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298A -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298A
KR20160032298A KR1020140121743A KR20140121743A KR20160032298A KR 20160032298 A KR20160032298 A KR 20160032298A KR 1020140121743 A KR1020140121743 A KR 1020140121743A KR 20140121743 A KR20140121743 A KR 20140121743A KR 20160032298 A KR20160032298 A KR 2016003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extension tube
cap
tub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368B1 (ko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텍
Priority to KR102014012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3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핏팅 결합부(18)가 구비된 수전함(10); 상기 수전함(10)의 상기 핏팅 결합부(18)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장 튜브(20); 상기 연장 튜브(20)를 상기 수전함(10)에 내장된 급수전(2)의 상기 토출포트(2a)와 상기 수전함(10)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 사이에 연결시키는 핏팅(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핏팅(30)은 상기 연장 튜브(20)의 기단부를 상기 급수전(2)에 구비된 토출포트(2a)에 연결하는 이너 핏팅(30A); 상기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상기 수전함(10)의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를 연결하는 프론트 핏팅(3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Water supply distributor box assembly with mounting compatability function}
본 발명은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함의 내부에서 급수전에 연결되는 튜브의 길이를 간편하게 맞추어서 쓸 수 있고, 고가의 연장 튜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 등에서 유리한 새로운 수전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물은 설계 형태에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며, 콘크리트 시공 중에 해당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될 여러 급수전, 예를 들어 욕실, 주방, 다용도실 등의 급수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도 함께 이루어지며, 이러한 급수배관에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각 급수전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급수전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시공 중의 설치작업 편의성과 시공 후의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수전함에 상기 급수전을 수용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입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급수전은 대략 사각 박스형 수전함에 내장되고, 수전함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나 슬라브에 매입되므로, 급수전이 콘크리트 구조물(주로, 벽체나 슬라브)에 매입 설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의 욕실에는 욕조, 세면기,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건물의 벽체나 바닥에는 급수배관이 매설되고, 이 급수배관 사이에는 욕조와 세면기 및 좌변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방향으로 포트(인입 포트)가 분기된 급수전(온수 급수전과 냉수 급수전를 칭함)가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전은 세면 수전함에 내장되어 욕실의 벽체에 매설되는 것으로, 급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욕조나 세면기 등에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전함이 슬라브 또는 벽체에 매입 설치될 때에 수전함 내부의 급수전에 연결되는 급수관을 건물의 슬라브 또는 벽체를 통해 배관하고 있다. 이때, 각각의 급수관은 외부관체에 내장된 상태로 배관되어 건물 시공 후 외부관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수전함이 내장되는 벽체의 두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수전함(베이스 수전함)의 전후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벽체를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만 시공하지 않고 벽돌까지 쌓는 경우(조적 작업)에는 벽체 두께가 수전함 한 개의 전후단 사이 두께보다 더 두꺼워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후단이 개방된 형태의 조절 박스를 베이스 수전함의 전단부에 이어지도록 더 설치하여 전후단 두께가 더 늘어난 수전함을 형성하고, 수전함에 상기한 급수전을 내장하고 급수배관도 설치한 다음 수전함 앞의 개방부를 커버(17)로 막아놓고 벽체의 시공 및 수전함 매입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급수전은 가운데의 토출포트가 수전함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한쪽 측면으로는 분기포트가 구비되어, 분기포트가 수전함의 측면으로 형성된 핏팅 결합공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전함의 측면 핏팅 결합공으로 들어온 튜브가 급수전의 분기포트에 접속되고 급수전의 전면에 형성된 핏팅 결합공(보통, 수전함의 전면 커버에 형성)으로 들어온 튜브가 급수전의 토출포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전함가 내장되는 벽체의 두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수전함의 전후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꺼워지는 경우에 조절 박스를 더 설치함으로써 급수전 전체의 두께가 더 커지는 경우 수전함의 전면 튜브 삽입공에 정렬되는 튜브 자체의 길이도 그만큼 더 길어져야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황동 재질의 연장 튜브를 급수전의 토출포트에 연결하여 수전함의 전면 핏팅 결합공에 마주하는 튜브(전방 배치 튜브)의 길이를 늘려주게 되는데, 이러한 황동 재질의 연장 튜브는 재질 특성상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연장 튜브의 가격이 고가인 만큼 시공비 등이 많이 들어가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황동 재질의 연장 튜브는 규격화된 길이 제품으로 나오기 때문에 현장에서 길이에 맞추어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연장 튜브 자체의 길이가 규격화되어 있어서 이를 수전함 설치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 연장 튜브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잘라서 써야 하는데, 이러한 황도 재질의 연장 튜브를 잘라서 쓰기가 쉽지 않으며, 연장 튜브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다른 규격의 황동 재질 연장 튜브를 교체해야 하므로 역시 현장 설치 작업시 번거롭고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함의 내부에서 급수전에 연결되는 튜브의 길이를 맞추어서 쓸 수 있으므로 현장에 수전함 설치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고가의 연장 튜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 등의 절감이 가능한 등의 여러 가지 유리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수전함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핏팅 결합공이 구비된 수전함; 상기 수전함의 상기 핏팅 결합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연장 튜브; 상기 연장 튜브를 상기 수전함에 내장된 급수전의 상기 토출포트와 상기 수전함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 대상물(수전 금구 등) 사이에 연결시키는 핏팅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수전함에 내장되며 상기 수전함 전면의 핏팅 결합공과 마주하는 토출포트와 상기 토출포트에 연통된 분기포트를 구비한 급수전을 포함한다.
