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178A -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178A
KR20160036178A KR1020140127829A KR20140127829A KR20160036178A KR 20160036178 A KR20160036178 A KR 20160036178A KR 1020140127829 A KR1020140127829 A KR 1020140127829A KR 20140127829 A KR20140127829 A KR 20140127829A KR 20160036178 A KR20160036178 A KR 2016003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or
investment
company
ventur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구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filed Critical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Priority to KR102014012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178A/ko
Publication of KR2016003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운영자금을 필요로 하는 중소 기업과 우수 중소 기업에 투자를 원하는 벤처 투자자를 연결하여 투자 실행을 중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는 투자 중개를 요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파일링부와,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의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여, 투자 중개 대상 기업 및 투자자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된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및 미팅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TING VENTURE INVESTMENT}
본 발명은 설비, 운영자금을 필요로 하는 중소 기업과 우수 중소 기업에 투자를 원하는 벤처 투자자를 연결하여 투자 실행을 중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벤처 캐피탈(venture capital)이란, 고도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장래성도 있으나 아직 경영기반이 약하고 일반 금융기관으로는 위험부담이 커서 융자하기 어려운 벤처 비즈니스에 대해 주식취득 등을 통하여 투자하는 기업 또는 이와 같은 기업의 자본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회사들은 투자한 기업의 주식공개를 통한 자본이익(capital gain)으로 수익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비 및 운영 자금 등을 필요로 하는 중소 기업 및 우수 중소 기업에 투자를 원하는 창업투자회사를 연결하여 투자가 실행되도록 하는 업무를 벤처 투자 중개 업무라고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식은 합동 설명회 방식 또는 개별 섭외 방식에 따라 중개가 이루어졌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합동설명회 방식 및 개별 섭외 방식에 따른 벤처투자 중개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른 합동 설명회 방식에 따를 경우, 기업의 신청(S10), 발표 기업의 선정(S15), 설명회 진행(S20), 투자자 개별 미팅(S25), 투자 유치(S30) 및 사후 관리(S35)에 따른 프로세스로서, 다수의 우수한 중소 기업을 선별한 후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합동 설명회를 개최하여, 기업 및 투자자간의 투자가 진행되도록 중개하는 방식으로, 벤처기업협회, 엔젤 클럽 등에서 주로 진행되는 방식이다.
도 2에 따른 개별 섭외 방식의 경우, 기업의 요청 또는 섭외(S40), 투자자 섭외(S45), 투자자 개별 미팅(S50), 투자 유치(S55) 및 사후 관리(S60)에 따른 프로세스로서, 이는 직접 섭외하거나 요청이 들어온 개별 중소기업에 대하여 적절한 투자자를 물색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설 자문사 등에서 주로 진행되는 방식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벤처투자 중개 방식에 따를 경우, 합동 설명회 또는 개별 섭외 방식에 따라 일일이 기업 및 투자자를 물색하여야 하고, 기업 및 투자자를 중개하기 위한 판단 요소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여, 벤처 투자 중개의 성사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자를 요청한 기업 및 투자하기를 원하는 투자자의 프로필을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내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분석하여 성사 가능성이 높은 기업 및 투자를 선별하여 매칭하는 것이 가능한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는 투자 중개를 요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파일링부와,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의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여, 투자 중개 대상 기업 및 투자자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된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및 미팅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은 벤처 투자 중개를 신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프로필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과 투자자를 선별하는 단계와,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 결과에 대한 투자자 평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은 투자를 요청하는 기업 및 투자하기를 원하는 투자자의 프로필을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기설정 항목에 대한 프로필을 대비하여, 투자 중개 성사 가능성이 높은 기업 및 투자자를 소팅(sorting)하여 매칭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데이터 베이스 내의 항목 별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함으로써, 기업 및 투자자 매칭에 있어 투자 중개의 기준 요소를 명확히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타게팅(targeting)이 가능하여, 합동 설명회 방식 및 개별 섭외 방식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기업과 투자자의 매칭 후 투자자의 평가 의견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전략 재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기업 및 투자자 간의 투자 중개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투자 