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668A -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668A
KR20160034668A KR1020140125913A KR20140125913A KR20160034668A KR 20160034668 A KR20160034668 A KR 20160034668A KR 1020140125913 A KR1020140125913 A KR 1020140125913A KR 20140125913 A KR20140125913 A KR 20140125913A KR 20160034668 A KR20160034668 A KR 2016003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peripheral
composite imag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호철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668A/ko
Publication of KR2016003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의 용이한 감시를 가능하게 하고, 차량 주변의 장애물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차량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주변 영상 생성부,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주변 영상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합성되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의 용이한 감시를 가능하게 하고, 차량 주변의 장애물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석에서 전방의 감시는 용이한 반면 측방이나 후방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사고나 구조물 파손 등의 사고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미러를 통해 주변, 특히 사각 지대를 감시하며 차량을 운행하게 되나, 이러한 미러에 의한 감시는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로 인해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덤프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소형 차량에 비하여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더 높게 된다.
최근에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운전석 내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 운행 도중 주변을 감시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운전자가 과 주변 장애물과의 정확한 거리를 판단하기가 어렵고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영상만을 통해 주변을 감지하게 되므로 차량 주변에는 여전히 사각 지대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행 도중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 주변을 감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821호(2011.03.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주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주변 영상이 서로 다른 명암을 가지는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하여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위치나 거리 등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차량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주변 영상 생성부,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주변 영상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합성되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은, 차량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주변 영상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의 주변 영상이 서로 다른 명암을 가지는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하여 차량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나 거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차량 운행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정된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의 위치에 따른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장애물이 존재할 때의 합성 영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는 영상 획득부(100), 주변 영상 생성부(200), 합성 영상 생성부(300), 감시 영상 생성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00)는 도 2와 같이 차량(1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10)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의 카메라(110~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110~140)를 각각 제 1카메라(110), 제 2카메라(120), 제 3카메라(130) 및 제 4카메라(140)라 칭하기로 하며, 각 카메라(110~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제 1영상(111), 제 2영상(121), 제 3영상(131) 및 제 4영상(141)이라 칭하기로 한다.
복수의 카메라(110~140)는 차량(10)의 주변 전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설치 방향이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따.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110~140)에 상대적으로 큰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설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110~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차량(10)의 주변 전방향, 즉 360도 방향에 대한 영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110~140)가 차량(10)의 전후좌우 방향에 설치된 경우 각 카메라는 대략 180도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가 사용된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주변 전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110~140)는 반드시 차량(10)의 전후좌우 방향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차량(10) 주변 전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10~140)에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완전한 구 형태가 아니고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렌즈의 기하학적 왜곡, 예를 들어 방사상 왜곡이나 접선 방향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카메라(110~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왜곡 보정 알고리즘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10)이 덤프 트럭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은 덤프 트럭뿐만 아니라, 각종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 쓰이는 불도저, 지게차 등과 같은 중장비 또는 건설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주변 영상 생성부(200)는 영상 획득부(100)에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상 생성부(200)는 전술한 제 1 내지 제 4카메라(110~140)를 통해 획득되어 왜곡이 보정된 전술한 제 1영상 내지 제 4영상(111~141)을 통합하여 도 3과 같이 차량(10)의 상측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탑뷰 형태의 주변 영상(2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주변 영상(210)에서 중심 부분에 빈 영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차량(10)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후술할 감시 영상 생성부(400)에 의해 감시 영상이 생성될 때 차량(10)을 나타내는 형상이 합성될 수 있다.
합성 영상 생성부(300)는 도 4와 같이 주변 영상 생성부(20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2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합성되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할 수 있다.
합성 영상(310)은 소정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합성 영상(310)이 가지는 투과율로 인하여 주변 영상(210)에서 합성 영상(310)이 합성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은 명암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명암 차이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차량(10)과 차량(10)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합성 영상(310)은 주변 영상(2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의 폭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영상(310)의 폭이 커질수록 주변 영상(210)에서 합성 영상(310)에 의해 합성되는 영역이 증가하여 명암 차이에 의한 가이드 라인이 차량(10)에 근접하기 때문에 경고의 의미를 나타내는 색상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감시 영상 생성부(400)는 도 5와 같이 주변 영상 생성부(20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210)에 주변 영상(2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합성하여 감시 영상(41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영상 생성부(400)는 전술한 도 3과 같은 주변 영상(210)에 전술한 도 4와 같은 합성 영상(310)을 합성하여 감시 영상(410)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감시 영상(410)의 중심 부분, 즉 주변 영상(210)의 중심 부분에 차량(10)을 나타내는 형상을 합성하여 감시 영상(410)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시 영상(410)은 차량(10)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 영상(210)만으로 이루어지는 제 1영역과 주변 영상(210)과 합성 영상(310)이 합성된 제 2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시 영상(410)은 주변 영상(210)만으로 이루어지는 제 1영역이 합성 영상(310)이 합성된 제 2영역에 비하여 높은 밝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합성 영상(310)의 투과율로 인한 것이며, 이로 인해 주변 영상(210)만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밝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영역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합성 영상(310)이 합성된 제 2영역도 주변 영상(210)만으로 이루어진 제 1영역에 비하여 밝기는 낮으나,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10) 주변 전방향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주의가 필요한 영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감시 영상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된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500)는 차량(1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HUD 및 AV 시스템 등일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합성 영상 생성부(300)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합성 영상(310)의 폭은 차량(10)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는 영상 획득부(100), 주변 영상 생성부(200), 합성 영상 생성부(300), 감시 영상 생성부(400), 디스플레이부(500) 및 장애물 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00), 주변 영상 생성부(200), 합성 영상 생성부(300), 감시 영상 생성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장애물 감지부(600)는 차량(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나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애물 감지부(60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및 레이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애물 감지부(600)에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합성 영상 생성부(300)는 차량(10)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하나 장애물 감지부(600)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장애물의 위치, 즉 차량(10)으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에 따라 합성 영상(310)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영상 생성부(310)는 차량(10)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사전 설정된 T1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하고, 차량(10) 주변에 장애물(11)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장애물(11)의 위치에 따라 T2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8은 도 7과 비교하여 합성 영상(310)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장애물(11)이 차량(10)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한 것이기 때문에 경고의 의미로서 합성 영상(310)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7은 합성 영상(310)의 색상을 녹색으로 하고 도 8에서는 합성 영상(310)의 색상을 적색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 영상(310)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8에서는 단일의 장애물(11)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각 장애물(11, 12)의 위치에 따라 합성 영상(310)이 서로 다른 복수의 폭(T3, T4)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11, 12)이 존재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 예를 들어 차량(10)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장애물을 기준으로 합성 영상(310)의 폭이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장애물(11, 12)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차량(10)에 근접할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장애물(11, 12) 사이의 우선 순위는 차량(10)을 기준으로 위치하는 방향이나 장애물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0은 사전 설정된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은, 먼저 영상 획득부(100)를 통해 차량(10)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10).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주변 영상(210)을 생성하게 된다(S120). 이때, 제 1 내지 제 4카메라(110~140)가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내지 제 4영상(111~131)을 이용하여 주변 영상(210) 생성시 왜곡 보정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를 통합하여 전술한 도 3과 같은 탑뷰 형태의 주변 영상(210)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주변 영상(2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합성되는 합성 영상(310)을 생성한다(S130). 이때, 주변 영상(210)에 합성되는 합성 영상(310)은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생성되어 합성 영상(310)이 합성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명암 차이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합성 영상(310)을 주변 영상(210)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410)을 생성하고(S140), 생성된 감시 영상(410)을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5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1은 장애물 감지부(6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합성 영상(310)의 폭이 조정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은, 먼저 영상 획득부(100)를 통해 차량(10)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210).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S220).
장애물 감지부(600)를 통해 차량(10)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고(S230), 감지 결과 차량(10) 주변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른 폭을 가지며 주변 영상(2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합성되는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S240). 이때, S240단계에서 차량(10)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는 각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거나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장애물 중 어느 하나의 장애물의 위치에 따른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영상 생성부(300)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합성 영상의 색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합성 영상(310)을 주변 영상(210)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고(S250), 생성된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260).
한편, 전술한 S230단계에서 차량(10)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사전 설정된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을 생성한 다음(S270), 생성된 합성 영상을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한 다음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S250 및 S260단계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획득부
200: 주변 영상 생성부
300: 합성 영상 생성부
400: 감시 영상 생성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장애물 감지부

