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038A -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038A
KR20160037038A KR1020140129610A KR20140129610A KR20160037038A KR 20160037038 A KR20160037038 A KR 20160037038A KR 1020140129610 A KR1020140129610 A KR 1020140129610A KR 20140129610 A KR20140129610 A KR 20140129610A KR 20160037038 A KR20160037038 A KR 2016003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pss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rget terminal
i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4012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038A/ko
Publication of KR2016003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Abstract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대상 단말이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동기화 대상 단말이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단말이고 동기화 신호는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OFDM 심볼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FOR D2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있고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신규 주파수 발굴 및 주파수 이용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 부족 현상을 완화하고 신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기술 중의 하나가 D2D (Device-to-Device) 통신 기술이다.
D2D 통신이란 지리적으로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을 의미한다. D2D 통신 기술은 초기에는 이미 상용화가 이루어진 Wi-Fi Direct, Bluetooth와 같이 주로 비면허 대역에서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ProSe(Proximity-based Services)라 불리는 D2D 통신 기술 표준화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D2D 통신을 위한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D2D 통신에서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대상 단말이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 대상 단말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단말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D2D(device to device) 통신에서 D2D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현되는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RF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단말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보다 적은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나머지 자원을 다른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경로에 따른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경로에 따른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동기화 소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2D 통신을 수행하는 D2D 단말(이하,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에 의해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위한 주파수 동기화 및/또는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동기화 대상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를 위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또한, 동기화 신호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또는 기지국을 동기화 소스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동기화 소스 중 다른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자체적인 기준 동기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소스는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active synchronization source)라는 용어로 별도로 구분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 중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제외한 동기화 소스(즉, 다른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동기화 소스)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passive synchronization source)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하나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후 동기화 대상 단말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자체적인 기준 동기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므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중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서 동작하는 단말은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라고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간략하게 D2D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차이점을 기반으로 도 1의 (A), (B) 및 (C)와 같은 세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의 (A)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는 경우를 개시한다. 도 1의 (B)와 도 1의 (C)에서는 도 1의 (A)와 달리 동기화 대상 단말이 단말로부터 후술할 PD2DSS(prim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SD2DSS(second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1의 (B)와 도 1의 (C)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인지 ISS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구체적인 도 1의 (A), (B), (C)에서의 동기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도 1의 (A)는 D2D 통신에서 동기화 대상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동기화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동기화 대상 단말(110)의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100)이고 기지국(10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이다. 기지국(100)에 의해 동기화 대상 단말(110)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는 3GPP release 8에 정의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110)은 PSS/SS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주파수 동기화 및/또는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여 다른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140)이 단말 1(130)에 의해 동기화되되 단말 1(13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기지국(120)에 의해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가 개시된다. 단말 1(130)과 기지국(120) 사이에는 다른 복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20)이 단말 1(130)을 직접적으로 동기화시킨 경우를 가정한다.
도 1의 (B)에서 단말 1(130)은 기지국(120)으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PSS/SSS)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일 수 있다. 기지국(120)에 의해 동기화된 단말 1(130)은 D2DSS(D2D synchronization source)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은 단말 1(130)로부터 수신한 D2DSS를 기반으로 단말 1(130)과 동기화될 수 있다. D2DSS는 PD2DSS(prim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 및 SD2DSS(second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PD2DSS 및 SD2SSS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의 (C)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170)이 단말 2(160)에 의해 동기화되되 단말 2(160)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ISS(150)에 의해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이거나 단말 2(160)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단말 2(160)가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 단말 2(160)와 ISS(150) 사이에는 다른 복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동기화 대상 단말(17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 2(160) 또는 ISS(150)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 2(160)에 의해 전송된 D2DSS(D2D synchronization source)를 동기화 대상 단말(170)로 전송하여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의 (A)의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110)은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PSS/SSS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PCID(physical cell ident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B)와 도 1의 (C)의 경우와 같이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이 PD2DSS/SD2DSS를 수신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은 SD2D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identity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는 PSSID(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또는 physical 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하나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후 동기화 대상 단말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패시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는 자신을 동기화 시킨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따른다. 따라서,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PSSID)는 실질적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D2D 통신에서는 기존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대신 사이드링크(sidelink)라는 용어를 통해 단말 간 통신 링크를 표현할 수 있다. PSSID를 지시하기 위한 파라메터는 D2D 동기화 ID를 의미하는
Figure pat00001
또는 사이드링크 동기화 ID를 의미하는
Figure pat00002
등이 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B) 및 (C)의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은 PD2DSS/SD2D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B)의 경우, SD2DSS를 기반으로 기지국(12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동기화 대상 단말에(140)의해 획득될 수 있고, 도 1의 (C)의 경우, SD2DSS를 기반으로 ISS(15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PSSID)와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를 통해 전송되는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ISS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PCID이고,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 ISS의 식별 정보는 ISS로 동작하는 UE(User Equipment, 단말)의 UE ID로써 ISS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ProSe(Proximity based Services) ID 등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B)와 같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120)인 경우, PD2DSS/SD2DSS는 D2DSSue_net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의 (C)와 같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150)인 경우, PD2DSS/SD2DSS는 D2DSSue_oon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이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120)인지 ISS(150)인지 여부에 따라 동기화 대상 단말이 서로 다른 시퀀스 집합을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D2DSSue_net은 기지국 소스 시퀀스 집합, D2DSSue_oon은 단말 소스 시퀀스 집합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140, 170)은 수신한 PD2DSS/SD2DSS를 생성한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120)인지 ISS(15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PD2DSS 및 SD2DSS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대해 개시한다.
