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944A -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944A
KR20160033944A KR1020140124813A KR20140124813A KR20160033944A KR 20160033944 A KR20160033944 A KR 20160033944A KR 1020140124813 A KR1020140124813 A KR 1020140124813A KR 20140124813 A KR20140124813 A KR 20140124813A KR 20160033944 A KR20160033944 A KR 2016003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frame
input device
portable charact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언수
Original Assignee
김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언수 filed Critical 김언수
Priority to KR102014012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944A/ko
Publication of KR2016003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 형상 프레임부의 각 면 중 다수의 면에 자판키를 형성하여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 여건에 따라 펼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다면체 형상으로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문자입력장치{Portable character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는 한/영 문자키, 숫자키, 특수기호키, 기능키 등 다수의 키가 밀집되어 있는 구조상 소형화가 곤란하고, 소형으로 제작되더라도 일반적인 사용자의 손 크기로 인한 제약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UMPC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보통 10인치 이내의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되고,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일체형 키보드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키보드도 매우 작은 크기로 제공되어 사용이 불편하므로 키보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28435호(접철 가능한 키보드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643호(휴대용 컴퓨터의 절첩식 키보드 구조)에는 접이식 구조를 통해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키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접철식 키보드의 구조는 단순히 키보드를 포개어 접을 수 있는 구조일 뿐이므로 키보드의 크기 축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성 역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다면체 형상 프레임부의 각 면 중 다수의 면에 자판키를 형성하여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 여건에 따라 펼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다면체 형상으로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각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되는 자판키부; 및 자판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연결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수개의 프레임부;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자판키부; 및 자판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 형상 프레임부의 각 면 중 다수의 면에 자판키를 형성하여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여건에 따라 펼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다면체 형상으로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의 전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는,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부(101); 프레임부(101)의 각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되는 자판키부(103); 및 자판키부(103)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부(101)는 다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일예로 프레임부(101)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1)에는 후술할 자판키부(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프레임부(101)의 각 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1)의 적어도 한 면에는 16개의 자판키부(1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자판키부(103)는 프레임부(101)의 각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되는데, 일예로 자판키부(1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1)의 적어도 한 면에 16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1)의 어느 한 면(303)에는 4개의 자판키(tab키, caps lock키, shift키, ctrl키)가 구비되고, 프레임부(101)의 다른 한 면(305)에는 4개의 자판키(home키, pg up키, pg dn키, end키)가 구비되며, 또 다른 한 면(307)에는 자판키가 구비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키부(103)는 정육면체 형상의 프레임부(101)의 어느 한 면에 16개의 자판키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16개의 자판키가 구비되는 프레임부(101)의 면들 이외에 4개의 자판키가 구비되는 면들(303, 305) 및 자판키가 구비되지 않는 면(307)이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 조작시, 자판키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을 손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자판키부(103)의 배열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자판키부(103)는 펜타그래프 방식, 멤브레인 방식 등으로 프레임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통신모듈부(301)는 자판키부(103)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통신모듈부(301)는 일예로 프레임부(101)의 내측(즉, 입체적 구조물로 이뤄진 다면체의 프레임부(101) 안쪽)에 구비된다.
여기서, 통신모듈부(301)는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 무선통신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형성하는 수개의 프레임부(401); 프레임부(4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자판키부(403); 및 자판키부(403)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5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부(4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데, 도 5에서는 1, 2, 3, 4, Q, W, E, R, A, S, D, F, Z, X, C, V의 16개 자판키가 형성된 프레임부의 4개의 모서리에 회동연결모서리부(405)가 각각 형성되고, 5, 6, 7, 8, T, Y, U, I, G, H, J, K, B, N, M, ,의 16개 자판키가 형성된 프레임부와 home, pg up, pg dn, end의 4개 자판키가 형성된 프레임부 사이에 회동연결모서리부(405)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회동연결모서리부(405)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펼쳤을 때 하나의 프레임부와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공유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동연결모서리부(405)는 힌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401)가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기준으로 서로 접철시,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제외한 모서리 사이를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프레임부(401)의 모서리 중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제외한 모서리에, 고정결합부(407)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결합부(407)는 일예로, 프레임부(401)를 접철시 서로 마주하며 맞닿게 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자석부(409)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제1자석부(409)와 서로 인력을 형성하는 제2자석부(411)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회동연결모서리부(405)와 고정결합부(40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용도에 따라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펼쳐서 사용할 수도 있고, 회동연결모서리부(405)를 기준으로 프레임부(401)를 접고 고정결합부(407)로 고정시킴으로써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자체를 컴팩트하게 만들어 한 손으로도 편리하게 휴대형 문자입력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실시예들에서 자판키부(103,403)와 통신모듈부(301,5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프레임부(101,401) 내부를 경유하도록 연장된 접속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케이블은 일예로 연성의 플랫 케이블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 형상 프레임부의 각 면 중 다수의 면에 자판키를 형성하여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 여건에 따라 펼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다면체 형상으로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프레임부
103 : 자판키부
301 : 통신모듈부
401 : 프레임부
403 : 자판키부
405 : 회동연결모서리부
407 : 고정결합부
409 : 제1자석부
411 : 제2자석부
501 : 통신모듈부

Claims (5)

  1.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각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되는 자판키부; 및
    상기 자판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
    를 포함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각 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3. 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연결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수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자판키부; 및
    상기 자판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
    를 포함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회동연결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서로 접철시, 상기 회동연결모서리부를 제외한 모서리 사이를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모서리 중 상기 회동연결모서리부를 제외한 모서리에,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수개의 프레임부가 상기 회동연결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서로 접철시, 서로 마주하며 맞닿게 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자석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자석부와 서로 인력을 형성하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KR1020140124813A 2014-09-19 2014-09-19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KR20160033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13A KR20160033944A (ko) 2014-09-19 2014-09-19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13A KR20160033944A (ko) 2014-09-19 2014-09-19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44A true KR20160033944A (ko) 2016-03-29

Family

ID=5566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813A KR20160033944A (ko) 2014-09-19 2014-09-19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9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346B (zh) 电子设备
US703508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JP3155578U (ja) 切替送信用入力装置
JP5238654B2 (ja) 携帯端末
JP3155578U7 (ko)
WO2013174295A1 (zh) 折叠式移动终端
CN102541177A (zh) 包括柔性显示器的便携式电子设备
CN109167154A (zh) 电子设备
KR100350493B1 (ko) 원추형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가능한 접이형 단말기
US9304552B2 (en)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981555A (zh) 移动式产品扩展装置
JP2011171935A (ja) 通信装置
US2015000907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device
US969032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rotective foldable cover with a built-in membrane keyboard
TWI463090B (zh) 移動式產品承載裝置
TWI388186B (zh) 通訊裝置
US6629794B2 (en) Portable keyboard apparatus
CN204314835U (zh) 智能手写鼠标
KR20160033944A (ko) 휴대형 문자입력장치
US9817483B1 (en) Protective case with keyboard and combination of protective case and electronic device
JP2006285407A (ja) 電子機器
CN201851848U (zh) 支撑装置及键盘
CN103677128A (zh) 一种连接装置以及电子设备
KR200482907Y1 (ko) 다기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