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58A -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58A
KR20160032858A KR1020140123488A KR20140123488A KR20160032858A KR 20160032858 A KR20160032858 A KR 20160032858A KR 1020140123488 A KR1020140123488 A KR 1020140123488A KR 20140123488 A KR20140123488 A KR 20140123488A KR 20160032858 A KR20160032858 A KR 2016003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in
cooling water
tub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호
이동혁
심현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858A/ko
Publication of KR2016003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튜브와; 냉매튜브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와; 냉매튜브가 관통되는 냉매튜브 관통공과 냉각수튜브가 관통되는 냉각수튜브가 관통되는 냉각수튜브 관통공이 함께 형성된 복수개의 공용 핀을 포함하여, 차량의 컴팩트화를 도울 수 있고, 차량의 공간 활용도가 높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Heat exchang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튜브를 갖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이나 모터 등의 구동원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차량은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구동원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차량용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최근에는, 석유고갈에 따른 연료수급과 자연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태양전지자동차, 바이오에너지 차량 등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차량에는 차실을 공조시키는 공조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고, 공조시스템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의 구동시,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후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여 팽창기구로 유동될 수 있고,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후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다.
차량에는 실내열교환기로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팬이 설치될 수 있고, 압축기가 구동이고 실내팬이 구동일 때, 차실에는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차량에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난방 모드시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고, 실내열교환기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차실로 공급되어 차실을 난방 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에는 엔진이나 모터 등의 발열부품과, 라디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고, 발열부품과 라디에이터가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는 발열부품을 열을 흡열한 후 라디에이터로 유동되어 라디에이터를 통과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동안 실외공기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는 다시 발열부품으로 유동되어 발열부품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차량은 실외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가 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KR 10-2014-0027648 A (2014년03월07일)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쿨링모듈은 제1실외열교환기와 제2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 유로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비용이 증가되고, 제1실외열교환기와 제2실외열교환기와 전장용 라디에이터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작업이 복잡하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이격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튜브와; 상기 냉매튜브가 접촉되는 냉매튜브 관통공과 냉각수튜브가 접촉되는 냉각수튜브 관통공이 이격 형성되는 공용 핀을 포함한다.
상기 공용 핀은 상기 냉매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제1핀부와; 상기 냉각수튜브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핀부의 후류에 위치되는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냉매튜브 관통공과 냉각수튜브 관통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 사이에 복수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는 공기유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용 핀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사이에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공기유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상기 제1핀부에는 복수개의 냉매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전열루버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핀부에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후열루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은 장방향의 길이가 상기 전열루버 및 후열루버 각각의 장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공용 핀은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 사이에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용 핀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용 핀의 각각에는 마주 보는 타 공용 핀을 향해 돌출되어 타 공용 핀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는 마주보는 타 공용핀과 면접촉되는 면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 공용 핀은 상기 서포터부가 접촉되는 평평한 서포터부 접촉판부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와 서포터부 접촉판부는 상기 냉매튜브 및 냉각수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튜브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가 접속된 한 쌍의 냉매헤더 및 상기 복수개 냉각수튜브가 접속된 한 쌍의 냉각수헤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상기 제1포트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매 헤더 중 제1포트 및 제2포트가 배치된 냉매헤더 내부에 배치된 배플과; 상기 한 쌍의 냉각수 헤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냉각수 