기존의 3GPP release 8에서 PSS는 아래와 같은 자드오프추(Zadoff-Chu)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u는 루트 인덱스 값으로 아래의 표 1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4
즉, PSS는 25, 29 또는 34 중 선택된 하나의 루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표 1에서 루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Figure pat00005
는 PSS를 전송한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3GPP release 8에서 SSS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의 인터리빙된31 길이의 두 개의 m-시퀀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수학식 2에서 n은
Figure pat00007
이고 인덱스
Figure pat00008
과 인덱스
Figure pat00009
은 아래와 같은 PCID 그룹
Figure pat00010
으로부터 유도되는 값이다.
Figure pat00011
는 SSS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SSS는 PCID 그룹
Figure pat00012
의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각각은 길이 31의 m-시퀀스일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수학식 2를 기반으로 31 길이의 m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 가능한 시퀀스 중 168개의 시퀀스만을 S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9
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이고 하나의 정수값은 168개의 시퀀스 중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PC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를 기반으로 PSS/SSS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22
를 획득하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23
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PCID를
Figure pat00024
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PCID를 획득할 수 있다. PSS 및 SSS 각각은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PSS는 서브프레임#0의 7번째 OFDM 심볼 및 서브프레임#5의 7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다. PSS는 서브프레임#0의 6번째 OFDM 심볼 및 서브프레임#5의 6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2DSS는 루트 인덱스로서 25, 29 또는 34가 아닌 다른 루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D2DSS를 생성하기 위한 루트 인덱스는 25, 29, 34가 아닌 X, Y 또는 Z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D2DSS는 기존의 SSS를 생성하기 위한 168개 시퀀스보다 같거나 작은 개수의 시퀀스(예를 들어, 128개) 중 선택된 하나의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일 수 있다. PD2DSS 및 SD2DSS 각각도 하나의 OFDM 심볼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경로에 따른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의 동기화 방법에 따른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인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도 1의 (B)와 같이 동기화 대상 단말이 PD2DSS/SD2DSS를 수신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동기화 대상 단말(250)은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단말 1(230)에 의해 동기화되되,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200)일 수 있다. 즉, 단말 1(230)은 기지국(250)에 의해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이므로 동기화 대상 단말(250)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200)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250)은 단말 1(23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200)이므로 단말 1(230)에 의해 동기화 대상 단말(250)로 전송되는 SD2DSS는 기지국 소스 시퀀스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대상 단말(250)은 단말 1(230)로부터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Figure pat00025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Figure pat00026
)는 SD2D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Figure pat00027
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D2D 통신의 경우, 가까운 거리의 로컬 영역 범위 내에서 단말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PSSID의 개수는 기존의 기지국(200)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의 개수(예를 들어, PCID(504개))보다 작은 수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D2DSS를 생성하기 위한
Figure pat00028
는 168개 이하의 개수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29
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PSSID(
Figure pat00030
)는 SD2D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Figure pat00031
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PSSID(
Figure pat00032
)는 168개 이하의 서로 다른 식별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PSSID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로서 PSSID만으로 정확한 PCID의 값을 알 수는 없다. 복수개의 PCID가 하나의 PSSID로 매핑될 수 있다. 하나의 PSSID로 매핑되는 복수개의 PCID 중 하나의 PCID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한 기지국(200)의 PCID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PSSID로 매핑되는 복수개의 PCID를, 하나의 PSSID에 대한 복수개의 후보 PCID라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어, PCID는 504개이고 PSSID는 168개인 경우, PSSID와 PCID 간의 매핑 관계를 기반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250)은 PSSID로부터 3개의 후보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PSSID와 PCID 간의 매핑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기지국(2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PD2DSCH를 통해 단말1(230)로부터 동기화 대상 단말(250)로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경로에 따른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의 (C)와 같이 동기화 대상 단말이 PD2DSS/SD2DSS를 수신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350)에서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350)이 단말 1(300)에 의해 동기화되되, 단말 1(300)이 ISS인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350)에서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 1(300)과 동기화 대상 단말(35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위치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기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ISS 대신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SD2DSS를 통해 ISS(30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350)은 ISS(30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SS(300)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이므로 ISS(300)에 의해 전송되는 PD2DSS, SD2DSS는 단말 소스 시퀀스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대상 단말(350)은 ISS(300)에 의해 전송되는 SD2DSS만을 기반으로 PSSID(