전략 조정 및 기업과 투자자의 매칭 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기업의 개선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반영한 새로운 투자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투자 중개 실패 후에도 지속적인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중개 성사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합동설명회 방식 및 개별 섭외 방식에 따른 벤처투자 중개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중 합동 설명회 방식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중 개별 섭외 방식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는 투자 중개를 요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파일링부(100)와,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의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여, 투자 중개 대상 기업 및 투자자를 선별하는 선별부(200)와,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매칭부(300) 및 미팅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분석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링부(100)는 기업 프로파일링부(110) 및 투자자 프로파일링부(120)를 포함한다. 기업 프로파일링부(110)는 투자 중개를 신청한 기업의 업종, 업력, 매출 정보 및 투자희망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또한, 투자자 프로파일링부(120)는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 및 평균투자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투자자 프로필을 획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때, 기업 프로파일링부(110)는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를 사용하여, 코드 정보 중 4 뎁스(depth)까지의 코드를 업종 정보로서 획득한다(예: 코드 2221은 1차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을 나타내는 코드임). 또한, 기업 프로파일링부(110)는 설립일로부터 현재까지 1년 단위로 업력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 기간(예: 최근 3개년) 동안의 매출액, 영업 이익 및 순이익을 포함하는 매출 정보를 획득하며, 희망 범위(예: 10억 내지 20억)의 투자 희망 금액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기업 프로파일링부(120)는 경영진 프로필 정보, 해당 기업의 세부 기술 및 제품 내역 정보, 지분 구조 정보를 기타사항 정보로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프로파일링부(120)는 기설정 개수의 순위(예: 4순위)까지의 선호 업종 정보, 년 단위(예: 5년 내지 7년)의 선호 업력 정보, 최근 연도 수치(예: 10억 단위) 및 증감률(10퍼센트 단위)의 선호 매출 정보(매출액, 영업 이익, 순이익), 1억 단위의 개별 기업별 평균 투자 금액 정보를 획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때, 투자자 프로파일링부(120)는 각 투자자가 고려하는 특이사항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는 합동 설명회 방식 또는 개별 섭외 방식에 따라 기업 및 투자자를 중개한다.
합동 설명회 방식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의 선별부(200)는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기업 및 투자자 중 상위 기설정 개수(예: 10개)의 기업 및 투자자에 대하여 합동 설명회 초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례로, 선별부(200)는 기업의 해당 업종 및 투자자 선호 업종을 비교하여, 기업의 해당 업종이 투자자 선호 업종의 1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10점, 2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8점, 3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6점, 4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4점,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 2점을 책정하여 업종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한다.
또한, 선별부(200)는 기업의 해당 업력 및 투자자의 해당 업력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10점, 2년 차이인 경우 8점, 4년 차이인 경우 6점, 나머지 경우 2점을 책정하여 업력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한다.
또한, 선별부(200)는 기업의 매출 정보 및 투자자의 선호 매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혹은 기업의 매출 정보가 투자자의 선호 매출 정보 대비 +10퍼센트 이상인 경우 10점, -10퍼센트까지인 경우 8점, -20퍼센트까지인 경우 6점, -30퍼센트까지인 경우 4점, 나머지 경우 2점을 책정하여 매출 정보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한다.
또한, 선별부(200)는 기업의 투자희망금액과 투자자의 평균투자금액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10점, 20억 차이인 경우 8점, 나머지의 경우 6점을 책정하여 투자희망금액 및 평균투자금액 항목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한다.
또한, 선별부(200)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중 투자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 내에 일치하는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10점을 책정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 별도의 점수를 책정하지 아니함으로써 기타사항 항목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는 각 항목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백분율로 스코어링(scoring)하여, 최종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이에 대한 기설정 적합도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기업 및 투자자를 합동 설명회로 초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300)는 초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일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합동 설명회 일정 및 개별 기업과 투자자 간의 개별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한다.