입구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각수 헤더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냉각수 출구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용 핀은 상하 방향으로 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외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가 패키징화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외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가 하나의 모듈로 모듈화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마운팅하는 경우 보다 마운팅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매튜브나 냉각수튜브를 복수개 공용 핀에 관통시킬 때, 복수개 공용 핀이 서로 지지되면서 밀리지 않고, 복수개 공용 핀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공용 핀이 밀리면서 휠 때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난방모드시, 냉각수튜브의 열이 공용 핀을 통해 냉매튜브로 전달되어 냉매튜브를 통과하는 냉매의 증발압을 높일 수 있고, 실외가 저온이고 냉매의 증발압이 너무 낮을 때 발생되는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의 압축비가 너무 높지 않게 되어 압축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가 적용된 히트 펌프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공용 핀이 도시된 확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복수개 공용 핀 결합 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가 적용된 히트 펌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배면도이다.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1, 이하 '일체형 열교환기'라 칭함)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2)와; 냉매튜브(2)와 이격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튜브(4)와;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의 각각과 접촉되는 공용 핀(10)을 포함한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고, 일체형 열교환기(1)가 설치되는 차량은 일체형 열교환기(1)로 실외공기(A)를 송풍하는 실외팬(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냉매와 실외공기(A)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냉각수튜브(4)는 냉각수를 실외공기(A)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즉, 일체형 열교환기(1)는 냉매와 냉각수 각각을 실외공기(A)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냉각수튜브(4)는 실외공기(A)의 유동방향(X)으로 냉매튜브(2) 후류에 위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A)는 냉매튜브(2)에 의해 1차적으로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이후 냉각수튜브(4)에 의해 냉각수와 2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냉매가 실외공기(A)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12)와, 냉각수가 실외공기(A)에 의해 방열되는 라디에이터(14)를 구성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12)와 라디에이터(14)는 공용 핀(10)을 공용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2)와 라디에이터(14)는 공용 핀(10)에 의해 연결되고 공용 핀(1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열교환기일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실외열교환기(12)와 라디에이터(14)가 일체화된 열교환기일 수 있다. 라디에이터(14)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실외열교환기(12) 후류에 위치할 수 있고,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12)를 먼저 통과한 후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일체형 열교환기(1)는 실외열교환기 겸용 라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차실의 난방을 위해 히트펌프(H)가 적용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차량 내 차실을 공조시키는 히트펌프(H)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트 펌프(H)는 압축기(20)와,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2)와, 냉매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23)와, 실외 열교환기(12)와 실내열교환기(23)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차실의 공기를 실내열교환기(23)로 송풍시키는 실내팬(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H)는 냉난방 절환밸브(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28)는 차실의 냉방시,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12)로 안내함과 아울러 실내열교환기(23)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20)로 안내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28)는 차실의 난방시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내열교환기(23)로 안내함과 아울러 실외열교환기(12)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20)로 안내할 수 있다.
압축기(20)에는 냉난방 절환밸브(28)에서 유동된 냉매가 압축기(20)로 흡입되는 압축기 흡입유로(21)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20)에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난방 절환밸브(28)로 토출하는 압축기 토출유로(22)가 연결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23)는 냉난방 절환밸브(28)와 실내열교환기-냉난방 절환밸브 연결유로(24)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23)는 팽창기구(26)와 실내열교환기-팽창기구 연결유로(25)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기구(26)는 실외열교환기(12)와 팽창기구-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27)로 연결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28)는 실외열교환기(12)와 실외열교환기-냉난방 절환밸브 연결유로(29)로 연결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28)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12)로 안내하고 실내열교환기(23)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20)로 안내하는 냉방모드를 갖을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28)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내열교환기(23)로 안내하고 실외열교환기(12)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20)로 안내하는 난방모드를 갖을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차량에 설치된 발열부품을 수냉시키는 수냉 사이클(C)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냉 사이클(C)은 차량에 설치된 발열부품과, 발열부품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라디에이터(14)로 안내하는 라디에이터 입수유로(34)와,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한 냉각수가 안내되는 라디에이터 출수유로(3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발열부품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 유로(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에 설치된 발열부품은 차량을 구동시키고,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차량 구동원(32)일 수 있다. 