상기 수전함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조절 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 튜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튜브의 양단부에는 슬리브가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연장 튜브에 끼워지는 인서트 슬리브부와,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재질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부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핏팅은, 상기 연장 튜브의 기단부를 상기 급수전에 구비된 토출포트에 연결하는 이너 핏팅; 상기 연장 튜브의 선단부에 상기 수전함의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를 연결하는 프론트 핏팅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핏팅과 상기 프론트 핏팅은, 전후단이 연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핏팅 바디; 전후단이 연통된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핏팅 바디에 나사 조임식으로 결합된 핏팅캡; 상기 핏팅 바디의 선단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핏팅캡이 상기 핏팅 바디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내경이 좁아지는 패킹; 상기 패킹과 상기 핏팅캡의 내측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핏팅 바디에 내장되어 상기 핏팅캡이 상기 핏팅 바디에 조여질 때에 상기 패킹을 가압하는 프레싱 링체(그립 작용 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핏팅 바디는 상기 핏팅캡이 결합되는 선단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지지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단턱에 상기 패킹이 지지되어 상기 핏팅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는 선단부가 상기 패킹에 접촉되어 상기 핏팅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의 기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의 내주면은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상기 패킹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싱 링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핏팅캡의 기단부에는 상기 핏팅캡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중심부 방향으로 이격된 튜브 인서트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 인서트 보스의 기단부의 일부에는 프레싱 가이드편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가이드편의 외주면은 상기 프레싱 링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핏팅캡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기울어진 테이퍼부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싱 가이드편의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프레싱 링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테이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핏팅캡이 상기 핏팅 바디에 나사식으로 조여질 때에 상기 튜브 인서트 보스의 선단부가 상기 프레싱 링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핏팅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 상기 결합 슬리브부에서 뒤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숫놈 슬리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핏팅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 상기 결합 슬리브부에서 앞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암놈 슬리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함 어셈블리는 주요부인 연장 튜브가 이너 핏팅과 프론트 핏팅에 의해 수전함 내부의 급수전과 수전함 외부의 수전 금구 등에 연결되는 구조이면서 연장 튜브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 튜브를 수전함의 전후 두께, 정확하게는 수전함을 구성하는 조절 박스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여 절단하여 쓰는 것과 같이 연장 튜브의 길이를 조절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주요부인 이너 핏팅과 프론트 핏팅은 연장 튜브를 삽입하여 핏팅캡을 조여주면 패킹의 내경이 좁아지면서 패킹에 의해 연장 튜브를 견고하게 그립하게 되므로, 연장 튜브에 이너 핏팅 및 프론트 핏팅을 연결하기가 보다 수월하면서도 연장 튜브와 이너 핏팅 및 프론트 핏팅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장 튜브와 이너 핏팅 및 프론트 핏팅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너 핏팅과 프론트 핏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장 튜브와 이너 핏팅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장 튜브와 프론트 핏팅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전함 어셈블리가 벽체에 매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공간(급수전(2)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건물의 슬래브(12) 또는 벽체(10)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수전함(10)과, 이러한 수전함(10)에 내장된 급수전(2)과, 수전함(10)의 전방에 형성(커버(17)에 형성)된 핏팅 결합부(18)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연장 튜브(20)와, 이러한 연장 튜브(20)를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와 수전함(10)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 사이에 연결시키는 핏팅(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수전함(10)의 전후단 두께에 대응하여 튜브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이다. 즉, 본 발명에서 설치 호환성이란 주로 수전함(10)의 전후단 두께가 달라짐에 따라 튜브의 길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늘리거나 줄여서 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전함(10)은 내부에 급수전(2)를 내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수전함(10)은 전후 좌우 방향 측벽부가 구비되고 전면부는 개방된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전함(10)의 내부에 구비된 단턱 부분에 급수전(2)의 하측이 받쳐진 상태로 급수전(2)이 수전함(10)에 내장된다. 또한, 수전함(10)은 전후단이 개방된 조절 박스(14)를 더 포함한다. 조절 박스(14)는 내부에 후술할 연장 튜브(20)를 내장한다. 조절 박스(14)의 전단부에 커버(17)가 결합된다. 즉, 수전함(10)은 전방에 조절 박스(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박스(14)의 전단부측 개방부를 간격대(15)와 커버(17)에 의해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수전함(10)은 조절 박스(14)와, 이 조절 박스(14)에 결합되는 간격대(15)와, 상기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 결합되며 후면에는 보스 형태의 핏팅 결합부(18)가 돌출된 커버(17)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전함(10)의 네 코너부에 체결보스가 구비되고, 각각의 조절 박스(14)의 코너부에도 체결보스가 구비되고, 간격대(15)의 코너부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이때, 간격대(15)는 패널부(26)의 하단부 중앙에 수전함(10)의 파이프 수용홈(11)과 유사한 형상의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는 오목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원호형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간격대(15)의 대략 사각 폐루프 형상의 스페이스부(15a) 내측면에는 중심부 방향으로 더 돌출된 커버 지지턱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버 지지턱의 내측면에는 커버(17)의 전후방을 연장된 복수개의 체결 보스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 보스부는 커버(17)의 스페이스부(15a)의 네 모서리 부분에 일체화된 구조이다.
