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507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507A
KR20160034507A KR1020140125155A KR20140125155A KR20160034507A KR 20160034507 A KR20160034507 A KR 20160034507A KR 1020140125155 A KR1020140125155 A KR 1020140125155A KR 20140125155 A KR20140125155 A KR 20140125155A KR 20160034507 A KR20160034507 A KR 2016003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device
playback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곤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4012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507A/ko
Publication of KR2016003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의 심리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 제 1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 1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이동된 위치에 있는 제 2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경우, 제 2 재생 장치에 상기 제 1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다수 개의 재생 장치간에 심리스하게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다가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재생 장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심리스하게 재생할 수 있는 심리스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THROUGH USING A MIBILE DEVICE}
본 발명은 재생 장치와 모바일 기기 간 연동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 시스템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다수 개의 재생 장치에서 심리스(seamless)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는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및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고 적법한 권한(Right)를 가진 사용자만이 허용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체계이다. 이러한 DRM은 콘텐트의 안전한 분배 및 확산, 정책에 따른 컨텐츠 사용 권한 제어, 암호화및 복호화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 기술들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적인 DRM은 그 특성상 기술적 및 정책적으로 폐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콘텐트 사용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는 각각의 서비스 사업자가 채택한 DRM이 적용된 DRM 디바이스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즉, 특정 DRM에 의하여 보호받는 디지털 컨텐츠는 해당 DRM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콘텐트 유통 구조의 유연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서비스 사업자나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제품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인증된 네트워크를 내에서 자유롭게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개인의 컴퓨터나 스마트 폰이 아닌 외부의 대형 컴퓨터 서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빌려 쓰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컴퓨팅 자원은 통상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센터와 같이 별도의 자원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며, 그 대상은 CPU 능력, 메모리, 스토리지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이거나 개발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컴퓨팅 능력을 단말기에서 이용하기 위해 자원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면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고성능 컴퓨터나 고가의 소프트 웨어를 구매할 필요없이 인터넷 접속기능만 갖추면 된다.
종래,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한 재생 장치의 변경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 시청하던 컨텐츠를 다시 변경된 장치에서 선택하여 재생하고, 시청 중단된 부분을 다시 검색해서 찾아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컨텐츠의 심리스 서비스의 제공 및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 서버의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 그 후 장소를 이동하여 재생 장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재생 장치에서 앞서 시청하던 컨텐츠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심리스하게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재생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동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와 사용자의 정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개인 선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 제 1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seamless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 1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제 2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 및 제 2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제 2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가 제시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제 1재생 장치 또는 제 2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 1재생 장치 및 상기 제 2재생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 1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제 2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재생 장치의 변경에 관계없이 컨텐츠를 심리스하게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수 개의 재생 장치에서 심리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의 용량 및 전원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추천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구비된 재생 장치의 구성을 포함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컨텐츠를 심리스하게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심리스 서비스는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복수의 다른 기기에서 끊임없이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된 후 중단된 컨텐츠를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컨텐츠의 중단된 시점에 상응하는 시점에서부터 끊임없이 이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제 1재생 장치 및 제 2재생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재생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100)는 제 1재생 장치(200)에 설치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상기 제 1재생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한 후에 모바일 기기(100)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 2재생 장치(210)를 검색하여 통신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0)가 상기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수신한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제 2재생 장치(210)로 송신하여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이 중단된 시점부터 다시 컨텐츠를 심리스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00), 제 1 재생 장치(200), 제 2재생 장치(21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기기(100)는 검색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인터넷 검색, 사진 촬영, 게임 등의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기능부들이 모바일 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기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실시예에 따라 이동식 기기에만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의 기능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검색부(110)는 재생장치에 설치된 심리스 서비스(seamless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300)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에서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0)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300)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1분, 10분, 1시간 단위 등)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한 후 제 2재생 장치(21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 2재생 장치(210)의 전원을 켠 후, 제 2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으며, 제 2재생 장치(210)의 전원이 이미 켜져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 2재생 장치(21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검색된 모바일 기기(10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통신하거나, 모바일 기기(100)의 검색부(110)를 통한 검색을 통해 제 2재생 장치(21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 후 통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인터넷(예를 들어, 와이파이), 이동통신망(예컨대, 3G, LTE 등),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웹서버 등과 같은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100) 및 재생장치에 