차량 구동원(32)은 차량을 구동시키는 차량 구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원(32)은 차량 구동용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원(32)에는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냉각수 유로(33)가 형성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 입수유로(34)는 일단이 냉각수 유로(33)에 연결되고 타단이 라디에이터(14)에 연결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 출수유로(36)는 일단이 냉각수 유로(33)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구동원(32)에 연결될 수 있다. 수냉 사이클(C)은 라디에이터 입수유로(32)와 라디에이터 출수유로(36)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매튜브(2)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팽창기구(26)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매튜브(2)는 팽창기구(26)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차실의 냉방시 냉매를 실외공기(A)와 열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차실의 난방시 냉매를 실외공기(A)와 열교환시켜 증발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냉각수튜브(4)에는 차량에 설치된 발열부품(32)을 방열시킨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고, 냉각수는 냉각수튜브(4)를 통해 실외공기(A)와 열교환될 수 있고, 실외공기(A)로 방열할 수 있다. 냉각수튜브(4)는 실외공기(A)의 유동방향으로 냉매튜브(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냉매튜브(2)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의 냉매튜브(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냉매튜브(2)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의 공용 핀(1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실외공기(A)가 통과하는 방향(X)으로 앞부분에 복수개의 냉매튜브(2)가 함께 배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A)가 통과하는 방향(X)으로 뒷부분에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튜브(2)는 공용 핀(1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튜브(2)는 공기유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평판형 튜브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반대되는 면 각각이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선단과 후단 각각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2)는 복수개의 공용 핀(10)이 이격되는 방향(Y)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X)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공용 핀(1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공기유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냉각수튜브(4)는 냉매튜브(2)와 같이, 평판형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수튜브(4)는 서로 반대되는 면 각각이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으로 선단과 후단 각각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공기의 유동방향(X)으로 복수개의 냉매튜브(2)와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복수개의 공용 핀(10)이 이격되는 방향(Y)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X)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공용 핀(10)이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공용핀(10)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경우, 복수개의 냉매튜브(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냉매튜브(2)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장방향이고 전후 방향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장방향이고 전후 방향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 냉매튜브(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복수개의 냉매튜브(2) 및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와 고정되어, 복수개 공용 핀(10) 상호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 냉매튜브(2)가 접속된 한 쌍의 냉매 헤더(4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한 쌍의 냉매 헤더(42)(44) 중 어느 하나(42)에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는 한 쌍의 냉매 헤더(42)(44) 중 어느 하나(42)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포트(46)는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4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포트(48)는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42)의 타측에 제1포트(46)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포트(46)와 제2포트(48)는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42)의 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가 배치된 냉매 헤더(42) 내부에 설치된 배플(43)을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는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가 연결되지 않은 냉매헤더(44) 내부에도 배플(45)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냉매헤더(42)(44) 중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가 연결된 냉매헤더(42)를 제1냉매헤더(42)라 칭하고, 한 쌍의 냉매 헤더(42)(44) 중 제1포트(46) 및 제2포트(48)가 연결되지 않은 냉매헤더(44)를 제2냉매헤더(44)라 칭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냉매헤더(42) 내부에 배플(43)이 배치되고, 제2냉매헤더(44)에 배플(45)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 냉매는 제1포트(46)와, 제1냉매헤더(42)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일부(2A)와, 제2냉매헤더(44)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나머지(2A)와, 제1냉매헤더(42)와, 제2포트(48) 순서로 유동될 수 있다.