따라서, 간격대(15)를 조절 박스(14)의 전단부측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간격대(15)의 체결구홀에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조절 박스(14)의 체결보스를 관통하여 수전함(10)의 코너부에 구비된 체결보스에 조여줌으로써 조절 박스(14)와 간격대(15)가 결합되고, 상기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는 커버(17)가 결합된 구조의 수전함(10)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의 수전함(10)은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코너부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된 함체 형상의 베이스 수전함(12)과, 이 베이스 수전함(12)의 전방 개방부에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조절 박스(14)와, 이 조절 박스(14)의 전방 개방부를 막아주는 간격대(15)와, 이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를 막아주는 커버(17)를 포함한다. 따라서, 간격대(15)의 코너부에 구비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구는 조절 박스(14)의 체결보스를 관통하여 수전함(10)의 체결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는 커버(17)에 의해 막아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 박스(14)를 베이스 수전함(12)에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절 박스(14)를 베이스 수전함(12)의 전방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고정수단으로 채용가능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 수전함(10)은 베이스 수전함(12)과 조절 박스(14)와 간격대(15) 및 커버(1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수전함(10)의 내부에 급수전(2)과 연장 튜브(20)를 내장하여 수전 금구(즉, 세면대 수전함(10)에 연결되는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 등)가 연결되도록 하는 벽체 매입형 수전함(조적식 벽체 매입형 수전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17)도 코너부에 체결구홀이 구비되고, 스페이스부(15a)의 코너부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17)의 체결구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스페이스부(15a)의 체결보스에 조여줌으로써 커버(17)가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를 막아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수전함(12)은 상하측 둘레벽과 좌우측 둘레벽을 가짐과 동시에 전면에는 개구부(22)를 갖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수전함(12)의 하측 둘레벽 중간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원호형의 파이프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이러한 파이프 수용홈(11)에 벽체(5)에 매설되어 세면대에 연결되는 기역자형의 파이프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17)는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 끼워지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커버(17)의 후면에는 두 개의 핏팅 결합부(18)가 일체로 구비되고, 각 핏팅 결합부(18)에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연통된 핏팅 결합공(18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핏팅 결합공(18h)은 프론트 핏팅(30B)의 전단부측 외주면에 구비된 다각 형상부가 끼워지는 다각 구멍 형상의 핏팅 지지홀과, 이러한 핏팅 지지홀의 후단부에 구비된 원형 구멍 형상의 핏팅 안치홀로 구성된다. 프론트 핏팅(30B)의 다각 형상부가 육각형이기 때문에, 핏팅 결합공(18h)을 구성하는 핏팅 지지홀도 육각형 구멍 형상이다.
상기 커버(17)는 체결구홀에 볼트나 나사못 등의 체결구를 삽입하여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 형성된 체결보스에 체결함으로써, 커버(17)를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스페이스부(15a)를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커버(17)의 핏팅 결합부(18)에는 프론트 핏팅(30B)이 삽입된다.