다운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주일 단위)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여 새로운 버전이 업데이트 되어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 및 재생 장치들은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재생 장치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TV, IPTV, 셋톱박스와 영상 수신기기를 구비한 장치 및 모바일 기기(10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모바일 기기(100)와 제 1재생 장치(200), 제 2재생 장치(210) 및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0)와 제 1재생 장치(200)의 사이 또는 모바일 기기(100)와 제 2재생 장치(210)의 사이 또는 모바일 기기(100)와 클라우드 서버(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방송수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모바일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모바일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예시로서 GPS(Global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120)는 제 1재생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 1재생 장치(200) 및 제 2재생 장치(210)와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수신 및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기기(100)의 제어부(130)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3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 1재생 장치(200)로부터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 기기(100) 내에 저장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2재생 장치(210)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제 2재생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제 1재생 장치(200)로부터 재생이 중단된 시점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가 다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모바일 기기(100)내의 저장 공간과 배터리 등을 절감하기 위하여 외부 클라우드 서버(300)의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및 네트워크 연결 형태에 따른 가장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버(300)의 가상화된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되도록 전송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어부(130)는 검색부(110)에 의해 제 2재생 장치(210)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제 2재생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요청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하여,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이 중단된 시점 이후부터의 컨텐츠가 다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0)의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 중 특정 컨텐츠의 식별 정보만이 포함된 결과를 모바일 기기(100) 또는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모바일 기기(100)는 제 1재생 장치(200) 또는 제 2재생 장치(21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검색부(110), 제 1재생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재생 장치(200), 상기 제 2재생 장치(210) 및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 및 제 1 재생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가 제 2 재생 장치로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제 1재생 장치(200)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컨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여 제 2재생 장치(210)에 특정 컨텐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100)의 통신부(1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는 모바일 기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증 및 클라우드 서버(300) 이용에 대한 권한 부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300)내의 복사 및 백업 기능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100)가 동일한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정보는 현재 시청중인 컨텐츠에 대한 방송정보-명칭, 채널번호, 컨텐츠 ID, 재생 정보(playback information), 컨텐츠 소스 정보, 시청 가능 시간대, 기획의도, 컨텐츠 요약, 방송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또는 동영상), 출연진, 제작진, 방송사 정보, 시청 횟수 등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는 주문형 비디오(VOD), IPTV 제공 컨텐츠 뿐만 아니라 공중파와 같은 실시간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실시간 방송이 아닌 비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실시간 영상 서비스는 VOD, 클라우드 스트리밍 비디오(Cloud Streaming Video), PVR(Personal Video Recoder)(네트워크-PVR(N-PVR), 클라우드 PVR 등), DVR(Digital Video Recorder)(네트워크-DVR(N-DVR), RS(remote storage)-DVR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심리스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하여 재생 장치간 연동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 시스템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다수 개의 재생 장치에서 심리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점 정보는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재생을 시작할 재생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 또는 상기 시점과 일정 시간 간격/프레임 범위에 있는 시점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소스를 식별하는 정보인 컨텐츠 소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컨텐츠 소스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일 수도 있고, 만약 소스가 DLNA 네트워크에 존재한다면 DMS(Digital Media Source) 정보일 수도 있다.
나아가,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는 제 1재생 장치(200)의 전원 차단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청 중단시까지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중단 시점을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재생 장치(20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재생 장치(200, 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료 동작, 모바일 기기(100)로 센서부(201)(도 6 참조)를 터치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구비된 재생 장치의 구성을 포함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센서부(20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201)는 제 1재생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재생 장치도 센서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1)는 컨텐츠 재생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방식 중 하나로서, 이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100)는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201)는 모바일 기기(100)와 같은 물체에 의해 센서부(20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센서부(20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01)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응답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와 같은 대응하는 신호(들)가 재생 장치(200, 210)로부터 모바일 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 기기(100)는 재생 장치(200, 21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식별 정보, URL, 재생(중단) 시점 정보, 가장 최근 재생 위치 등과 같은 컨텐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부(20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으며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생 장치(200, 210)를 통해 시청하는 컨텐츠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나아가 선호되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가 재생 장치 상에서 표시 또는 알림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재생 장치(200, 2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선호 컨텐츠 정보를 재핑(zapping)하여 사용자가 해당 선호 컨텐츠를 빠르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추천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0)는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 추천 목록 제공부(16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는 사용자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어떠한 컨텐츠를 언제, 어디서, 얼마나 보았는지 등에 관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는 시청 시각, 컨텐츠 소스, 사용자 아이디(ID) 등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컨텐츠 아이디(ID)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란 저장된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갖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ID), 시청 요일, 시청 시작 시각, 시청 종료 시각, 컨텐츠 소스(source), 컨텐츠 아이디(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공통선호도 및 시간별선호도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공통선호도란 VOD 컨텐츠의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한 VOD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서 