제1냉매헤더(42) 내부에 배플(43)이 배치되고, 제2냉매헤더(44)에 배플(45)이 배치될 경우, 냉매는 제1포트(46)와, 제1냉매헤더(42)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일부(2A)와, 제2냉매헤더(44)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다른 일부(2A)와, 제1냉매헤더(42)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또 다른 일부(2C)와, 제2냉매헤더(44)와, 복수개의 냉매튜브(2) 중 나머지(2D)와, 제1냉매헤더(42)와, 제2포트(48) 순서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제1냉매헤더(42)와 제2냉매헤더(44) 각각의 내부에 배플이 배치될 경우,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2)를 지그재그 이동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한편, 일체형 열교환기(1)는 히트펌프의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시, 냉매가 유입되는 포트와, 냉매가 유출되는 포트가 바뀔 수 있다. 냉방 운전시, 제1포트(46)가 냉매 입구포트일 수 있고, 이 경우 제2포트(48)가 냉매 출구포트일 수 있다. 난방 운전시 제2포트(48)는 냉매 입구포트일 수 있고, 제1포트(46)가 냉매 출구포트일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의 냉매튜브(2)와, 복수개 공용 핀(10) 각각의 일부와, 한 쌍의 냉매헤더(42)(44)가 열교환기(12)를 구성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 냉각수튜브(4)가 접속된 한 쌍의 냉각수 헤더(5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한 쌍의 냉각수 헤더(52)(54) 중 어느 하나(52)에 연결된 냉각수 입구 포트(56)와, 한 쌍의 냉각수 헤더(52)(54) 중 다른 하나(54)에 연결된 냉각수 출구 포트(5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2)는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12)로 기상냉매가 유입될 수 있어, 냉매가 모든 냉매튜브(2)를 통과하도록 배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에, 라디에이터(14)는 냉각수가 액상으로 통과하므로, 냉각수의 빠른 유동 및 압력손실 최소화를 위해 배플 없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한 쌍의 냉각수 헤더(52)(54) 중 어느 하나(52)로 냉각수가 유입되고, 냉각수 헤더(54)(54) 중 다른 하나(54)에서 냉각수가 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와, 복수개 공용 핀(10) 일부와, 한 쌍의 냉각수헤더(52)(54)가 라디에이터(14)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공용 핀이 도시된 확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복수개 공용 핀 결합 전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
공용 핀(10)에는 냉매튜브(2)가 접촉되는 냉매튜브 관통공(6)과 냉각수튜브(4)가 접촉되는 냉각수튜브 관통공(8)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냉매튜브 관통공(6)과 냉각수튜브 관통공(8)은 공용 핀(10)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공용 핀(10)은 냉매튜브 관통공(6)이 형성된 제1핀부(110)와; 냉각수튜브 관통공(8)이 형성되고 공기유동방향으로 제1핀부(110)와 전후 위치되는 제2핀부(120)와;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를 잇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핀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X)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냉매튜브 관통공(6)은 공기유동방향(X)으로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 관통공(6)은 후단이 냉각수튜브 관통공(8)을 향할 수 있다. 냉매튜브 관통공(6)은 제1핀부(1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튜브 관통공(6)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튜브 관통공(6)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핀부(110)는 실외공기유동방향(X)으로 선단부(113)와 중간부(115)와 후단부(11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핀부(110)는 복수개 냉매튜브 관통공(6)의 선단을 잇는 제1연장선(P1)을 기준으로, 제1핀부(110)의 선단과 제1연장선(P1) 사이가 선단부(113)일 수 있다. 제1핀부(110)는 복수개 냉매튜브 관통공(6)의 후단을 잇는 제2연장선(P2)을 기준으로, 제2연장선(P2) 이후와 제1핀부(110)의 후단 사이가 후단부(114)일 수 있다. 제1핀부(11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제1연장선(P1)과 제2연장선(P2) 사이가 중간부(115)일 수 있다. 중간부(115)는 제1핀부(110) 중 복수개의 냉매튜브 관통공(6)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제1핀부(110)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중간부(115)의 폭(D1)이, 선단부(113)의 폭(D2) 및 후단부(114)의 폭(D3) 보다 길 수 있다. 제1핀부(110)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선단부(113)의 폭(D2)이 후단부의 폭(D3) 보다 길수 있다.
중간부(115)는 한 쌍의 냉매튜브 관통공(6)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핀부(110)는 냉매튜브 관통공(6)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중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핀부(110)에는 복수개의 냉매튜브(2)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루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열루버(112)는 제1핀부(110) 중 복수개의 냉매튜브 관통공(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열루버(112)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복수개가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전열루버(112)는 상하방향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X)으로 단방향 일수 있다.
전열루버(112)는 제1핀부(110)의 선단부(113) 및 제1핀부(110)의 후단부(114)에 형성되지 않고, 제1핀부(110)의 중간부(115)에 형성될 수 있다.
전열루버(112)는 제1핀부(110)의 중간부(115)에 복수개 군(112A)(112B)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루버군(112A)(112B)은 제1핀부(110)의 선단부(113)과 후단부(114) 중 제1핀부(110)의 선단부(113)에 더 가까운 제1루버군(112A)와, 제1핀부(110)의 선단부(113)과 후단부(114) 중 제1핀부(110)의 후단부(114)에 더 가까운 제2루버군(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부(110)의 제1루버군(112A) 및 제2루버군(112B)은 공기유동방향으로(A) 이격될 수 있다. 중간부(115)는 제1루버군(112A)과 제2루버군(112B) 사이에 루버가 형성되지 않은 판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핀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으로 단방향일 수 있다.
