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571A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4571A KR20160034571A KR1020140125592A KR20140125592A KR20160034571A KR 20160034571 A KR20160034571 A KR 20160034571A KR 1020140125592 A KR1020140125592 A KR 1020140125592A KR 20140125592 A KR20140125592 A KR 20140125592A KR 20160034571 A KR20160034571 A KR 201600345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unit
- home appliance
- saving mode
-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4—Vector control not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며, 정전시 대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부와, 정전시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운전하도록 제어하며,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정전시의 운전 모드를 간단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시의 운전 모드를 간단하게 알려줄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여야 하며,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한 경우, 특히, 정전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시의 운전 모드를 간단하게 알려줄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며, 정전시 대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부와, 정전시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운전하도록 제어하며,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으로서, 홈 어플라이언스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운전하는 단계와, 정전시, 홈 어플라이언스에 인가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에 저장된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운전하는 단계와,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며, 정전시 대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부와, 정전시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운전하도록 제어하며,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정전시의 운전 모드를 간단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전시, 절전 모드 입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로 동작시, 표시부에, 절전 모드 해제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전 모드 동작시, 절절 모드 버튼 또는 절전 모드 해제 버튼 외에 다른 버튼의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전 모드 동작시, 감지되는 대체 전원의 레벨에 따라, 구동부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함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은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은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전원 공급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100), 그리드(70), 및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드(70)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제1 선로(Pln)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100)로 공급한다.
한편, 그리드(70)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의 레벨이 불안정하거나, 전원이 중단되는 정전을 대비하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가, 제1 선로(Pln)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선로(Pli)가 제1 선로(Pln)에 병렬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 제2 선로(Pli)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하고, 내부 배터리(미도시)에 저장된 직류 전원(DC1)을 제3 선로(Pld)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100)로 공급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정전이 아닌 통상의 경우, 제1 선로(Pln)를 통해, 그리드(70)로부터의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인가받으며, 정전시, 제3 선로(Pld)를 통해,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로부터의 직류 전원(DC1)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부하(242)를 구동하는 구동부(245)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AC1)을 전력 변환하며, 정전시 직류 전원(DC1)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195)와, 정전이 아닌 경우,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한 제1 전력(Le1)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시,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정전시, 제1 구간 동안,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며, 절전 모드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구간 동안, 절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한다. 따라서, 정전이 길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100) 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방법 등에 대해서는,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냉장고(100a)를 예시하며, 도 2b는, 세탁기(100b)를 예시하며, 도 2c는, 에어컨(100c)을 예시하며, 도 2d는, 조리기기(100d)를 예시하고, 도 2e는, 청소기(100e)를 예시하며, 도 2f는 TV(100f)를 예시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는, 다양한 예가 더 가능하다.
한편, 도 2a의 냉장고(100a)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냉장고(100a)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10)와,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도어(120)와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실도어(140)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동실도어(120)와 냉장실도어(14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도어핸들(121)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냉동실도어(120)와 냉장실도어(14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장실도어(14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장실도어(14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홈바(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도어(12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동실도어(120)를 개방하지 않고 얼음 또는 식수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디스펜서(16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펜서(160)의 상측에는, 냉장고(100a)의 구동운전을 제어하고 운전중인 냉장고(100a)의 상태를 화면에 도시하는 컨트롤패널(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220), 및 제어 화면 및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어 화면, 작동 상태 및 고내(庫內)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 냉동실의 설정 온도, 냉장실의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는 입력부(220)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정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동실 온도설정 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장실 온도 설정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표시부(230)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냉장고는, 도면에 도시된 더블도어형(Double Door Type)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도어형(One Door Type), 슬라이딩 도어형(Sliding Door Type), 커튼 도어형(Curtain Door Type) 등 그 형태를 불문하며, 냉장고 냉장사이클 또는 냉동사이클을 위한 압축기 및 팬을 구비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냉장고(100a)는, 압축기(112)와, 압축기(112)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16)와, 응축기(116)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증발시키되, 냉장실(미도시)에 배치되는 냉장실 증발기(122) 및 냉동실(미도시)에 배치되는 냉동실 증발기(124)와, 응축기(116)에서 응축된 냉매를 냉장실 증발기(122) 또는 냉동실 증발기(124)에 공급하는 3방향 밸브(130)와, 냉장실 증발기(122)에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장실 팽창밸브(132)와, 냉동실 증발기(124)에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동실 팽창밸브(134)를 포함한다.