읽어온 해당 컨텐츠의 길이와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의 해당 컨텐츠 시청 길이를 비교하여 일정 비율의 시간 이상으로 시청한 컨텐츠의 요소들로부터 산출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시청 길이는 시청 종료 시각에서 시청 시작 시각을 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별선호도란 실시간 컨텐츠의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한 실시간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서 읽어온 해당 컨텐츠의 길이와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의 해당 컨텐츠 시청 길이 (시청 종료 시각 및 시청 시작 시각)를 비교하여 일정 비율의 시간 이상으로 시청한 컨텐츠의 요소들로부터 산출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7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71),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170)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170)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70)는 링크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70)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70)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저장부(171)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클라우드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는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는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7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271),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부(17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71),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저장부(171),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 각각은 모바일 기기(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140)가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가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150)는 공통 선호도 산출부(151) 및 시간별 선호도 산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선호도 산출부(151)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선호도 산출부(151) VOD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메타데이터 저장부(171)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VOD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는 메타데이터에 표현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감독, 연출, 장르, 출연자 등을 각 속성이라고 하면, 각 속성에 대한 세부 항목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요소는 상술한 의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시간별 선호도 산출부(153)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선호도 산출부(151)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173) 및 메타데이터 저장부(171)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유효 시청 기준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컨텐츠 시청 시간(시청 종료 시각 - 시청 시작 시각)을 의미한다. 유효 시청 기준에 부합하는 컨텐츠만을 이용하여 공통선호도 및 시간별선호도를 산출하는 경우, 채널을 빈번하게 전환하거나 너무 짧은 컨텐츠 시청으로 인해 생성되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정확한 공통선호도 및 시간별선호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
공통 선호도 산출부(151) 및 시간별 선호도 산출부(153)에서 산출된 공통 선호도 및 시간별 선호도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추천 목록 제공부(160)는 제 1재생 장치(200) 또는 제 2재생 장치(21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제 1재생 장치(200) 또는 제 2재생 장치(210) 중 적어도 하나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그라운드에 재핑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예컨대, 하단, 상단 등) 부분에 재핑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재핑되는 컨텐츠 추천 목록을 통하여 빠르게 재생 컨텐츠를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논의된 컨텐츠를 추천을 위한 구성은 클라우드 서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가 아닌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추천 프로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는 시청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다르지 않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모바일 기기(100)에서 제 1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S1000), 제 1재생 장치(20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심리스 서비스 이용여부를 묻는 단계(S1010), 모바일 기기(100)가 상기 제 1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20),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서 제 2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S1030), 제 2재생 장치(21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심리스 서비스 이용여부를 묻는 단계(S1040) 및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서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제 2 재생 장치(210)로 제공하는 단계(S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1010 또는 단계 S1040에서 심리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면, 일반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심리스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010, S1040)에서 심리스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선택 여부는 팝업창 또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 중 어느 하나의 알림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은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로그인,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리모트 컨트롤의 버튼 입력 또는 미리 결정된 입력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색 단계(S1000, S1040)는 미리 결정된 주기로 상기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주기는 기 선택된 시간 기간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 또는 10분 또는 1시간에 한 번씩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모바일 기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저장되도록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하는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하는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00)에서 제 1재생 장치(20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S2000),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심리스 서비스 이용 여부를 묻는 단계(S2010), 사용자가 심리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가 제 1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20), 모바일 기기(100)에서 클라우드 서버(300)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030), 모바일 기기(100)에서 제 2재생 장치(210)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S2040),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심리스 서비스 이용 여부를 묻는 단계(S2050), 사용자가 심리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제 2재생 장치(210)에서 상기 제 1재생 장치(200)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06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2020 또는 단계 S2050에서 심리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일반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2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로 상기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기기(100)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관리하고, 모바일 기기(100)를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가 해당 컨텐츠를 재생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의 한정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실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컨텐츠 재생 정보 및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컨텐츠 정보와 그에 대한 권한만을 관리하여 컨텐츠 재생이 재생장치에서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 상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010),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3020),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3030) 및 컨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30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010)는 사용자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시청요일, 시청 시작 시각, 시청 종료 시각, 컨텐츠 소스, 컨텐츠 아이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3020)는 수집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프로파일은 컨텐츠 공통 선호도와 시간별 선호도가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3030)는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3040)는 