냉각수튜브 관통공(8)은 공기유동방향(X)으로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튜브 관통공(8)은 선단이 냉각수튜브 관통공(8)을 향할 수 있다. 냉각수튜브 관통공(8)은 제2핀부(12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 관통공(8)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수튜브 관통공(8)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핀부(120)는 실외공기유동방향(X)으로 선단부(123)와 중간부(125)와 후단부(124)로 구분될 수 있다.
제2핀부(120)는 복수개 냉각수튜브 관통공(8)의 선단을 잇는 제3연장선(P3)을 기준으로, 제2핀부(120)의 선단과 제3연장선(P3) 사이가 선단부(123)일 수 있다. 제2핀부(120)는 복수개 냉각수튜브 관통공(8)의 후단을 잇는 제4연장선(P4)을 기준으로, 제4연장선(P4) 이후와 제2핀부(120)의 후단 사이가 후단부(124)일 수 있다. 제2핀부(12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제3연장선(P3)과 제4연장선(P4) 사이가 중간부(125)일 수 있다.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는 제2핀부(120) 중 복수개의 냉각수튜브 관통공(8)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제2핀부(120)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중간부(125)의 폭(D4)이 선단부(123)의 폭(D5) 및 후단부(124)의 폭(D6) 보다 길 수 있다. 제2핀부(120)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선단부(123)의 폭(D5)이 후단부(124)의 폭(D6) 보다 짧을 수 있다.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는 한 쌍의 냉각수튜브 관통공(8)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핀부(120)는 냉각수튜브 관통공(8)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중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핀부(120)에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4)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열루버(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후열루버(122)는 제2핀부(120) 중 복수개의 냉매튜브 관통공(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후열루버(122)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가 순차 배치될 수 있다. 후열루버(122)는 상하방향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공기유동방향으로 단방향 일수 있다.
후열루버(122)는 제2핀부(120)의 선단부(123) 및 제2핀부(120)의 후단부(124)에 형성되지 않고,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에 형성될 수 있다.
후열루버(122)는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에 복수개 군(122A)(122B)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루버군(122A)(122B)은 제2핀부(120)의 선단부(123)과 후단부(124) 중 제2핀부(120)의 선단부(123)에 더 가까운 제1루버군(122A)와, 제2핀부(120)의 선단부(123)과 후단부(124) 중 제2핀부(120)의 후단부(124)에 더 가까운 제2루버군(122B)을 포함할 수 있고, 후열루버(122)의 제1루버군(122A)와 제2루버군(122B)는 공기유동방향(A)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는 제2핀부(120)의 제1루버군(122A)과 제2루버군(112B) 사이에 루버가 형성되지 않는 판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핀부(110)와 연결부(130)와 제2핀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공기유동방향(X)으로 냉매튜브 관통공(6)과 냉각수튜브 관통공(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일단이 제1핀부(110)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제2핀부(120)의 선단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 사이에 복수개 위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130)는 공기유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용 핀(10)은 복수개의 연결부(130) 사이에 슬릿(14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40)은 공기유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Z)으로 길 수 있다.