또한, 냉장고(100a)는 증발기(122,124)를 통과한 냉매가 액체와 기체로 분리되는 기액 분리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a)는, 냉장실 증발기(122) 및 냉동실 증발기(124)를 통과한 냉기를 흡입하여 각각 냉장실(미도시) 및 냉동실(미도시)로 불어주는 냉장실 팬(142) 및 냉동실 팬(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2)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부(113)와, 냉장실 팬(142) 및 냉동실 팬(144)을 구동하는 냉장실 팬 구동부(143) 및 냉동실 팬 구동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전원 공급부(195), 입력부(220), 표시부(230), 부하(244), 구동부(234),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235)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냉동실 설정 온도 또는 냉장실 설정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23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ED, LCD, OLE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30)는, 정전시의 운전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시의 운전 모드가, 직류 전원에 기초한 통상 운전 모드인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전시의 운전 모드가, 직류 전원에 기초한 절전 운전 모드인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30)는, 정전시, 절전 모드 수행을 위한 절전 모드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3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PLC), 또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AP 장치(미도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 또는 이동 단말기(미도시) 등으로부터, 정전 정보, 정전에 따라 공급되는 대체 전원의 종류,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 정보,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부하(244)는, AC 부하(242)와 DC 부하(215)로 구분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냉장고(100a)인 경우, AC 부하(242)는, 압축기(112), AC 부하(242), 냉동실 팬(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댐퍼(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도 2b의 세탁기(100b)인 경우, AC 부하(242)는, 세탁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도 2c의 에어컨(100c)인 경우, AC 부하(242)는, 압축기, 실내 팬, 실외 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도 2d의 조리기기(100d)인 경우, AC 부하(242)는, 마그네트론,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도 2e의 청소기(100e)인 경우, AC 부하(242)는, 주행부 또는 주행부 내의 청소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도 2f의 TV(100f)인 경우, AC 부하(242)는, 릴레이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DC 부하(215)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부하를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f의 각 부하를 구동한다.
전원 공급부(195)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정전시, 외부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직류 전원(DC1)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5)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직류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도 5의 410)와,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인버터(420)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은, AC 부하(242)에 공급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냉장고(100a)인 경우, 인버터(420)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은, 냉장실 팬(142), 냉동실 팬(144), 압축기(112)에 인가되어,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5)는, 정전시, 외부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DC1)을 레벨 변화시키는 제2 컨버터(도 5의 4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15)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DC 부하(215)에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제2 컨버터(415)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인버터(420)에 인가되어, AC 부하(242)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 내부의 각 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4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310)는, 정전이 아닌 경우,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한 제1 전력(Le1)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시,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제1 구간 동안,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절전 모드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구간 동안, 절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Le1)은 제2 전력(Le2) 보다 크며, 제3 전력(Le3)은, 제2 전력(Le2)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절전 모드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AC1)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하거나, 직류 전원(DC1)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에 따라, 제2 전력(Le2), 또는 제3 전력(Le3)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에 따라, 구동부(245)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입력부(220) 내의 다양한 버튼 중, 절전 모드와 관련된 버튼, 및 전원 버튼만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전시, 절전 모드 버튼이 활성화되어, 절전 모드 버튼의 동작을 유도하거나, 정전 중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절전 모드 해제 버튼만 활성화되고 다른 버튼은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통신부(235)에서 수신되는 정전 정보, 정전에 따라 공급되는 대체 전원의 종류,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 정보, 또는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정전시,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운전 모드를 가변하거나, 운전 시간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정전시 절전 모드 수행을 위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 공급부(195)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감지하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직류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410)와,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인버터(420)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은, 부하(244) 중 AC 부하(242)에 인가되어,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5)는, 정전시, 외부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DC1)을 감지하는 직류 전원 감지부(409)와, 외부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DC1)을 레벨 변화시키는 제2 컨버터(4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15)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댐퍼(115)에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제2 컨버터(415)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인버터(420)에 인가되어, 부하(244) 중 AC 부하(242)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5)는,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변환된 교류 전원을, 부하(244) 중 AC 부하(242), DC 부하(215) 등에 공급할 수도 있다.