상기 수전함(10)의 핏팅 결합부(18)과 마주하는 위치에 연장 튜브(20)가 배치된다. 연장 튜브(20)는 수전함(10)이 조절 박스(14)에 의해 전후단 사이의 두께가 더 커질 때에 대비하여 급수전(2)에 연결(정확하게는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에 연결)되는 튜브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연장 튜브(20)의 길이는 조절 박스(14)의 전후단 사이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의 관으로 구성된다. 연장 튜브(20)는 원형관 구조이다. 또한, 연장 튜브(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연장 튜브(20)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서 기존의 황동 재질의 연장 튜브(20)에 비하여 필요한 길이로 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는 슬리브(22)가 삽입 결합된다. 슬리브(22)를 필요시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서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슬리브(22)는 수지(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리브(22)는 연장 튜브(20)에 끼워지는 인서트 슬리브부(23)와, 이러한 인서트 슬리브부(2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24)를 포함한다. 인서트 슬리브부(23)는 원형관 구조이다. 또한, 상기 확장부(24)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4a)가 구비된다. 즉, 확장부(24)의 외주면은 인서트 슬리브부(23)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24a)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연장 튜브(20)를 수전함(10)에 내장된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와 수전함(10)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 사이에 연결시키는 핏팅(30)을 포함한다. 이때, 핏팅(30)은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에 접속되는 이너 핏팅(30A)과 연장 튜브(20)와 수전함(10)의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 등의 연결 대상물을 연결하는 프론트 핏팅(30B)을 포함한다. 즉, 핏팅(30)은 연장 튜브(20)의 기단부를 급수전(2)에 구비된 토출포트(2a)에 연결하는 이너 핏팅(30A)과,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수전함(10)의 바깥에 배치되는 외부의 수전 금구를 연결하는 프론트 핏팅(30B)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너 핏팅(30A)은 핏팅 바디(32)와 핏팅캡(34)과 패킹(36) 및 프레싱 링체(38)를 포함한다.
상기 핏팅 바디(32)는 전후단이 연통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핏팅 바디(32)는 단면 원형관 형상이라서 핏팅 바디(32) 내부의 공간부도 원형 공간부 구조이다. 핏팅 바디(32)는 대략 가운데의 다각 형상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다각 형상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핏팅 바디(32)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한쪽의 나사부가 구비되고 핏팅 바디(32)의 기단부측 외주면에 다른 쪽의 나사부가 구비된 구조이다. 결국, 이너 핏팅(30A)은 한쪽 나사부와 다른 쪽 나사부를 구비한 핏팅 바디(32)에 의해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32CS)와, 이러한 결합 슬리브부(32CS)에서 뒤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숫놈 슬리브부(32MS)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한다. 또한, 상기 핏팅 바디(32)는 핏팅캡(34)이 결합되는 선단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지지단턱(32S)이 구비된다.
상기 핏팅캡(34)은 전후단이 연통된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핏팅캡(34)은 단면 원형의 캡 형상이다. 이러한 핏팅캡(34)은 핏팅 바디(32)에 나사 조임식으로 결합된다. 핏팅캡(34)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이러한 핏팅캡(34) 내주면의 나사부가 결합 슬리브부(32CS)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핏팅캡(34)의 기단부에는 튜브 인서트 보스(34a)가 구비된다. 핏팅캡(34)의 기단부에는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연결부의 중앙부에는 단면 원형관 형태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핏팅캡(34)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중심부 방향으로 이격된 튜브 인서트 보스(34a)가 구비된 것이다. 핏팅캡(34)의 내주면에서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핏팅캡(34)의 내주면과 튜브 인서트 보스(34a)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의 일부에는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구비된다.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는 후술할 프레싱 링체(38)에 접촉되는 단부인데, 이러한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 전체면 중에서 일부의 면을 차지하도록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구비된다. 프레싱 가이드편(34b)은 환형의 링 구조이다. 상기 프레싱 가이드편(34b)의 외주면은 프레싱 링체(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핏팅캡(34)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기울어진 테이퍼부(34c)로 구성된다. 따라서,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나사식으로 조여질 때에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는 프레싱 링체(38)를 가압하고, 프레싱 가이드편(34b)은 테이퍼부(34c)가 프레싱 링체(38)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38b)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킹(36)은 핏팅 바디(32)의 선단부측 내부에 구비되어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내경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프레싱 링체(38)를 누르고, 프레싱 링체(38)는 패킹(36)을 눌러서 패킹(36)의 내경이 좁아지는 것이다. 패킹(36)은 핏팅 바디(32)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단턱(32S)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핏팅캡(34)의 나사 조임식 결합이 이루어질 때에 프레싱 링체(38)를 핏팅캡(34)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와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누르게 되고, 프레싱 링체(38)가 눌려지면 패킹(36)이 프레싱 링체(38)와 핏팅 바디(32) 내부의 상기 지지단턱(32S) 사이에서 눌려지게 되므로, 패킹(36)의 내경이 줄어들게 된다. 