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695A -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695A
KR20160036695A KR1020140128124A KR20140128124A KR20160036695A KR 20160036695 A KR20160036695 A KR 20160036695A KR 1020140128124 A KR1020140128124 A KR 1020140128124A KR 20140128124 A KR20140128124 A KR 20140128124A KR 20160036695 A KR20160036695 A KR 2016003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sculpture
molding
senso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이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식 filed Critical 이주식
Priority to KR102014012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695A/ko
Publication of KR2016003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4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record carriers containing only program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9Fundraising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포옹하는 자세를 갖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 상기 조형물 상에 장착되며, 조형물을 포옹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포옹감지센서; 상기 조형물의 내부에 장착되며, 포옹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함과 아울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조형물의 외부에 고정 장착되며, 기부를 위한 홍보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포옹 횟수와 기부금액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조형물의 설치를 통하여 대중이 기부의 필요성을 체험 및 인지할 수 있고 대중에게 전달하는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기부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SYSTEM FOR SPREADING AND PUBLIC RELATIONS OF DONATION CULTURE USING MODELING}
본 발명은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형물의 설치를 통하여 대중이 기부의 필요성을 체험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중에게 전달하는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기부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부는 사전적인 의미로 물질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해서 도움을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물품을 지원하거나 현금으로써 도움을 주는 행위를 일컫는다.
부연하여, 기부문화는 서로 나누는 것, 돕는 것, 주는 것 등등 여러 가지로 할 수가 있는데, 타의에 의해서가 아닌 본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하는 문화이다.
특히, 종래에는 주로 현금기부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점진적으로 자원봉사 또는 문화 컨텐츠의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부문화가 정착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기부문화는 선진국의 척도라 할 수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기부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세금혜택 등이 늘어남에 따라 기부가 점점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세계적인 자선재단인 영국의 CAF(자선지원재단)이 최근 발표한 WGI(세계기부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전세계 100여개 국가중 45위를 차지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 규모로 전세계 15위를 차지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부지수는 경제규모에 비해 크게 밑도는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필리핀(17위), 태국(26위), 캄보디아(40위) 등과 비교할 때, 한국보다 경제규모가 작은 동아시아 국가보다도 낮은 수분이며, 특히 아프리카 국가인 가나보다도 못한 기부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부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도 이를 통해 기부문화의 확산에 기여 및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조형물과 관련한 제안기술에 대해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국내등록실용 제20-0339848호에서와 같이 단순한 광고 간판 등에 해당하는 형태의 옥외 홍보용 조형물을 제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덧붙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13719호에서는 컨텐츠 및 기부요청내역을 온라인으로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기부요청내역에 대하여 기부의사가 있는 사람이 온라인으로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기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부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848호 (2004.01.3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719호 (2011.02.1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형물의 설치를 통하여 대중이 기부의 필요성을 체험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중에게 전달하는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기부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형물과 센서 및 IT기술을 접목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개인과 기업이 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한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은, 포옹하는 자세를 갖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 상기 조형물 상에 장착되며, 조형물을 포옹할 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포옹감지센서; 상기 조형물의 내부에 장착되며, 포옹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함과 아울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조형물의 외부에 고정 장착되며, 기부를 위한 홍보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포옹감지 횟수와 기부금액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물의 내부에 장착되며,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작동하여 심장박동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심장박동출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물 또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빛을 밝혀주기 위한 조명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물의 포옹시 감지되는 포옹감지 횟수와 기부금액의 데이터는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웹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 상에서도 실시간으로 공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옹감지센서는 거리감지센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근접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형물의 설치를 통하여 대중이 기부의 필요성을 체험 및 인지할 수 있고 대중에게 전달하는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부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랑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고, 기부 동참에 따른 행복감 및 감동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개인과 기업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등 보다 대중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형물과 센서를 이용함은 물론 IT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오프라인을 비롯하여 온라인 통해서도 홍보할 수 있으므로 기부문화에 대한 전파력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 구성도.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 구조형 조형물(10), 포옹감지센서(20), 컨트롤부(30), 표시부(40), 심장박동출력부(50), 조명부(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은 마네킹이나 동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랑의 느낌 및 인간미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포옹하는 자세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은 어려움을 겪는 많은 이들에게 큰 용기가 되었던 가톨릭 신부이면서 의사인 이태석 신부를 모델링하는 등 사랑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은 실내/외를 불문하고 대중 통행이 많은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포옹감지센서(2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 상에 장착되며, 조형물(10)을 행인 등의 개인이 포옹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데, 포옹에 따른 감지효율을 높이기 위해 손과 가슴 부분에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옹감지센서(20)로는 인체 감지가 가능한 거리감지센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근접센서, 포토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3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내부에 장착되며, 포옹감지센서(20)로부터 포옹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포옹 횟수 및 그에 따른 기부금액을 연산함과 아울러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컨트롤부(30)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포옹 횟수 및 기부금액을 누적 연산한다.