교류 전원 감지부(407)는, 그리드(7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류 전원 감지부(407)는, 입력 교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VT(voltage trnasform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교류 전류 또는 입력 교류 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3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검출되는 입력 교류 전류 또는 입력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용 교류 전원(AC1)의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감지부(409)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DC1)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직류 전원 감지부(409)는, 입력 직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입력 직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VT(voltage trnasform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직류 전류 또는 입력 직류 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3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검출되는 입력 직류 전류 또는 입력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용 교류 전원(AC1)의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컨버터(410)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15)는, 직류 전원(DC1)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컨버터(415)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버터(415)는, 벅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벅 부스트 컨버터, 또는 플라이 백 컨버터 등일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제1 컨버터(410) 또는 제2 컨버터(415)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의해, 변환된 교류 전원이, 부하(244) 중 AC 부하(242) 등에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도 6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정전 여부를 판단한다(S610).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하거나,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의 레벨이 제1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는,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전이 아닌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정상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13). 즉,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홈 어플라이언스(100)에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통상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죽, 부하(244)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한 제1 전력(Le1)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정전인 경우, 제615 단계(S615)가 수행된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직류 전원(DC1)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615).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직류 전원(DC1)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류 전원(DC1)이 공급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하여, 운전되도록 제어한다(S620).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정전시, 제1 구간 동안,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상 운전시의 제2 전력(Le2)은, 정전 전의 제1 전력(Le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625), 해당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S630). 한편, 해당하지 않는 경우, 통상 운전 하면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35).
예를 들어, 정전시, 입력부(220) 내의 절전 모드 버튼(도 8의 220a)이 동작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절전 모드 운전시의 제3 전력(Le3)은, 정전시 통상 운전에 따른 제2 전력(Le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서의 절전 모드의 일예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냉장고(100a)인 경우, 압축기(112) 구동 시간이 단축되거나, 내부에 배치되는 축냉제를 이용하여 냉력을 공급하거나, 세탁기(200b)인 경우, 세탁, 헹굼, 탈수 행정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또는 횟수가 감소되거나, 건조 시간이 단축되거나,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 등 급격한 속도 변화가 제한되거나, 히터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에어컨(100c)인 경우, 목표 냉방 온도가 상승되거나, 압축기(112) 구동 시간이 단축되거나, 절전 모드와 관련된 버튼 외의 다른 버턴에 대한 동작이 제한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조리기기(100d)인 경우,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가 작아지거나 동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청소기(100e)인 경우, 주행 거리가 단축되거나, 청소부의 팬 모터의 구동 시간이 단축되거나, 회전 속도가 단축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TV(100f)인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낮아지거나,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볼륨이 작아질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제습기인 경우, 제습 기능 외에 공기 청정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건조기인 경우, 덕트 및 필터에서 전력 소비가 크므로, 덕트 및 필터에 대한 청소 요구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긴 시간 동안, 직류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긴 시간 도안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에 따라, 제2 전력(Le2), 또는 제3 전력(Le3)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절전 모드 입력에 따라, 제어부(310)는,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이 작아질수록, 제3 전력(Le3)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입력에 따라, 구동부(245)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에 따라, 구동부(245)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제625 단계에서, 절전 모드 입력싱 소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통상 운전하면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는,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되거나,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정전 전과 정전 이후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방법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Tx 시점이 정전되는 순간을 나타내며, 그 이전 구간이 제1 모드인, 통상 운전 모드이며, 그 이후 구간이 제2 모드인 정전 운전 모드를 나타낸다. 