패킹(36)은 물론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원활하게 눌려져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패킹(36)의 내경은 연장 튜브(20)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서 연장 튜브(20)가 패킹(36)에 약간 억지 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같이 전진하면서 패킹(36)을 눌러주는 프레싱 링체(38)는 핏팅캡(34) 내부에 구비된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와 패킹(36)에 각각 양단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프레싱 링체(38)가 핏팅 바디(32)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동시에 핏팅캡(34) 내부에 구비된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와 패킹(36) 사이에 개재된 것이다. 한편, 프레싱 링체(38)는 기단부는 핏팅캡(34)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이고, 프레싱 링체(38)의 선단부는 패킹(36)에 접촉되는 단부로서, 상기 프레싱 링체(38)는 기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편(38a)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싱 링체(38)의 내주면은 테이퍼부(38b)로 구성된다. 따라서, 프레싱 링체(38)의 내경이 패킹(36)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된다. 프레싱 링체(38)의 확장편(38a)은 패킹(36)에 걸쳐지고 프레싱 링체(38) 내주면을 형성하는 테이퍼부(38b)에는 핏팅캡(34) 내부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 선단부에 구비된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접촉된다. 프레싱 가이드편(34b)의 외주면에 구비된 테이퍼부(34c)가 프레싱 링체(38) 내주면 테이퍼부(38b)에 접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싱 링체(38)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취홈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핏팅(30B)은 전후단이 연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핏팅 바디(32)와, 전후단이 연통된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핏팅 바디(32)에 나사 조임식으로 결합된 핏팅캡(34)과, 상기 핏팅 바디(32)의 선단부측 내부에 구비되어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내경이 좁아지는 패킹(36)과, 이러한 패킹(36)과 핏팅캡(34)의 내측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핏팅 바디(32)에 내장되어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조여질 때에 패킹(36)을 가압하는 프레싱 링체(38)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핏팅(30B)을 구성하는 핏팅 바디(32)는 전후단이 연통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핏팅 바디(32) 내부의 공간부도 원형 공간부 구조인데, 핏팅 바디(32)는 대략 가운데의 다각 형상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나사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핏팅(30B)의 구성인 핏팅 바디(32)는 다각 형상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선단부측 내주면에 한쪽의 나사부가 구비되고 핏팅 바디(32)의 기단부측 외주면에 다른 쪽의 나사부가 구비된 구조이다. 결국, 프론트 핏팅(30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32CS)와, 이러한 결합 슬리브부(32CS)에서 앞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암놈 슬리브부(32FS)를 포함한다. 프론트 핏팅(30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암놈 슬리브부(32FS)가 구비된 구성이라는 점에서 이너 핏팅(30A)과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핏팅캡(34)과 패킹(36) 및 프레싱 링체(38)는 이너 핏팅(30A)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너 핏팅(30A)이 연장 튜브(20)의 기단부에 삽입 결합됨과 동시에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에 접속되고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된 프론트 핏팅(30B)은 상기 수전함(10)을 구성하는 커버(17)의 핏팅 결합홀(18h)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핏팅(30B)에 수전함(1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수전 금구(예를 들어, 세면대의 온수 수전 금구와 냉수 수전 금구)가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수전함 어셈블리를 벽체에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전함(10) 전면의 개방부는 세면 수전함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커버(미도시)에 의해 막아준 상태에서 거푸집(예를 들어, 유로폼 등)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써, 수전함(10)을 벽체(5)에 일차로 매설한다.
수전함(10)이 벽체(5)에 매설된 다음에는 거푸집을 해체하고, 수전함(10) 전방의 커버를 떼어낸 다음, 간격대(15)를 수전함(10)의 전면 개구부(22)에 결합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간격대(15)에 형성된 각 체결구홀에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구를 관통시켜 수전함(10)의 체결보스부 조여줌으로써, 수전함(10)의 전면 개구부에 간격대(15)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대(15)에 의해 수전함(10)의 급수전(2)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 내측에 커버(17)를 설치하여 급수전(2)의 토출포트(2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막아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버(17)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볼트나 나사못 등의 체결구를 삽입하여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에 형성된 체결보스에 조여줌으로써, 커버(17)를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 내측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17)에 의해 급수전(2)의 토출포트(2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막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커버(17)의 핏팅 결합부(18)에 형성된 핏팅 결합공(18h)에는 연장 튜브(20) 선단부의 프론트 핏팅(30B)이 끼워지게 되는데, 핏팅 결합공(18h)을 이루는 다각형상의 핏팅 지지홀에는 프론트 핏팅(30B)에 형성된 다각 형상부가 끼워진다.
