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466A - Reducer for conduit - Google Patents

Reducer for cond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466A
KR20160033466A KR1020140124385A KR20140124385A KR20160033466A KR 20160033466 A KR20160033466 A KR 20160033466A KR 1020140124385 A KR1020140124385 A KR 1020140124385A KR 20140124385 A KR20140124385 A KR 20140124385A KR 20160033466 A KR20160033466 A KR 2016003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tubular portion
space portion
sp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4319B1 (en
Inventor
김성태
이근규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KR102014012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19B1/en
Publication of KR2016003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ducer for a conduit comprises: a first body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ide conduit, and includes a first barrel portion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barrel portion having a second space portion therein, and a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rrel portion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duit, the first body has a first water discharge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arrel portion; a second body including a third barrel portion having a third space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space portion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portion is formed, and a fourth barrel portion having a fourth space portion formed smaller than the third spac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water discharge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at an end portion of an opposite side from a side where the second barrel portion is inserted; and a buffer space portion arranged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barrel portion, and forming a flow passage of which an outlet is narrower than an inlet by forming the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ace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space portion.

Description

배관의 리듀서{Reducer for conduit}Reducer for conduit

본 실시예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지름을 변경하는 리듀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reducer for changing the diameter of a pip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리듀서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배관의 직경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하는 구성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512467호(2005.08.29.)등과 같이, 나사 연결을 사용하는 체결부재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정수기와 같이 수 mm 내외의 지름을 가지는 얇은 배관의 경우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부재의 양 단에 튜브 형태의 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한다.A reducer is a component used to change the diameter of a pipe with different diameters. In general, as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different pipes, a fastening member using a screw connection, such as Korean Patent No. 10-0512467 (Aug. 29, 2005), etc., is us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such a structure in the case of a thin pipe having a diameter of about several millimeters, such as a water purifier, a tubular pip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a plastic connecting member.

한편, 필터 등을 이용하여 정수된 물은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위하여 출수 포트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출수 포트에는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후단에 리듀서와 체크밸브가 고압차단스위치(HPS)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리듀서는 일 측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측과 제 1 배관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크밸브와 제 2 배관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배관의 직경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리듀서는 제 1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의 압력을 떨어뜨려 제 2 배관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ater purified by a filter or the like is moved to the outflow port to be supplied to the user. At this time, a reducer and a check valve are connected to a high pressure cutoff switch HPS at the rear end of a solenoid valv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ducer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side by the first pip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by the second pipe.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have. At this time, the reducer is installed to drop the press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deliver it to the second pipe.

미세한 소량을 출수하거나 유압을 감소하는 일반적인 소형 리듀서의 경우, 사출 성형을 통해 입구측과 출구측의 형상을 구성하고, 출구측을 레이저 또는 니들 등을 이용하여 미세한 출수공을 형성한다. In the case of a general compact reducer that leaves a small amount of fluid or reduces the hydraulic pressure, the shape of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is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and the outlet side is formed with a fine heading hole by using a laser or a needle.

이러한 소형 리듀서의 경우 유량과 유압이 고정되어 있어, 다른 유량과 다른 유압을 만들어 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small reducer, since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re fixed, it is difficult to produce different flow rates and different hydraulic pressures, and improvement is required.

한국 등록특허 제10-0512467호(2005.08.2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12467 (registered on August 29, 2005)

본 실시예는 유량과 유압을 조절할 때, 부품의 결합으로 다양한 유량과 유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관용 리듀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iping reduc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flow rates and hydraulic pressures by combining parts when controlling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리듀서는 일단은 급수측 배관과 연결되고, 내측에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1 통부와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2 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측 배관이 연결되는 제 1 통부의 타측으로써, 상기 제 2 통부의 단부에 제 1 지름의 제 1 출수공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일단은 상기 제 2 통부의 외주면이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 3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3 통부와, 상기 제 3 공간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 4 공간부를 가지는 제 4 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부가 삽입되는 측의 타측 단부에 제 2 지름의 제 2 출수공이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3 및 제 4 통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름이 상기 제 4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입구측보다 출구측이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완충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ducer of the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ub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and a first space portion formed inside and a second tube portion having a second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 first body having a first outlet hole of a first diameter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as a second side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a fourth tubular portion having a fourth tubular portion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rd tubular portion, wherein the third tubular portion has a first end formed with a third space portion into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is inserted,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outlet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where the second tube portion is inserted; And a thir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space, wherein a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ace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space, And a cushioning space portion for forming the cushioning portion.