Figure pat00033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D2D 통신에서는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되는 SD2DSS만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와 마찬가지로 SD2DSS를 결정하는
Figure pat00034
는 168개 이하로 정의될 수 있다. 168개 이하의
Figure pat00035
각각이 ISS(30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PSSID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350)은 ISS(300)로부터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ISS(30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Figure pat00036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SS(30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Figure pat00037
)는 SD2D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Figure pat00038
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350)은 PSSID를 기반으로 ISS(300)의 식별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300)의 식별 정보는 소스 ID, ProSe(proximity based service) ID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ISS의 식별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일 수 있다.
PSSID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로서 PSSID만으로 정확한 ISS(300)의 식별 정보를 알 수는 없다. 복수개의 ISS(300)의 식별 정보가 하나의 PSSID로 매핑될 수 있다. 하나의 PSSID로 매핑되는 복수개의 ISS(300)의 식별 정보 중 하나의 식별 정보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한 ISS(300)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PSSID로 매핑되는 복수개의 ISS(300)의 식별 정보를, 하나의 PSSID에 대한 복수개의 후보 ISS 식별 정보라 부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PSSID가 168개로 정의되는 경우, PSSID는 0 내지 167 사이의 정수 중 하나이고, PSSID가 K(K=168 미만, 예를 들어, K=128)로 정의되는 경우, PSSID는 0 내지 K-1 사이의 정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D2DSS만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PSSID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PD2DSS를 결정하는 루트 인덱스가 다른 정보(예를 들어, 소스 타입(source type), 현재 계층 레벨(current stratum level) 등)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이 동기화 절차를 통해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인 PSSID를 수신하고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기지국의 식별 정보(PCID) 또는 ISS의 식별 정보(ISS로 동작하는 UE의 UE ID)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450)이 단말 1(43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동기화 대상 단말(450)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400)인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PSSID의 개수가 168개로 정의된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는 기지국(400)의 PCID를 3으로 나눈 값의 정수 값으로 결정되거나 PCID를 모듈러 168 연산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는
Figure pat00039
또는
Figure pat00040
일 수 있다.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단말 1(430)은 기지국(400)의 PC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430)은 동기화 대상 단말(450)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PD2DSS/SD2DSS를 동기화 대상 단말(45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430)에 의해 전송되는 SD2DSS를 결정하기 위한 시퀀스는 PSS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41
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또는
Figure pat00044
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50)은
Figure pat00045
또는
Figure pat00046
을 기반으로 생성된 SD2DSS를 수신할 수 있고, SD2D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47
을 획득하여 기지국(40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PSSID(
Figure pat00048
)는
Figure pat00049
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PSSID가 결정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450)에 의해 획득되는 PSSID는 3개의 후보 PCID에 대응되고, 동기화 대상 단말(450)은 획득된 PSSID를 기반으로 3개의 후보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SID가
Figure pat00050
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PCID 0, 1 또는 2는 동일한 PSSID값 0에 대응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50)은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결정된 PSSID 값이 0인 경우, PCID 0, 1, 2를 후보 PCID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동기화 대상 단말은(450) 동기화 절차에서 PSSID를 기반으로 3개의 후보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50)은 PD2DSCH를 통해 후보 PCID 중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다른 표현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450)이 전송 시간 기준(transmission time reference)을 얻게 되는 기지국(400)의 PCID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단말 1(430)은 PD2DSCH를 통해 PCID를 모듈러 3 연산한 값 또는 PCID를 168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을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D2DSS를 통해