한편, 정전 운전 모드는, 직류 전원에 기초한 통상 운전 모드와 절전 운전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제1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상용 교류 전원(AC1)에 기초한 제1 전력(Le1)이 부하(244)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Tx 시점에 정전되는 경우, Tx 시점에, 상용 교류 전원(AC1)은, 홈 어플라이언스(100)에 공급되지 않고, 무정전 공급장치(50)로부터의 직류 전원(DC1)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TX 시점 부터,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제2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제2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1 구간(Pe1) 동안, 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이 부하(244)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의, 제2 전력(Le2)은, 제1 전력(Le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310)는, 제1 구간(Pe1) 동안,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Ty 시점에, 절전 모드 버튼(도 8의 220a)이 눌려지는 경우, 절전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구간(Pe2) 동안,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3 전력(Le3)이 부하(244)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의, 제3 전력(Le3)은, 제2 전력(Le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부하에 인가되는 소비전력이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홈 어플라이언스를 안정적으로 긴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시부(230)는, 정전시의 운전 모드 또는 소비 전력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정전시 제1 구간과 제2 구간에 대해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은 표시부(230)에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모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8a는, 정전이 아닌 경우인 통상 모드, 즉, 제1 모드에서, 상용 교류 전원(AC1)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통상 운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810)가,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8b는, 정전시, 즉 제2 모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통상 운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815)가,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별도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817)도 함께 표시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817)를 보고, 사용자가, 절전 모드 버튼(220a)을 누르는 경우,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 도 8c는, 정전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절전 모드로 운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820)가,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전시, 절전 모드 운전임을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의 전원 공급 시스템(20)은, 홈 어플라이언스(100k), 그리드(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과 달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가 구비되지 않으며,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배터리(199)를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를 위주로 기술한다.
정전이 아닌 경우, 그리드(70)로부터의 상용 교류 전원(AC1)이, 제1 선로(Pln)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100k)로 인가되며,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0) 내의 부하(244)에 제1 전력(Le1)을 공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이용하여, 배터리(199)에 직류 전원(DC1)을 저장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감지하고, 정전시, 배터리(199)에 저장된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전력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절전 모드 입력시에는,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입력 전에는,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홈 어플라이언스(100k)에 따르면, 도 5의 직류 전원 감지부(409)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또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전원 공급 시스템(20)은, 홈 어플라이언스(100k), 그리드(70),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과 달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는, 직류 전원(DC1)을 공급하지 않고, 제2 교류 전원(AC2)을 공급하며, 홈 어플라이언스(100k)가 배터리(199)를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를 위주로 기술한다.
정전이 아닌 경우, 그리드(70)로부터의 상용 교류 전원(AC1)이, 제1 선로(Pln)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100k)로 인가되며,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0k) 내의 부하(244)에 제1 전력(Le1)을 공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상용 교류 전원(AC1)을 이용하여, 배터리(199)에 직류 전원(DC1)을 저장할 수 있다.