이처럼 수전함(10)의 전면 개구부(22)를 간격대(15)와 커버(17)에 의해 막아주도록 결합하면,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가 일차로 양생된 벽체(5)의 외표면에서 전방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급수전(2)의 토출포트(2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막아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벽체(5) 위에 바르게 될 몰탈과 타일의 합친 두께를 감안하여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의 높이도 정해지도록 설계되는데, 이러한 간격대(15)의 스페이스부(15a) 높이는 시공 장소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급수전(2)이 내장된 수전함(10)의 전면 개구부(22)에 간격대(15)와 커버(17)를 결합하여 막아준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핏팅(30B)에 수전 금구를 연결한다. 상기 온수 수전 금구(밸브)와 냉수 수전 금구(밸브)를 두 개의 프론트 핏팅(30B)에 접속한다. 프론트 핏팅(30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암놈 슬리브부(32FS)를 구비하므로, 상기 프론트 핏팅(30B)의 암놈 슬리브부(32FS)에 수전 금구에 형성된 나사부를 결합하여 각각의 프론트 핏팅(30B)에 상기 온수 수전 금구와 냉수 수전 금구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을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장 튜브(20)의 한쪽 단부를 이너 핏팅(30A)에 결합할 때에는 이너 핏팅(30A)의 핏팅캡(34)을 완전히 조여놓지 않고 약간 풀어놓은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기 연장 튜브(20)를 이너 핏팅(30A)에 삽입한다. 이너 핏팅(30A)의 핏팅캡(34)에 구비된 튜브 인서트 보스(34a)로 연장 튜브(20)를 통과시켜서 이너 핏팅(30A)의 내부에 연장 튜브(2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이너 핏팅(30A) 내부의 패킹(36) 내경이 연장 튜브(20)의 외경보다 약간 작으므로, 연장 튜브(20)가 패킹(36)에 억지 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장 튜브(20)의 단부에는 슬리브(22)가 내장되어 있고, 슬리브(22)는 선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24)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24)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4a)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24a)에 의해 연장 튜브(20)가 패킹(36)에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된다.
다음, 상기 핏팅캡(34)을 이너 핏팅(30A)의 핏팅 바디(32)에 나사식으로 조여준다. 그러면, 상기 핏팅캡(34)이 전진하면서 내부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 선단부와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상기 이너 핏팅(30A) 내부의 프레싱 링체(38)를 눌러주고, 프레싱 링체(38)가 눌려지면 프레싱 링체(38) 자체의 내경도 좁아지고 동시에 프레싱 링체(38)가 패킹(36)을 눌러서 패킹(36)의 내경을 좁히게 되므로, 패킹(36)이 연장 튜브(20)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그립하는 상태가 된다. 패킹(36)이 연장 튜브(20)의 외주면을 타이트하게 그립함으로써 연장 튜브(20)가 이너 핏팅(30A)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나아가, 상기 프레싱 링체(38)도 내경이 줄어들어서 연장 튜브(20)의 외주면을 그립하게 되므로, 패킹(36)과 프레싱 링체(38)가 연장 튜브(20)를 잡아서 이너 핏팅(30A)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이너 핏팅(30A)은 숫놈 슬리브부(32MS)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에 구비된 토출포트(2a)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이너 핏팅(30A)을 먼저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측을 이너 핏팅(30A)에 삽입 결합할 수도 있고,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측을 이너 핏팅(30A)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너 핏팅(30A)의 숫놈 슬리브부(32MS) 외주면의 나사부를 급수전(2)의 토출포트(2a)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프론트 핏팅(30B)을 결합하는데, 프론트 핏팅(30B)을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방식은 연장 튜브(20)의 기단부에 이너 핏팅(30A)을 결합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상기 연장 튜브(20)에 프론트 핏팅(30B)을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이 결합되고,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을 매개로 연장 튜브(20)를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과 수전함(10) 외부의 수전 금구, 예를 들어, 세면대의 온수 수전 금구(밸브)와 냉수 수전 금구(밸브) 사이에 연결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연장 튜브(20)의 길이를 조절 박스(14)의 설치 두께(즉, 전후단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쓸 수 있다는 데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요부인 연장 튜브(20)가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에 의해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과 수전함(10) 외부의 수전 금구 등에 연결되는 구조이면서 연장 튜브(2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 튜브(20)를 수전함(10)의 전후 두께, 정확하게는 수전함(10)을 구성하는 조절 박스(14)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여 절단하여 쓰는 것과 같이 연장 튜브(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황동 재질의 연장 튜브(20)를 잘라서 쓰기가 쉽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연장 튜브(20)를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연장 튜브(20)는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에 의해 급수전(2)과 수전 금구 등의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연장 튜브(20)를 수전함(10)의 전후 두께에 맞추어 간단하게 잘라서 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연장 튜브(20)의 길이가 수전함(10)의 전후 두께에 비하여 너무 길 경우에는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슬리브(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22)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장 튜브(20)를 수전함(10)의 전후 두께에 맞추어 절단하고, 길이 조절된 슬리브(22)의 한쪽 단부에 다시 슬리브(22)를 삽입하여 쓰면 될 것이다.
2. 연장 튜브(20)가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에 의해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과 수전함(10) 외부의 수전 금구 등에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급수전(2)과 수전 금구 사이에 연장 튜브(20)를 연결하여 배치하기가 보다 편리하다. 연장 튜브(20) 기단부측의 이너 핏팅(30A)을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에 구비된 토출포트(2a)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장 튜브(20) 선단부측의 프론트 핏팅(30B)에 수전 금구를 나사식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수전함(10) 내부의 급수전(2)과 수전함(10) 외부의 수전 금구 사이를 연장 튜브(20)로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편리하다. 현장 시공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이다.