상기 컨트롤부(3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포옹 감지시 표시부(40)와 심장박동출력부(50), 조명부(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출력신호를 내보내며, 1가지 이상의 선택적 신호 또는 동시 다발적 제어를 위한 신호출력을 내보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외부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부(30)에서의 제어출력신호에 따라 기부를 위한 홍보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조형물(10)을 포옹하는 감지시 포옹감지 횟수와 기부금액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표시부(40)는 날개형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기부 천사의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40)는 LED 타입 또는 LCD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포옹감지 횟수만큼 누적된 데이터를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홍보문구는 "당신이 한번 포옹할 때, 결식아동 몇 명 또는 아프리카 기아 난민 몇 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당신의 포옹이 사람을 살립니다."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심장박동출력부(5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조형물(10)을 포옹하는 감지시 컨트롤부(30)의 제어출력에 따라 작동하여 심장박동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심장박동출력부(5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포옹하는 사람에게 심장의 박동을 느끼게 함으로써 사랑의 느낌과 감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단순 포옹만으로도 무언가 의미있는 행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심장박동출력부(50)를 통한 심장박동을 포옹하는 사람이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부에 따른 의미를 전달 및 기부가 사람을 살릴 수 있음을 의미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명부(60)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 및/또는 표시부(40)에 설치할 수 있으며, 조형물(10)을 포옹하는 감지시 컨트롤부(30)에서의 제어출력을 통해 빛을 밝혀주기 위한 것으로서, 포옹하는 사람에게 따스한 온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 역시 기부의 의미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부(60)는 야간에 인체 구조형 조형물(10) 및/또는 표시부(40)를 밝혀주는 일반 조명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야간 식별력을 갖도록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포옹시 감지되는 포옹 횟수와 기부금액의 데이터는 관리서버(70)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웹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 상에서도 실시간으로 공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포옹 감지시 포옹 횟수와 기부금액을 누적하는 컨트롤부(30)에서 해당 데이터를 관리서버(70) 측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호간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관리서버(70)에서는 DB화를 수행한다.
부연하여, 상기 관리서버(70)는 다수의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인체 구조형 조형물(10)로부터 개별적으로 포옹 횟수 및 기부금액을 전송받고, 이를 종합적으로 누계하여 연동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상에 총합계자료를 공개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은 실내/외를 불문하고 대중 통행이 많은 다수의 장소에 설치하며, 기업체의 후원을 받아 행인이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포옹시 포옹 1회당 약속된 기부금이 형성 및 누적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개인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을 갖도록 한다.
다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각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은 기부 천사의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날개형 구조의 표시부(40)를 통해 기부의 취지 및 방법을 알리는 홍보문구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표시부(40)를 통해서는 기부의 취지 및 방법을 알리는 홍보문구와 더불어 이러한 기부문화에 동참하여 경제적인 후원을 행하는 기업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대중의 행인이 인체 구조형 조형물(10) 및 표시부(40)를 보고 기부에 참여하기 위해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포옹한다.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포옹시, 포옹감지센서(20)는 포옹을 감지하게 되고 포옹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포옹감지신호 출력마다, 컨트롤부(30)에서는 포옹 횟수 및 그에 따른 기부금액을 연산하고, 표시부(40)에 제어출력을 보내 포옹 횟수 및 그에 따른 기부금액의 총합계를 표시하여 알려준다.
이와 함께, 컨트롤부(30)에서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행인이 포옹하여 발생하는 포옹감지신호 출력마다, 심장박동출력부(50) 및 조명부(60)에도 제어출력을 보내 심장박동소리를 출력 및 조명을 밝혀준다.