정전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50)는, 선로(PLu)를 통해, 제2 교류 전원(AC2)을 제1 선로(Pln)에 공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정전시 제2 교류 전원(AC2)을 이용하여, 배터리(199)에 직류 전원(DC1)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100k)는, 정전시, 배터리(199)에 저장된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전력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절전 모드 입력시에는, 제3 전력(Le3)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입력 전에는,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홈 어플라이언스(100k)에 따르면, 도 5의 직류 전원 감지부(409)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e은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정전 여부를 판단한다(S1110).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하거나,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AC1)의 레벨이 제1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는,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전이 아닌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정상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13). 즉,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에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AC1)에 기초하여, 통상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죽, 부하(244)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AC1)에 기초한 제1 전력(Le1)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정전인 경우, 제1115 단계(S1115)가 수행된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대체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5). 대체 전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 전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체 전원을 직류 전원을 위주로 기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직류 전원 감지부(409)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직류 전원(DC1)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류 전원(DC1)이 공급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하여, 운전되도록 제어한다(S1120).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정전시, 제1 구간 동안, 통상 운전 모드에 따라, 인가되는 직류 전원(DC1)에 기초한 제2 전력(Le2)을 부하(244)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상 운전시의 제2 전력(Le2)은, 정전 전의 제1 전력(Le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대체전원인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가 운전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표시부(2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123).
도 12a는 표시부(230)에,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1210)와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1212)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와 달리, 메시지(1210)와 메시지(1212)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25), 해당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S1130). 한편, 해당하지 않는 경우, 통상 운전하면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35).
예를 들어, 정전시, 입력부(220) 내의 절전 모드 버튼(도 8의 220a)이 동작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31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서의 절전 모드의 일예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제습기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최소 제습 단계로 운전하거나 외기 온,습도를 고려한 최소 제습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에어컨(100c)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최소 냉력 단계로 운전하거나 외기 온,습도를 고려한 최소 냉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파워 냉방 기능, 바람 세기 강(强)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세탁기(100b)인 경우, 찬물 급수시에 히티하는 히터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강력 세탁 기능을 제한하거나, 세탁 코스별 시간을 제한하거나, 정회전 및 역회전의 급격한 회전변화를 감소시켜 모터부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거나, 세탁조가 상면을 향하는 탑 로드(top load) 세탁기의 경우, 통세탁을 우선하고 펠세이터(pulsator) 회전은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건조기인 경우, 소비전력 저감을 위해 덕트 및 필터 청소를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를 룰력하거나, 열풍 건조 기능을 중단하고 송풍으로 대체하거나, 동작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일정 시간 동작 후에 메시지 알림과 동작 정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청소기(100e)인 경우, 사용시에 소비전력 개선을 위해 필터 및 먼지통을 비우라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강력 흡입과 같은 고출력 기능은 제한하거나, 동작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일정 시간 동작 후에 메시지 알림과 동작 정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100)가 정수기인 경우, 더운 물 제공시 히팅(heating) 온도를 낮추거나, 찬물 제공시 쿨링(cooling) 온도를 낮춘거나, 급속 히팅 및 급속 냉각과 같은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전시 절전 모드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긴 시간 동안, 직류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긴 시간 도안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시, 절전 모드로 운전하면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DC1)의 레벨에 따라, 구동부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제1125 단계에서, 절전 모드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통상 운전하면서,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는,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되거나,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130 단계(S1130)에서 절전 모드로 한 이후,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해제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37).
도 12c는, 표시부(230)에, 절전 모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1220), 절전 모드 해제 버튼 외에 다른 버튼의 동작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1224)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표시부(230)에,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절전 모드 해제 버튼(1225)이 더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절전 모드 해제 버튼(1225)을 눌러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해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44), 해당하는 경우, 절전 모드 해제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통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46). 즉,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통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절전 모드 해제시, 도 12d와 같이, 표시부(230)에, 절전 모드 해제 메시지(1230), 그리고 통상 운전 모드 메시지(1232)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에 의해 운전 가능한 운전 가능 시간 정보(1234)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의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도 12e와 같이, 표시부(230)에, 배터리의 잔량 정보(1236)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시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 잔량 정보(1236)외에, 절전 모드 해제 메시지(1230), 그리고 통상 운전 모드 메시지(1232) 등도 표시될 수 있다.