Claims (13)

  1. 차량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주변 영상 생성부;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주변 영상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합성되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중장비 또는 건설 장비인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폭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은,
    상기 차량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주변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영역; 및
    상기 주변 영상에 상기 합성 영상이 합성된 제 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영역 및 상기 제 2영역은,
    서로 다른 명암을 가지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 영상 생성부는,
    상기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폭을 조정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 생성부는,
    상기 차량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합성 영상이 각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폭을 가지도록 생성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 생성부는,
    상기 차량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복수의 장애물 중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른 폭을 가지도록 생성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9. 차량 주변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주변 영상의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주변 영상에 합성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합성 영상을 폭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폭에 따라 색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의 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주변에 복수의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합성 영상이 각 장애물에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폭을 가지거나 상기 복수의 장애물 중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른 폭을 가지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KR1020140125913A 2014-09-22 2014-09-22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34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13A KR20160034668A (ko) 2014-09-22 2014-09-22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13A KR20160034668A (ko) 2014-09-22 2014-09-22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68A true KR20160034668A (ko) 2016-03-30

Family

ID=5566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13A KR20160034668A (ko) 2014-09-22 2014-09-22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6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0660B2 (en) Monitor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US9691283B2 (en) Obstacle alert device
US10377212B2 (en) Dynamic anti-glare system for a windshield of a vehicle
EP2667355B1 (e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amera and a multiple zone temperature sensor
WO2012164729A1 (ja) 車両用視界支援装置
JP6264037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5093611B2 (ja) 車両周辺確認装置
JP5113881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20160136722A (ko) 헤드램프 눈부심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방법
TWI533694B (zh) 車用障礙物偵測顯示系統
JP2009183473A (ja) 視線方向検出装置及び視線方向検出方法
KR20160076736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20157901A1 (ja) 運転支援装置
KR101697484B1 (ko) 차량 주변의 위험요소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KR20160034669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190891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JP5974476B2 (ja) 障害物警報装置
KR101533285B1 (ko) 어두운 환경에서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적외선 영상 촬영방법
KR20160143247A (ko) 차량 주변의 위험요소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
KR20160034668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3065121A1 (ja) 障害物警報装置
KR20180121012A (ko) 건설 장비의 카메라 오염 검출 장치
KR2017006413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92171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05075081A (ja) 車両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