상기 제 1 공간부는 상기 급수측 배관과 연결되는 입구측 지름보다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pace may be gradually narrower than an inlet side diamet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ide pipe.

상기 제 2 공간부의 지름은 상기 제 4 공간부의 지름과 대응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space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ourth space portion.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통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단턱; 및 상기 제 1 통부와 제 2 통부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몸체의 단부가 지지되는 제 2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having a first end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tube; And a second step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the second tubular portion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상기 출수측 배관은 상기 제 1 몸체의 제 1 통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제 1 단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출수측 배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flow pipe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ube portion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body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flow pipe.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제 1 출수공을 마주보는 입구측보다 제 2 출수공을 마주보는 출구측의 지름이 더 작게 형성되며, 유체 흐름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단면 형상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깔대기 형상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Wherein the buffer spac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at the outlet side facing the second outlet hole than at the inlet side facing the first outlet hole and a central axis cross-sectional shape parallel to the fluid flow direction forms a slo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formed.

상기 제 2 통부와 제 4 통부의 외경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s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and the fourth tubular portion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 및 제 2 몸체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dies may be injection molded with the same material.

상기 제 2 공간부가 상기 제 4 공간부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And the second space portion may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fourth space portion.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급수측 배관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And the water supply side pipe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듀서를 분리 가능한 제 1 및 제 2 몸체로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몸체의 연결부분에 점진적으로 유로가 좁아지는 완충공간부을 형성 하므로, 단일 몸체로 구성되는 리듀서에 비해 유량 및 유압을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제 2몸체의 연결부분에 다른 제2몸체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더욱 세밀한 유량 및 유압의 조절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reducer is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hat can be separated, and the buffer space portion in which the flow path is gradually narrowed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ompared with the reducer,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Further, since the second body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is possible to more finely control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듀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듀서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몸체의 단면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onstituting the re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리듀서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reducer of the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or a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refer to a constituent element from another constituent elem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듀서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e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ody 100 and a second body 200.

제 1 몸체(100)는 제 1 통부(110)와 제 2 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tubular portion 110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120.

제 1 통부(110)는 일단은 급수측 배관(T1)과 연결되고, 제 1 단턱(111)과 제 1 공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턱(1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출수측 배관(T2)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tubular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ide pipe T1 at one end and may include the first step 111 and the first space portion 112.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step 111 can be supported at the end of the outgoing pipe T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 1 통부(110)는 상기한 급수측 배관(T1)이 삽입 결합되는 입구측의 지름(D1)보다, 상기 급수측 배관(T1)이 삽입되는 끝단의 지름(D2)이 더 작은 값을 가지도록 하여, 점차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통부(11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제 1 공간부(112)의 출구측에는 대략 중앙 부근에 상기 끝단의 지름(D2) 보다 작은 값의 지름(D3)을 가지는 후술할 제 2 공간부(122)가 연결될 수 있다.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tube 11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at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pipe T1 to which the water supply pipe T1 is inserted, So that the sectional area gradually becomes narrower. On the other hand, at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112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110, a second space portion D3 having a diameter D3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end portion, (Not shown).

제 2 통부(120)는 상기 제 1 통부(110)와 한 몸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제 2 단턱(121)과 제 2 공간부(122)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통부(120)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기한 제 1 통부(110)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2 단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부(120)의 끝단에는 제 1 출수공(101)이 형성되어, 제 1 몸체(100)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출수공(101)의 지름(d1)은 설치되는 시스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데, 니들 또는 레이저 가공 등과 같이 물리적인 방법으로 사출 후 관통 형성하지 않고, 제 1 몸체(100)의 사출 성형 시에 금형 내부에 코어를 형성하여, 사출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is injection-molded into one body with the first tubular portion 110, and the second step 121 and the second space 122 may be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110, so that the second step 121 can be formed. A first outflow hole (10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body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outlet hole 101 may vary depending on a system to be installed, and may not be formed through a physical method such as a needle or a laser process, A core is formed in the mold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so that it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injection.

또한, 제 2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2 공간부(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간부(112)와 연결되는 입구측의 지름과 상기 제 1 출수공(101)이 형성되는 출구측의 지름이 서로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통부(120)의 외주면의 형상 또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상기 제 2 통부(120)는 후술할 제 2 몸체(2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2, the second space portion 12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120 has a diameter at the inlet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12 and a diameter of the first water outlet hole 10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on the outlet side.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120 can also be a cylindrical shape. 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00 to be described later.

