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291A - 정보 접근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접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291A
KR20160035291A KR1020140126688A KR20140126688A KR20160035291A KR 20160035291 A KR20160035291 A KR 20160035291A KR 1020140126688 A KR1020140126688 A KR 1020140126688A KR 20140126688 A KR20140126688 A KR 20140126688A KR 20160035291 A KR20160035291 A KR 2016003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김수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291A/ko
Publication of KR2016003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접근 방법을 개시한다. 즉,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과 접근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접근단말에서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USIM)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접근 방법{METHOD FOR INFORMATION ACCESS}
본 발명은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과 접근단말 간에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접근단말이 정보단말을 인식하여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유심(USIM)은 통신 인증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Health, Media, Commerce)과 관련된 정보를 적재하고, 이를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멀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Multi Application Platform)이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유심을 활용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요구되는 반면, 유심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채널은 매우 제한적이며, 그 확장성에도 한계가 있다.
결국, 유심을 활용한 서비스의 다양화를 위해선 유심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과 접근단말 간에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접근단말이 정보단말을 인식하여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메모리 칩이 탑재된 정보단말에서의 정보 접근 방법은, 네트워크서버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으로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한 접근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도록 하는 브로드캐스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칩과 상기 접근단말 간에 전달되는 접근명령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명령어에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기반의 명령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접근단말에서의 정보 접근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상기 정보단말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는 접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단말은, 네트워크서버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칩과 상기 접근단말 간에 전달되는 접근명령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명령어에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명령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정보 접근 방법에 의하면,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과 접근단말 간에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접근단말이 정보단말을 인식하여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은,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100),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는 접근단말(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 접근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네트워크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정보단말(100)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발급된 유심(USIM)을 메모리 칩의 형태로 탑재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단말(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유심이 탑재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단말(100)에 탑재되는 메모리 칩에는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 저장 정보가 적재되는데, 이러한 저장 정보로는, 예컨대, 권한정보, 결제정보, 인증정보, 개인정보, 식별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서비스 이용에 요구되는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접근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접근단말(2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및 PDA 등 유심의 탑재 가능한 장치뿐만 아니라, 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포스장치(POS, Point Of Sales) 및 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유심의 탑재가 불가능한 장치 또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접근단말(200)과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경우 예컨대, 블루투스(예: BT 4.0)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서버(300)는 정보 접근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들이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서비스 서버를 일컫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단말(100)에 메모리 칩의 형태로 탑재된 유심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게 된다.
헌데, 최근 유심을 활용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요구되는 반면, 유심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존의 접근 채널은 아래와 같이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의 경우 이동통신사(MNO)에서 특화된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로 제한이 되며, 아울러, 일부 단말 내 애플리케이션 또는 최근 거리(5cm) 이내에서 동작하는 NFC로 접근되는 동글(Dongle)만이 유심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그 확장성에도 한계가 따른다.
앞선 예와 더불어, 특히 아이오에스(I-OS)의 경우, NFC를 지원하지 않아, API를 이용한 유심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결국, 유심의 저장 정보에 대한 기존의 제한적인 접근 방식은, 유심을 활용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요구되는 작금의 상황에 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칩의 형태로 탑재된 유심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정보단말(100)에 메모리 칩의 형태로 탑재되는 유심을 메모리 칩으로 통칭하여 명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의 경우, 예컨대, 저장 정보의 읽기(Read), 쓰기(Write), 전송, 독출 등을 의미함을 전제로 설명한다.
정보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단말(100)은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 단말(200)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정보단말(100)은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라면, 비활성화 상태인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여기서,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신호에는, 근접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로서 특정 스트링(String)이 포함되게 되며, 이처럼 네트워크신호에 포함된 특정 스트링인 보안 상 별도의 암호화된 형태로도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정보단말(100)은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단말(100)은 네트워크신호의 수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신호에 포함된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게 된다.
또한, 정보단말(100)은 접근단말(200)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단말(100)은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에서, 접근단말(200)이 상기 특정 스트링을 인식하는 경우, 접근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하여,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정보단말(100)은 접근단말(200)의 정보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단말(100)은 특정 스트링을 인식한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정보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리 칩과 접근단말(200) 간에 접근명령어를 상호 전달함으로써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명령어의 경우, 예컨대, ISO-7816의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명령어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접근단말(200)은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수신하고, 상기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인 정보단말(100)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접근단말(200)은 정보단말(100)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단말(200)은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정보단말(1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하여, 정보단말(100)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접근단말(200)은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단말(200)은 정보단말(1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접근단말(200)은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과,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접근명령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호 전달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네트워크서버(300)는 네트워크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서버(300)는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정보 접근이 요구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정보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인 특정 스트링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스트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신호를 정보단말(10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정보 접근이 요구되는 것에 대한 확인은, 정보단말(100)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서비스를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 내지는,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을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정보 접근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인 특정 스트링을 인지하고 있어야만 하는데, 이에, 네트워크서버(300)는 정보단말(100)에 대한 특정 스트링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접근단말(200)에 제공하여,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110), 및 접근단말(200)의 정보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10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과, 메모리 칩(14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과 메모리 칩(140)이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서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구성을 전제로 하나, 메모리 칩(140)에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이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언급한 전환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정보단말(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모듈의 경우 정보 접근과 관련하여 정보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전환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110)는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 단말(200)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전환부(110)는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를 수신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는데, 이 경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이 오프(OFF)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라면,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을 온(On)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여기서,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정보단말(100)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서비스를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 내지는,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을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100)의 경우, 메모리 칩(140)에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이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메모리 칩(140)이 자체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라면, 메모리 칩(140)이 상기 전환부(110)를 매개로 네트워크서버(300)와 직접 연동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20)는 브로드캐스팅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신호의 수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신호에 정보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로서 포함된 특정 스트링이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한다.