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에 의해 운전 가능한 운전 가능 시간 정보(1234)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S1142), 정전 해제시, 제1113 단계(S1113)와 같이,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통상 운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정전 해제 여부는, 교류 전원 감지부(407)에서 상용 교류 전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정전 해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에서는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부, 특히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메시지는 오디로 출력부를 통해 오디오로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며, 정전시 대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표시부; 및
정전시 상기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운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시, 절전 모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에, 절전 모드 해제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절전 모드 해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통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전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 동작시, 절절 모드 버튼 또는 절전 모드 해제 버튼 외에 다른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 동작시,
상기 감지되는 대체 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시, 상기 절전 모드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감지하는 교류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정전시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감지하는 직류 전원 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직류 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정전시, 외부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대체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된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정전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직류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운전하는 단계;
정전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인가되거나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저장된 대체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전원에 의한 운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운전 제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절전 모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절전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운전시, 절전 모드 해제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절전 모드 해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상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시, 상기 절전 모드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 모드 추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에 의한 상기 구동부 운전 단계는,
상기 대체 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운전 모드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5592A KR101640409B1 (ko) | 2014-09-22 | 2014-09-2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US14/832,779 US10181803B2 (en) | 2014-08-25 | 2015-08-21 |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5592A KR101640409B1 (ko) | 2014-09-22 | 2014-09-2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4571A true KR20160034571A (ko) | 2016-03-30 |
KR101640409B1 KR101640409B1 (ko) | 2016-07-18 |
Family
ID=5566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5592A KR101640409B1 (ko) | 2014-08-25 | 2014-09-2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040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3813B1 (ko) * | 2018-12-26 | 2019-11-12 | 이창원 |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2521A (ko) * | 2007-07-30 | 2009-02-04 | 정현욱 | 유비쿼터스 절전 가이드 장치 |
KR20090111708A (ko) * | 2008-04-22 | 2009-10-27 | 쿠쿠전자주식회사 | 가열 조리기기의 제어 장치 |
KR20100023604A (ko) * | 2008-08-22 | 2010-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2013117976A (ja) * | 2013-01-16 | 2013-06-13 | Toshiba Corp | 電子機器及びその駆動方法 |
-
2014
- 2014-09-22 KR KR1020140125592A patent/KR1016404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2521A (ko) * | 2007-07-30 | 2009-02-04 | 정현욱 | 유비쿼터스 절전 가이드 장치 |
KR20090111708A (ko) * | 2008-04-22 | 2009-10-27 | 쿠쿠전자주식회사 | 가열 조리기기의 제어 장치 |
KR20100023604A (ko) * | 2008-08-22 | 2010-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2013117976A (ja) * | 2013-01-16 | 2013-06-13 | Toshiba Corp | 電子機器及びその駆動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0409B1 (ko) | 201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5940B1 (ko) | 고장 검출 장치, 전기기기 및 고장 검출 방법 | |
US8983672B2 (en) | Demand response system | |
CN106487247B (zh) | 功率转换装置及包括其的空调机 | |
KR101570689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82776B1 (ko) |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 |
US10181803B2 (en) |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571721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73371B1 (ko) | 냉장고, 및 홈 어플라이언스 | |
KR102220911B1 (ko) | 냉장고, 및 홈 어플라이언스 | |
KR101788010B1 (ko) |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 |
JP5182043B2 (ja) | 電力監視装置 | |
KR101640409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CN105229476B (zh) | 电力确定装置和包括该电力确定装置的电子设备 | |
KR20160024154A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2002504B1 (ko) | 냉장고 | |
JP6705223B2 (ja) | 空気調和機 | |
KR20140053441A (ko) |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578355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13042589A (ja) | 電力管理装置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 |
JP2017028775A (ja) | 機器選定装置、機器選定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KR20140081269A (ko) | 통신 장치 | |
KR20090066101A (ko) |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피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08250B1 (ko) | 전동기 구동장치 | |
KR20140093306A (ko) | 냉장고,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52729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