일례로, 매칭부(300)는 기업 A, B, C와 투자자 a, b, c로부터 가능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파싱하여 합동 설명회 중 기업의 발표 일정 및 기업과 투자자 간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한 일정을 기업 및 투자자에게 전송한다.
개별 섭외 방식에 따른 경우, 선별부(200)는 기업 프로필을 분석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해당 투자 유치 전략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투자자를 선별한다. 매칭부(300)는 전술한 선별부(200)의 판단 기준에 따라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를 보인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일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개별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400)는 미팅 이후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기설정 항목별 인식 데이터에 반영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한다.
분석부(400)는 미팅 후 투자자의 해당 업체에 대한 각 항목별 인식(Perception)을 파악하여, 핵심인력 항목, 회사의 핵심기술 및 제품 항목, 회사의 사업구조 및 수익구조 항목, 시장 전망 및 경쟁자 분석 항목, 마케팅 전략 항목, 최근 실적(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항목, 향후 실적 전망 및 근거 항목, 투자유치금액의 사용처 항목, 투자회수 전략 및 근거 항목, 기타 추가 또는 보충이 필요한 기업 정보 항목에 대한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때, 분석부(400)는 핵심 인력 사항 중 회사의 강점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매우 그렇다의 경우 최고5점, 매우 그렇지 않다의 경우 최저1 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정보 제공의 양에 관한 항목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지나치게 많았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부족했다의 경우 최저 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분석부(400)는 회사의 핵심 기술 및 제품 항목에 대하여 회사의 강점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그렇지 않다의 경우 최저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정보 제공의 양에 관한 항목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지나치게 많았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부족했다의 경우 최저 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분석부(400)는 획득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 분석(Perception alaysis)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되, 기업의 강점으로 인식된 부분은 강조 및 부각하고, 약점을 축소하며, 제공 정보의 양이 부족했던 부분은 추가를, 과도했던 부분은 축소하도록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한다.
또한, 분석부(400)는 회사의 강점이면서 제공 정보가 부족하다고 여긴 투자자의 평가 의견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이를 추가 및 강조하여 투자 전략을 재조정하도록 가이드 하는 내용의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고, 추가 혹은 보충이 필요하다고 지적된 항목은 투자 전략을 재조정함에 있어서 추가하도록 가이드 하는 내용의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300)는 분석부(400)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여, 기설정된 회차(예: 3차)에 걸친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장치는 기업 및 투자자의 매칭 결과 투자 유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 획득을 위한 보완 사항을 결정하고, 이러한 사항에 대한 기업 정보의 변동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500)를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부(500)는 투자 보류 또는 투자 거절을 결정한 투자자로부터 투자 실패 원인에 관한 의견 데이터를 획득하여, 투자 실패 원인을 항목 별로 파악한다.
이 때, 모니터링부(500)는 기술력 또는 제품의 시장성에 대한 의문 항목, 실적(매출 혹은 이익) 부족 항목, 핵심인력 부족 항목, 타겟 시장에 대한 의문 항목, 사업 구조 및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의문 항목, 투자회수 전략 및 근거 의문 항목, 기타 사유 항목에 대하여 항목 별로 투자자의 의견 데이터를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500)는 투자자의 의견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 유치에 실패한 기업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 월 1회 이상) 실패 원인으로 지목된 항목들에 대한 개선 사항 정보의 존재 여부 및 지목된 항목 외의 항목 변동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은 벤처 투자 중개를 신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와, 프로필을 이용하여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과 투자자를 선별하는 단계(S200)와,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 및 투자자를 매칭하는 단계(S300) 및 매칭 결과에 대한 투자자 평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업종, 업력, 매출 정보 및 투자희망금액을 포함하는 기업 프로필과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 및 평균투자금액을 포함하는 투자자 프로필을 확보한다. 이 때, S100단계는 기설정 기간동안의 매출액, 영업 이익, 순이익을 포함하는 매출 정보를 획득한다.
S200단계는 합동 설명회 방식에 따를 경우,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기업 및 투자자 그룹 중 상위 기설정 개수의 기업 및 투자자를 초청한다.