3.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은 연장 튜브(20)를 삽입하여 핏팅캡(34)을 조여주면 패킹(36)의 내경이 좁아지면서 패킹(36)에 의해 연장 튜브(20)를 견고하게 그립하게 되므로, 연장 튜브(20)에 이너 핏팅(30A) 및 프론트 핏팅(30B)을 연결하기가 보다 수월하면서도 연장 튜브(20)와 이너 핏팅(30A) 및 프론트 핏팅(30B)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4. 상기 핏팅캡(34)의 조여짐이 해제된 상태(즉,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에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풀어준 상태)가 되면 패킹(36)의 내경이 다시 원래 내경으로 되므로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에서 연장 튜브(20)를 필요할 때에 빼내기가 용이하다.
5. 상기 핏팅캡(34)이 핏팅 바디(32)를 기준으로 조여질 때에 핏팅캡(34) 내부의 튜브 인서트 보스(34a) 선단부에 구비된 프레싱 가이드편(34b)의 테이퍼부(34c)가 프레싱 링체(38)의 내주면 테이퍼부(38b)에 밀착된 상태로 프레싱 링체(38)를 누르게 되므로, 핏팅캡(34)의 조여주는 작용에 의해 프레싱 링체(38)를 보다 확실하면서도 무리없이 눌러줄 수 있게 된다.
6. 프레싱 링체(38)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취홈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핏팅캡(34)을 조여서 프레싱 링체(38)를 눌러줄 때에 상기 절취홈에 의해 프레싱 링체(38)의 내경이 보다 원활하게 좁혀지고, 프레싱 링체(38)이 내경이 보다 원활하게 좁혀지는 만큼 프레싱 링체(38)가 연장 튜브(20)의 외주면을 그립하여 연장 튜브(20)에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이 삽입 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
7. 이너 핏팅(30A)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숫놈 슬리브부(32MS)를 구비하고, 프론트 핏팅(30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암놈 슬리브부(32FS)를 구비하여,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이 쉽게 구별되므로, 현장에서 연장 튜브(20)를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에 의해 구분하여 연결할 때에 보다 편리하다.
8.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22)는 인서트 슬리브부(23)와 확장부(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슬리브(22)의 재질은 수지로 구성되어, 슬리브(22)가 확장부(24)에 의해 연장 튜브(20)의 단부에 걸려져서 과도하게 연장 튜브(2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슬리브(22)를 확장부(24)를 이용하여 연장 튜브(20)에서 빼낼 수 있고, 슬리브(22)의 재질이 연장 튜브(20)의 재질인 합성수지와 동일 유사한 수지 재질이어서 슬리브(22)가 연장 튜브(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슬리브(22)는 연장 튜브(20)를 이너 핏팅(30A)과 프론트 핏팅(30B)의 패킹(36)에 의해 가압하여 조여줄 때에 안쪽에서 연장 튜브(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슬리브(22)가 연장 튜브(20)의 안에서 강도를 보강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전함(10)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들의 수전함(10)과 차이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주로 세면대 수전함으로 채용되는데, 도 8의 실시예는 세면대 이외에 욕실 수전함으로 채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수전함 어셈블리는 세면대, 욕실 등과 같이 건물 수전함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수전함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 급수전 2a. 토출포트
10. 수전함 11. 파이프 수용홈
12. 베이스 수전함 14. 조절 박스
15. 간격대 15a. 스페이스부
17. 커버 18. 핏팅 결합부
18h. 핏팅 결합홀 20. 연장 튜브
22. 슬리브 23. 인서트 슬리브부
24. 확장부 24a. 테이퍼부
30. 핏팅 30A. 이너 핏팅
30B. 프론트 핏팅 32. 핏팅 바디
32S. 지지단턱 32CS. 결합 슬리브부
32MS. 숫놈 슬리브부 32FS. 암놈 슬리브부
34. 핏팅캡 34a. 튜브 인서트 보스
34b. 프레싱 가이드편 34c. 테이퍼부
36. 패킹 38. 프레싱 링체
38a. 확장편 38b. 테이퍼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핏팅 결합부(18)가 구비된 수전함(10);
    상기 수전함(10)의 상기 핏팅 결합부(18)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장 튜브(20);
    상기 수전함(10)에 내장된 급수전(2)의 토출포트(2a)와 상기 수전함(10)의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 대상물 사이에 상기 연장 튜브(20)를 연결시키는 핏팅(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 튜브(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조절 박스(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 튜브(20)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튜브(20)의 양단부에는 슬리브(22)가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2)는 상기 연장 튜브(20)에 끼워지는 인서트 슬리브부(23)와,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2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22)의 재질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4. 제3항이 있어서,
    상기 확장부(24)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4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핏팅(30)은,
    상기 연장 튜브(20)의 기단부를 상기 급수전(2)에 구비된 토출포트(2a)에 연결하는 이너 핏팅(30A);
    상기 연장 튜브(20)의 선단부에 상기 수전함(10)의 전면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를 연결하는 프론트 핏팅(30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핏팅(30A)과 상기 프론트 핏팅(30B)은,
    전후단이 연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핏팅 바디(32);
    전후단이 연통된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핏팅 바디(32)에 나사 조임식으로 결합된 핏팅캡(34);
    상기 핏팅 바디(32)의 선단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핏팅캡(34)이 상기 핏팅 바디(32)에 나사 결합식으로 조여질 때에 내경이 좁아지는 패킹(36);