Figure pat00051
의 값이 PSSID로서 전송된 경우, 하나의 PSSID에 대응되는 3개의 후보 PCID는 PCID를 모듈러 3 연산한 값이 각각 0, 1, 2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 1(430)이 PD2DSCH를 통해 PCID를 모듈러 3 연산한 값을 전송하는 경우, 3개의 후보 PCID 중 어떠한 후보 PCID가 기지국(400)의 PCID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는 SD2DSS를 통해
Figure pat00052
의 값이 PSSID로서 전송된 경우, 하나의 PSSID에 대응되는 3개의 후보 PCID는 PCID를 168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이 각각 0, 1, 2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0)이 PCID를 168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을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로서 전송하는 경우, 3개의 후보 PCID 중 어떠한 후보 PCID가 기지국(400)의 PCID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즉,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450)로 전송하고 동기화 대상 단말(450)은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4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정보가 아닌 PCID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 즉 9비트로 표현되는 0 내지 503까지의 값 중 하나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4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550)이 단말 1(53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동기화 대상 단말(550)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550)인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PSSID의 개수가 128개로 정의된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는 기지국(500)의 PCID를 나타내는 9비트 중 7비트로 결정될 수 있다. PCID 중 PSSID에 대응되는 7비트는 9비트 중 MSB(most significant bit) 또는 LSB(least significant bit)일 수 있다.
기지국(500)으로부터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단말 1(530)은 기지국(500)의 PC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530)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동기화 대상 단말(550)로 PD2DSS/S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530)에 의해 전송된 SD2DSS는 PSS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53
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Figure pat00054
는 PSSID로서 PCID를 나타내는 9비트 중 7 비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550)은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55
를 획득하여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PSSID(
Figure pat00056
)는
Figure pat00057
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PSSID가 결정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550)에 의해 획득되는 PSSID는 복수개의 후보 PCID에 매핑될 수 있다. 즉, PCID를 결정하기 위한 나머지 2비트에 따라 복수개의 후보 PCID가 결정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550)은 PD2DSCH를 통해 기지국(5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2 비트의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530)과 같은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5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2 비트의 추가 식별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550)로 전송하고 동기화 대상 단말(550)은 2비트의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500)의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지국(5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다른 표현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550)이 전송 시간 기준(transmission time reference)을 얻게 되는 기지국(500)의 PCID에 대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5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가 아닌 PCID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 즉 9비트로 표현되는 0 내지 503까지의 값 중 하나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5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PCID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650)이 단말 1(63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동기화 대상 단말(650)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600)인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PSSID의 개수가 K개(K≤168)로 정의된 경우, PCID에 대한 모듈러 K 연산을 수행한 값이 PCID에 대응되는 PSSID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600)으로부터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단말 1(630)은 기지국(600)의 PC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630)은 동기화 대상 단말(650)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PD2DSS/SD2DSS를 동기화 대상 단말(65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630)에 의해 전송되는 SD2DSS를 결정하기 위한 시퀀스는 PSS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58
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650)은
Figure pat00061
를 기반으로 생성된 SD2DSS를 수신할 수 있고, SD2D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62
을 획득하여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PSSID(
Figure pat00063
)는
Figure pat00064