S200 단계는 개별 섭외 방식에 따를 경우, 기업 프로필을 분석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해당 투자 유치 전략에 대한 프로필 매칭도가 높은 투자자를 선별한다.
S300 단계는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획득한 일정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업의 설명회 일정 및 기업과 투자자의 미팅을 스케줄링하여 기업 및 투자자를 매칭하고, S400단계는 기업 및 투자자의 매칭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은 S400단계 이후 기업에 대한 투자 중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기업의 프로필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를 획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업의 보완 사항에 대한 개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에 관하여는, 아래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합동 설명회 방식에 따른 경우 및 개별 섭외 방식에 따른 경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중 합동 설명회 방식에 대한 순서도이다.
투자 중개를 요청하는 기업의 신청이 있는 경우(S90), S110 단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를 사용하여, 기업의 업종 정보를 획득하고, 업력 정보, 실적 정보(매출액, 영억이익 및 순이익), 인력 정보를 획득하고, S120 단계는 획득한 기업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S130 단계는 투자자의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를 획득하고, S140단계는 이를 이용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S210 단계는 기업 데이터 베이스 내 기업을 소팅(sorting)하고, S220 단계는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그룹 중 기설정 개수(예: 10개)의 상위 기업 및 투자자에 대하여 합동 설명회 초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기업 소팅 결과 발표 기업을 선정하고(S250), 설명회가 진행된 후(S310), 투자자 평가를 수집하고(S410), 이를 반영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여 투자 유치 전략을 조정한다(S420).
즉, S410 단계는 설명회 후 투자자의 해당 업체에 대한 각 항목별 인식(Perception)을 파악하여, 핵심인력 항목, 회사의 핵심기술 및 제품 항목, 회사의 사업구조 및 수익구조 항목, 시장 전망 및 경쟁자 분석 항목, 마케팅 전략 항목, 최근 실적(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항목, 향후 실적 전망 및 근거 항목, 투자유치금액의 사용처 항목, 투자회수 전략 및 근거 항목, 기타 추가 또는 보충이 필요한 기업 정보 항목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S410단계는 핵심 인력 사항 중 회사의 강점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매우 그렇다의 경우 최고5점, 매우 그렇지 않다의 경우 최저1 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정보 제공의 양에 관한 항목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지나치게 많았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부족했다의 경우 최저 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회사의 핵심 기술 또는 제품 항목에 대하여 회사의 강점 항목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그렇지 않다의 경우 최저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정보 제공의 양에 관한 항목에 관한 점수 책정으로서 지나치게 많았다의 경우 최고 5점, 매우 부족했다의 경우 최저 1점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S420 단계는 S410단계에서 획득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 분석(Perception alaysis)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수립하였던 투자 전략을 재조정하되, 기업의 강점으로 인식된 부분은 강조 및 부각하고, 약점을 축소하며, 제공 정보의 양이 부족했던 부분은 추가를, 과도했던 부분은 축소하도록 투자 전략을 조정할 것을 가이드하는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한다.
S420 단계에서 투자 전략이 재조정되면, 기업과 투자자의 개별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한다.
개별 미팅 스케줄링 및 미팅 결과 투자 유치가 이루어진 경우(S460), 투자 유치 성공 기업에 대한 사후 관리를 수행한다(S480). 반면, 투자 유치가 실패한 경우(S470), S510단계는 기업에 대한 개선 사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즉, S510 단계는 투자 보류 혹은 투자 거절을 결정한 투자자로부터 투자 유치 실패 원인에 관한 의견 데이터를 획득하여, 투자 유치 실패 원인을 항목 별로 파악하고, S520 단계는 투자 유치 실패 원인으로 지목된 항목들에 대한 개선 사항 정보의 존재 여부 및 지목된 항목 외의 항목 변동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개선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새로운 투자 전략 수립에 이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중 개별 섭외 방식에 대한 순서도이다.