이처럼,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은, 브로드캐스팅 영역에 위치한 접근단말(200)이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을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특정 스트링을 접근단말(200)에 직접 전달하는 유니캐스팅 방식을 채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나, 이 경우 유니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달 이전에,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접속 과정이 전제되어야 함이 요구되는바, 이는 지양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특정 스트링에 대한 브로드캐스팅 동작은,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완료되거나, 접근단말(200)의 메모리 칩(140)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이 완료되는 경우에 중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20)는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에서, 접근단말(200)이 상기 특정 스트링을 인식하는 경우, 접근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접근단말(200)의 정보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한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은 지정된 접근명령어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제어부(12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리 칩과 접근단말(200) 간에 상기 접근명령어가 상호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명령어의 경우, 예컨대, ISO-7816의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명령어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200)은 특정 스트링을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을 인식하는 인식부(220), 및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20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칩(24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위에서 언급한 수신부(210), 인식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접근단말(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모듈의 경우 정보 접근과 관련하여 정보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인식부(220)는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부(22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수신부(210)에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인 정보단말(100)을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을 인식하기 위해선,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인 특정 스트링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만 하는데, 이는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 이전에 네트워크서버(300)와 상기 특정 스트링을 사전 공유함으로써 가능해지게 된다.
여기서, 특정 스트링에 대한 사전 공유의 경우, 정보단말(100)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서비스를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 내지는,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을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에, 네트워크서버(300)에서 생성한 특정 스트링을 접근단말(200)에서 수신하는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정보단말(100)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정보단말(1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하여, 정보단말(100)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정보단말(1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접근명령어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과, 상호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에 따르면,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접근단말(200)이 정보단말(100)을 인식하여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단말(200)에 탑재된 메모리 칩(240)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네트워크서버(300)는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정보 접근이 요구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정보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인 특정 스트링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스트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신호를 정보단말(100)에 전송한다(S110).
이때,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정보 접근이 요구되는 것에 대한 확인은, 정보단말(100)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서비스를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 내지는,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을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정보단말(100)은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 단말(200)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한다(S120).
이때, 정보단말(100)은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라면, 비활성화 상태인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정보단말(100)은 네트워크신호의 수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신호에 정보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로서 포함된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한다(S130).
다음으로, 접근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수신하여, 상기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인 정보단말(100)을 인식한다(S140).
나아가, 접근단말(200)은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정보단말(1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정보단말(100)에 접속한다(S150).
이후, 접근단말(200)은 정보단말(1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한다(S160).
이때, 접근단말(200)은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과,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접근명령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호 전달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환부(110)는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 단말(200)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한다(S210-S240).
이때, 전환부(110)는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를 수신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는데, 이 경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이 오프(OFF)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라면, 근거리 무선통신 칩(130)을 온(On)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정보단말(100)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서비스를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 내지는,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을 네트워크서버(300)에 요청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신호의 수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신호에 정보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로서 포함된 특정 스트링이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한다(S250).
나아가, 제어부(120)는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에서, 접근단말(200)이 상기 특정 스트링을 인식하는 경우, 접근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60).
이후, 제어부(120)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한 접근단말(2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S270).
이때, 제어부(12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리 칩과 접근단말(200) 간에 ISO-7816의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접근명령어가 상호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접근단말(200)이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단말(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식부(22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수신부(210)에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인 정보단말(100)을 인식한다(S310-S320).
이때,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을 인식하기 위해선, 접근단말(200)에서 정보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인 특정 스트링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만 하는데, 이는 정보단말(100)에 대한 정보 접근 이전에 네트워크서버(300)와 상기 특정 스트링을 사전 공유함으로써 가능해지게 된다.
나아가, 제어부(230)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정보단말(1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기반의 페어링(Paring) 절차를 수행하여, 정보단말(100)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S330).
이후, 제어부(230)는 정보단말(1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S340).
