유정으로부터 원거리로 이동되는 경우, 라이저(10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부력 작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라이저(100)의 종 방향 양측에는 도 5에서처럼 위치 제한부재(1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제한부재(130)들은 부력재(200)가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라이저(1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제한부재(130)들의 사이에는 제1전자석(110)들이 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제한부재(130)들은 부력재(200)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원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부력재(2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300)의 구동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에는 부력재(200)가 부착 위치되는 다수의 고정구간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400)는, 전원 공급부(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부력재(200)가 선택된 고정구간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는 도 5에서처럼 하나 또는 다수의 감지 센서(5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500)는, 부유체(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라이저(100)의 외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 감지 센서(500) 또는 타겟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위치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감지 센서(500)는, 라이저(100)의 각 구간과 부력재(2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500)는 부력재(200)의 위치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부력재(200)가 라이저(10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력재(200)를 고정구간에 정확하게 부착 위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라이저(100)의 외주에 전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 및 고정적인 부착이 가능한 자기 이동형 부력재(200)를 설치함으로써, 라이저(100)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곡선 구간이 파손되거나 곡선 구간에 부유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체(10) 내에서 부력재(20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라이저(100)의 리프팅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LNG FPSO선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해저 10: 선체
100: 라이저 110: 제1전자석
120: 결합홈 130: 위치 제한부재
200: 부력재 210: 제2전자석
300: 전원 공급부 400: 제어부
500: 감지 센서

Claims (11)

  1. 해저에서 리프팅된 일단이 선체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외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다수의 제1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라이저;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 결합되며, 내주에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상기 제1전자석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전자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부력재; 및
    상기 제1전자석들의 일 방향으로 전달시킨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반전시켜 상기 제2전자석이 상기 라이저를 따라 이동시킨 후, 전류의 흐름만을 이용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전자석들을 상기 제2전자석들의 고정구간에 부착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는,
    상기 제1전자석들이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외주에는,
    상기 제1전자석들이 동일 직경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들의 외주와 상기 제2전자석들의 외주는,
    동일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들과 상기 제2전자석들은,
    상기 라이저의 종 방향을 따라 동일 길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들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은,
    상기 제2전자석들의 전체 자력 구간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의 외주에는,
    종 방향 양측에 위치 제한부재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재들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자석이 이 형성하는 전체 자력 구간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상기 라이저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결합되며, 각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라이저의 종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선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력재의 부착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구간이 기설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부력재가 상기 고정구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감지 센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라이저의 각 구간과 상기 부력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부력재의 위치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의 부력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이저 부력장치를 이용한 LNG FPSO선.
KR1020140131081A 2014-09-30 2014-09-30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KR20160038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81A KR20160038350A (ko) 2014-09-30 2014-09-30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81A KR20160038350A (ko) 2014-09-30 2014-09-30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50A true KR20160038350A (ko) 2016-04-07

Family

ID=5578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081A KR20160038350A (ko) 2014-09-30 2014-09-30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8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256B2 (en) Floating system connected to an underwater line structure and methods of use
US8123437B2 (en)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US20120160510A1 (en) Flexible catenary riser having distributed sag bend ballast
US20070081862A1 (en)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EP2220333B2 (en) Flexible pipe support
US8480334B2 (en) Hybrid riser systems and methods
EP3265641B1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US20150060079A1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US9359829B2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of providing riser assembly
US20080089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Riser To A Target Structure
EP3237783B1 (en) A rise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riser assembly
AU2012252921B2 (en) An offshore system
US10370905B2 (en) Marine flexible elongate element and method of installation
AU2012270172A1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KR20160038350A (ko) 라이저의 부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so선
KR101637467B1 (ko) 라이저 부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AU2010213925B2 (en) Free standing steel catenary risers
US7163062B2 (en) Riser
GB2619951A (en) Improving fatigue resistance of steel catenary risers
GB2619950A (en) Improving fatigue resistance of steel catenary ri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