제 2 몸체(200)는 제 3 통부(210)와 제 4 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0 may include a third tubular portion 210 and a fourth tubular portion 220.

제 3 통부(210)의 내측에는 제 3 공간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공간부(211)의 내측 형상은 상기한 제 2 통부(1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부(120)가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상기 제 3 통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제 3 공간부(211) 역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2 통부(120)의 길이(L1)와 제 3 통부(210)의 제 3 공간부(211)의 길이(L2)는 서로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A third space portion 21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ird tubular portion 210 and an inner shape of the third space portion 211 may correspond to a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3 and 4, when the second tubular portion 1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third space portion 2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ird tubular portion 210 may also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e. At this time, the length L1 of the second cylinder portion 120 and the length L2 of the third space portion 211 of the third cylinder portion 210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4 통부(220)는 상기 제 3 통부(210)보다 좁게 형성된 제 4 공간부(22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제 2 출수공(20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출수공(201)은 앞서 설명한 제 1 출수공(101)과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레이저 또는 니들 등과 같은 관통을 위한 장비 사용 없이, 금형 내부에 인서트 코어 등을 이용하여, 제 2 몸체(200)의 사출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출수공(201)의 지름(d2)은 상기한 제 1 출수공(101)의 지름(d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공간부(122)의 지름(D3)과 제 4 공간부(221)의 지름(D5)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이들의 지름은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ourth tubular part 220 may have a fourth space 221 formed therein narrower than the third tubular part 210 and a second outflow hole 201 may be formed at the end thereof. At this time, the second water outlet hole 201 is provided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like the above-described first water outlet hole 101, and an insert core or the like is used in the inside of the mold without using any equipment for penetrating such as laser or needle And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of the second body 200.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water outlet hole 201 may be the same as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water outlet hole 101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D3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22 and the diameter D5 of the fourth space portion 2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diameters thereof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necessary.

한편, 제 1 몸체(100)는 제 2 몸체(200)와 끼워 맞춤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 1 몸체(100)의 제 2 통부(120)는 제 2 몸체(200)의 제 3 통부(21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통부(120)의 단부와 제 4 통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3 공간부(211)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완충공간부(230)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third body portion 210 of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body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tube portion 120 and the third space portion 2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urth tube portion 220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but may be connected to the buffer space portion 230.

완충공간부(2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 3 공간부(2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4 공간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3 공간부(211)와 연결되는 부분의 지름은 제 4 공간부(221)와 연결되는 부분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들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 점차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입구측보다 출구측이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1 to 4, the buffer space 2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third space 2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urth space (221).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space portion 21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space portion 221, and they are connected so as to form a gentle slope, A flow path can be formed.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flow path in which the outlet side is narrower than the inlet sid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측 배관(T2)은 제 1 몸체(100)의 제 1 통부(110) 외주면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제 1 단턱(111)에 지지되므로, 제 2 몸체(200)는 상기 출수측 배관(T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몸체(200)의 외곽 지름은 출수측 배관(T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실제로, 출수측 배관(T2)은 제 1 몸체(100)의 제 1 통부(110)와 제 2 몸체(200)의 제 3 통부(210) 외곽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2, the outgoing pipe T2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11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first step 111, 200 can be disposed inside the outgoing pipe T2.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20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going pipe T2. In fact, the outgoing pipe T2 is connected to the first tubular portion 110 of the first body 100, The second tubular portion 210 of the second body 200 can be engaged with the outer tubular portion.

또한, 제 1 및 제 2 몸체(100)(20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injection-molded using the same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if necessary.

또한, 제 2 공간부(122)가 상기 제 4 공간부(221)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제 4 공간부(221)의 체적이 제 2 공간부(122) 보다 크게 할 수도 있고, 이들의 체적을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space portion 122 may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fourth space portion 2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the volume of the fourth spatial section 221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spatial section 122, or the volumes thereof may be the same.