생성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제 1재생 장치(200) 또는 제 2재생 장치(210)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010),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S4020),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S4030)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40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010)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중 유효 시청 기준을 만족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요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서 읽어온 해당 컨텐츠의 길이(또는 시간)와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의 해당 컨텐츠 시청 길이(시청 종료 시각 - 시청 시작 시각)를 비교하여 일정 비율 이상 시청한 컨텐츠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공통 선호도 및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함으로써, 채널을 빈번하게 자주 전환하거나 너무 짧은 컨텐츠 시청으로 인해 생성되는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공통 선호도 및 시간별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없게 되어, 더욱 정확한 사용자의 선호도(공통 선호도 및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S4020)는 획득된 요소 정보 중에서 VOD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S4030)는 획득된 요소 정보 중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기기 200 : 제 1재생 장치
210 : 제 2재생 장치 300 : 클라우드 서버
110 : 검색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
150 :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 151 : 공통 선호도 산출부
152 : 시간별 선호도 산출부 160 : 추천 목록 제공부
170 : 데이터베이스 171 : 메타데이터 저장부
173 : 컨텐츠 시청 이력 저장부 175 :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
201 : 센서부

Claims (23)

  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으로서,
    모바일 기기에서 제 1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seamless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 1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제 2 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제 2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제 2 재생 장치에게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는,
    심리스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는,
    심리스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심리스 서비스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주기로 상기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공통선호도와 시간별선호도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재핑(zapping)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시청 이력정보는,
    사용자 아이디(ID), 시청 요일, 시청 시작 시각, 시청 종료 시각, 컨텐츠 소스(source), 컨텐츠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관한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요소 정보 중에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요소 정보 중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통 선호도 및 시간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는 상기 제 1재생 장치의 전원 차단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청 중단시까지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재생 장치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click), 상기 제 1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료 동작, 상기 모바일 기기로 상기 제 1 재생 장치에 포함된 센서부를 터치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14.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로서,
    제 1재생 장치 또는 제 2재생 장치의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 1재생 장치 및 상기 제 2재생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 1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제 2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1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2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2재생 장치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미리 결정된 주기로 상기 심리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부;
    상기 수집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공통 선호도와 시간별 선호도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컨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추천 목록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목록 제공부는,
    상기 제 1재생 장치 또는 상기 제 2재생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재핑(zapping)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시청 요일, 시청 시작 시각, 시청 종료 시각, 컨텐츠 소스, 컨텐츠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는,
    수집된 주문형 비디오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공통 선호도를 산출하는 공통 선호도 산출부; 및
    수집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소에 대한 시간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시간별 선호도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중에서 유효 시청 기준을 만족하는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공통 선호도와 시간별 선호도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는 상기 제 1재생 장치의 전원 차단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청 중단시까지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재생 장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재생 장치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상기 제 1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료 동작, 상기 모바일 기기로 상기 센서부를 터치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KR1020140125155A 2014-09-19 2014-09-19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60034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155A KR20160034507A (ko) 2014-09-19 2014-09-19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155A KR20160034507A (ko) 2014-09-19 2014-09-19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07A true KR20160034507A (ko) 2016-03-30

Family

ID=5566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155A KR20160034507A (ko) 2014-09-19 2014-09-19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05B1 (ko) * 2022-09-19 2022-11-07 주식회사 해솔엔지니어링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102627577B1 (ko) * 2023-01-13 2024-01-23 쿠팡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05B1 (ko) * 2022-09-19 2022-11-07 주식회사 해솔엔지니어링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102627577B1 (ko) * 2023-01-13 2024-01-23 쿠팡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966B2 (en) Magnetic induction network device
EP2764491B1 (en) Generating a media content availability notification
US114054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suring continued access to media of a playlist despite geographic content restrictions
KR101471268B1 (ko) 태깅된 미디어 아이템 정보의 수집
US90097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assignment and exchange of digital access rights
US202002601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media guidance among multiple devices
US116221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at which the media assets are frequently consumed
US20130332838A1 (en) Cross-platform content management interface
JP2021193620A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339467A1 (en)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location
EP3769207A1 (en) Real-time audio stream search and presentation system
CN108027839A (zh) 用于标识非规范会话的系统和方法
JP2019525661A (ja) 異なるソースからの伝送のために再スケジュールされたメディアアセットを記憶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180814A1 (en) Methods and systems of alerting users viewing over-the-top content
US202102640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ess to media assets based on a projected location of a user
JP2019507508A (ja) 複数のデバイス上でのメディアアセット再生を同期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910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ffsets of a recorded program in a network DVR
KR20160034507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