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PSSID가 결정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650)에 의해 획득되는 PSSID는 K의 값에 따라 복수개의 후보 PCID에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동기화 대상 단말(650)은 K값에 따라 동기화 절차에서 PSSID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후보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650)은 PD2DSCH를 통해 후보 PCID 중 기지국(6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630)은 PD2DSCH를 통해 복수개의 후보 PCID 중 기지국(600)의 PCID를 지시하기 위해 PCID를 K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을 추가 식별 정보로서 동기화 대상 단말(65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6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650)로 전송하고 동기화 대상 단말(650)은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600)의 PCID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지국(6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다른 표현으로 동기화 대상 단말(650)이 전송 시간 기준(transmission time reference)을 얻게 되는 기지국(600)의 PCID에 대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600)의 PCID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정보가 아닌 PCID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 즉, 9비트로 표현되는 0 내지 503까지의 값 중 하나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6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750)이 단말 1(70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단말 1(700)이 동기화 대상 단말(750)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ISS인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750)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700)인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는 ISS(700)에 의해 랜덤하게 결정된 식별 정보이거나, ISS(700)로 동작하는 UE의 UE ID를 기반으로 결정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단말 1(700)이 ISS로부터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도 동기화 대상 단말(750)은 동일한 방법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기화 대상 단말(750)이 ISS(750)로부터 바로 PD2DSS/SD2DSS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나, 동기화 대상 단말(750)이 ISS(700)로부터 바로 PD2DSS/SD2DSS를 수신하지 않고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단말을 통해 PD2DSS/SD2DSS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단말은 PD2DSS/SD2DSS를 통해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ISS(700)의 식별 정보는 168개의 PSSID 중 하나의 PSSID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700)의 식별 정보를 모듈러 168 연산한 결과가 PSSID일 수 있다. ISS(700)는 PSSID와 동일한 값인
Figure pat00065
를 기반으로 생성된 SD2DSS를 동기화 대상 단말(75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750)은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Figure pat00066
를 획득하여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PSSID는 복수개의 후보 ISS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고, 동기화 대상 단말(750)은 ISS로부터 PD2DSCH를 통해 ISS(7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D2DSCH를 통해 전송되는 ISS(7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ISS(700)의 식별 정보를 168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750)은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ISS 식별 정보 중 하나를 ISS(700)의 식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ISS(7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가 아닌 ISS(7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7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850)이 단말 1(80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단말1(800)이 동기화 대상 단말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ISS인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850)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ISS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ISS(800)의 식별 정보는 128개의 PSSID 중 하나의 PSSID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800)의 식별 정보는 7비트를 초과하는 N비트의 정보일 수 있다 (e.g. N=8, 16 등). 이러한 경우, ISS(800)는 N비트의 식별 정보 중 7비트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PSSID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SID는 ISS(8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N비트의 식별 정보 중 7비트에 대응되는 MSB 또는 LSB일 수 있다.
ISS(800)는 PSS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67
를 기반으로 생성된 SD2DSS를 동기화 대상 단말(85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850)은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획득할 수 있다.
PSSID는 복수개의 후보 ISS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고, 동기화 대상 단말(850)은 ISS(800)로부터 PD2DSCH를 통해 ISS(8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D2DSCH를 통해 전송되는 ISS(8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N비트 중 PSSID에 대응되는 7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850)은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ISS(8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ISS(8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가 아닌 ISS(8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8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에서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950)이 단말 1(90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되, 단말1(900)이 동기화 대상 단말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ISS인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950)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ISS(900)의 식별 정보는 K개의 PSSID 중 하나의 PSSID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9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모듈러 K 연산을 기반으로 PSSID가 결정될 수 있다. ISS(900)는 PSSID에 대응되는
Figure pat00068
를 기반으로 생성된 SD2DSS를 동기화 대상 단말(95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950)은 SD2DSS를 수신하고 SD2DSS를 기반으로 PSSID를 획득할 수 있다.