투자 중개를 요청하는 기업의 신청이 있는 경우(S90), S110 단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를 사용하여, 기업의 업종 정보를 획득하고, 업력 정보, 실적 정보, 인력 정보를 획득하고, S120 단계는 획득한 기업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S130 단계는 투자자의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를 획득하고, S140단계는 이를 이용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S230 단계는 획득된 기업의 프로필에 맞춰 투자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S240단계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에 신청 기업과 높은 적합도 점수를 보이는 투자자를 선별한다.
이 때, S240 단계는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상위 기설정 개수(예: 3개)의 기업 및 투자자를 개별 섭외 한다.
S320단계 내지 S340단계는 개별 섭외된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고, S410 단계 및 S430단계는 개별 미팅 후 투자자의 항목별 인식(Perception)을 획득하고, S420단계 및 S440단계는 항목별 인식 분석을 통하여 투자 유치 리포트를 생성함으로써 투자 전략 재조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이 때, 핵심인력 항목, 회사의 핵심기술 및 제품 항목, 회사의 사업구조 및 수익구조 항목, 시장 전망 및 경쟁자 분석 항목, 마케팅 전략 항목, 최근 실적(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항목, 향후 실적 전망 및 근거 항목, 투자유치금액의 사용처 항목, 투자회수 전략 및 근거 항목, 기타 추가 또는 보충이 필요한 기업 정보 항목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고려된다.
개별 미팅 결과 투자 유치가 이루어진 경우(S460), 투자 유치 성공 기업에 대한 사후 관리를 수행한다(S480). 반면, 투자 유치가 실패한 경우(S470), S510단계는 투자 보류 혹은 투자 거절을 결정한 투자자로부터 투자 유치 실패 원인에 관한 의견 데이터를 획득하여, 투자 실패 원인을 항목 별로 파악하고, S520 단계는 투자 유치 실패 원인으로 지목된 항목들에 대한 개선 사항 정보의 존재 여부 및 지목된 항목 외의 항목 변동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개선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새로운 투자 전략 수립에 이용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로파일링부 110: 기업 프로파일링부
120: 투자자 프로파일링부 200: 선별부
300: 매칭부 400: 분석부
500: 모니터링부

Claims (14)

  1. 투자 중개를 요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파일링부;
    상기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의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여, 투자 중개 대상 기업 및 투자자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및
    상기 미팅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벤처 투자 중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부는 업종, 업력, 매출 정보 및 투자희망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 프로필을 획득하고,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 및 평균투자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투자자 프로필을 획득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부는 기설정 기간 동안의 매출액, 영업 이익 및 순이익을 포함하는 매출 정보를 획득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적합도 점수가 기설정 점수 이상인 기업 및 투자자 중 기설정 개수의 상위 기업 및 투자자에 대하여 합동 설명회 초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초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일정 메시지를 전달 받아, 상기 기업의 설명회 일정 및 기업과 투자자 간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및 투자자의 매칭 결과 투자 유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 획득을 위한 보완 사항을 결정하고, 이러한 사항에 대한 변동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벤처 투자 중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획득한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기설정 항목별 인식 데이터에 반영하여, 상기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장치.
  8. (a) 벤처 투자 중개를 신청한 기업 및 투자자의 프로필을 획득하여, 기업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프로필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과 투자자를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투자 중개의 대상이 되는 기업 및 투자자의 미팅을 스케줄링하여 매칭하는 단계; 및
    (d) 상기 매칭 결과에 대한 투자자 평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벤처 투자 중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업종, 업력, 매출 정보 및 투자희망금액을 포함하는 기업 프로필과 선호 업종, 선호 업력, 선호 매출 정보 및 평균투자금액을 포함하는 투자자 프로필을 획득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설정 기간 동안의 매출액, 영업 이익, 순이익을 포함하는 매출 정보를 획득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기업 및 투자자 프로필을 대비하여 기설정된 점수 분배 방식에 따라 적합도 점수를 산정하고,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에 해당하는 기업 및 투자자 그룹 중 상위 기설정 개수의 기업 및 투자자를 초청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획득한 일정 메시지를 가공하여, 상기 기업의 설명회 일정 및 상기 기업과 투자자간의 미팅 일정을 스케줄링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기업 및 투자자의 매칭 결과 투자자의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자 유치 전략 리포트를 생성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기업에 대한 투자 중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업의 프로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설정 점수 이상의 적합도 점수를 획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업의 보완 사항에 대한 개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벤처 투자 중개 방법.