공용 핀(10)은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 사이에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열차단부는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가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슬릿(140)은 열차단부가 될 수 있다. 열차단부는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용 핀(10)은 연결부(130)의 크기 및 슬릿(140)의 크기에 따라 제1핀부(110)와 제2핀부(120) 사이의 열전달량이 결정될 수 있다. 슬릿(140)은 공기유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Z)으로 전열루버(112) 및 후열루버(122) 보다 길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차실의 난방시 냉매튜브(2)로 팽창기구(26)에 의해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데, 냉매튜브(2)를 통과하는 냉매의 증발압이 너무 낮으면, 압축기(20)의 압축비가 급격히 상승되어 압축기(20)의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냉매인 R134a는 그 특성상 영하 10도 이하의 저온에서 증발압이 급격히 감소되어 압축기(20)의 압축비를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연결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냉매튜브(2)의 증발압이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차실의 냉방시, 냉매튜브(2)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실외공기(A)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는데, 이때 공용 핀(1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량이 많으면, 냉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슬릿(140)이 형성되는 경우, 공용 핀(1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량이 과도하지 않게 제한될 수 있고, 공용 핀(1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량이 과도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냉방성능 저하는 최소화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공용 핀(10)의 장방향(Z)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는 차실의 난방시, 제1핀부(110)의 표면에 실외공기(A)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고, 제1핀부(110)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공용 핀(10) 표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공용 핀(10)에는 마주 보는 타 공용 핀을 향해 돌출되어 타 공용 핀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터부(1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는 마주보는 타 공용핀과 면접촉되는 면접촉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부(150)가 접촉되는 타 공용 핀은 서포터부(150)가 면접촉되는 평평한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126B)을 갖을 수 있다. 면접촉부(152)는 일면이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126B)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냉매튜브(2)와 냉각수튜브(4)는 공용 핀(1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의 제작시, 복수개의 공용 핀(10)을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냉매튜브(2)이 복수개의 공용 핀(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냉각수튜브(4)가 복수개의 공용 핀(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매튜브(2)의 삽입 작업과 냉각수튜브(4)의 삽입 작업시, 서포터부(150)는 공용 핀(10)을 지지하여 공용 핀(10)이 삽입방향으로 휘면서 밀리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냉매튜브(2)의 삽입 작업과 냉각수튜브(4)의 삽입 작업시 과도하게 휘면서 밀리지 않고, 복수개의 공용 핀(10)은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냉매튜브(2)와 공용 핀(10)이 브레이징 접합될 수 있고, 냉각수튜브(4)와 공용 핀(10)이 브레이징 접합될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1)는 브레이징 접합시,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 각각이 정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접합할 수 있고, 일체형 열교환기(1)의 불량률은 최소화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126B)는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Y)과 나란한 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126B)는 좌우 방향으로 교대 배치될 수 있다.
제1핀부(110)에는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는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는 제1핀부(110)의 중간부(11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핀부(120)에는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는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는 제2핀부(120)의 중간부(12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핀부(110) 및 제2핀부(120) 각각의 판부(116)(126)는 서포터부(150)가 돌출된 서포터부 돌출판부(116A)(126A)이거나, 서포터부(150)가 돌출되지 않고 서포터부(150)가 면접촉되는 평평한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126B)가 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는 제1핀부(110)의 복수개 중간부(115) 중 일부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1핀부(110)의 복수개 중간부(115) 중 나머지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 각각의 제1핀부(110)에는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가 교대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는 제1핀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
서포터부(150)는 제2핀부(120)의 복수개 중간부(125) 중 일부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핀부(120)의 복수개 중간부(125) 중 나머지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용 핀(10) 각각의 제2핀부(120)에는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가 교대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서포터부(150)와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는 제2핀부(120)에 상하 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복수개의 공용 핀(1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공용 핀(10A)(10B)을 제1공용 핀(10A)과 제2공용 핀(10B)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이 경우, 제1공용 핀(10A)과 제2공용 핀(10B)은 냉매튜브(2) 및 냉각수튜브(4)의 장방향(Y)으로 교대 배치될 수 있다.