PSSID는 복수개의 후보 ISS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고, 동기화 대상 단말(950)은 ISS(900)로부터 PD2DSCH를 통해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D2DSCH를 통해 전송되는 ISS(9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는 ISS(900)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값을 K로 나눈 값의 정수 값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950)은 ISS(9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ISS 식별 정보 중 하나를 ISS(900)의 식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소스는 ISS(900)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가 아닌 ISS(9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체 정보를 PD2DSCH를 통해 동기화 대상 단말(9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전술한 ISS와 같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가 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티브 동기화 소스는 PSSID 결정부(1000), 동기화 신호 생성부(1010),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020), 통신부(1030) 및 프로세서(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부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SSID 결정부(1000)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 PSSID 결정부(1000)는 가용한 PSSID의 개수를 고려하여 ISS의 식별 정보에 모듈러 연산 또는 나눔 연산 등을 수행하여 PSSID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PSSID 결정부(1000)는 ISS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체 비트 중 일부의 비트에 대응되는 값으로 PSSID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010)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 동기화 신호 생성부(1010)는 ISS의 PSSID를 기반으로 생성된 PD2DSS/S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020)는 ISS의 식별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PSSID의 결정 방법에 따라 ISS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식별 정보(예를 들어, 추가 비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통신부(1030)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PD2DSCH을 통해 추가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PSSID 결정부(1000), 동기화 신호 생성부(1010),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020), 통신부(10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동기화 소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전술한 기지국 또는 ISS와 같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화된 후 동기화 대상 단말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가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PSSID 결정부(1100), 동기화 신호 생성부(1110), 식별 정보 결정부(1120),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130), 통신부(1140) 및 프로세서(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부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SSID 결정부(1100)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 또는 다른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결정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인 경우, PSSID 결정부(1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PSSID를 결정할 수 있다.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 PSSID 결정부(1100)는 ISS로부터 수신한 PD2DSS/SD2DSS를 기반으로 PSSID를 결정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110)는 PSSID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결정부(1120)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 또는 다른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수신한 추가 식별 정보 및 PSSID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ISS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의 PCID 또는 ISS로 동작하는 UE의 UE ID)를 획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130)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ISS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의 PCID 또는 ISS로 동작하는 UE의 UE ID) 및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고려하여 추가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별도의 추가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 또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수신한 추가 식별 정보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그대로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140)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 및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40)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PD2DSCH를 통해 추가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50)는 PSSID 결정부(1100), 동기화 신호 생성부(1110), 식별 정보 결정부(1120), 추가 식별 정보 생성부(1130), 통신부(1150)를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대상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개시된 동기화 대상 단말의 동기화 동작 및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인 PSSID 및 기지국의 식별 정보(또는 ISS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가 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기화 대상 단말은 PSSID 결정부(1200), 식별 정보 결정부(1210), 통신부(1220) 및 프로세서(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부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SSID 결정부(1200)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 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PSSID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은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SD2D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PSSID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결정부(1210)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의 식별 정보(기지국의 PCID),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인 경우 ISS의 식별 정보(ISS로 동작하는 UE의 UE ID)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1220)는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 및 추가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30)는 PSSID 결정부(1200), 식별 정보 결정부(1210), 통신부(1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개시된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 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대상 단말이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단말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단말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되는 방법.
  2. D2D(device to device) 통신에서 D2D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현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RF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 또는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단말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전송되는 D2D 단말.
KR1020140129610A 2014-09-26 2014-09-26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60037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10A KR20160037038A (ko) 2014-09-26 2014-09-26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10A KR20160037038A (ko) 2014-09-26 2014-09-26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38A true KR20160037038A (ko) 2016-04-05

Family

ID=5580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610A KR20160037038A (ko) 2014-09-26 2014-09-26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7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75A1 (en) *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SELEC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MULTI-CARRIER SIDE LINK COMMUNICATION
KR20200049889A (ko) * 2017-09-28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동기화 기준 소스를 선택 및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75A1 (en) *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SELEC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MULTI-CARRIER SIDE LINK COMMUNICATION
KR20200049889A (ko) * 2017-09-28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동기화 기준 소스를 선택 및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06628B2 (en) 2017-09-2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selecting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for multi-carrier sidelink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214B1 (ko)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256532B1 (ko) 무선 셀룰러 기술에서 디바이스간 지원 포지셔닝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및 이용
KR101871877B1 (ko) 동기화 신호 송신 및 수신 방법, 장치, 및 기기
KR20210035118A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0961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7035393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ynchronizing device to device terminals in time and frequency
KR101787863B1 (ko)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기 및 제어 방법
EP2716125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oute establish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18580B2 (ja) 無線基地局、移動局、移動通信方法及び測定方法
US20160112221A1 (en) Method for ue and user equipment
CN115499113B (zh)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9644503B (zh) 用于随机接入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102453598B1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4522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023696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KR20190025921A (ko)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9845359A (zh)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KR20170093333A (ko)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JP2021520701A (ja) 情報の指示方法およ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20220101619A (ko)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뮤팅 패턴들
WO2018171507A1 (zh) 一种收发物理随机接入信道前导码序列的方法及装置
KR20180127309A (ko) 동기화 방법, 동기화 장치 및 동기화 소스
JP2022509705A (ja) 信号伝送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WO2019084842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KR20160037038A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