이하, 본 실시예에 다른 리듀서의 동작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급수측 배관(T1)은 제 1 몸체(100)의 제 1 통부(110) 측에 형성된 제 1 공간부(1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급수측 배관(T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정수된 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하여,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공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급수측 배관(T1)으로 유입되는 물은 미도시된 펌프유닛 등과 같은 가압유닛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 제 1 몸체(100)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제 2 공간부(122)를 채운 후, 제 1 출수공(101)을 통해 제 2 몸체(200)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side pipe T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12 formed on the first cylinder 110 side of the first body 100. Water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side pipe T1 is generally purified water and can be supplied or not by a solenoid valve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a control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in order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T1 is supplied to the first body 100 by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by a pressure unit such as a pump unit or the like not shown. The inflowing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 body 200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hole 101 after filling the second space portion 122. [

제 2 몸체(200)로 유입된 물은 먼저 완충공간부(230)로 진입되어 제 4 공간부(221)로 이동하여 이들 공간을 가득 채운 후, 제 2 출수공(201)으로 배출되어 출수측 배관(T2)을 통해 미도시된 체크밸브 및 고압스위치(HPS)로 전달될 수 있다.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ody 200 first enters the buffer space 230 and moves to the fourth space 221 to fill up the spaces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201, Through a pipe T2 to a check valve (not shown) and a high-pressure switch (HPS).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듀서와 연결되는 입수측과 출수측 배관(T1)(T2)의 지름 및 제 1 및 제 2 출수공(101)(201)의 지름 또한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서로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 2 통부(120)의 제 2 공간부(122)와 제 4 통부(220)의 제 4 공간부(221)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diameters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T1 and T2 connected to the re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 holes 101 and 20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m to be the sam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22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12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space portion 221 of the fourth cylindrical portion 2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출수공(101)(201)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니들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의 물리적 천공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에 코어부재를 출수공의 위치에 개재한 상태로 사출하므로, 출수공 부근에 버가 형성되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막힘이나 수압 상승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jection molding without performing a physical drilling operation such as a needle or laser processing in orde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water outlet holes 101 and 201, Since the core member is injected in a state interposed in the position of the outflow hole, burrs are not formed near the outflow ho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ded clogging and increase in water pressure.

또한, 리듀서를 분리 가능한 제 1 및 제 2 몸체(100)(200)로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몸체(100)(200)의 연결부분에 점진적으로 유로가 좁아지는 완충공간부(230)를 형성 하므로, 단일 몸체로 구성되는 리듀서에 비해 유량 및 유압을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제 2몸체의 연결부분에 다른 제2몸체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더욱 세밀한 유량 및 유압의 조절이 가능하다. The damper space 230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separable from the reduc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gradually narrows the flow path.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as compared with the reducer having a single body. Further, since the second body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is possible to more finely control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T1; 제 1 배관 T2; 제 2 배관
100; 제 1 몸체 101; 제 1 출수공
110; 제 1 통부 111; 제 1 단턱
112; 제 1 공간부 122; 제 2 공간부
120; 제 2 통부 121; 제 2 단턱
200; 제 2 몸체 201; 제 2 출수공
210; 제 3 통부 220; 제 4 통부
221; 제 4 공간부 211; 제 3 공간부
230; 완충공간 부
220
T1; A first pipe T2; The second piping
100; A first body 101; First watering hole
110; A first tubular portion 111; 1st step
112; A first space portion 122;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A second tubular portion 121; Second stage
200; A second body 201; The second watering hole
210; A third tubular portion 220; Fourth cylinder
221; A fourth spatial section 211; The third space portion
230; The buffer space
220

Claims (10)