이때, 제어부(23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접근명령어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과, 상호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방법에 따르면, 정보단말(100)과 접근단말(200) 간에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접근단말(200)이 정보단말(100)을 인식하여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단말(200)에 탑재된 메모리 칩(240)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접근 방법에서의 각 단계와 그에 따른 효과를 통해서 아래 [표 1]에서와 같은 서비스 예를 예상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 설명
N-Screen인증 USIM에 있는 게임이나 방송시청 권한을 근거리 통신으로 권한 이양을 하여 개인 스마트폰 근처에 있는 임의에PC, Tablet 등에서 서비스 영위 가능
Off-Line Payment 전화번호기반 결제권한(DCB)을 판매점의 POS로 연계하여 Offline판매점에서 결제를 가능하도록 진행
은행거래권한 USIM에 저장된 은행인증서 또는 OTP정보를 근처에 있는 PC또는 Tablet등으로 연계하여 인증서는 1개이지만 다양한 Device에서 안정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음
Web 또는 App login ID/PASS USIM에 저장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ID/PASS에 대한 정보를 Hash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자신의 스마트폰에 있는 App이나 주변의 Device에서 Keyin없이 안정하게 Login할 수 있는 권한의 이양
개인정보의 전송 USIM의 앱에 저장된 개인정보 (주소, 전화번호, Email, 이름) BT를 통해 인증된 사업자에게 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 제공 (E-Mart Event참여, 병원에서 문진 진행, Web에서 Login없이 Event참여 등)
추가로, [표 1]에서 'Off-Line Payment'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피숍에 커피를 자기의 자리에서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단말(100)에서 해당 커피숍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주문/결제를 누르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네트워크서버(300)에 주문 내역과 결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정보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와 그 밖에 주문 내역과 결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특정 스트링을 네트워크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정보단말(100)에서는,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며, 활성화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신호에 포함된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게 된다.
이때, 해당 커피숍에 위치하는 접근단말(200, 예; POS)에서는 정보단말(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정보단말(100)의 주문내역과 결제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예: 신용카드 정보)에 접근함으로써, 주문내역에 대한 정상적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접근 방법에 따르면, 메모리 칩을 탑재한 정보단말과 접근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사전 접속(예: Paring) 과정 없이도, 접근단말에서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정보단말
110: 전환부 120: 제어부
130: 근거리 무선통신 칩 140: 메모리 칩
200: 접근단말
210: 수신부 220: 인식부
230: 제어부 240: 근거리 무선통신 칩

Claims (5)

  1. 메모리 칩이 탑재된 정보단말에서의 정보 접근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서버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으로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을 인식한 접근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도록 하는 브로드캐스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접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칩과 상기 접근단말 간에 전달되는 접근명령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명령어에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명령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접근 방법.
  3. 접근단말에서의 정보 접근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스트링으로부터 상기 정보단말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단말에 탑재된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접근하는 접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접근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은,
    네트워크서버로부터 네트워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스트링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접근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칩의 저장 정보에 대한 접근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칩과 상기 접근단말 간에 전달되는 접근명령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명령어에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기반의 명령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접근 방법.
KR1020140126688A 2014-09-23 2014-09-23 정보 접근 방법 KR20160035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88A KR20160035291A (ko) 2014-09-23 2014-09-23 정보 접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88A KR20160035291A (ko) 2014-09-23 2014-09-23 정보 접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91A true KR20160035291A (ko) 2016-03-31

Family

ID=5565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688A KR20160035291A (ko) 2014-09-23 2014-09-23 정보 접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820B2 (en) Secure elements broker (SEB) for application communication channel selector optimization
US113172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mobile device
EP27719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multiple nfc credentials during a single nfc transaction
CN101809977A (zh) 使用附加元件更新移动设备
Alattar et al. Host-based card emulation: Development, security, and ecosystem impact analysis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JP7223753B2 (ja) 支払処理
US20180374077A1 (en)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ing arrangement and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ing method for payment of a product or service
KR20160071421A (ko) 포터블 통신 디바이스의 동적 임시 결제 인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8554B1 (ko) 정보 접근 방법
KR101853970B1 (ko) 인증번호 중계 방법
KR20160035291A (ko) 정보 접근 방법
KR102358598B1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102642954B1 (ko) 뱅킹앱을 이용한 간편 회원가입 방법
KR101669186B1 (ko)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652761B1 (ko) 뱅킹앱을 이용한 간편 가입 방법
KR101445001B1 (ko) Nfc를 이용한 종단간 보안 결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6096452A (ja) 移動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60112395A (ko)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한 se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07250B1 (ko) 거래수단 제어 방법
KR101505734B1 (ko) 시간 검증 기반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KR20160069332A (ko) 인증 수행 방법
KR20140015744A (ko)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EP2871865A1 (en)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secure elements
KR20160083747A (ko) 간편 결제 수행을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