이에 따라,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포옹하여 기부에 참여하는 대중의 행인에게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의 포옹과 함께 심장의 박동은 물론 따스한 온기를 느낄 수 있도록 전달할 수 있으며, 기부를 통해 사람을 살릴 수 있다는 가슴 뭉클함의 감동 및 사랑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포옹의 행동으로도 기부의 필요성을 몸소 체험하게 할 수 있으며, 기업체는 기부금액의 후원을 통해 좋은 행사에 참여하면서도 기업체를 홍보 및 사회적 기업으로의 좋은 이미지를 전파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더불어, 각 인체 구조형 조형물(10)을 통해서 포옹시 감지되는 포옹 횟수와 기부금액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관리서버(70) 측에 전송되며, 관리서버(70)에서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 상에 공개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DB화를 수행한다.
이때, 관리서버(70)에서는 각 인체 구조형 조형물(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이를 종합적으로 누계하여 포옹 횟수 및 기부금액에 대한 총합계자료를 공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인체 구조형 조형물 20: 포옹감지센서
30: 컨트롤부 40: 표시부
50: 심장박동출력부 60: 조명부
70: 관리서버

Claims (5)

  1. 포옹하는 자세를 갖는 인체 구조형 조형물;
    상기 조형물 상에 장착되며, 조형물을 포옹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포옹감지센서;
    상기 조형물의 내부에 장착되며, 포옹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함과 아울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조형물의 외부에 고정 장착되며, 기부를 위한 홍보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포옹 횟수와 기부금액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의 내부에 장착되며,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작동하여 심장박동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심장박동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또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조형물을 포옹하는 감지시 빛을 밝혀주기 위한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의 포옹시 감지되는 포옹감지 횟수와 기부금액의 데이터는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웹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 상에서도 실시간으로 공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옹감지센서는 거리감지센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근접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KR1020140128124A 2014-09-25 2014-09-25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KR20160036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124A KR20160036695A (ko) 2014-09-25 2014-09-25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124A KR20160036695A (ko) 2014-09-25 2014-09-25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695A true KR20160036695A (ko) 2016-04-05

Family

ID=5579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124A KR20160036695A (ko) 2014-09-25 2014-09-25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68B1 (ko) * 2020-11-26 2021-10-07 주식회사 닷밀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68B1 (ko) * 2020-11-26 2021-10-07 주식회사 닷밀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cía et al. A serious game to reduce consumption in smart buildings
Hespanhol et al. Strategies for intuitive interaction in public urban spaces
Koeman et al. What chalk and tape can tell us: lessons learnt for next generation urban displays
CN109789232A (zh) 联网气味扩散装置的方法和系统
RU2011122596A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ковер с задней подсветкой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динамических эффектов освещения ковра
WO2018087968A1 (ja) 通信装置、サーバ装置、記録媒体、および制御方法
Ujang Place attachment and continuity of urban place identity
Agampatian Using GIS to measure walkability: A Case study in New York City
BR112012015614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distribuir conteúdo direcionado a visitantes de site da rede para promover produtos e marcas
Engelen et al. Are motivational signs to increase stair use a thing of the past? A multi-building study
Albertsen Urban atmospheres
McLean Mapping the invisible and the ephemeral
Seamon Merleau-Ponty,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embodiment: Implications for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studies
KR20160036695A (ko) 조형물을 이용한 기부문화 홍보 및 확산 시스템
Folwarczny et al. Sustainable food choices as an impression management strategy
Musaab et al. A Review Paper on the Role of Commercial Streets' Characteristics in Influencing Sense of Place.
TW201015019A (en) Area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US10728702B2 (en) Networked data management using pedestrian traffic patterns
Viviers et al.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Comparing attendees’ green behaviour at home with their inclination to support green practices at arts festivals
Ghioca The cognitive map's role in urban planning and landscaping: application to Braila City, Romania
Schöning et al. Intel Collaborative Research Institute-Sustainable Connected Cities
Nóżka Social sonic practices. The urban audiosphere in the practices of D/deaf and hearing people
Singh et al. Integration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 technological approach towards sustainability
KR20140118175A (ko) 광고표출장치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sik Design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UXE) Toolbox for Smart Urban Lighting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