제1공용 핀(10A)을 기준으로 타 공용 핀은 제1공용 핀(10A)이 마주보는 제2공용 핀(10B)일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을 기준으로 타 공용 핀은 제2공용 핀(10B)이 마주보는 제1공용 핀(10A)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핀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3개 중간부(115) 중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1핀부 제1중간부라 칭하고, 제1핀부(110)의 3개 중간부(115)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1핀부 제2중간부라 칭하며, 제1핀부(110)의 3개 중간부(115) 중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1핀부 제3중간부라 칭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2핀부(120)의 상하 방향으로 3개 중간부(125) 중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2핀부 제1중간부라 칭하고, 제2핀부(120)의 3개 중간부(125)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2핀부 제2중간부라 칭하며 제2핀부(120)의 3개 중간부(125) 중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제2핀부 제3중간부라 칭하여 설명한다.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1중간부에는 서포터부(150)가 제2공용 핀(10B)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1중간부는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1중간부에 돌출된 서포터부(150)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2중간부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2중간부는 서포터부(150)가 돌출될 수 있다.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3중간부에는 서포터부(150)가 제2공용 핀(10B)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3중간부는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1핀부(110)의 제3중간부에 형성된 서포터부(150)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1중간부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2중간부는 서포터부(150)가 돌출될 수 있다.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2중간부에는 서포터부(150)가 제2공용 핀(10B)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2중간부는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2중간부에 형성된 서포터부(150)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용 핀(10A)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3중간부는 서포터부 접촉판부(126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공용 핀(10B)에 형성된 제2핀부(120)의 제3중간부는 서포터부(150)가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냉매튜브 4: 냉각수튜브
6: 냉매튜브 관통공 8: 냉각수튜브 관통공
10: 공용 핀 42,44: 냉매헤더
46: 제1포트 48: 제2포트
52.54: 냉각수헤더 56: 냉각수 입구포트
58: 냉각수 출구포트 110: 제1핀부
112: 전열루버 120: 제2핀부
122: 후열루버 130: 연결부
140: 슬릿 150: 서포터부

Claims (16)

  1.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이격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튜브와;
    상기 냉매튜브가 접촉되는 냉매튜브 관통공과 냉각수튜브가 접촉되는 냉각수튜브 관통공이 이격 형성되는 공용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핀은
    상기 냉매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제1핀부와;
    상기 냉각수튜브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핀부의 후류에 위치되는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냉매튜브 관통공과 냉각수튜브 관통공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 사이에 복수개 위치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는 공기유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된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핀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사이에 슬릿이 형성된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공기유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긴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에는 복수개의 냉매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전열루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핀부에는 복수개의 냉각수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후열루버가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장방향의 길이가 상기 전열루버 및 후열루버 각각의 장방향 길이 보다 긴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핀은 상기 제1핀부와 제2핀부 사이에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가 형성된 일체형 열교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핀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용 핀의 각각에는 마주 보는 타 공용 핀을 향해 돌출되어 타 공용 핀에 접촉 지지되는 서포터부가 형성된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마주보는 타 공용핀과 면접촉되는 면접촉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 공용 핀은 상기 서포터부가 접촉되는 평평한 서포터부 접촉판부을 갖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와 서포터부 접촉판부는 상기 냉매튜브 및 냉각수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교대 위치된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튜브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가 접속된 한 쌍의 냉매헤더 및
    상기 복수개 냉각수튜브가 접속된 한 쌍의 냉각수헤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매헤더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상기 제1포트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매 헤더 중 제1포트 및 제2포트가 배치된 냉매헤더 내부에 배치된 배플과;
    상기 한 쌍의 냉각수 헤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냉각수 입구포트와,
    상기 한 쌍의 냉각수 헤더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냉각수 출구포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핀은 상하 방향으로 긴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KR1020140123488A 2014-09-17 2014-09-17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KR20160032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88A KR20160032858A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88A KR20160032858A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58A true KR20160032858A (ko) 2016-03-25

Family

ID=5564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88A KR20160032858A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354B2 (en) Cooling module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
KR101933166B1 (ko) 차량 공조 장치 및 차량 배터리의 온도 조절을 위해 상기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542978B1 (ko) 차량용 쿨링모듈
US6789613B1 (en) Double heat exchang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9410745B2 (en) Heat exchanger
CN110901347A (zh) 用于车辆的集中能量模块
WO2013084466A1 (ja) 熱交換システム
KR101787503B1 (ko) 전기 자동차용 냉각 시스템
KR102255799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KR101438608B1 (ko) 차량용 쿨링모듈
CN110014820B (zh) 冷却模块
US10919361B2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CN106132739A (zh) 车辆用空调系统
US20140360703A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2205847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20170112659A (ko) 차량용 쿨링모듈
KR101490906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160032858A (ko) 차량용 일체형 열교환기
JP2012245866A (ja) 複合熱交換器
KR101658157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KR20200103401A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CN110849171A (zh) 包括热交换器和其上安装有所述交换器的安装件的组件
CN111775653B (zh) 一种车用电动换热装置和车辆
JP2011218908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