    상기 패킹(36)과 상기 핏팅캡(34)의 내측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핏팅 바디(32)에 내장되어 상기 핏팅캡(34)이 상기 핏팅 바디(32)에 조여질 때에 상기 패킹(36)을 가압하는 프레싱 링체(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핏팅 바디(32)는 상기 핏팅캡(34)이 결합되는 선단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지지단턱(32S)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단턱(32S)에 상기 패킹(36)이 지지되어 상기 핏팅 바디(32)에 내장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38)는 선단부가 상기 패킹(36)에 접촉되어 상기 핏팅 바디(32)에 내장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38)의 기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편(38a)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링체(38)의 내주면은 테이퍼부(38b)로 구성되어 상기 패킹(36)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링체(38)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핏팅캡(34)의 기단부에는 상기 핏팅캡(34)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중심부 방향으로 이격된 튜브 인서트 보스(34a)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의 일부에는 프레싱 가이드편(34b)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가이드편(34b)의 외주면은 상기 프레싱 링체(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핏팅캡(34)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기울어진 테이퍼부(34c)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싱 가이드편(34b)의 상기 테이퍼부(34c)가 상기 프레싱 링체(38)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테이퍼부(38b)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핏팅캡(34)이 상기 핏팅 바디(32)에 나사식으로 조여질 때에 상기 튜브 인서트 보스(34a)의 선단부가 상기 프레싱 링체(38)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핏팅(30A)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32CS);
    상기 결합 슬리브부(32CS)에서 뒤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숫놈 슬리브부(32MS)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핏팅(30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결합 슬리브부(32CS);
    상기 결합 슬리브부(32CS)에서 앞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암놈 슬리브부(32FS)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KR1020140121743A 2014-09-15 2014-09-15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KR10162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43A KR101625368B1 (ko) 2014-09-15 2014-09-15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43A KR101625368B1 (ko) 2014-09-15 2014-09-15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298A true KR20160032298A (ko) 2016-03-24
KR101625368B1 KR101625368B1 (ko) 2016-05-31

Family

ID=5565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743A KR101625368B1 (ko) 2014-09-15 2014-09-15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54B1 (ko)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속커버 변환설치가 가능한 벽체 매립형 수전함 및 그 시공방법
KR200491655Y1 (ko) * 2020-01-23 2020-05-14 조재훈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KR102495531B1 (ko) * 2020-10-06 2023-02-06 주식회사 미성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1218B2 (ja) * 1995-09-13 2005-11-30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給水栓継手
KR100489440B1 (ko) * 2002-11-19 2005-05-17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1116305B1 (ko) * 2010-03-25 2012-03-09 주식회사 새롬테크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JP6146996B2 (ja) * 2012-12-19 2017-06-14 株式会社カクダイ 給水用立上がり管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368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368B1 (ko)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US2005012721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CA2976189C (en) Plumb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 tail piece to a waste pipe
US20080172953A1 (en) Modular plumbing units
US20050063772A1 (en) Connection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KR100721213B1 (ko) 수전 연결장치
EP1953439A2 (en) An assembly for terminating a flexible water pipe
US11168469B2 (en) Arrangement for the installation and wall mounting of a wash basin or the like
WO2014017898A1 (en) Clamping device for mounting a faucet head
KR200480895Y1 (ko) 수전금구 체결장치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860073B1 (ko) 수전시공지그
US20220090364A1 (en) Fitting connecting piece
KR20100002856U (ko)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101650750B1 (ko) 벽체형 조절분배기
KR20070006185A (ko) 수전함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WO2003029570A1 (en) Single control fauc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464968B1 (ko) 수배관용 매립형 분배기
EP2365142B1 (en) Siphon with double mounting
AU2013228052A1 (en) A mixer tap mounting arrangement
US942386A (en) Lavatory-fitting.
EP3505690A1 (en) Vertical faucet water distribution device
EP3144432B1 (en) Assembly for a concealed sanitary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