KR1020140127829A 2014-09-24 2014-09-24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KR20160036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29A KR20160036178A (ko) 2014-09-24 2014-09-24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29A KR20160036178A (ko) 2014-09-24 2014-09-24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78A true KR20160036178A (ko) 2016-04-04

Family

ID=5579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829A KR20160036178A (ko) 2014-09-24 2014-09-24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17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475A (ko) * 2018-06-04 2018-06-20 주식회사 에잇퍼센트 자동 분산투자 방법 및 장치
KR20180086398A (ko) * 2018-07-20 2018-07-31 주식회사 에잇퍼센트 자동 분산투자 서버 및 방법
CN109410543A (zh) * 2018-10-17 2019-03-01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预警测试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90066144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엔비레즈 크라우드 펀딩 기반의 매장 창업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266B1 (ko) * 2018-11-14 2019-08-29 김동조 사용자 매칭 장치 및 방법
CN110969332A (zh) * 2018-09-30 2020-04-07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企业筛选方法及装置
KR20210112195A (ko) * 2020-03-04 2021-09-14 기술보증기금 투자추천기업 선별방법
CN113641879A (zh) * 2021-08-09 2021-11-1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适用于并行链路的控制对象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20114399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타임리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44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엔비레즈 크라우드 펀딩 기반의 매장 창업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67475A (ko) * 2018-06-04 2018-06-20 주식회사 에잇퍼센트 자동 분산투자 방법 및 장치
KR20180086398A (ko) * 2018-07-20 2018-07-31 주식회사 에잇퍼센트 자동 분산투자 서버 및 방법
CN110969332A (zh) * 2018-09-30 2020-04-07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企业筛选方法及装置
CN109410543A (zh) * 2018-10-17 2019-03-01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预警测试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410543B (zh) * 2018-10-17 2022-09-0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预警测试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16266B1 (ko) * 2018-11-14 2019-08-29 김동조 사용자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10112195A (ko) * 2020-03-04 2021-09-14 기술보증기금 투자추천기업 선별방법
KR20220114399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타임리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3641879A (zh) * 2021-08-09 2021-11-1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适用于并行链路的控制对象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6178A (ko) 벤처 투자 중개 장치 및 방법
Yitmen Intellectual capital: a competitive asset for driving innovation in engineering design firms
Hosseini et al. Project partnering in Norwegian construction industry
Tan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Malaysian contractors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Quesada et al. Methodology for determining key internal business processes based on critical success factors: A case study in furniture industry
US200701921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berating a proposal
Shakya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 of agile methodology in software industry of nepal
Magd Understanding benchmarking in Egyptian organizations: an empirical analysis
Pandey et al. A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IT outsourcing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lián-González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work
Molin et al. Business streamlining–an integrated model of service sourcing
Singh et al. Application of AHP in the analysis of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tonio et al. Lean operations implementation at an indonesian shoe producer
US20220253780A1 (en) Analytical tool for collaborative competitive pursuit analysis and creation of enterprise value
Walas-Trębacz Management instruments u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terprise value chain in order to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Neubert Post Pandemic Internationalization Behavior
Vacík et al. Process innovation in service sector matching industry 4.0 environment.
Divahar et al. Ident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RLSP using DEMATEL method
Sokolic et al. Business management tools and firm performance
Mukwakungu et al. The Effect of Business Processes Re-engineering on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 Reten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Grzelczak et al. Importance of lean management in a contemporary enterprise–research results
Qusef et al. Business process integration with quality characteristics: Quality-oriented process
Borland et al. The Australian labour market and the digital economy
TOBOREK-MAZUR et al.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N CHANGES FOR CORPORATE MANAGEMENT
Marti ICBS intellectual capital benchmarking system: a practical methodology for successful strategy formula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