일단은 급수측 배관과 연결되고, 내측에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1 통부와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2 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측 배관이 연결되는 제 1 통부의 타측으로써, 상기 제 2 통부의 단부에 제 1 지름의 제 1 출수공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일단은 상기 제 2 통부의 외주면이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 3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3 통부와, 상기 제 3 공간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 4 공간부를 가지는 제 4 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부가 삽입되는 측의 타측 단부에 제 2 지름의 제 2 출수공이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3 및 제 4 통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름이 상기 제 4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입구측보다 출구측이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완충공간부;를 포함하는 배관의 리듀서.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ide pipe and having a first tubular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with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space portion, A first body in which a first water outlet hole of a first diameter is formed at an end of the tubular portion;
And a fourth tubular portion having a fourth tubular portion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rd tubular portion, wherein the third tubular portion has a first end formed with a third space portion into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is inserted,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outlet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ube portion; And
A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ace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space portion, thereby forming a flow path that narrows the outlet side from the inlet side And a cushioning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ushion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는,
상기 급수측 배관과 연결되는 입구측 지름보다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관의 리듀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s gradually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부의 지름은 상기 제 4 공간부의 지름과 대응되는 배관의 리듀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space portion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ourth spac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통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단턱; 및
상기 제 1 통부와 제 2 통부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몸체의 단부가 지지되는 제 2 단턱;을 포함하는 배관의 리듀서.
[2]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step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tube portion; And
And a second step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the second tubular portion, the second end being supported by the end of the second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측 배관은 상기 제 1 몸체의 제 1 통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제 1 단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출수측 배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관의 리듀서.
5. The method of claim 4,
Side pip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ube portion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body is disposed inside the outflow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제 1 출수공을 마주보는 입구측보다 제 2 출수공을 마주보는 출구측의 지름이 더 작게 형성되며, 유체 흐름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단면 형상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깔대기 형상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배관의 리듀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diameter of the outlet side facing the second outlet 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side facing the first outlet hole and the central axis cross-sectional shape parallel to the fluid flow direc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form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unnel shape Reducer of pip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부와 제 4 통부의 외경은 서로 대응되는 배관의 리듀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side diameter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and the outside diameter of the fourth tubular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몸체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사출 형성되는 배관의 리듀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injection-molded with the sam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부가 상기 제 4 공간부보다 큰 체적을 가지는 배관의 리듀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fourth spac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급수측 배관이 삽입 결합되는 배관의 리듀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ater supply side pip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KR1020140124385A 2014-09-18 2014-09-18 Reducer for conduit KR101634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85A KR101634319B1 (en) 2014-09-18 2014-09-18 Reducer for cond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85A KR101634319B1 (en) 2014-09-18 2014-09-18 Reducer for con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66A true KR20160033466A (en) 2016-03-28
KR101634319B1 KR101634319B1 (en) 2016-06-30

Family

ID=5635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85A KR101634319B1 (en) 2014-09-18 2014-09-18 Reducer for cond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419A (en) * 2018-12-20 2021-07-23 日东工器株式会社 Connection fitting for adjusting size of pipe joi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467B1 (en) 2002-08-16 2005-09-07 김수근 Pipe Joint Device
JP2005302629A (en) * 2004-04-15 2005-10-27 Nissan Diesel Motor Co Ltd Mechanism for attenuating oil pressure pulsation of oil pressure switch
US7234732B2 (en) * 2003-09-30 2007-06-26 Wcm Industries, Inc.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KR20100048182A (en) * 2008-10-30 2010-05-11 이상경 Combine structure for pipe
KR200463806Y1 (en) * 2010-05-07 2012-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Test apparatus for pipe leak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467B1 (en) 2002-08-16 2005-09-07 김수근 Pipe Joint Device
US7234732B2 (en) * 2003-09-30 2007-06-26 Wcm Industries, Inc.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JP2005302629A (en) * 2004-04-15 2005-10-27 Nissan Diesel Motor Co Ltd Mechanism for attenuating oil pressure pulsation of oil pressure switch
KR20100048182A (en) * 2008-10-30 2010-05-11 이상경 Combine structure for pipe
KR200463806Y1 (en) * 2010-05-07 2012-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Test apparatus for pipe lea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419A (en) * 2018-12-20 2021-07-23 日东工器株式会社 Connection fitting for adjusting size of pipe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319B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306A2 (en) A combined shower
KR101906086B1 (en)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and integrated water path module thereof
JP2014018662A (en) Shower device
WO2007044346A3 (en) Rupture control system
WO2008039540A3 (en) Nozzle body apparatus
WO2008029051A3 (en) Liquid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pump and a valve
US20080283460A1 (en) Device for Filtering a Fluid, Particularly for Plastic Processing Plants
CN101796464A (en) Pressure control valve assembly
MX2014009484A (en) Improved inflatable elastomeric pump for an infusion assembly.
JP2019512387A (en) Nozzle device
KR101634319B1 (en) Reducer for conduit
US20190017613A1 (en) Check valve having reverse-direction fluid supply function
KR101521884B1 (en) Filtering syringe
JP6486797B2 (en) Connecting device
CN108533763A (en) It is a kind of to open and close the controllable shut-off valve of speed
CN109152880A (en) The adjustable liqui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of internal pressure
MX2007011779A (en) Valve for fluids.
JP2009543721A5 (en)
WO2007011223A3 (en) Filter device for filtering a hydraulic fluid.
KR20200055332A (en) Packer for repairing crack of concrete structure
US20200157785A1 (en) Supply assembly for use with multiple lines of a hydrant
EP2977847B1 (en) Valve arrangement
CN105299240B (en) A kind of improved stop valve of silica gel pipeline structure
KR101674055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pvc spiral hose
US10895327B2 (en) Liquid control valve assembly having multiple outlets for balancing output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